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2 18:58:52

뇌약아

십육국춘추(十六國春秋)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f8c4c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999,#666666
1권 「전조록일(前趙錄一)」 2권 「전조록이(前趙錄二)」 3권 「전조록삼(前趙錄三)」 4권 「전조록사(前趙錄四)」
유연 · 유화 유총 유총 유총 · 유찬
5권 「전조록오(前趙錄五)」 6권 「전조록육(前趙錄六)」 7권 「전조록칠(前趙錄七)」 8권 「전조록팔(前趙錄八)」
유요 유요 유요 유선 · 유성 · 유익 · 유윤
9권 「전조록구(前趙錄九)」 10권 「전조록십(前趙錄十)」 11권 「후조록일(後趙錄一)」 12권 「후조록이(後趙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석륵 석륵
13권 「후조록삼(後趙錄三)」 14권 「후조록사(後趙錄四)」 15권 「후조록오(後趙錄五)」 16권 「후조록육(後趙錄六)」
석륵 석홍 석호 석호
17권 「후조록칠(後趙錄七)」 18권 「후조록팔(後趙錄八)」 19권 「후조록구(後趙錄九)」 20권 「후조록십(後趙錄十)」
석호 석세 · 석준 · 석감(鑒) 석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1권 「후조록십일(後趙錄十一)」 22권 「후조록십이(後趙錄十二)」 23권 「전연록일(前燕錄一)」 24권 「전연록이(前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외 모용황
25권 「전연록삼(前燕錄三)」 26권 「전연록사(前燕錄四)」 27권 「전연록오(前燕錄五)」 28권 「전연록육(前燕錄六)」
모용황 모용준 모용준 모용위
29권 「전연록칠(前燕錄七)」 30권 「전연록팔(前燕錄八)」 31권 「전연록구(前燕錄九)」 32권 「전연록십(前燕錄十)」
모용위 토욕혼· 모용한· 모용인· 모용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3권 「전진록일(前秦錄一)」 34권 「전진록이(前秦錄二)」 35권 「전진록삼(前秦錄三)」 36권 「전진록사(前秦錄四)」
부홍 부건 부생 부견
37권 「전진록오(前秦錄五)」 38권 「전진록육(前秦錄六)」 39권 「전진록칠(前秦錄七)」 40권 「전진록팔(前秦錄八)」
부견 부견 부비 부등
41권 「전진록구(前秦錄九)」 42권 「전진록십(前秦錄十)」 43권 「후연록일(後燕錄一)」 44권 「후연록이(後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수 모용수
45권 「후연록삼(後燕錄三)」 46권 「후연록사(後燕錄四)」 47권 「후연록오(後燕錄五)」 48권 「후연록육(後燕錄六)」
모용수 모용보 모용성 모용희
49권 「후연록칠(後燕錄七)」 50권 「후연록팔(後燕錄八)」 51권 「후연록구(後燕錄九)」 52권 「후연록십(後燕錄十)」
모용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3권 「후진록일(後秦錄一)」 54권 「후진록이(後秦錄二)」 55권 「후진록삼(後秦錄三)」 56권 「후진록사(後秦錄四)」
요익중 요양 요장 요흥
57권 「후진록오(後秦錄五)」 58권 「후진록육(後秦錄六)」 59권 「후진록칠(後秦錄七)」 60권 「후진록팔(後秦錄八)」
요흥 요흥 요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61권 「후진록구(後秦錄九)」 62권 「후진록십(後秦錄十)」 63권 「남연록일(南燕錄一)」 64권 「남연록이(南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덕 모용초
65권 「남연록삼(南燕錄三)」 66권 「하록일(夏錄一)」 67권 「하록이(夏錄二)」 68권 「하록삼(夏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혁련발발 혁련창 혁련정
69권 「하록사(夏錄四)」 70권 「전량록일(前涼錄一)」 71권 「전량록이(前涼錄二)」 72권 「전량록삼(前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궤 장실 장준
73권 「전량록사(前涼錄四)」 74권 「전량록오(前涼錄五)」 75권 「전량록육(前涼錄六)」 76권 「촉록일(蜀錄一)」
장중화 · 장령요 · 장조 장현정 · 장천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특
77권 「촉록이(蜀錄二)」 78권 「촉록삼(蜀錄三)」 79권 「촉록사(蜀錄四)」 80권 「촉록오(蜀錄五)」
이류 · 이웅 이반 · 이기 · 이수 · 이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81권 「후량록일(後涼錄一)」 82권 「후량록이(後涼錄二)」 83권 「후량록삼(後涼錄三)」 84권 「후량록사(後涼錄四)」
여광 여소 · 여찬 여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85권 「서진록일(西秦錄一)」 86권 「서진록이(西秦錄二)」 87권 「서진록삼(西秦錄三)」 88권 「남량록일(南涼錄一)」
걸복국인 · 걸복건귀 걸복치반 · 걸복모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
89권 「남량록이(南涼錄二)」 90권 「남량록삼(南涼錄三)」 91권 「서량록일(西涼錄一)」 92권 「서량록이(西涼錄二)」
독발녹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고 이흠
93권 「서량록삼(西涼錄三)」 94권 「북량록일(北涼錄一)」 95권 「북량록이(北涼錄二)」 96권 「북량록삼(北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저거몽손 저거무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97권 「북량록사(北涼錄四)」 98권 「북연록일(北燕錄一)」 99권 「북연록이(北燕錄二)」 100권 「북연록삼(北燕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풍발 풍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11><tablebgcolor=#a11>
※ 흠정 24사 관련 틀 둘러보기
||
}}}}}}}}}}}}}}} ||

