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3 11:22:43

야목역

폐역 야목 - [ruby(빈정, ruby=1937~1944)] - 사리
야목역
파일:SBLine_icon.svg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Yamok
한자 野牧
간체자
가나 [ruby(野牧, ruby=ヤモク)]
주소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본오매송로 286 (야목리 763-1)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 KN 위탁 / 정왕그룹 소속)
( 수원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운영 기관
수인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수인선 1937년 8월 5일
~1995년 12월 31일
2020년 9월 12일(재개업)
수인·분당선 2020년 9월 12일
역사 구조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2면 5선 쌍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수인선
야 목
파일:야목역.jpg
야목역 역사

1. 개요2. 역 정보
2.1. 협궤철도 수인선 야목역2.2. 수인선(수인·분당선) 야목역
3. 일평균 이용객4. 승강장5. 역 주변 정보6. 연계 교통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협궤 수인선의 기억을 담은 빛나는 푸른 역사
야목역은 1937년 수인선 정류장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64년 7월 역원배치간이역으로 승격되었다가 1983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던 역으로 약 61.60㎡ 규모의 슬레이트 지붕을 가진 아담한 간이 역사였다. 잠시 폐쇄되기는 했었지만 곧 부활하여 이웃한 어천역처럼 수인선의 시작과 끝을 함께했던 역사이다. 비록 간이역이었지만 농산물을 팔러 인천으로 가는 손님들이 특히 많았던 역으로, 콩 자루, 보릿자루를 치마 속에 감춘 아낙네들과 차장의 실랑이가 종종 벌어지던 곳. 세월과 함께 역사는 사라진 지 오래되었지만 마을회관 앞 선로의 흔적이 주민들에게 옛 야목역 추억을 전해주었다. 새롭게 건설된 역사는 지상 2층의 철근콘크리트 구조 역사로, 아담한 규모이지만 초록 들판에 잘 어울리는 푸른 유리창으로 설계되어 야목이라는 지명이 가지는 분위기를 잘 표현하고 있는 점이 매력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K249번.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본오매송로 286 (야목리 763-1) 소재.

2. 역 정보

2.1. 협궤철도 수인선 야목역

이곳은 폐쇄된 교통 시설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수인선 (협궤철도)
수 원 방면
어 천

3.0 ㎞
야 목

4.2 ㎞
남인천 방면
사 리
1994년 9월 1일 부로 폐선된 수인선 전체 노선도는 수인선/폐역 목록에서 참조하십시오.

파일:야목역.png

1937년 8월 5일에 영업을 시작하였으나 광복 전에 폐지되었다. 1949년 7월 20일에 무배치간이역으로 부활하였고, 1964년 7월 27일에 배치간이역으로 승격하면서 소급화물까지 취급하기 시작했다. 1972년 7월 20일에 무배치간이역으로 떨어지고 1977년 5월 16일에는 수소화물취급까지 중지되었다.[1] 1996년 1월 1일에 수인선의 운행이 중단되면서 사실상 폐지되었다. 이 역과 사리역 중간에는 빈정역이 있었지만 이 역과 마찬가지로 광복 이전에 폐쇄되었다.

수인선의 운행이 중지된 후 터는 구획으로만 남고, 그 외의 흔적이 거의 남아있지 않았다. 측백나무 역목이 그나마 가시적인 증거였고 대매소로 추정되는 집 외에 승강장 터를 점유해서 여러 채의 집이 들어서면서 흔적이 사라지다시피 했기 때문. 풀숲에 선로 가닥이 묻혀 있는 정도였다가 2014년에 모조리 철거되고 선로 부지로 바뀌었다. 2016년에는 본오동~오목천동 지방도 확장 공사로 인해 야목역의 구 진입로도 사라졌다.

2.2. 수인선(수인·분당선) 야목역

파일:야목역 안내도.png
역 안내도 [[ |{{{#ffffff 크게 보기}}}]]
수인선 복선전철화에 따라 전철역으로 부활하였다. 구 야목역 위치와는 700m 가량 떨어져 있다.

