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14:28:47

용자특급 마이트가인


용자 시리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용사특급 마이트가인 (1993~1994)
勇者特急マイトガイン
Brave Express Might Gaine
파일:용자특급마이트가인.jpg
{{{#212529,#e0e0e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거대로봇( 용자), 범죄
원작 야타테 하지메
타카라
감독 타카마츠 신지
치프 라이터 코야마 타카오
각본 협력 브라자놋포(ぶらざぁのっぽ)
캐릭터 디자인 이시다 아츠코
오구로 아키라[1]
디자인 협력 디자인메이트
오카다 토모아키(岡田有章)
메카 디자인 오오카와라 쿠니오
치프 메카 작화감독 야마네 마사히로
미술 감독 오카다 토모아키
색채 설계 우타가와 리츠코(歌川律子)
촬영 감독 스기야마 유키오(杉山幸夫)
모리 나츠코(森 夏子)
음향 감독 치바 코이치
음악 쿠도 타카시(工藤 隆)
프로듀서 이마이 신(今井 慎) 나고야 테레비
오바라 마미(小原麻美) 도큐 에이전시
후루사와 후미쿠니(古澤文邦) 선라이즈
요시이 타카유키(吉井孝幸) 선라이즈
애니메이션 제작 선라이즈
제작 나고야 테레비
도큐 에이전시
선라이즈
방영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 1993. 01. 30. ~ 1994. 01. 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 03. 27. ~ 2000. 07. 05.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나고야 테레비 / (토) 17: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BS2 (월~화) → (월~목) 17:45
한국 정식발매 손오공 ( VHS)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47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연소자 관람가 (VHS)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1. 개요2. 줄거리3. 특징4. 등장인물
4.1. 주인공 및 선역, 협력자4.2. 악역
5. 설정6. 메카
6.1. 용자특급대(용사특급부대)6.2. 악역측 기체6.3. 기타 로봇
7. 음악
7.1. 주제가
7.1.1. 일본판
7.1.1.1. OP7.1.1.2. ED17.1.1.3. ED2
7.1.2. 한국판
7.1.2.1. 비디오판 OP7.1.2.2. KBS2판 OP
7.2. 삽입곡7.3. OST
8. 회차 목록9. 에피소드 가이드10. 해외 공개
10.1. 대한민국
11. 평가12. 인기13. 결말14. 미디어 믹스
14.1. 드라마 CD14.2. 슈퍼로봇대전
15. 완구16. 기타

[clearfix]

1. 개요

かつて、東京湾と呼ばれた海上に建設されたヌーベル・トキオ・シティは、自由と平和に満ち溢れた未来都市であった。だが、その陰で巨大な悪が蠢き始め、人々の幸せはもろくも崩れ去ろうとしていた。そんな時、颯爽と正義のヒーローが現れた。その名は旋風寺舞人。彼は『勇者特急マイトガイン』と呼ばれるロボット達と共に、悪人達の野望を次々と打ち砕いていく。ヌーベル・トキオ・シティに勇者旋風が巻き起こるのだった。
일찍이 도쿄만이라 불리던 바다 위에 건설된 누벨 토키오 시티는 자유와 평화로 가득찬 미래도시였다. 하지만, 그 그늘에서 거대한 악이 꿈틀대기 시작하여 사람들의 행복은 무너져 내리려 하고 있었다. 그 때, 씩씩하게도 정의의 히어로가 나타났다. 그 이름은 센푸지 마이토. 그는 '용자특급 마이트가인'이라 불리는 로봇들과 함께 악당들의 야망을 차례차례로 무너뜨리기 시작했다. 누벨 토키오 시티에 용자선풍이 휘몰아치고 있었다. (원판)
오래전 대서양이라 불리던 바다 위에 건설된 누벨스타 시티는 자유와 평화, 그리고 희망으로 가득찬 미래도시였다. 하지만, 계속되는 평화에 싫증이 난 악의 무리들이 서서히 고개를 쳐들었고, 사람들의 행복은 위협을 받기 시작했다, 바로 그 때, 한 명의 소년이 나타났다. 그의 이름은 리키 마이트. 그는 용사특급 마이트가인이라 불리는 로봇과 같이 악당들의 야망을 차례차례로 무너뜨리기 시작했다. 누벨스타 시티에 정의의 용사가 나타난 것이다. (KBS판)
- 오프닝 내레이션( 키쿠치 마사미/ 구자형)

용자 시리즈의 4번째 작품. 1993년 1월 30일부터 1994년 1월 22일까지 방영되었다. 총 47화.

비디오 정발판에선 '용사특급 마이트가인'으로 번역됐으며 KBS2 방영 시엔 '용사특급'을 뺐다.[2]

2. 줄거리

크게 요약하자면 아버지의 유지를 잇기 위해 나선 재벌소년 센푸지 마이토의 정의의 히어로 실행기로, 주인공인 마이토는 천재에 노력가에 사장에 운도 좋아서 못하는 게 없다.

아버지로부터 막대한 재산과 대기업을 물려받은 센푸지는 아버지가 만든 용자 특급 계획에 따라 초AI를 지닌 로봇인 마이트가인과 함께 도시에서 발생하는 여러 범죄와 괴 사건들로부터 누벨 토키오 시티(누벨 스타 시티)[3]를 지키기 위해 싸워나간다.

그리고 이러한 싸움 과정에서 다이버즈 봄버즈 같은 동료들이 추가되고, 에이스 죠 같은 강적들도 나타난다. 다양한 범죄 조직들이 용자특급에게 도전하는 가운데 센푸지 마이토는 이들의 뒤에 거대한 악이 있다는 걸 깨닫게 된다.

3. 특징

마이트가인 제작 비화와 뒷이야기

열차를 소재로한 용자물로 주인공 용자인 가인부터 주역기체인 마이트가인 모두 열차로 구성되어 있고, 다른 조역 용자팀들도 비클합체모드가 전원 열차형태로 되어있다. 타 용자물들의 용자들이 다양한 탈것의 형태로 변하는것에 비해 아군메카의 컨셉이 열차라는 형태로 통일되어있는 경우는 마이트가인이 유일하다.
감독이 타카마츠 신지로 변경되면서 다양한 시도를 했고 그에 따라 그동안 존재했었던 트랜스포머의 느낌이 상당히 옅어지게 되었다.[4] 전작의 다간이 장엄한 판타지 같은 분위기였다면 마이트가인은 스타일리쉬한 현대물의 느낌을 강조했다. 이런 노선은 후속작인 용자경찰 제이데커에서 더욱 발전된 형태로 이어졌다.

메인 애니메이터로 투입된 오오바리 마사미 덕분에 로봇들의 합체 씬과 액션이 보다 세련되고 박력있게 연출되었고, 멋진 등장 대사를 읊는 히어로적인 연출, 숙명의 라이벌과의 사투, 히로인과의 연애 등의 요소가 대폭 부각되었다.

시리즈의 이전 작품과 달리 어린이의 비중이 낮고, 캐릭터 디자인도 이시다 아츠코의 미형 스타일로 바뀌었다. 그래서 아동 타겟이었던 초기 용자 시리즈에 비해 성인 시청자나 여성 시청자가 크게 늘었다. 타카마츠 신지 말로는 원래 기획 단계에선 주인공이 완전히 청년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타카라에서 "그림이 너무 오타쿠 같다." 라고 해서 좀 고치고 주인공의 연령 설정도 낮춘 게 이 정도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작중의 마이토의 묘사는 성인과 큰 차이가 없다.

전체적으로 과거 일본의 닛카츠 영화 시리즈의 영향을 받았다고 전해지며, 억만장자가 이중생활을 하며 평화를 지킨다는 설정은 배트맨의 영향을 받은 것 같다. 감독인 타가마츠 신지 말로는 썬더버드에서 모티브를 따왔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주인공의 비중이 매우 높고, 등장하는 로봇들의 역할은 상당히 적은 편이다. 각본가인 코야마 타카오의 영향으로 개그가 매우 많다. 다만 전작들과 달리 캐릭터들이 죽거나 심각한 부상을 입는 묘사가 꽤 자주 나온다.

주인공이나 용자들이 초자연적인 능력을 갖고 있지 않고, 용자들이 외계에서 왔다거나 지구의 초자연적인 존재가 아니라 그저 초AI를 가진 로봇들일 뿐이고, 기업에서 프로젝트와 설계를 통해 제작되어서[5] 부품과 에너지를 보급받으며 파괴되어도 수복되고, 외계나 타차원 등 초자연적인 존재가 아닌 오직 지구의 적들하고만 전투를 벌이는 전개를 보면 용자 시리즈 중 가장 현실성이 강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적들은 모두 인간으로 전작들에 비해선 너프(?)되었지만 그대신 적들의 수와 개성이 강화됐다. 작품의 악당들은 전작들처럼 단일 세력이 아니라 각자 자기만의 조직을 갖고 따로 움직이는데, 악당들을 살펴보면 세계정복을 노리는 매드 사이언티스트, 중국계 마피아, 여괴도, 시대착오의 일빠기질의 미국인, 현상금 헌터, 나르시스트 록가수 등 저마다 차별화된 컨셉을 지니고 있다.

게다가 전작들과는 달리 소년이 직접 용자 로봇에 탑승만 하는게 아니라 직접 조종한다는 설정[6]을 도입했다. 그렇기에 용자 로봇들보다 파일럿이라는 요소를 더 부각시켜 보다 능동적인 주인공상을 강조했다. 히로인도 여자아이에서 한 명의 여성으로 부각시켰다. 다만 주인공인 마이토를 대폭 띄워준 점 때문에 용자 로봇들의 비중과 활약상은 대폭 줄어들었다. 작품에 전투씬이 나올 때마다 마이토의 활약상이 부각되는데, 특히 조연 용자팀인 다이버즈와 봄버즈 개별 멤버들의 개성은 거의 없다시피하다. 게다가 조연 용자들의 합체 형태도 마이토가 조종하는 주역 메카에게 밀려서 작중에서 하는 일이라곤 소소한 지원 사격 정도나 마이토가 올 때까지 적 메카에게 두들겨 맞는 것 뿐이다.

주역 용자인 가인이라고 해도 개근출연한다는 것 빼면 비중이나 대접이 썩 좋지 않다. 전술적인 판단은 모두 마이토가 내리고 필살기 이름도 마이토가 다 외친다. 주역용자라서 그나마 낫다뿐이지 타 용자 시리즈의 주역용자와 비교하면 가인 역시 찬밥신세인 건 마찬가지.