1. 개요2. 생애

1. 개요

雷弱兒
(? ~ 355)

전진의 인물. 자는 불명. 진주(秦州) 남안군(南安郡) 일대에 존재하던 강족 세력 추장 중 한 명.

2. 생애

영화 6년(350년) 정월, 본래 포홍을 따르던 뇌약아는 포홍이 대장군, 대선우, 삼진왕(三秦王)을 자칭하자 보국장군에 임명되었다.

황시 원년(351년) 정월, 독살당한 부홍의 후사를 이은 세자 부건이 관중(關中) 일대를 장악하고, 천왕(天王), 대선우로 즉위하여 국호를 '대진(大秦)'이라 하면서 전진을 건국하였다. 이때 뇌약아는 태위에 제수받았다.

황시 2년(352년) 8월, 태위에서 대사마로 옮겨졌다. 호시탐탐 북벌할 기회만 노리던 동진의 중군장군 은호는 몰래 뇌약아와 우장사 양안(梁安)에게 사람을 보내 경명제 부건을 암살하면 관우(關右) 일대의 통치권을 인정해주겠다 하였는데, 뇌약아는 이를 짐짓 승낙하면서 동진군이 오면 부건을 죽이고 호응할 것을 약속하였다.

황시 3년(353년) 10월, 전진의 사공 장우(張遇)가 반란을 일으키고 낙양을 지키던 보국장군 부황미가 성을 버린 채 도망쳤다는 보고를 접한 은호는 뇌약아 등이 계획에 성공한 것이라 생각하고, 수춘(壽春)에서 70,000 대군을 일으켜 낙양으로 진격하였다. 하지만 도중에 선봉에 섰던 강족 요양이 반란을 일으켜 은호의 본대를 공격하였고, 은호는 산상(山桑)에서 대패하여 물러났다. 은호와 요양의 대립으로써 전진은 어부지리를 취하게 되었는데, 이는 모두 뇌약아의 계략이었다고 한다.

황시 4년(354년) 4월, 동진의 대사마 환온이 북벌하여 도성인 장안까지 파죽지세로 밀고 올라오자, 뇌약아는 태자 부장(苻萇)과 함께 정예병 30,000명으로 장안성 남쪽에서 환온을 막았다.

황시 4년(354년) 6월, 환온이 북벌에 실패하고 돌아가자, 뇌약아는 환온을 막은 공로가 있어 승상으로 승진하였다.

황시 5년(355년) 6월, 병에 걸려 위독해진 경명제 부건은 뇌약아 등을 불러 태자 부생을 보정해달라는 유조(遺詔)를 내리고 얼마 안 지나서 붕어하였다. 성품이 강직했던 뇌약아는 상서좌복야 조소(趙韶), 상서우복야 동영이 황제 부생의 총애를 등에 업고 간사한 짓을 일삼으며 정치를 어지럽히는 것을 보고, 조회에 참석할 때마다 모두의 앞에서 그들의 행동을 지적하였고 항상 이를 갈 정도로 혐오하였다.

수광 원년(355년) 12월, 결국 조소와 동영이 황제 부생에게 뇌약아를 참소하였고, 부생은 그들의 말을 믿어 뇌약아와 그 아들 9명, 손자 27명을 붙잡아 주살하였다. 전진이 세울 때 많은 공적을 세웠던 개국공신이자, 신망 높은 강족의 추장인 뇌약아가 억울하게 살해당하니, 여러 강족 부락들이 전진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