어천역 방면으로 역이 이설되는 것 때문에 논란이 많았다. 2014년 5월에 밝혀진 바에 따르면 야목역은 지역 주민들의 의사를 무시하고 주공아파트 단지 앞의 원 위치에서 어천역으로 한참 가서 서해안고속도로 바로 옆에 짓는다고 한다. 그곳은 주변에 논밭 말고는 정말로 아무것도 없다. 게다가 이전되는 위치에는 연계가 가능한 버스 정류장이 전혀 없고 가장 가까운 정류장도 5분을 걸어야 나온다. 그것도 갓길을 걸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예정역 주변에 개통된 도로 주변은 중앙 분리대가 설치되어 있으나 그나마 있는게 교차로의 횡단보도이다. 지도 참고 설령 버스 정류장 위치 조정이 있다 하더라도 휴먼시아 아파트밖에 없는 야목리 쪽은 사람이 별로 없다는 점 때문에 버스가 자주 다니지 않는다. 야목역이 이렇게 위치를 옮긴 이유는 복선전철화를 하면서 옛 역 위치에 곡선이 생겨 역이 들어서기에 부적절해졌기 때문이라고 한다. 더군다나 현재는 도로와 철도로 가로막힌 빈정마을에서 기존 수인선선형대로의 건설을 반대해 더 멀리 돌아야 했다. 화성시에서 구 야목역 위치에 야목역을 건설해줄 것을 요구한 바 있는데, 철도공단에서 120억에 달하는 비용을 요구해 무산되었다. 관련 영상

그나마 여러 버스 노선이 만나는 야목교차로와도 멀리 떨어져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도 예정된 위치에 지어진다면 버스 환승 연계에 불편함이 따를 가능성이 있다. 어천역도 그렇지만 해당 구간이 재개발을 진행한다면 선견지명이 될 수도 있으나, 역세권으로 알려져있는 화성비봉공공주택지구도 해당역에서 2.5km 정도 떨어져 있어 역주변 개발이 이루어질 때까지는 다소 접근성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신설 야목역이 서해안고속도로와 붙어있고, 매송휴게소도 가까이 위치해 있는 점 등을 들어 강일역처럼 야목역에도 EX-HUB와 같은 광역환승센터를 계획한 것이 아니냐는 예상이 동호인들 사이에서 논해졌지만, 결국 아무것도 없었다.

어천역이 기초 공사가 끝나고 교각과 1층 바닥, 역사 기둥 공사까지 완료되었던 것과 달리 야목역의 역사는 2017년까지 전혀 지어지지 않았다. 과거에는 푸른들판로와 평면 교차되던 야목 건널목은 고가로 건설되므로 노반이 3층 건물 높이로 매우 높다. 2018년 1월 어천역과 야목역 사이의 노반은 50% 이상 터다짐/높임 작업이 완료되었고, 2019년 7월 노선은 거의 다 된 것으로 보이는데, 골조는 다 올라간 어천역과 함께 역사 완공은 멀었던 상태였다. 2019년 12월~2020년 1월 현재 역사 완공이 거의 다 되었고 스크린도어도 설치가 완료되었다.

야목리 주민들이 소음이 날 것을 우려하며 고색역처럼 지하화를 요구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미 공사가 진행된 상태라 지상화로 되었고 해당 구간은 방음벽을 설치하는 것으로 해결할 예정이다. 철도공단에서 효창공원앞역처럼 아예 역사 안 지어버린다고 초강수를 뒀다고... #

한국철도공사가 관리하는 지상역임에도 불구하고 달대식 역명판이 아닌 지하역에 사용되는 부착식 역명판을 사용한다. 이는 사리역, 어천역도 마찬가지이며, 한대앞역 ~ 송도역 구간도 달대식 역명판이 철거되고 있다.

역 건물에 붙어 있는 또 다른 역명판에는 Yamok이 아닌 Ya-mok으로 되어 있다. "Yam-ok"으로 읽히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 보이는데, 어차피 한국어에서 '야목'과 '얌옥'은 발음이 [야목]으로 동일하므로 이 경우에 하이픈을 넣는 건 전혀 의미가 없다. 현행 로마자 표기법에서 하이픈을 넣는 게 허용되는 경우는 발음상 혼동의 우려가 있을 때인데, 이 경우는 발음상 혼동이 없으므로 하이픈을 넣을 수 있는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어 보자면, ' 길음'도 '기름'도 그냥 Gireum으로 표기한다. '야목'에만 하이픈을 넣을 이유가 없다는 말이다.

역사 내에 자판기는 있지만 쓰레기통이 없다.