용자특급대 로봇들은 일부를 제외하면 사람이 탑승이 가능한지의 여부는 나오지 않는다. 일단 마이트윙, 카이저특급을 제외하면 비클모드로 탑승하는 묘사는 나오지 않고 로봇모드에 탑승하는 것도 주역메카인 마이트가인, 세컨드 주역메카인 마이트카이저, 최종형태 그레이트 마이트가인밖에 없다. 용자 시리즈 전체를 통틀어봐도 조연용자들도 모두 비클모드에선 사람이 타고 내릴수 있는 설정이다. 그러나 이 작품에선 용자로봇들이 모두 센푸지 콘체른의 사유물이기 때문에 속은 조종실이나 객실 없이 변형만을 위한 파츠로만 꽉차있을 것으로 보인다.

4. 등장인물

4.1. 주인공 및 선역, 협력자

4.2. 악역

거대한 악
TR 사 블랙 느와르
에그제브
퍼플/ 그 외 수하
4인 볼프강
{{{#!folding [ 고용 ]
호이 코우 로우{{{#!folding [ 수하 ] 카트리느{{{#!folding [ 수하 ] 미후네{{{#!folding [ 수하 ]
기타

5. 설정

  • 시대적 배경은 석유자원이 고갈된 근미래[9]로 대부분의 교통 수단은 열차로 교체되었다. 전기는 계속 생산할 수 있어서 완전전철화가 이루어졌고 모든 도로도 노면전차화 했기 때문이다.[10] 그래서 총집편격인 에피소드에서 작중 방송에 출연한 패널들은 용자특급대가 열차에서 변형하는 이유가 열차로 변형하면 어디서 사건이 터지든 출동이 용이하기 때문에 그런 게 아니냐고 추측하기도 했다. 하지만 열차 이외에도 전기 자동차들도 종종 등장한다. 주 수단이 열차가 된 것은 아마 열차가 많은 사람들을 수송할 수 있는 특성상 개인용 자동차들을 운영할 에너지로 열차를 운용하는 게 더 효율적인 실태가 되어서 그렇다고 추측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석유를 연료로 하는 자동차들도 모두 없어진 것은 아닌데 당장 센푸지 가만 해도 마이토 전용의 고급 승용차가 있다.
  • 주인공인 센푸지 마이토가 소유한 대기업은 대대적인 석유파동을 예상한 마이토의 할아버지가 전세계에 철도를 깔아 떼돈을 번 센푸지 철도와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센푸지 유통그룹을 합쳐 만든 센푸지 콘체른(국내명 '마이트 그룹')인데, 마이토가 사업규모를 100배 이상 키워 세계최강의 물류기업이 됐다. 할아버지가 센푸지 콘체른 회장이고 마이토는 사장이지만 마이토 쪽이 실권자라는 듯한 묘사가 자주 나온다.

6. 메카

6.1. 용자특급대(용사특급부대)

용자특급대 설립 계획이나 등장하는 메카들은 전부 마이토의 아버지인 센푸지 아키라가 생전에 준비해둔 것이다. 일단 설정은 이런데, 마이토가 제작한 것도 많아보인다. 범버즈, 마이트카이저 등은 모두 마이토가 주체가 되어 제작했다. 일단 아키라가 계획 입안이나 컨셉 구성, 메카들의 기본 제작 등을 해놓고 마이토의 대에서 보완 및 구체화시켰다고 하면 말은 된다.
열차를 소재로한 용자물답게 전원이 열차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게 특징이다. 개별 메카가 열차가 아닌 다이버즈 조차도 비클합체모드는 여지없이 열차인지라 이처럼 메카의 컨셉이 통일된 경우는 전 용자물 대원들을 통틀어 용자특급대가 유일하다.

용자 시리즈/용자
용자 엑스카이저 태양의 용자 파이버드 전설의 용자 다간
카이저스 우주경비대 전설의 용자
용자특급 마이트가인 용자경찰 제이데커 황금용자 골드란
용자특급대 브레이브 폴리스 레젠드라의 용자
용자지령 다그온 용자성전 반간 용자왕 가오가이가
다그온 성용자 초록별
GGG

용자특급대
리더 레스큐 특급 애니멀 특급
단신 가인
마이트 윙
로코모라이저

카이저 드릴
카이저 1호~5호

마이트거너
파이어 다이버
폴리스 다이버
드릴 다이버
제트 다이버
라이온 봄버
다이노 봄버
버드 봄버
혼 봄버
합체 마이트가인
마이트카이저
가드 다이버 트라이 봄버

합체
그레이트 마이트가인
(+ 마이트거너)
배틀 봄버
최종 조인트 드래곤 파이어

6.2. 악역측 기체

6.3. 기타 로봇

파일:OcNHIpV.jpg
  • 가번먼트 독(Government Dog) 부대 로봇[13]
    본작에 등장하는 로봇. 경찰차를 연상시키며 2등신 같은 형태를 하고 있는 로봇으로 사람이 직접 조종하는지는 불명이다. 이름처럼 개처럼 생겼다. 악당들을 상대하거나 용자특급대와 행동을 함께 하기도 하지만 거대한 악이 보낸 로봇은 물론이고 단역 강도의 로봇에게도 당하는 야라레메카같은 모습을 보인다.생긴 건 꼭 델타트레인이다

파일:gRhsNKh.jpg
  • 정규군의 로봇
    본작에 등장하는 로봇으로 군부대에서 운용하며 정식명칭은 불명. 가브먼트 독 부대 로봇과는 달리 8등신의 형태를 하고 있다. 총을 무기로 사용하며 사람이 직접 조종하는 묘사가 있다. 훈련을 하거나 나라의 방위를 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아틀라스 맥스에게 당하거나 Υ(입실론)과 Χ(익스)에게 당하는 야라레메카같은 모습을 보인다.[14]
    여담이지만 외형이 과 닮았다. 포지션도 비슷하다[15]

7. 음악

7.1. 주제가

7.1.1. 일본판

엔딩곡이 용자 시리즈 유일하게 2개나 있다.
7.1.1.1. OP
OP
嵐の勇者(ヒーロー)
폭풍의 용자(히어로)
[16][17]
TV ver.
Full ver.
20th Anniversary Remake ver.[18]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오카 유즈루(岡 柚瑠)
난리 유카20주년 기념
작사 요코야마 타케시(横山 武)
작곡 카시와라 노부히코(樫原伸彦)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연출 타카마츠 신지
캐릭터 작화 이시다 아츠코
메카닉 작화 오오바리 마사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7.1.1.2. ED1
ED1 (1~26화)
危険なゴールド
위험한 골드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Marie Cochrane
작사 요코야마 타케시(横山 武)
작곡 마에다 카츠키(前田克樹)
편곡 츠루 요시오(鶴由 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엔딩 애니메이션 오구로 아키라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등장하는 적 캐릭터 5명을 트럼프카드에 빗대어 표현한 장면이 인상적.[19]
7.1.1.3. ED2
ED2 (27~46화)
Black diamond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PURPLE
작사 요코야마 타케시(横山 武)
작곡 카시와라 노부히코(樫原伸彦)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엔딩 애니메이션 오구로 아키라, 고토 케이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작중 등장하는 악역 록가수 퍼플의 보컬곡. 둘 다 악역들을 중심으로 한 엔딩이다.[20]

7.1.2. 한국판

7.1.2.1. 비디오판 OP
비디오판 OP
TV ver.
Full ver.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가사)
}}}}}}}}} ||
한국판 비디오 버전 오프닝. '용사특급'이라는 글자를 보아 1997년 말부터 출시한 비디오판으로 추정된다.
7.1.2.2. KBS2판 OP
KBS2판 OP
TV ver.
TULA ver.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가사)
}}}}}}}}} ||

한국판 KBS 방영 버전 오프닝. 이 때는 '마이트가인'으로만 나온다.

한국에 방영된 용자 시리즈 중 유일하게 원본 오프닝을 번안한 곡이다.[21]

7.2. 삽입곡

삽입곡
レッツ・マイトガイン!!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露湖藻雷蔵[22]
작사 요코야마 타케시(横山 武)
작곡 쿠도 타카시(工藤 隆)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삽입곡
グレート・ダッシュ!!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露湖藻雷蔵[23]
海蔵[24]
작사 요코야마 타케시(横山 武)
작곡 쿠도 타카시(工藤 隆)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삽입곡
IPPON CHA3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THE家元
작사 무라지 타카미츠(村治崇光)
작곡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삽입곡
SCANDAL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PURPLE
작사 요코야마 타케시(横山 武)
작곡 쇼지 타카시(小路 隆)
편곡 카시와라 노부히코(樫原伸彦)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7.3. OST

공식적으로는 2장의 OST 음반이 발매되었다. 각종 음원 사이트에서도 찾을 수 있다.
- The Brave Express Might Gaine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Vol. 1 (총 29곡 수록)
- The Brave Express Might Gaine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Vol. 2 (총 28곡 수록)

