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0 16:19:57

에릭 클랩튼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order-radius: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3, #333 20%, #333 80%, #33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0;"

Eric Clapto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fdd47 {{{#!folding [ Studio Albums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bordercolor=#333><tablewidth=100%>
Eric Clapton
1970
461 Ocean Boulevard
1974
There's One in Every Crowd
1975
No Reason to Cry
1976
Slowhand
1974
Backless
1978
Another Ticket
1981
Money and Cigarettes
1983
Behind the Sun
1985
August
1986
Journeyman
1989
From the Cradle
1994
Pilgrim
1998
Reptile
2001
Me and Mr. Johnson
2004
Sessions for Robert J
2004
Back Home
2005
Clapton
2010
Old Sock
2013
I Still Do
2016
Happy Xmas
2018
}}}}}}}}}}}}
{{{#!folding [ Live Albums ]
{{{#!folding [ Compilations ]
{{{#!folding [ Other Albums ]
{{{#!folding [ 관련 문서 ]
}}}}}} ||
에릭 클랩튼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에릭 클랩튼의 소속사 및 소속 밴드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BC9B7, #DBC9B7 40%, #DBC9B7 60%, #DBC9B7)"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border-radius:5px;"

{{{-2 {{{#!folding [ 전 멤버 ]

{{{#!wiki style="margin: 0 -5px -0px;
{{{#000,#000 {{{#!folding [ Discography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
Five Live Yardbirds
1964
For Your Love
1965
Having a Rave Up with the Yardbirds
1965
Roger the Engineer
1966
Little Games
1967
Birdland
2003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e55401"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border-radius:5px;"



{{{#!wiki style="margin: 0 -5px -0px;
{{{#fdfc4c,#fdfc4c {{{#!folding [ Discography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
Fresh Cream
1966
Disraeli Gears
1967
Wheels of Fire
1968
Goodbye
1969
}}}}}}}}}}}}
}}}}}} ||

파일:60A75BDB-8256-489B-8722-937C21CFB7A3.png

리프리스 레코드
Reprise Records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설립자 & 초대 회장
프랭크 시나트라
소속 아티스트
The B-52's 린지 버킹햄 마이클 부블레 에릭 클랩튼
데프톤즈 디스터브드 엔야 그린 데이
제임스 이하 마스토돈 마이 케미컬 로맨스 스티비 닉스
닐 영 이디나 멘젤 제라드 웨이 제쓰로 툴 }}}}}}}}}

에릭 클랩튼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
파일:로큰롤 명예의 전당 로고.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에릭 클랩튼은 이 외에도 크림과 야드버즈 소속으로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2회 더 헌액되어, 현재까지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3중으로 헌액된 유일한 아티스트이다.
이름 에릭 클랩튼
ERIC CLAPTON
헌액 부문 공연자 (Performers)
멤버 (개인자격)
입성 연도 2000년
후보자격 연도 1996년
후보선정 연도 2000년 }}}}}}}}}