3.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abe00><bgcolor=#fabe00> 연도 || 파일:SBLine_icon.svg ||<bgcolor=#fabe00> 비고 ||
2020년 328명 [2]
2021년 420명
2022년 615명
2023년 677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배차간격이 길고, 야목리 자체도 발전이 덜 되어 있는데 그 야목리의 중심지와도 상당히 떨어져 있어 이용객은 손에 꼽을 수준으로 적게 측정되고 있다. 같은 노선에 달월역이라는 공기수송의 끝판왕이 있기에 망정이지, 타 노선이였으면 노선 내 최저 이용객을 기록해도 이상하지 않은 수치.[3]
  • 1번 출구 근방에 서해안고속도로 매송휴게소가 있으며, 좀 더 가면 매송면의 몇 없는 아파트인 매송휴먼시아가 있다. 하지만 매송휴먼시아에서도 도보로 10~15분 정도 떨어져 있어 접근성은 떨어지는 편이다. 1번 출구 반대편은 출구도 없으며, 그냥 논과 밭밖에 없다.
  • 역 앞 인근의 버스 연계도 부실한 편이며, 배차 간격이 들쑥날쑥한 편이다. 게다가 야목역 서측으로 약 10분 도보로 야목리 정류장에서 이용을 해야 하는 점이 가장 이용객 수가 저조한 점도 한몫을 하고 있다.
  • 2025년 인천(송도)발 KTX의 개통과 동시에 주변 택지지구로 개발예정인 옆의 어천역은 이용객 수가 대폭 증가될 것으로 보이지만, 야목역의 경우 야목역 남서측에서 약 2km 떨어진 비봉면에 건설 중인 비봉택지지구가 생긴다면 이 역의 이용객이 소폭이나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4. 승강장

파일:야목역 승강장.jp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승강장
어천
3 1 2 4
사리
1·3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원· 서현· 청량리 방면
2·4 한대앞· 정왕· 인천 방면

5. 역 주변 정보

역 바로 동쪽에는 서해안고속도로가 지난다. 역에서 보이는 고가차도가 바로 그것이며, 고가 북쪽에 서해안고속도로 매송휴게소가 있고 남쪽에 비봉IC가 있다.

역 근처에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건설한 9개 동의 매송휴먼시아 아파트가 있다. 문제는 이 아파트 말고는 주변에 아무런 개발이 되어 있지 않다는 것으로, 지금은 사실상 농촌이다. 다만 야목역 주변이 제1종 주거지역으로 지정된 것으로 보아 역세권이라는 이점을 이용하여 다음 역인 어천역과 비슷하게 소규모로 개발이 진행될 예정이긴 하다. 그리고 현재 역의 남쪽 2km 정도 거리의 비봉면에 12,500 세대 4만명 가량이 입주 예정인 비봉택지지구가 개발되는 중으로 이 지역에서 어느 정도의 수요가 창출될 것으로 보인다. 비봉면에는 예정된 철도도 없어, 그나마 가장 가까운 역이 이 역이기 때문이다.

이 역에 정차할때 유독 거름냄새가 심하다. 이는 근처에 논밭과 돼지 축사가 있기 때문. 근방에 위치한 매송휴게소(서울 방면)도 똑같은 문제점이 있다. 마스크를 써도 냄새가 들어올 정도. 또 여름 밤 무렵에는 역 전체에 날벌레 떼가 들끓는다.

6. 연계 교통

야목역 정류장별 정차 버스
분류명을 클릭하면 세부 내용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2021년 1월 21일 기준 자료로, 노선이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파일:Bus_Stop_Yellow.png {{{#!folding 본오매송로 정류장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파일:Bus_Stop_Yellow.png 야목역 (37-872)
파일:Bus_Stop_Yellow.png 야목역 (37-872)
}}}}}} ||
파일:Bus_Stop_Yellow.png {{{#!folding 매송로 정류장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파일:Bus_Stop_Yellow.png 야목역 (37-292)
파일:Bus_Stop_Yellow.png 야목역 (37-614)
}}}}}} ||

7. 둘러보기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abe00>
}}} ※ 볼드는 급행열차 정차역 (고색 ~ 죽전 구간)
이텔릭체는 급행열차 정차역 (인천 ~ 오이도 구간)}}}}}}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수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폐역
}}}}}}}}}

파일:화성시 CI.svg 화성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철도 운영중 파일:SRT BI.svg 동탄 ·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동탄 · 파일:Seoulmetro1_icon.svg 병점 · 파일:SBLine_icon.svg 어천 · 야목
공사중 파일:KTX BI.svg 어천 · 동탄 도시철도 · 서해선 · 신안산선 · 동탄인덕원선
도로 고속도로 경부 · 수도권제2순환 · 오산화성 · 평택파주 · 서해안 · 평택시흥
국도 1 · 39 · 43 · 77 · 82
지방도 23 · 82 · 83 · 301 · 302 · 305 · 306 · 309 · 310 · 311 · 313 · 314 · 315 · 317 · 318 · 322
버스 향남환승터미널 · - 서신터미널-
화성시의 버스 목록 · 화성시의 마을버스
항공 - 경기남부 통합 국제공항-
}}}}}}}}} ||
경기도의 교통


[1] 철도청고시 제10호 [2] 개통일인 9월 12일부터 12월 31일까지 11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3] 게다가 달월역은 인근 버스노선과 연계도 되지 않은 반면, 야목역은 버스노선과의 연계가 소수라도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