8. 회차 목록

<rowcolor=#212529,#e0e0e0>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슈로대[26]
<rowcolor=#212529,#e0e0e0> 캐릭터 메카닉
제1화[27] あれが噂のマイトガイン
저것이 소문의 마이트가인
코야마 타카오 아쿠노 테사키
(握乃手紗貴)
히시카와 나오키
(菱川直樹)
이시다 아츠코 야마네 마사히로 日: 1993.01.30.
韓: 2000.05.08.
V
제2화 吠えて発進! ボンバーズ
외치며 발진! 봄버즈
미나미 야스히로
(南 康宏)
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 日: 1993.02.06.
韓:
제3화 こいつは強い! 剣豪ロボ
이 녀석은 강하다! 검호 로봇
이시오도리 히로시
(石踊 宏)
히사유키 히로카즈 日: 1993.02.13.
韓: 미방영
제4화 緊急出動! ダイバーズ
긴급출동 다이버스!
키쿠치 카즈히토
(菊池一仁)
세키타 오사무 나오이 마사히로
(直井正博)
日: 1993.02.20.
韓:
제5화 大統領を守りぬけ!
대통령을 지켜라
와타나베 세이코
(渡辺誓子)
미나미 야스히로 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 日: 1993.02.27.
韓:
제6화[30] 登場! 宿命のライバル
등장! 숙명의 라이벌
스가 요시유키
(菅 良幸)
토미나가 츠네오 히시카와 나오키 이시다 아츠코 야마네 마사히로 日: 1993.03.06.
韓:
제7화[31] 悪魔の大文字焼き
악마의 대문자 태우기
우에타케 스미오
(植竹須美男)
스기시마 쿠니히사 타카야 히로토시 日: 1993.03.13.
韓:
제8화 納豆に手を出すな!
낫토에 손대지마라![32]
이노우에 토시키 이시오도리 히로시 나오이 마사히로 日: 1993.03.27.
韓:
V
제9화 恐怖のルーレット
공포의 룰렛
카와사키 히로유키 야타베 카츠요시 히사유키 히로카즈 日: 1993.04.03.
韓:
제10화 ミフネ大仏の御利益地獄
미후네 대불상의 공덕지옥
스가 요시유키 히시카와 나오키 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 日: 1993.04.10.
韓: 미방영
제11화[34] 紅の翼! 飛龍登場
붉은날개 비룡, 등장!
히라노 야스시
(平野靖士)
아쿠노 테사키 미나미 야스히로 이시다 아츠코 야마네 마사히로 日: 1993.04.17.
韓:
제12화 サロスの指輪
살로스의 반지[35]
카와사키 히로유키 스기시마 쿠니히사 나오이 마사히로 日: 1993.04.24.
韓:
제13화[36] 荒野の決闘
황야의 결투
우에타케 스미오 이시오도리 히로시 타카야 히로토시 日: 1993.05.01.
韓:
제14화 ボンバーズ夕闇に死す?!
봄버즈 석양에서 죽다?!
와타나베 세이코 키쿠치 카즈히토 세키타 오사무 히사유키 히로카즈 日: 1993.05.08.
韓:
V
제15화 最も危険な[ruby(遊戯, ruby=ゲーム)]
가장 위험한 게임
스가 요시유키 히시카와 나오키 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 日: 1993.05.15.
韓: 미방영
제16화[38] ブラックガイン
블랙가인
이노우에 토시키 스기시마 쿠니히사 이시다 아츠코 야마네 마사히로 日: 1993.05.22.
韓:
V
제17화 完成! バトルボンバー
완성! 배틀봄버
아미야 마사하루
(あみやまさはる)
아쿠노 테사키 미나미 야스히로 나오이 마사히로 日: 1993.05.29.
韓:
V
제18화 [ruby(永遠, ruby=とわ)]に美しく
영원히 아름답게[39]
우에타케 스미오 이시오도리 히로시 타카야 히로토시 日: 1993.06.05.
韓:
제19화 よみがえる戦国武将
되살아난 전국무장
카와사키 히로유키 키쿠치 카즈히토 세키타 오사무 히사유키 히로카즈 日: 1993.06.12.
韓: 미방영
제20화 うごめく巨大な悪の影
꿈틀대는 거대한 악의 그림자
코야마 타카오 히시카와 나오키 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 日: 1993.06.19.
韓:
제21화 勇者特急調査指令
용자특급조사지령
아미야 먀사하루 스기시마 쿠니히사 나오이 마사히로 日: 1993.06.26.
韓:
제22화[41] 美しき悪の華
아름다운 악의 꽃
와타나베 세이코 미나미 야스히로 이시다 아츠코 야마네 마사히로 日: 1993.07.03.
韓:
제23화 激突! 飛龍VSマイトガイン
격돌! 비룡VS마이트가인
스가 요시유키 키쿠치 카즈히토 히시카와 나오키 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 日: 1993.07.10.
韓:
V
제24화[43] マイトカイザー見参!
마이트카이저 등장
히다카 마사미츠 타카야 히로토시 日: 1993.07.17.
韓:
V
제25화 正義のハートは一万度
정의의 마음은 일만도
카와사키 히로유키 이시오도리 히로시 히사유키 히로카즈 日: 1993.07.24.
韓:
제26화 赤い霧の恐怖
붉은 안개의 공포
우에타케 스미오 스기시마 쿠니히사 테라오카 이와오 日: 1993.07.31.
韓:
제27화[44] 飛び立て! [ruby(G, ruby=グレート)]マイトガイン
날아올라라! 그레이트 마이트가인
아쿠노 테사키 미나미 야스히로 이시다 아츠코 야마네 마사히로 日: 1993.08.07.
韓:
V
제28화 ミフネの国盗りサミット
미후네의 국가 뺏기 정상회담
코야마 타카오
아사이 카오루
(浅井 薫)
히시카와 나오키 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 日: 1993.08.14.
韓:
제29화[46] 勇者の休日
용자의 휴일
아미야 마사하루 키쿠치 카즈히토 미나미 야스히로 타카야 히로토시 日: 1993.08.21.
韓:
제30화 戦え! 屋台ラーメン
싸워라! 포장마차 라면
스가 요시유키 스기시마 쿠니히사 테라오카 이와오 日: 1993.08.28.
韓: 미방영
제31화 友情の合体バトル
우정의 합체 배틀
이시오도리 히로시 히사유키 히로카즈 日: 1993.09.11.
韓:
제32화[47] 弾丸特急マイトガンナー
탄환특급 마이트건너
아미야 마사하루 히다카 마사미츠 이시다 아츠코 야마네 마사히로 日: 1993.09.25.
韓:
제33화 参上! 女ねずみ小僧?!
등장! 여자 괴도 서생원?!
타카하시 요시마사
(高橋義昌)
히시카와 나오키 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 日: 1993.10.02.
韓:
제34화 悪夢のオンエアー
악몽의 온에어
야마다 야스노리
(山田靖智)
키쿠치 카즈히토 미나미 야스히로 테라오카 이와오 日: 1993.10.09.
韓:
제35화[49] 決戦! 轟龍VSグレート
결전! 굉룡VS그레이트
스가 요시유키 스기시마 쿠니히사 타카야 히로토시 日: 1993.10.16.
韓:
제36화 巨大カボチャの襲来
거대 호박의 습격
호소이 요시미치
(細井能道)
이시오도리 히로시 히사유키 히로카즈 日: 1993.10.23.
韓:
제37화[50] 胡蝶の夢
호접지몽(나비의 꿈)
우에타케 스미오 야타베 카츠요시 히시카와 나오키 이시다 아츠코 - 日: 1993.11.06.
韓:
V
제38화 大江戸ランド独立宣言
대 에도랜드 독립선언
타카하시 요시마사 키쿠치 카즈히토 미나미 야스히로 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 日: 1993.11.13.
韓: 미방영
제39화 勇者の秘密に迫れ!
용자의 비밀을 밝혀라!
우에타케 스미오 아쿠노 테사키 테라오카 이와오 日: 1993.11.20.
韓:
제40화[52] 恐竜いただきます!
공룡 잘 먹겠습니다!
아미야 마사하루 스기시마 쿠니히사 타카야 히로토시 日: 1993.11.27.
韓:
제41화 黒い戦慄
검은 전율
스가 요시유키 히다카 마사미츠 히사유키 히로카즈 日: 1993.12.04.
韓:
제42화 炎の五体連結攻撃
불꽃의 오체연결공격
[스포일러]
우에타케 스미오 히시카와 나오키 테라오카 이와오 日: 1993.12.11.
韓:
제43화 悪魔の洗礼
악마의 세례
스가 요시유키 미나미 야스히로 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 日: 1993.12.18.
韓:
제44화 最後のクリスマス
최후의 크리스마스
코야마 타카오 스기시마 쿠니히사 타카야 히로토시 日: 1993.12.25.
韓:
제45화[55] 世界征服作戦
세계 정복작전
키쿠치 카즈히토 히시카와 나오키 오구로 아키라 日: 1994.01.08.
韓:
제46화 絶望からの脱出
절망으로부터의 탈출
히다카 마사미츠 테라오카 이와오 日: 1994.01.15.
韓:
제47화[56] 嵐を呼ぶ最終回
폭풍을 부르는 최종회
아쿠노 테사키 미나미 야스히로 히사유키 히로카즈
이시다 아츠코
- 日: 1994.01.22.
韓: 2000.07.17.

9. 에피소드 가이드

#1 vs 볼프강 in 디겔 5536
주요 등장인물 첫 등장
#2 vs 호이 코이 로우
파오즈
봄버스 첫등장
#3 vs 미후네
코지로 in 켄고
-
#4 vs 카트리느 in 하멜른
다이버즈 첫 등장
#5 vs 호이 코이 로우
쵸 렌바인(3기)
-
#6 vs 볼프강
에이스 죠 in 펀처 Cr17
에이스 죠 첫 등장
#7 vs 미후네
니치린 in 얏코
국내방영의 경우 일부 장면 삭제
#8 vs 카트리느 in 프로마쥬
-
#9 vs 호이 코이 로우
트레인봄
-
#10 vs 미후네
한조 in 닌자로복
-
#11 vs 볼프강 in 메가소닉8823
에이스 죠 in 비룡
비룡 첫 등장
#12 vs 카트리느
밀레느&밀리안
-
#13 vs 볼프강
에이스 죠 in 비룡
와일더 in 데스퍼이어
-
#14 vs 에이스 죠 in 비룡
트라이 봄버 리타이어
#15 vs 미후네
쿠로오비 in 공수도 로봇
혼 봄버 첫 등장
#16 vs 호이 코이 로우
블랙 가인
-
#17 vs 볼프강 in 슈타르크
봄버스 신 합체 첫 시전
#18 vs 카트리느 in 옥토퍼시
오드리 in 크루터
-
#19 vs 미후네
켄파쿠 in 아수라
-
20 총집편 겸 에그제브 첫 등장
#21 vs 에스제브
볼프강
이히&리베&디히 in 쿨민트3636
-
#22 vs 퍼플
호이 in 샤오마이(청)
진저루스 in 샤오마이(홍)
퍼플 첫 등장
#23~24 vs 볼프강
에이스 죠 in 비룡
이히&리베&디히 in 쿠랍페
마이트가인,리타이어[57]
#25 vs 퍼플
젠지 광동 in 랑랑&링링
-
#26~27 vs 볼프강
에이스 죠 in 굉룡
미후네
암풍 삼형제 in 시노비로보
마이트가인&비룡, 파워업 
#28 vs 미후네
토키지로 in 니오
-
#29 vs 카트리느 in 스노비
-
#30 vs 퍼플
이시바시 in 구아돈
-
#31 vs 퍼플
아파치형제 in 텔레케스터&트라토케스터
-
#32 vs 볼프강 in 드라이센 13145
유리우스
마이트건너, 첫 등장
#33 vs 카트리느 in 아르센
-
#34 vs 퍼플
리켄배커
퍼팩트 캐논 첫 시전
#35 vs 볼프강
에이스 죠 in 굉룡
[비고1] 
#36 vs 카트리느 in 펌프킨
[비고2]
#37 vs 미후네
한냐마루 in 한냐
[비고3]
#38 vs 미후네 in 쇼군로봇
-
#39 총집편(2)[61]
#40 vs 카트리느 in 플레시오네
국내방영은 일부장면 삭제(미후네부분)
#41 vs 에그제브
퍼플
스위트 데빌 in 아틀러스 mk2
블랙 느와르 첫 등장[62]
#42 vs 퍼플
란차이 in 진라이&라이징
조인트 드래곤 파이어 시전
#43~47 vs 블랙느와르
에그제브 in 임페리얼
퍼플 in 블랑카
제트&익스&입실론
최종결전[63]

10. 해외 공개

10.1. 대한민국

KBS 2TV 월~화요일 5:45 애니메이션
4차원 탐정 똘비 마이트가인 카우보이 파이블
KBS 2TV 수~목요일 5:45 애니메이션
버키와 투투 마이트가인 카우보이 파이블

대한민국에서는 KBS2에서 <마이트가인>이란 제목으로 2000년 3월 27일 ~ 7월 5일까지 오후 5시 45분마다 방영한 것을 첫 정식수입으로 아는 이들이 많으나, 사실은 완구업체인 손오공이 1997년 12월 1일에 <용사특급 마이트가인>이란 제목의 비디오 버전으로 먼저 판매한 게 시초다. 당시 KBS 영상사업단에 더빙 작업을 위탁해 비디오판을 만들었는데, 인지도가 워낙 낮았던지라 비디오판은 판매량이 좋지는 못했고 완구 판매실적 또한 부진했다. 그나마 계림출판사(현 계림북스)가 1998년에 '퍼즐애니북스' 레이블로 어린이용 그림책을 총 2권이나 내긴 했다. 당시 더빙 연출은 이재길 PD와 김웅종 PD. 번역은 윤경아.