파일:songwriters-hall-of-fame-logo_770_441_90_s.jpg 작곡가 명예의 전당 헌액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름 에릭 클랩튼
ERIC CLAPTON
입성 연도 2001년 출처 참조 }}}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자
'''[[틀: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자(1959년~1979년)|Grammy Award for Album of the Year]]'''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rowcolor=#b69858>1959 1960 1961 1962 1963
파일:9244AA12-F255-4473-8983-FA613A1EFCFF.png
파일:57071BDE-1685-4AA2-AA9E-B69265972863.png
파일:AA15CD8B-CAFA-40CA-B64C-FD1140CCE825.png
파일:JudyatCarnegie.jpg
파일:6D012683-772F-44D6-85AD-03AC3E0CB830.png
The Music from Peter Gunn Come Dance with Me! The Button-Down Mind of Bob Newhart Judy at Carnegie Hall The First Family
헨리 맨시니 프랭크 시나트라 밥 뉴하트 주디 갈란드 본 미더
<rowcolor=#b69858>1964 1965 1966 1967 1968
파일:F9623F9B-84B8-4B90-8466-C817D35FCDD6.png
파일:27B3464A-2836-4A0C-B7EE-552C5F683F30.png
파일:894E335B-4E83-4E15-80A3-BE97687175D0.png
파일:667660D7-D3A2-478B-A801-2C27B83FB3BB.png
파일:external/d817ypd61vbww.cloudfront.net/SgtPepper.jpg
The Barbra Streisand Album Getz/Gilberto September of My Years A Man and His Music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스탄 게츠 & 주앙 지우베르투 프랭크 시나트라 비틀즈
<rowcolor=#b69858>1969 1970 1971 1972 1973
파일:41D850D5-B136-4253-B1B6-6CB46CAE48AB.png
파일:E0B931D1-FDBD-44D0-9471-A910FCD3FAAA.png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A1HtYRZSbwL._SL1500_.jpg
파일:DC9591B4-2E92-4302-AFAB-BB8A9CE38D29.png
파일:4FA70B7B-815B-4A44-B16D-D7BA176D9476.png
By the Time I Get to Phoenix Blood, Sweat & Tears Bridge Over Troubled Water Tapestry The Concert for Bangladesh
글렌 캠벨 블러드 스웻 앤 티어스 사이먼 앤 가펑클 캐롤 킹 조지 해리슨과 친구들
<rowcolor=#b69858>1974 1975 1976 1977 1978
파일:E06E9024-0DAA-460A-932F-4C70F0621EC0.png
파일:C499C3F9-FE3F-47CA-9D94-A33CBA0D82F1.png
파일:FDE7D172-223A-456E-A861-82FF10E0D336.png
파일:external/wordsformusic.files.wordpress.com/148776_700x700min_1.jpg
Innervisions Fulfillingness' First Finale Still Crazy After All These Year Songs in the Key of Life Rumours
스티비 원더 폴 사이먼 스티비 원더 플리트우드 맥
<rowcolor=#b69858>1979
파일:Saturday Night Fever.jpg
Saturday Night Fever: The Original Movie Sound Track
비 지스 & VA
''
''
''''
''''
}}}}}}}}}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자
'''[[틀: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자(1980년~1999년)|Grammy Award for Album of the Year]]'''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rowcolor=#b69858>1980 1981 1982 1983 1984
파일:81oaJzaPW3L._SY355_.jpg
파일:A4180BF9-C356-43D4-AE5E-C515E9927CF0.png
파일:external/imaginepeace.com/doublefantasy.jpg
파일:toto iv.jpg
파일:Michael Jackson Thriller.jpg
52nd Street Christopher Cross Double Fantasy Toto IV Thriller
빌리 조엘 크리스토퍼 크로스 존 레논 & 오노 요코 토토 마이클 잭슨
<rowcolor=#b69858>1985 1986 1987 1988 1989
파일:45E44654-9CA4-4B5F-AD3B-F597ED98D9E9.png
파일:33BD2E7E-F407-4DCC-B29C-445466D96D15.png
파일:A1CBFCEE-BD23-4489-BE0D-BCC993C3AA5A.png
파일:U2 5집.jpg
파일:Faith cover.jpg
Can't Slow Down No Jacket Required Graceland The Joshua Tree Faith
라이오넬 리치 필 콜린스 폴 사이먼 U2 조지 마이클
<rowcolor=#b69858>1990 1991 1992 1993 1994
파일:EB17CFD7-E7B9-475F-BA56-6E165CA67ECE.png
파일:8DAD396F-C810-4272-8E6A-57B710FADE25.png
파일:9F7ED88D-1CC6-4AC4-A91C-8D15C2E845FF.png
파일:AD70BF4C-8FD4-4A48-A21F-B9E067FFD967.png
파일:The Bodyguard Soundtrack.jpg
Nick of Time Back on the Block Unforgettable... with Love Unplugged The Bodyguard OST
보니 레잇 퀸시 존스 & VA 나탈리 콜 에릭 클랩튼 휘트니 휴스턴 & VA
<rowcolor=#b69858>1995 1996 1997 1998 1999
파일:28F09689-FF26-4BB1-9530-E997863C6EC9.png
파일:81UsU658UVL._SL1425_.jpg
파일:CB48ABDF-3DD5-41CA-BCA9-00BA55351129.png
파일:531A5E74-8685-40EF-A3F4-8DFE19CC5A26.png
파일:images fjxjwk.jpg
MTV Unplugged Jagged Little Pill Falling into You Time Out of Mind The Miseducation of Lauryn Hill
토니 베넷 앨라니스 모리셋 셀린 디옹 밥 딜런 로린 힐
''''
''''
''''
}}}}}}}}}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노래상 수상자
'''[[틀: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노래상 수상자(1980년~1999년)|Grammy Award for Song of the Year]]'''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rowcolor=#b69858>1980 1981 1982 1983 1984
파일:KakaoTalk_20210507_143427646_16.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43427646_15.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43427646_14.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43427646_13.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43427646_12.jpg
What a Fool Believes Sailing Bette Davis Eyes Always on My Mind Every Breath You Take
Minute by Minute Christopher Cross Mistaken Identity Always on My Mind Synchronicity
케니 로긴스 & 더 두비 브라더스 : 마이클 맥도널드 크리스토퍼 크로스 ( 킴 칸스) ( 윌리 넬슨) 더 폴리스 : 스팅
<rowcolor=#b69858>1985 1986 1987 1988 1989
파일:KakaoTalk_20210507_143427646_11.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43427646_10.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43427646_09.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43427646_08.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45003332.jpg
What's Love Got to Do with It We Are the World That's What Friends Are For Somewhere Out There Don't Worry, Be Happy
Private Dancer We Are the World Friends An American Tail Soundtrack Simple Pleasures
테리 브리튼 & 그레이엄 라일
( 티나 터너)
USA for Africa : 마이클 잭슨 & 라이오넬 리치 ( 디온 워윅) ( 린다 론스태드 & 제임스 잉그램) 바비 맥퍼린
<rowcolor=#b69858>1990 1991 1992 1993 1994
파일:KakaoTalk_20210507_143427646_07.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43427646_06.jpg
파일:9F7ED88D-1CC6-4AC4-A91C-8D15C2E845FF.png
파일:에릭_클랩튼_-_Tears_in_Heaven.jpg
파일:a whole new world.jpg
Wind Beneath My Wings From a Distance Unforgettable Tears in Heaven A Whole New World
Beaches Soundtrack Some People's Lives Unforgettable... with Love Unplugged Aladdin Soundtrack
( 베트 미들러) ( 나탈리 콜 With 냇 킹 콜) 에릭 클랩튼 앨런 멩컨 & 팀 라이스
(피보 브라이슨 & 레지나 벨)
<rowcolor=#b69858>1995 1996 1997 1998 1999
파일:KakaoTalk_20210507_143427646_04.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43427646_06ㅇㄹㄴㅇ.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43427646_02.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43427646_01.jpg
파일:MyHeartWillGoOnsingle.png
Streets of Philadelphia Kiss from a Rose Change the World Sunny Came Home My Heart Will Go On
Philadelphia Soundtrack Seal Phenomenon Soundtrack A Few Small Repairs Titanic Soundtrack
브루스 스프링스틴 ( 에릭 클랩튼) 션 콜빈 제임스 호너 & 윌 제닝스
( 셀린 디옹)
''''
''''
''''
}}}}}}}}}