성우진의 경우 주인공인 마이토(리키) 역할에 강수진, 히로인인 사리(샐리) 역에 송도영, 마이트가인 역할에 이규화, 집사 아오키 케이이치로(앨버트) 역에 김규식, 비서인 마츠바라 이즈미(켈리) 역에 배정미, 라이바루 죠(에이스 조) 역할에 구자형, 오자와 쇼이치로 형사(프랭크 스탤론 형사) 역에 김소형, 볼프강 박사 역에 김정호, 개발실장 역에 노민 등 참 화려한 캐스팅이었으나... 마이토(리키)와 가인, 아오키 케이이치로(앨버트)[64] 외에는 모두 중복 캐스팅이었다.[65] 게다가 음질 상태가 좋지 않고, 기본적으로 비중이 적어서 티가 잘 안났을 뿐, 조역 메카인 범버즈, 다이버즈의 성우도 일정하지 않았다. 이는 중복 캐스팅으로 인한 자문자답을 피하기 위해서였다.[66]

국내 용자 시리즈 최다 출연자인 강수진, 배정미, 한호웅이 모두 모인 작품이기도 하다.[67]

윤경아 번역가의 내공 덕에 번역 퀄이 괜찮은 편으로 볼프강 박사의 기체들의 독일어 이름들도 모두 제대로 나왔다. 등장인물들의 이름은 서양식으로 현지화했다.[68] 아마 이 작품 컨셉 자체가 서양 히어로물에 가깝기 때문인듯. 그외 작중 배경인 누벨 토키오 시티가 누벨 스타 시티로, 극 중 화폐단위인 '엔'도 '원'이 아닌 '달러'와 '센트'로 바뀌었다.

기술명은 일본어로 된 기술명을 제외하고는 번역하지 않았다. 당시 KBS가 기술명 번역을 밥먹듯이 했다는 점을 생각하면 의외.[69] 유일하게 필살기인 '동륜검(動輪劍)'은 예외적으로 한자어인 탓에 꼬마들이 이해가기가 어려워서 '회전 회오리 검'이라는 번안명을 사용했다.[70] 또한 이 검을 이용하는 기술인 '세로 일문자 베기'와, '정면 내려베기'의 경우 '필살 번개 가르기' 라는 명칭으로 통일되어 번역되었다.

그 외에도 그간의 용자물 번역에서 직역을 고수하던 로봇들의 기술 명칭도 조금 쉬운 단어를 쓰는 대신 영어를 사용하는 몇 안되는 작품 중의 하나다.[71]

주제가는 용자 시리즈 작품들이 국내에 방영될때는 주제가를 새로 만들었지만 일본판 오프닝과 똑같이 번안했다.[72] 그러나 오프닝 영상은 일본판 오프닝 영상을 대부분 쓰지 않고 1화를 비롯한 작중에서 나온 여러 장면들을 편집해서 넣었다. 국내판 오프닝에서 원판 오프닝의 장면이 쓰인 건 타이틀이 뜨기 전 마이토과 가인의 단독샷과 마지막 단체 샷 부분 뿐이다. 아무래도 원판 오프닝에서 트라이 봄버와 가드 다이버가 적 로봇의 흉부를 관통시켜 처치하는 장면과 마이토가 전기톱이 달린 로봇의 공격을 아슬아슬하게 피하는 장면 등이 폭력적이라고 판단해서 그런 듯.

일본 대중문화 개방이 완전히 이뤄지기 전에 들여왔기 때문에 왜색이 짙은 쇼군 미후네와 그 부하들 관련 관련 에피소드는 비디오로 나왔을 때부터 거의 대부분 삭제와 편집이 가해졌다. 그들의 비중이 너무나도 커서 부분 편집이 어려운 6편(3화, 10화, 15화, 19화, 28화, 38화)이 통째로 빠졌고, 그나마 조금 덜 나오는 7화 & 26화 & 37화에선 미후네의 직접적인 등장씬을 들어내고 부하들이 그를 언급하는 대사도 모두 수정해서 존재 자체가 사라졌다. 그리고 미후네 일당이 지나가는 식으로 나오는 39~40화에서 미후네 일당이 나오는 장면들이 편집됐으며, 후에 미후네는 죄수복을 입은 상태로 감옥을 탈옥해서 이리저리 돌아다니는 장면을 통해 한국어 더빙판 최초로 정식출연했다. 이름도 넬슨 장군이란 서양식으로 로컬라이징했다.[73] 이 장면에서 미후네는 일본식 복장이 아니었기 때문에 왜색문제가 없어 허가를 내준 것으로 보이며, 감옥에서 탈옥한 악당 중 하나로 대충 얼버무린 모양새다. 그래서 한국어 더빙판만 본 이들은 원판을 보기 전까진 미후네의 존재를 모른다. 특히 15화의 미방영으로 인해 용자특급대의 일원인 혼 범버는 16화에서 뜬금없이 등장한 용자가 되었다.

30화도 비디오 발매와 KBS 방영 당시 빠졌는데, 호이 코우 로우가 운영하는 라멘집을 왜색 요소라고 판단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편의 주요인물인 호이 코우 로우와 친저 루스는 중국인이고 라멘 또한 본래는 중국에서 기원된 음식( 일본식 중화 요리)이기 때문에 쇼군 미후네 에피소드만큼 심한 왜색이 있는 건 아니라서 좀 석연치 않은 부분이 있다. 차라리 짬뽕이나 중국식 고기국수 등으로 번안하고 방영했어도 무난한 에피소드였다.

비록 왜색 문제로 많은 화들이 방송되지 못했지만 일단 방송된 에피소드들은 왜색 부분을 제외하곤 한 화 내에서 자잘한 편집은 거의 없는 편으로 거의 온전히 방영되었다. 다만 이는 KBS 방영분 기준이고 비디오판은 1997년 당시의 심의가 워낙 괴악해서 한 화 내에서 잘린 장면이 꽤 많다. KBS가 방영한 2000년 당시에는 그나마 심의가 약간 관대해져서 녹음 원본을 그대로 방영할 수 있었던 것이다.

아무튼 왜색 문제로 빠진 에피소드를 빼고 총 40개의 에피소드가 한국에서 더빙 방영되었는데, 그중 35화와 41화는 유실되어서 볼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결론적으로 더빙판으로는 38개의 에피소드만 볼 수 있어서 한국에 정식 방영됐고 인터넷에 자료가 남아있는 용자 시리즈 중에서 가장 짧은 분량이다.

종영한 이후론 (한국에 방영되지 않은 용자 엑스카이저는 차치하고) 용자 시리즈 엘드란 시리즈를 통틀어 다간과 함께 지상파 방영 이후 케이블 TV 등에서 재방영이 되지 않았다.[74][75] 또한 주 2회 편성이 보통이었던 다른 지상파 만화영화와는 달리 주 4회(월~목) 방영이 이루어진 탓에 실질적인 KBS 방영 기간도 2달 정도로 다른 용자 시리즈와 달리 매우 짧은 편이었다. 그렇다 보니 한국에서는 KBS 방영 당시에는 흥행에 성공했으나 일본에서와는 달리 롱런하지는 못했다.

11. 평가

작품 자체의 평가는 용자 시리즈 중에서 높은 편이고 OST도 하나같이 완성도가 높다. 작품은 좋았다와 OST는 좋았다 2가지를 모두 잡은 셈. 합체 BGM은 역대 용자 시리즈 중에서 유일하게 보컬이 들어가 있는데 기존의 마이트가인 합체 BGM과 그레이트 마이트가인 합체 BGM 모두 보컬이 들어간다.

팬덤으로부터는 용자 시리즈 중 가장 건담 같은 시리즈라는 평을 받는다. 일단 제작사부터가 같은 제작사이고,[76] 다른 용자 시리즈와는 달리 처음부터 끝까지 인간 vs 인간의 구도를 띄며 사람이 탑승하는 유인메카가 등장함과 동시에 을 패러디한 메카도 등장한다. 게다가 부분적 디자인도 유사점이 있는데 마이트가인의 페이스 디자인은 사이살리스와 비슷하고[77] 마이트카이저의 페이스 가드에 건담의 전자기파 슬릿 같은 게 있으며 머리 디자인이 실루엣에 한해 건담 헤드와 유사하다. 게다가 주인공과 라이벌의 성우가 각자 건담 시리즈의 주인공 배역을 맡았다. 다만 기본 플롯이나 등장메카의 설정, 스토리 진행 면에선 차이점이 없잖아 있다.

용자지령 다그온과 함께 용자 시리즈를 통틀어 3+1 용자 등 조역 용자의 취급이 가장 나쁜 작품으로 유명하다.[78] 조역 용자가 피니시를 낸 경우는 작중에서 첫 등장한 에피소드밖에 없으며 봄버즈, 다이버즈의 합체하지 않은 조역 용자 개개인의 비중이 거의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라서[79] 한/일 모두 중복 캐스팅이 이뤄진 경우가 많다.

거기다 조연 용자들은 항상 먼저 출동하면 마이트가인이나 마이트카이저가 도착하기 전까지 털리는 역할... 등장할 때는 유독 자신들을 어필하는 편이나 당하는 빈도가 높아 모순적이다. 게다가 첫 등장 시에 한 대사가 '오랜만이다, 마이토.' 정도였다. 다른 용자 작품들은 조연 용자가 최소 한번은 메인이 되는 에피소드를 할당받는 데 반해 마이트가인은 그런 회차가 없다. 그나마 봄버즈는 팀 단위로 약간이나마 비중이 있긴 하지만 다이버즈는 합체했을 때를 제외하면 리더인 파이어 다이버마저도 비중이 낮은 편이다.

조연 용자 홀대는 제작진이 의도한 것인데, 제이데커 20주년을 기념한 감독의 인터뷰에 따르면 마이트가인을 히어로로 돋보이게 만들기 위해 일부러 비중 쏠림을 심하게 만들었다고 한다. 또한 한편으로는 이것의 단점도 확실하게 인지했기에 후속작인 용자경찰 제이데커를 제작할 때에는 반대로 조연 용자들의 비중을 상당히 높이려고 했다고 한다.

사실 조연 용자들뿐만 아니라 주역 용자인 가인 역시 타 시리즈의 주역 용자들과 비교하면 취급이 별로 좋지 않다. 당장에 거의 웬만한 주역 용자들은 인간 주인공과 첫만남 장면이 있는데, 가인은 그게 없다.[80] 때문에 용자경찰 제이데커 전설의 용사 다간 등에서 보여준, 용자와 인간 주인공 사이의 유대감 형성과 같은, 용자와 인간 주인공의 감정적인 교류에 대한 내용은 그렇게 비중이 크지 않다. 그 탓에 주역 용자가 미합체 상태로 1번이나마 사건을 완벽히 해결한 에피소드도 가인에겐 없다. 게다가 상술했듯이 마이토가 조종하는 기체하고 합체한 뒤엔 실질적인 전투는 콕핏에서 조종하는 마이토가 하고 가인은 마이토의 판단을 그대로 따르는 것 뿐, 즉 보조 역할이라서 전투 활약도 전부 마이토에게 뺏겼다. 게다가 그레이트 마이트가인 등장 후에는 타 시리즈에서 최종전을 제외하고 그레이트 합체 없이 해결하는 에피소드가 한 번씩은 있음에도 마이트가인은 그조차도 없다. 심지어 마이트가인으로 출전하면 봄버즈나 다이버즈에 비하면 그래도 잘 버티지만 결국 털리고마는 신세이다.

12. 인기

한국에서는 방영 기간이 짧고 KBS 방영 종료 후 다른 시리즈와는 달리 재방영도 이뤄지지 않아 다른 용자 시리즈에 비해 인기가 다소 덜했지만, 철도 문화가 발달한 일본에서는 용자 엑스카이저, 용자경찰 제이데커와 함께 높은 인기를 얻었던 용자 시리즈이다. 평균 시청률 4.6%로 제이데커에 이어 파이버드와 공동 2위였다.[81]

오죽하면 2005년 타카라에서 그레이트 마이트가인 퍼펙트모드( 마이트가인, 마이트카이저, 마이트건너)를 복각판 사양으로 재생산했을 정도이다. 현재도 외전 시리즈와 피규어, 초합금이 자주 발매되는 용자왕 가오가이가에 이어 두 번째로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에 참전한 용자 시리즈이며, 열차전대 토큐저, 신칸센변형로보 신카리온 등 기차를 모델로 한 로봇물이 나올 때에도 마이트가인이 회자되는 등 방영 후 20여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2ch스레에서도 많이 언급될 정도다.

13. 결말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최종 결전에서 이 마이트가인의 세계는 바로 3차원인에 의해 만들어진 가상의 세계였음이 밝혀진다. 마이토는 말 그대로 2차원에서 히어로라는 역할을 맡은 캐릭터였고, 블랙 느와르는 이 세계를 지배하며 게임을 플레이하던 플레이어였던 것.[82] 그러나 어디까지나 게임의 재미를 위해 추가해 두었던 아이템인 이노센트 웨이브에 힘을 잃은 끝에 마이트가인의 동륜검에 베여 소멸한다.[83][84]

이에 관해서 타카마츠 신지 감독은 블랙 느와르가 이 사실을 말하는 순간에 그 전체 장면을 셀화로 바꾸려는 전개도 생각했다고 한다.[85] 감독까지 이렇게 말하는 실정이니 빼도박도 못하는 공식설정 확정. 심지어 블랙 느와르의 이름의 정체가 타카마츠 감독의 필명이다.

타카마츠 말로는 처음부터 이런 내용으로 구상한 작품이며 "난 이 작품의 세계가 우리가 사는 지구라고 한 번도 말한 적이 없다." 라고 한다.

해피 엔딩이긴 하지만 이미 이 세계의 정체를 알게 된 시청자들로서는 조금 찝찝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사실 그 이전부터 마이트가인의 세계가 가상 세계임을 암시하는 복선은 꽤 존재했다. 예를 들면 로봇 개발 공장이 아오토[86]에 있다든가, 스케줄화한 파워업이라든가,[87] 연말 판매경쟁을 메타화한 에피소드(크리스마스 작전) 등이 포함되어 있다.[88]

또한 일부에서는 로코모라이저가 지구 어디든 3분 안에 도착한다든가, 마이트카이저가 지구 핵을 뚫고 나온다던가, 그레이트 마이트가인의 필살기는 엄청난 파워를 가진 주제에 민간에 피해를 안 입힌다는 말도 안 되는 사기적 설정 그 자체가 복선이라고 보기도 한다.[89] 그래서 2번 보고 "어?" 하는 시청자도 많다.[90]

일종의 메타픽션. 한국판에서는 차원을 1단계씩 올려서(3차원/4차원) 메타픽션성을 줄였다. 그래서인지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블랙 느와르가 '다른 차원에서 온 초월적인 존재'정도로 여겨졌다. 굳이 비유하면 다간의 최종 보스 오보스와 비슷한 스타일. 물론 스케일과 힘에서 오보스에 비할 바는 결코 못 된다. 어차피 일본판 기준으로도 블랙 느와르는 마지막에 개그로 망가진 트레저 왈자크를 제외한 역대 용자 시리즈의 최종 보스에 비해 포스가 딸린다...[91]

마이트가인의 결말부는 방영 당시로서는 로봇 애니메이션에서 거의 시도되지 않았던 스토리였고 지금도 찾아보기 힘든 사례로, 로봇 애니메이션 팬 사이에서 많이 회자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마이트가인은 용자 시리즈 중 유일하게 외계생명체가 일체 등장하지 않는 작품이 되었다. 국내 더빙판 기준으로도 본작의 최종 보스인 블랙 느와르는 우주가 아닌 4차원 세계에서 온 존재이므로 마이트가인은 한국판과 일본판을 막론하고 외계생명체가 일체 등장하지 않는 작품인 셈이다. 슈퍼로봇대전의 프로듀서 테라다는 그 시대에 저런 전개가 나왔다는 게 정말 대단하고, 우리는 저런 경지에는 도달할 수 없을 것이라고 고평가를 내렸다.

파일:attachment/marriage2.jpg

덤으로 마이토와 사리 커플의 결혼 사진은 애니메이션 셀이다.[92][93] 만약 본작이 디지털 애니메이션이 보편화된 21세기에 제작되었다면 마이토와 사리 커플의 결혼 사진이 애니메이션 셀이 아니라 컴퓨터 화면으로 묘사되었을지도 모른다.

더불어 이 작품이 특이한 것은 연호로 쇼와 125년을 쓰고 있다는 것이다. 원래 쇼와는 쇼와 64년(1989년)에서 끝이니까 그 이후로도 쇼와가 계속 쓰였다고 가정해서 쭉 계산해 보면 서력으로는 2050년 정도가 배경이며[94] 이에 따라 히로히토적어도 만 148세는 살았다는 이야기가 된다. 어차피 애니 속 세계니까 별 의미는 없지만 말이다. 하지만 어쩌면 이것이 마이트가인의 세계가 가상 공간이라는 것을 암시하는 복선이었을지도 모른다.

14. 미디어 믹스

14.1. 드라마 CD

작품의 엔딩 이후를 다룬 드라마CD가 존재한다. 제목은 폭풍을 부르는 허니문. 제목대로 마이토와 사리의 신혼여행이 주 내용. 그런고로 닭살돋는건 참아야한다. 가끔 이 세계가 2차원 내라는걸 풍자한 내용의 대사도 나오며, 그냥 평화롭게 끝나진 않고 이전에 쓰러트린 적들이 전부 집결해서 마이트가인과 한바탕 전투를 벌이기도 한다.

이 드라마 CD 결말에는 약간의 반전이 있으며, 전투신에서 마이트가인이 등장함으로 인해 로코모라이저도 수리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어떻게 된 일인지 그레이트 마이트가인이 등장한다! 결국 사랑의 진 당죽자르기 라는 약간 오글거리는 필살기로 피니시를 먹이게 된다.

그런데... 진짜 결말에는 두가지 복선이 있다. 하나는 그레이트 마이트가인 그 자체. 드릴특급이 다른 용자들을 제치고 이렇게 빨리 복구된 게 뭔가 이상하다. 다른 하나는 초반에 마이토가 사리와 염장질이야기하다가 마이트 윙의 조종간을 놓고 있어서 순간 기체가 흔들린 것. 분명히 마이트윙은 자동조종이었다. 이걸 도로 수동조종으로 복구하는건 비상식적인 일. 결론부터 말하면 드라마 CD의 내용은 전부 다 마이토의 꿈이었다.꿈을 꾼 시점은 마이트윙에 탄 상태였던 듯 하다. 아니나다를까 사리도 마이트윙이 자동조종으로 되어 있었다는 소릴 해서 복선을 회수한다.

게다가 용자왕 가오가이가 아마미 마모루가 여기에 특별출연한다!

14.2. 슈퍼로봇대전

공통적으로 슈로대진짜 게임이 맞으므로 게임 속 세계라는 설정은 절대 유지되지 않는다.

이전에는 차기 슈퍼로봇대전 참전 유력작으로 손꼽히기도 했었다. 오오바리 마사미가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마이트가인이 참전하면 컷인을 그려주겠다'라고 테라다 PD 앞에서 공언했으며, 이 발언 후에 발매된 슈퍼로봇대전 K에는 마이트가인을 암시하는 대사가 2개나 존재하고, 슈퍼로봇대전 L에서도 역시 마이트가인 떡밥 대사를 볼 수 있다. # 2012년 3월 23일 슈퍼로봇 초합금 발매 발표 또한 되었다. #

그리고 2017년 슈퍼로봇대전 V에서 참전이 확정됐다. 티저 PV에서 동륜검을, 1차 PV에서는 시그널 빔을 쓰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2차 PV에서는 동륜검 세로 일문자 베기를 선보였는데 완전히 원작을 빼다 박았다는 칭찬이 나오고 있다.