역대 그래미 시상식[1]
파일:external/www.brooklynvegan.com/grammy.jpg
올해의 레코드상
제34회
( 1992년)
제35회
( 1993년)
제36회
( 1994년)
Unforgettable - 나탈리 콜(Feat. 냇 킹 콜) Tears In Heaven - 에릭 클랩튼 I Will Always Love You - 휘트니 휴스턴
제38회
( 1996년)
제39회
( 1997년)
제40회
( 1999년)
Kiss from a Rose - Change the World - 에릭 클랩튼 Sunny Came Home - 숀 콜빈
올해의 노래상
제34회
( 1992년)
제35회
( 1993년)
제36회
( 1994년)
"Unforgettable" - 어빙 고든 "Tears in Heaven"
-
에릭 클랩튼, 윌 제닝스
" A Whole New World"
-
앨런 멩컨, 팀 라이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롤링 스톤이 2023년 250대 기타리스트를 선정한 순위다. 실제 현역 기타리스트들과 평론가들이 뽑은 순위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지미 헨드릭스 척 베리 지미 페이지 에디 밴 헤일런 제프 벡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시스터 로제타 사프 나일 로저스 비비 킹 조니 미첼 듀언 올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카를로스 산타나 지미 노렌 토니 아이오미 프린스 키스 리처즈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로버트 존슨 메이벨 카터 톰 모렐로 프레디 킹 스티비 레이 본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랜디 로즈 앨버트 킹 커크 해밋 & 제임스 헷필드 제임스 버튼 존 프루시안테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세인트 빈센트 버디 가이 데이비드 길모어 에디 헤이즐 닐 영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조지 해리슨 잭 화이트 브라이언 메이 제리 가르시아 에릭 클랩튼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엘리자베스 코튼 피트 타운젠드 앵거스 영 & 말콤 영 쳇 앳킨스 존 페히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보 디들리 버논 레이드 조니 그린우드 & 에드 오브라이언 조니 라몬 스티브 크루퍼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프랭크 자파 디 에지 커티스 메이필드 PJ 하비 엘모어 제임스
51위부터는 링크 참조.
}}}}}}}}} ||
같이 보기: 롤링 스톤 선정 100대 기타리스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롤링 스톤이 2015년 100대 기타리스트를 선정한 순위다. 실제 현역 기타리스트들과 평론가들이 뽑은 순위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지미 헨드릭스 에릭 클랩튼 지미 페이지 키스 리처즈 제프 벡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비비 킹 척 베리 에디 밴 헤일런 듀언 올맨 피트 타운젠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조지 해리슨 스티비 레이 본 앨버트 킹 데이비드 길모어 프레디 킹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데릭 트럭스 닐 영 레스 폴 제임스 버턴 카를로스 산타나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쳇 앳킨스 프랭크 자파 버디 가이 앵거스 영 토니 아이오미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브라이언 메이 보 디들리 조니 라몬 스코티 모어 엘모어 제임스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라이 쿠더 빌리 기븐스 프린스 커티스 메이필드 존 리 후커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랜디 로즈 믹 테일러 디 에지 스티브 크로퍼 톰 모렐로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믹 론슨 마이크 블룸필드 휴버트 서믈린 마크 노플러 링크 레이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제리 가르시아 스티븐 스틸스 조니 그린우드 머디 워터스 리치 블랙모어
51위부터는 문서 참조.
}}}}}}}}} ||
같이 보기: 최신 버전,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