슈퍼로봇OG 라디오 우마스기 WAVE 527회(2017년 2월 7일자)에서 테라다 프로듀서가 밝힌 바에 따르면 본래 마이트가인의 슈퍼로봇대전 참전은 꽤 오래 전부터 결정된 사안이었다고 한다.[95] 다만 Z 시리즈가 끝나고 분위기를 끌어내는데 쓰기 위해서 Z 시리즈가 끝날 때까지는 내지 않았다고 밝혔다. 요약번역본(블로그)

작품 내 스토리 상에서는 같이 신규 참전하는 크로스 앙쥬 천사와 용의 윤무와 함께 중반/후반 스토리를 책임지며, 기동전사 건담 00 기동전함 나데시코, 무적초인 점보트3, 무적강인 다이탄3 등 골고루 접점이 있다. 블랙 느와르는 웬만한 다른 작품의 최종보스들조차 자신의 뜻대로 조종하는 정도로 격이 높은 악역으로 등장하며, 이노센트 웨이브도 별 차이 없이 나온다. 다만 블랙 느와르 본인은 원작과 똑같이 모든 것을 게임으로 여기나, 본작의 등장인물들은 이를 정면으로 반박하여 부정하고는 실제로는 더 발전했던 문명이 만든 관리 시스템이 폭주한 것으로 추정하는 등 원작의 메타픽션성은 완전히 부정됐다.

참전 기체 중 사용 가능 기체는 가인[96], 마이트 가인, 그레이트 마이트 가인, 가드 다이버, 트라이 봄버, 배틀 봄버, 비룡, 굉룡 및 적대 세력 기체가 다수 참가한다. 초 AI라는 걸 반영해서인지, 가인의 경우 마이트와 2명분의 정신기를 가지고 있고, 배정도 알차서 자주 쓰게 된다. 가드다이버는 본작 최고 수리 요원 중 한 명, 트라이 봄버는 원작 이벤트를 재현하고 배틀 봄버로 강화되지만 애정을 갖지 않으면 그저 그런 성능이다. 비룡[97], 굉룡은 적으로 나오다가 후반부에 아군으로 합류, 상당히 파격적인 콜라보도 있고[98], DVE까지[99] 존재한다.

다만 메인 테마인 폭풍의 히어로의 영문판 표기가 Hero of the storm이 되었다(...).

메카들의 작화는 오오바리 마사미가 작정하고 새로 그린만큼 어마어마한 퀄리티를 자랑하지만 등장인물들의 작화는 원작과 비슷한것 같으면서도 미묘하게 차이나는 편. 그나마 라이바루 죠 같은 성인 캐릭터들은 그럭저럭 원작과 비슷하지만 마이토나 사리 같은 미성년 캐릭터들은 작화가 둥글둥글해져서 원작에 비해 좀 어려 보이는 인상으로 나온다.

슈퍼로봇대전 X도 참전 결정. 1차 PV에서 추가된 건너 무장을 공개했으며, 슈퍼로봇대전 T에서는 용자왕 가오가이가와 동시참전이 확정되었다.

스토리 재현은 V가 가장 뛰어나며, 이런 저런 연출이 추가된 것은 T가 가장 뛰어나다.

슈퍼로봇대전 30에는 참전하지 않았지만, 열차 덕후인 신카리온의 기관사 하야토가 평행세계의 '열차 용자 로봇'을 언급하면서 마이트 가인을 암시했다.

15. 완구

기본 컨셉부터가 '기차'인 만큼 모든 제품은 연결 기믹이 존재하며, 전 제품을 연결하면 2m가 넘는다. 이를 극중에서 필살기로써 활용한 것이 조인트 드래곤 파이어이다.

해당 제품들은 손오공에서 타카라제를 정발해 국내 생산으로 찍었다. 파이버드, 골드란과 함께 악역 제품들마저 발매 되었던 용자 시리즈 중 하나.[100][101]

다만 국내 방영 기간이 짧아서인지 다른 용자 시리즈에 비해 국내에서 완구 생산이 상대적으로 적게 이루어졌으며, 그로 인해 현재 이 작품에 등장하는 완구 제품들의 프리미엄이 엄청나게 붙었다.[102]

특히 봄버즈 가드 다이버는 구하기가 극악으로 힘들기로 유명하다.[103] 반대로 마이트가인은 슈퍼로봇 초합금이 있어 변형을 포기한다면 이걸로 대체 가능하며, 2021년에 신금형(브랜드는 THE 합체)[104]으로 공개된 것이 있고 이게 2023년에 발매되었기 때문에 기존 DX 완구를 완벽하게 대체할 수 있게 된다.

마이트가인 완구 CF

링크를 통해 DX Full set를 구경할 수 있다.

링크를 통해 STD Full set를 구경할 수 있다.

16. 기타

  • 주요 등장인물들 이름은 쌍팔년도[105] 쇼와 30년대(1955년~1964년)를 풍미했던 닛카츠나 도에이의 각종 청춘영화(주로 '철새 시리즈'나 '긴자 마이트 가이[106] 시리즈' 등의 각종 시리즈물)의 출연자나 주변인물에서 따왔다. 제목 및 주역기인 '마이트가인'도 닛카츠의 스타였던 코바야시 아키라가 주연한 영화 '긴자 마이트가이 시리즈' 및 코바야시의 애칭인 마이트가이에서 따왔다.
    에이스의 죠의 경우, 시시도 조에서 따온 듯하다. 에이스의 죠라는 별명을 가진 배우는 시시도 조밖에 없다. 결정적으로 에이스 조의 아버지는 시시도 박사이다.
  • 마이트윙은 신칸센 400계 전동차인 야마가타 신칸센 츠바사를 모티브로, 가인은 신칸센 300계 전동차인 도카이도 신칸센 노조미를 모티브로 디자인되는 등,극중 등장하는 대부분의 기체는 JR 소속의 실존하는 열차를 모티브로 디자인되었다. 그러나 타카마츠 감독에 의하면 이 디자인들은 모두 JR의 승낙을 받지 않고 무단으로 디자인을 사용한 것이라고 한다. 당시에는 지금처럼 디자인 저작권에 대한 제대로 된 시스템이 갖추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현재는 실존하는 JR소속 열차를 모티브로 상품화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JR의 공식 라이센스 허가를 받아야 한다.[107]
  • 재단의 자금(의 일부)이 든 금고에 깔려서 마이트가인이 꼼작달싹못하는 에피소드에서 자본의 힘을 잘 알수있다.
  • 한 에피소드에서는 적들이 설치한(마이트가인을 불러낼때의 특수신호를 찾아 마이트가인의 파일럿을 찾아내 암살한다.) 함정에 대항하기 위해 공중전화로 마이트가인을 불러내는 임기응변을 보여주기도 한다. 우연히 이를 본 사리가 마이토를 막지 않았다면 마이토는 그 자리에서 상해당했을 것이다. 사리의 활약으로 마이토가 목숨을 건진 셈이다.
  • 5대의 주역로봇이 열차모드로 연결하여 시전하는 합체기인 조인트 드래곤 파이어라는 사기기술이 압권이다.(그 5대를 이루는 로봇으로 계산하면 총 18대.) 물론 타카마츠 감독의 3부작에 나오는 일회용 초필살기의 특성인지, 최종보스전에서는 사용 못했다. 물론 상황이 마이트가인 빼고 전부 다 황천길 건넌 상황이라 그런 것도 있지만.
  • 용자 시리즈 내에서도 유례없을 정도로 드릴을 장착한 기체가 많다. 대개 용자 시리즈에서 드릴 장착 기체는 한 작품 당 한 대가 나오는데[108][109]인데 이 작품은 무려 4대[110]가 드릴을 달고 있다. 이 점을 생각하면 에그제브의 유언이 사뭇 무게있게 들릴 부분이다.
  • 당시 메인 캐릭터 디자이너를 맡고 있던 이시다 아츠코[111] 오오바리 마사미의 결혼이 애니메이션 진행 도중 이루어졌고, 감독은 이를 축복하듯 마이트가인의 엔딩을 마이토와 사리의 결혼으로 종료했다. 그런데 시간이 흘러 이시다 아츠코와 오오바리 마사미는 이혼했다.
  • 각본가는 코야마 타카오가 치프라이터였지만, 그 외에도 스가 요시유키[112], 가와사키 히로유키[113] 등이 참가했고, 그 유명한 이노우에 토시키도 작 중 2편의 각본가로 참여했다. 이노우에의 경우 치프라이터인 코야마 타카오와의 인연 때문인 듯.
  • 이 작품의 주인공 역 성우, 히로인 역 성우, 라이벌 역 성우는 훗날 이 작품에 나란히 출연하게 된다. 다만 야지마 아키코가 맡았던 장양은 애니메이션으로 방영된 소녀대란에서만 나온 캐릭터였고 미도리카와 히카루가 맡은 좌자는 게임에서만 출연했고 애니에서는 미등장. 또한 히야마 노부유키와 야지마 아키코는 2012년에 백곰 카페라는 작품으로 다시 한번 같이 출연하게 된다. 이 작품에 출연한 성우들 중 히야마 노부유키와 미도리카와 히카루, 그리고 오키아유 료타로 세 성우는 데뷔 때부터 한 소속사에만 몸담아온 성우들이다.[114] 2022년 기준으로는 마이트가인에 출연한 성우들은 대부분 나이가 들면서 활동이 거의 없어졌고 은퇴한 성우나 고인이 된 성우도 몇몇 있다.[115] 요시나가 사리의 성우인 야지마 아키코도 노하라 신노스케 역을 하차한 이후로는 성우 활동이 거의 없고 센푸지 마이토의 성우인 히야마 노부유키는 지금도 성우 활동은 여전히 하고 있지만 작품 활동이 이전에 비하면 굉장히 드물어졌다. 그나마 라이바루 죠의 성우인 미도리카와 히카루와 가드 다이버나 진저 루스같은 역할을 맡았던 오키아유 료타로 정도만 지금까지 성우 활동이 왕성한 편이다.
  • 관용어, 속담, 사자성어, 다쟈레, 그리고 쇼군 미후네가 간혹 구사하는 중세 일본어와 쇼와 시대 작품들의 오마주로 인해 제대로 된 번역이 나오기 힘든 작품이다.
  • 보다시피 1993년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일본의 버블 경제가 완전히 끝난 시국에서 방영되었다.
  • 마이트가인 방영 30주년을 기념하여 블루레이 박스 발매가 결정되었으며, 이는 용자 시리즈로서는 두번째로 발매되는 블루레이 타이틀이다. 발매일은 BOX I이 2023년 1월 30일에 발매됐다.
  • 로봇 이름은 거의 전부 타카마츠 신지 감독이 지었다고 한다. 딱 1개만 아닌데 그레이트 마이트가인의 이름으로 제안한 "고저스 마이트가인"은 위에서 안 된다고 해서 그레이트로 바뀌었다고 한다.


[1] 주역, 선역이 이시다 아츠코, 악역이 오구로 아키라 디자인. [2] 오히려 작중에서 명칭으로 사용한다.(용사특급부대 등) [3] 도쿄 만 위에 지어진 가상의 도시. 한국판에서는 대서양 위에 지어졌다고 변경되었다(마이트가인 자체가 서양식으로 로컬라이징되었기 때문인 듯). [4] 그러나 메카들은 오히려 트랜스포머에 출현한 메카들이 상당한 비중으로 나오는 아이러니도 보이고 있다(…). 이후에 방영된 후속작 용자지령 다그온에서는 인간이 직접 용자가 되어 싸우기 때문에 트랜스포머 느낌이 마이트가인 때보다도 더욱 옅어졌다. [5] 센푸지 중공업이라는 공장에서 설계 및 제작된다. [6] 마이트가인의 일부를 이루는 가인은 자체 AI를 갖고 있지만, 마이트가인으로 합체 시 어디까지나 센푸지 마이토를 보조하는 역할에 그친다. [7] 본인이 요시나가(테일러)라는 성으로 불린 적은 없다. 다만 그녀의 아버지를 요시나가(테일러) 씨라고 부른 것으로 확인가능. [8] 누나인 요시나가 사리의 한국판 이름과 마찬가지다. [9] 방영 시점에선 거의 50년 뒤 미래 [10] 실제로 철도는 지구상의 모든 교통수단 중 가장 전동화가 빠르게 이루어진 교통수단이다. 1881년에 최초의 전동열차가 등장했고 1910년대부터는 증기기관차가 운행하던 기존의 간선철도에도 전기기관차가 운행을 개시하였다. 버스는 전기버스의 상용화 자체가 2010년대 후반부에 들어서야 이루어졌고, 그마저도 2023년 기준으로 기존의 천연가스버스는 물론, 디젤버스의 대체제가 아직도 되지 못하고 있다. [11] 다만, 블랙 가인은 제작자인 호이 코우 로우의 제작 때 삽질 때문에 아군이 되었지만 호이 코우 로우의 공작으로 적군화되었다가 도로 아군이 된 직후 파괴, 최종전 후에서는 복구되었다. 작품이 끝나버려서 그렇지 최종적으로는 아군인 셈. [12] 포지션은 세븐 체인저를 계승. [13] 직역하면 정부의 개(...) [14] 다만 이쪽은 블랙 느와르의 마의 오라를 받으면서 생긴 재생능력 탓이 크다. 당장에 이들보다도 강한 용자특급대도 재생능력 탓에 압도적으로 밀리다 못해 후퇴까지 했어야 했을 지경인데 하물며 이들이라고 제대로 상대가 가능했을 리가 없다. [15] 그럴만도 한 게 같은 제작사이기 때문. 단 스폰서 다르다. [16] 역대 용자 시리즈 오프닝 곡 중에서도 평가가 매우 높은 편이며 오프닝 곡을 부른 오카는 당시 아니메쥬 인터뷰에서 '히어로 애니메이션 특유의 독특한 가사(악이 멸망할 때까지 등) 때문에 처음엔 고생했다'고 한 바 있다. 또한 최종회에는 엔딩곡 대신에 오프닝곡의 2절이 사용되었다. 그 다음에 마이토와 사리의 결혼사진이 나오는 부분에서는 피아노 버젼도 짧게 나왔다. [17] 국내 방영판 OP인 '폭풍의 용사'는 이 곡을 번안한 곡으로 마이트가인, 그레이트 마이트가인 합체 BGM, ED로도 쓰였다. 참고로 국내 방영된 용자 시리즈 주제가 중 유일한 번안곡이며, 가사 역시 원곡의 내용이 거의 그대로 번안되었다. 다만 보컬이 여성에서 남성으로 바뀌었으며, 그 때문인지는 모르겠는데 곡 전체의 템포도 약간 느려졌고 반주도 뭔가 뽕삘(?)나게 변했다는 차이는 있다. [18] HARVEST 앨범 [19] 카트리느 비통은 조커, 쇼군 미후네는 잭, 볼프강 박사는 퀸, 호이 코우 로우는 킹, 라이바루 죠는 에이스. [20] 이 때문에 작중에서 퍼플의 공연 때 나오는 경우도 있다. [21] 툴라가 2021년 5월 30일 이 곡의 커버 영상을 올렸는데, 이 영상의 댓글에 답글로 2021년 6월 3일 방대식이 부른게 아니라고 확인하여 댓글을 달았다. [22] 사카이 노리오(坂井紀雄)의 필명. [23] 사카이 노리오(坂井紀雄)의 필명. [24] 타카오 나오키(高尾直樹)의 필명. [25] 테라오카 이와오는 후속작 제이데커에서는 실력이 쌓여서 인기 작화감독이다. [26] 일부라도 재현한 것 포함. 일본 슈로대 위키 참조 [27] 원화 엔도 아사미, 요시다 토오루, 고토 케이지. 오오바리 마사미 등. [1인원화] [1인원화] [30] 원화 엔도 아사미, 요시다 토오루, 이토지마 마사히코(糸島雅彦), 나카타니 세이이치, 니시다 아사코 등. [31] 원화 이와네 마사아키, 나카타니 세이이치, 니시다 아사코, 스즈키 타츠야, 스즈키 타쿠야. 타카야 히로토시 등. [32] 국내에서는 낫토가 짜장으로 로컬라이징 됐다. [1인원화] [34] 원화 요시다 토오루, 오오바리 마사미, 이토지마 마사히코, 엔도 아사미 등. [35] 정확한 이 에피소드의 답은 일식이다. [36] 원화 이와네 마사아키, 나카타니 세이이치, 니시다 아사코, 스즈키 타츠야, 스즈키 타쿠야. 타카야 히로토시 등. [1인원화] [38] 원화 오오바리 마사미, 이토지마 마사히코, 스즈키 타츠야, 엔도 아사미 등. [39] 링크된 영화의 일본 제목이다. 이 에피소드도 젊음의 약에 관한 에피소드. [1인원화] [41] 원화 이토지마 마사히코,, 요시다 토오루, 스즈키 타츠야, 엔도 아사미, 오구로 아키라 등. [1인원화] [43] 원화 이와네 마사아키, 나카타니 세이이치, 니시다 아사코, 스즈키 타쿠야, 타마가와 타츠후미, 우마코시 요시히코, 타카야 히로토시 등. [44] 원화 고토 케이지, 이토지마 마사히코, 이와네 마사아키, 요시다 토오루, 스즈키 타츠야, 엔도 아사미 등. [1인원화] [46] 원화 이와네 마사아키, 니시다 아사코, 나카타니 세이이치, 스즈키 타쿠야, 우마코시 요시히코, 타마가와 타츠후미, 타카야 히로토시 등. [47] 원화 이토지마 마사히코, 엔도 아사미, 이와네 마사아키, 스즈키 타츠야, 고토 케이지, 나카타니 세이이치 등. [1인원화] [49] 원화 이와네 마사아키, 니시다 아사코, 나카타니 세이이치, 스즈키 타쿠야, 우마코시 요시히코, 타마가와 타츠후미, 타카야 히로토시 등. [50] 원화 야마네 마사히로, 시노 마사노리, 오오바리 마사미, 이토지마 마사히코, 고토 케이지, 엔도 아사미, 스즈키 타츠야 등. [1인원화] [52] 원화 니시다 아사코, 스즈키 타쿠야, 나카타니 세이이치, 이와네 마사아키, 이카이 카즈유키, 우마코시 요시히코, 타마가와 타츠후미, 타카야 히로토시 등. [스포일러] 이 에피소드가 바로 마작(...)으로 합체 소실 광선을 쏘는 그 에피소드다. [1인원화] [55] 원화 니시다 아사코, 스즈키 타츠야, 나카타니 세이이치, 스즈키 타쿠야, 이와네 마사아키, 후카자와 마나부(深澤 学), 이카이 카즈유키, 시노 마사노리 등. [56] 원화 히사유키 히로카즈, 후카자와 마나부, 치바 미치노리, 이와네 마사아키, 야마네 리히로 등. [57] 구체적으로 합체기인 로코모라이저만 리타이어를 했다. 해당 에피소드에서 가인과 마이트윙은 중상을 입긴 했지만 심각하게 부상을 입은 게 아니었는지 24화에서 수리된채 활약을 하였다 [비고1] 국내 방영판 자료가 남아있지 않음 [비고2] 혼 범버와 마이트거너를 제외한 나머지 용자들의 기술 및 무기가 나온 몇 안되는 에피소드. [비고3] 미후네 에피소드 중 유일하게 국내방영. [61] 일부 장면 삭제로 방영시간이 한국판에선 가장 짧은 편이었다. [62] 단 국내 방영판 자료가 남아있지 않음 [63] ( 마이트가인제외)용자특급대&굉룡 대파되었는데 굉룡은 동귀어진했으며 가드 다이버는 아이를 구출하다가 파괴되고 배틀봄버는 마이토를 지키다가 마이트 거너는 전투 중 임페리얼에 의해 파괴, 마이트 카이저는 블랙 느와르의 본거지 돌입전 직전 파기 이후 파괴된 용자특급대가 다시 건조되는 모습이 나오며, 구석을 보면 블랙 가인도 같이 건조 중인 것이확인된다. 블랙가인에 관한건 항목 참조 [64] 13화에선 아오키가 등장하지 않았고, 당시 에피소드 배경이던 웨스턴 랜드의 보안관을 대신 맡았다. [65] 사실 이건 일본판도 마찬가지다. 주요 캐릭터와 일부 게스트를 제외하면 거의 중복. 1인 다역 참조. 물론 정도는 국내 방영판이 더 심하다. 특히 여자 성우는 단 2명이라는 열악한 상황을 보이기도 했다. [66] 다른 용자 시리즈도 마찬가지. [67] 용자 시리즈 문서 9.1번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강수진, 한호웅은 4개 작품에 출연해서 최다 출연, 배정미는 3개 작품에 출연해서 여성 성우 중 최다 출연. [68] 그래서 한국에서 방송된 용자 시리즈중 유일하게 등장인물 이름이 서양식으로 현지화한 작품이다. 