롤링 스톤 선정 100대 아티스트
55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기타 회사 깁슨에서 2010년 발표한 "50 Greatest Guitarists of All Time"의 순위이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지미 헨드릭스 지미 페이지 키스 리처즈 에릭 클랩튼 척 베리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제프 벡 에디 밴 헤일런 쳇 앳킨스 로버트 존슨 피트 타운젠드
11위부터는 링크 참조.
}}}}}}}}} ||

{{{#!wiki style="margin: 0 -10px"
{{{#000,#fff {{{#!folding [ 1위 – 125위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1px"
※ 2019년 빌보드에서 빌보드 창간 125년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를 공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과 앨범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롤링 스톤스 엘튼 존 머라이어 캐리 마돈나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마이클 잭슨 테일러 스위프트 스티비 원더 시카고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휘트니 휴스턴 폴 매카트니 엘비스 프레슬리 자넷 잭슨 로드 스튜어트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드레이크 프린스 리아나 빌리 조엘 가스 브룩스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허브 앨퍼트 에미넴 어셔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닐 다이아몬드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슈프림즈 이글스 비 지스 비치 보이스 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산타나 템테이션스 셀린 디옹 아레사 프랭클린 홀 앤 오츠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아델 비욘세 에릭 클랩튼 라이오넬 리치 레드 제플린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브루노 마스 존 덴버 마룬 5 올리비아 뉴튼 존 본 조비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필 콜린스 다이애나 로스 밥 딜런 존 멜렌캠프 JAY-Z
<rowcolor=#fff>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도나 서머 니켈백 보이즈 투 멘 카펜터즈 저스틴 비버
<rowcolor=#fff>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레이디 가가 포리너 브리트니 스피어스 핑크 앨리샤 키스
<rowcolor=#fff>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케이티 페리 마일리 사이러스 잭슨 파이브 어스 윈드 앤 파이어 마빈 게이
<rowcolor=#fff>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U2 린다 론스태드 밴 헤일런 밥 시거 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블랙 아이드 피스 넬리 캐롤 킹 저스틴 팀버레이크 몽키즈
<rowcolor=#fff>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케니 로저스 하트 팀 맥그로 배리 매닐로 R. 켈리
<rowcolor=#fff>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저니 사이먼 앤 가펑클 마이클 볼튼 에드 시런 켈리 클락슨
<rowcolor=#fff>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핑크 플로이드 메리 제이 블라이즈 카니예 웨스트 쓰리 도그 나이트
<rowcolor=#fff>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코모도스 폴라 압둘 브라이언 아담스 크리스 브라운 건즈 앤 로지스
<rowcolor=#fff>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데프 레파드 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 린킨 파크 제임스 테일러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rowcolor=#fff> 101위 102위 103위 104위 105위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폴 사이먼 백스트리트 보이즈 릴 웨인 캐리 언더우드
<rowcolor=#fff> 106위 107위 108위 109위 110위
앤디 윌리엄스 스틱스 조지 마이클 셰어 TLC
<rowcolor=#fff> 111위 112위 113위 114위 115위
샤니아 트웨인 두비 브라더스 포 시즌스 피터 폴 앤 메리 케니 체스니
<rowcolor=#fff> 116위 117위 118위 119위 120위
데스티니스 차일드 50 센트 레이 찰스 제네시스 더 폴리스
<rowcolor=#fff> 121위 122위 123위 124위 125위
래스컬 플래츠 루다크리스 글로리아 에스테판 조지 해리슨 앨런 잭슨
출처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1위 – 10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5px"
※ 2015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2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앨범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앨범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롤링 스톤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가스 브룩스 엘튼 존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머라이어 캐리 허브 앨퍼트 테일러 스위프트 시카고 마이클 잭슨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레드 제플린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로드 스튜어트 에미넴 휘트니 휴스턴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빌리 조엘 마돈나 산타나 이글스 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밥 딜런 스티비 원더 셀린 디옹 에릭 클랩튼 닐 다이아몬드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존 덴버 핑크 플로이드 자넷 잭슨 프린스 캐롤 킹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마일리 사이러스 니켈백 팀 맥그로 밴 헤일런 비치 보이스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U2 아델 엘비스 프레슬리 브리트니 스피어스 어셔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템테이션스 린킨 파크 JAY-Z 앨런 잭슨 본 조비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건즈 앤 로지스 샤니아 트웨인 캐리 언더우드 몽키즈 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제임스 테일러 슈프림즈 앨리샤 키스 메탈리카 데프 레파드
<rowcolor=#fff>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폴 매카트니 린다 론스태드 저니 메리 제이 블라이즈 제쓰로 툴
<rowcolor=#fff>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래스컬 플래츠 포리너 존 멜렌캠프 사이먼 앤 가펑클 케니 체스니
<rowcolor=#fff>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키드 락 앤디 윌리엄스 조지 스트레이트 백스트리트 보이즈 마이클 볼튼
<rowcolor=#fff>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피터 폴 앤 메리 라이오넬 리치 아레사 프랭클린 요세프/캣 스티븐스 밥 시거
<rowcolor=#fff>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AC/DC 비욘세 펄 잼 토비 키스 더 후
<rowcolor=#fff>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폴 사이먼 무디 블루스 저스틴 비버 노라 존스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rowcolor=#fff>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넬리 두비 브라더스 핑크 조쉬 그로반 닐 영
<rowcolor=#fff>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프랭크 시나트라 그린 데이 더 칙스 어스 윈드 앤 파이어 하트
<rowcolor=#fff>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레이디 가가 R. 켈리 보이즈 투 멘 케니 지 비 지스
출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99년 배철수의 음악캠프에서 전문가 81명/청취자 1,556명에게 투표를 실시하여 Top 10 선정.
※ 전문가 81명↓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엘비스 프레슬리 마이클 잭슨 레드 제플린 핑크 플로이드
6위 7위 8위 9위 10위
엘튼 존 밥 딜런 롤링 스톤스 에릭 클랩튼 마돈나
※ 청취자 1,556명↓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엘비스 프레슬리 마이클 잭슨 너바나
6위 7위 8위 9위 10위
레드 제플린 에릭 클랩튼 마돈나 ABBA 핑크 플로이드
※ 전문가 + 청취자 종합↓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엘비스 프레슬리 마이클 잭슨 레드 제플린 너바나
6위 7위 8위 9위 10위
핑크 플로이드 마돈나 에릭 클랩튼 밥 딜런
출처 }}}}}}}}}