물론 용자왕 가오가이가 TV판을 더빙할 때도 부분적으로 서양식 개명이 이루어지긴 했으나 이 쪽은 한국식 이름과 서양식 이름이 공존했기 때문에 완전히 서양식으로만 현지화된 용자 시리즈는 마이트가인이 유일하다. [69] 사실 기술명 번역은 당시로써는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기도 했다. 그 당시에는 기술명을 번역하지 않고 그대로 부르면 영어가 너무 많이 나와 아이들이 이해하기 어렵다며 부모들이 방송사에 항의하는 경우가 잦았기 때문. 특히 공영방송인 KBS에는 더욱 그 잣대가 심하게 가해졌다. [70] 이건 일종의 성우개그이기도 하다. 마이트가인 역할의 이규화 성우가 피구왕 통키에서 회전 회오리 슛으로 유명한 민대풍의 성우였기 때문. 당시는 아직 성우개그라는 게 흔하지 않던 시대임을 고려해보면 상당히 이례적인 사례이다. [71] 예시로 가드 다이버와 배틀 봄버의 하이드로 캐논과 배틀 버스트는 원본 명칭 그대로 나왔고, 다이버 디토네이터는 다이버 미사일, 배틀 봄버의 배틀 런처는 배틀 미사일로 번역되었다. [72] 음악 연주 방식이 조금 다르고 가사가 한국어 가사에 맞춰서 조금 변한 것 빼곤 똑같다. [73] 물론, 쇼군 미후네가 와패니즈 미국인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틀린 로컬라이징이라고 할 순 없지만... [74] 다그온은 재능TV에서 2006년에 재방영한 적이 있으며, 나머지는 투니버스에서 2000년, 2004년~2005년 무렵 재방영되었다. 엘드란 시리즈 역시 투니버스, 재능TV에서 재방영. [75] 그나마 다간은 완구라도 나중에 재판이 되었는데, 마이트가인은 완구도 전혀 재판되지 않아 품귀현상이 더욱 심하다. [76] 마침 로봇 디자이너도 똑같다. [77] 페이스가드 미적용시의 하관은 조종석에 해당하지만, 합체신을 뺀 작화로는 건담 시작 2호기와 닮았다. [78] 사실 다그온의 경우 취급이 나쁜 건 라이너팀에 한하고, 섀도우 다그온은 그래도 취급이 그렇게까지 나쁘지는 않다. 더군다나 라이너팀도 구성원 개인이 활약한 회차도 한 번씩은 있다. [79] 36화가 합체하지 않은 조역 전체가 활약해준 유일한 화이고, 이 중 혼 범버랑 마이트거너가 대접이 그나마 나았다. [80] 다그온은 다이도우지 엔을 포함한 5명이 브레이브 성인과 처음 만났다. [81] 한국에서 제일 인기가 많거나 유명했던 다간, 골드런은 일본에서는 각각 4.1%였다. [82] 아마 마이트가인이 2020년대에 방영되었더라면 메타버스 세계로 묘사되었을 것이다. [83] 다만, 오해하면 안되는 것이 차원적으로 아랫차원에다가 만들어지긴 했으나 단순히 게임이나 프로그래밍이 아닌 엄연한 세계로서 작동한다는 게 큰 차이점이다. 실제로 엔딩에서 나오는 네타바레 등이 있어도 블랙 느와르가 소멸한 뒤에도 아무런 문제없이 세계가 유지되며 앞으로 나아간다는 것에서 보여지듯 자연적인 '세상'으로서 완벽히 만들어졌으면 또 다른 하나의 우주인 것은 명백하다. 이 설정 때문에 알고보니 꿈 결말로 잘못 알려지는 경우도 있었다. [84] 블랙 느와르가 주인공인 시점에서 본다면, 따로 컨트롤 하지 않아도 성장하는 히어로 및 캐릭터들, 알아서 돌아가는 세상을 만들어놓고 방치했다가 질려서 전부 없애버리려고 했으나 성장한 히어로에 의해서 본인이 게임오버 된 것으로 보면 될 것이다. 게다가, 여태까지 자신을 게임의 플레이어라고 생각했던 블랙 느와르는 소멸 직전에 자신 또한 게임속 말에 불과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85] 쉽게 이야기를 하자면 현실의 컴퓨터 게임 플레이어가 게임 모니터 안에 있는 마이트가인을 바라보는 식의 장면으로 바꾸려고 했다는 말이다. [86] 용자특급 마이트가인 방영 당시 스폰서 타카라가 있었던 곳. [87] 그룹 총수인 마이토가 모르는 사이에 신형 로봇이 만들어진다. [88] 또 메인 히로인인 요시나가 사리와 똑 닮은 인물이 존재하는 것도 복선이라 볼 수 있다. 옛날 게임에서는 NPC를 색만 바꾸고 배치하는 경우가 흔했기 때문. [89] 사실 이런 설정 자체는 다른 용자 시리즈에서도 존재하는 설정으로, 용자지령 다그온에서는 이보다 더하다. 수십 번 박살나도 금방 복구되는 신비의 마을 그래서 용자왕 가오가이가에서 아무리 파괴 정도가 심해도 금방 복구가 가능한 카펜터즈가 등장한 거겠지만. [90] 하지만 메타화는 다른 용자 시리즈에도 있다. 특히 용자 엑스카이저 용자지령 다그온에서는 제작사인 선라이즈 이름을 대놓고 써먹었다. [91] 원판 설정에서는 현실세계인 3차원의 평범한 인간이므로 원판 기준으로는 더더욱 포스가 딸릴 수 밖에 없다...PD가 어설프게 개입하려다 실패한 것이니 [92] 타카라에서 제작한 비디오 게임 브레이브 사가에서도 마이트가인은 작중 세계에서 유명한 창작물 취급으로 게임 주인공 일행이 마이토에게 설명하기도 한다. [93] 또한 브레이브 사가에서는 원래대로면 2차원인 마이트가인의 세계관이 3차원인 다른 용자들의 세계관에 편입될 수 없지만 1, 2 모두 적 세력의 침공으로 차원의 통로가 생겨 마이트가인이 용자들에 합류할 수 있었다. [94] 그렇게 되면 역대 용자 시리즈 중 방영시기 기준으로 가장 먼 미래를 배경으로 한 셈이다. [95] 가오가이가가 처음 슈로대에 참전한 제2차 슈퍼로봇대전 알파 작업 당시 주인공 시시오 가이의 성우 히야마 노부유키에게 센푸지 마이토도 녹음 가능하냐고 물어봤었다고 한다. 당시 히야마는 가능하다고 대답했었고 10년이 지난 이후 V에서 마이토 연기를 하면서 약속을 지켰다. [96] 이벤트성 기체라 많아야 2화 정도 사용 가능하다. [97] 단 한 번 아군으로 쓸 수 있는데 적 버전과 능력치가 다르다. [98] 파일럿인 라이바루 죠의 옛 상사가 건담 더블오의 그라함 에이커라는 설정이다 [99] 단, 이 이벤트를 보려면 죠를 출격시켜야 한다. [100] 제이데커, 다그온, 가오가이가의 경우 애초부터 악역 완구가 없어서 논외, 다간의 경우 렛드가이스트 세븐 체인저가 있으나 렛드가이스트의 경우 제품에 스티커로만 부착해 판매되었고 세븐체인저의 경우 후반부부터 주인공 일행과 협력을 하니 좀 애매 [101] 이 외에도 일본처럼 격납고를 모형화한 ' 마이트스테이션'이라는 것도 정식으로 내놓았다.그리고 풀로 지르기를 은근히 강요 받았다. [102] 사실 2000년대 이후 인기가 떨어져가던 용자 시리즈를 재방영했던 것은 완구 재고 떨이의 성격이 강했다. 상대적으로 국내 인기가 미미했고 물량을 덜 찍어낸 마이트가인의 경우 굳이 재방영을 할 이유가 없었던 것. 영실업에서 발매했던 엘드란 시리즈도 2000년대 이후 투니버스 등에서 재방영을 한 적이 있다. [103] 비룡과 굉룡도 DX는 구하기 어려우나 원래 트랜스포머 로봇이라 원본으로 대신하면 됐지만, 최근에 비룡과 굉룡의 SMP 프라모델이 나와 봄버즈나 다이버즈보다는 구하기가 쉬워졌다. [104] DX와 마찬가지로 완전변형이 가능하다. [105] 사실 쌍팔년도라는 표현은 단기 4288년(=1955년)을 가리키는 것이므로 이 표현도 틀린 건 아니다. 어차피 지금 보면 1955년이나 1988년이나 다 옛날이지만. [106] 旋風児라 쓰고 마이트 가이라 읽는다. [107] 대표적으로 트랜스포머 마스터피스 합체(MPG)로 발매된 트레인봇이 해당한다. [108] 엑스카이저부터 골드란까지 항상 조연 용자 팀 중에서 드릴탱크로 변신하는 멤버가 있다 [109] 용자왕 가오가이가에선 인격을 지닌 용자들 중에서 드릴 탱크로 변신하는 용자는 없지만, 가오가이가의 합체 파츠 중에 드릴 탱크가 있다. [110] 드릴다이버, 마이트카이저를 구성하는 기체 두 대가 드릴 메카, 라이벌 기체인 굉룡. [111] 이시다 아츠코는 이후 용자경찰 제이데커의 캐릭터 디자인도 맡았다. 또한 함께 캐릭터 디자이너를 맡고 있던 오구로 아키라는 용자지령 다그온의 캐릭터 디자인을 맡았다. [112] 菅良幸, 슬램덩크의 시리즈 구성을 맡았으며 가면의 닌자 아카카게 애니판의 시리즈 구성을 맡았다. [113] 이 작품 외에도 용자 시리즈 다수의 작품에 메인 각본가/서브로 자주 참여했다.제이데커,골드란에서도 메인 각본가로 참여 [114] 히야마 노부유키는 아트비전 소속이고 미도리카와 히카루와 오키아유 료타로는 아오니 프로덕션 소속이다. 야지마 아키코 역시 바오밥 소속으로 데뷔한 이후 오랫동안 바오밥에 몸담아왔지만 2010년에 바오밥을 퇴사하였다. [115] 대표적으로 나이토 룬나 역을 맡은 혼다 치에코가 별세하기도 하였으며 2022년에는 쇼군 미후네 역을 맡은 야나다 키요유키가 세상을 떠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