}}} ||
}}} ||
Commander of the Order of the British Empire[2]
에릭 클랩튼
Eric Clapton
파일:5c9d33959ceb347baad3dc88 (1).webp
<colcolor=#ffdd47><colbgcolor=#333333> 본명 에릭 패트릭 클랩튼
Eric Patrick Clapton
출생 1945년 3월 30일 ([age(1945-03-30)]세)
영국 잉글랜드 서리 리플리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직업 음악가, 싱어송라이터, 음악 프로듀서, 사회운동가[3]
소속 그룹
[ 펼치기 · 접기 ]
루스터스 (1963)
케이시 존스 앤 더 엔지니어스 (1963)
야드버즈 (1963 - 1965)
존 메이얼스 블루스 브레이커스 (1965)
크림 (1966 - 1968)
플라스틱 오노 밴드 (1969 - 1974)
블라인드 페이스 (1969)
덜레이니 & 보니 (1969 - 1972)
데릭 앤 더 도미노스 (1969 - 1970)
무소속 (1974 - )
서명 파일:에릭 클랩튼 서명.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colcolor=#ffdd47><colbgcolor=#333333> 부모님 에드워드 월터 프라이어
패트리샤 몰리 클랩튼[4]
배우자 패티 보이드 (1979 - 1988)
멜리아 매케너리 (2002 - )
자녀 5명
학력 홀리필드 학교 (졸업)
킹스턴 예술대학교 (미학 / 중퇴)
신체 178cm, 77kg
종교 개신교( 성공회)[5]
재산 약 5,000억원
장르 , 블루스, 재즈, 블루스 록, 소프트 록, 하드 록[6]
활동 기간 1962년 – 현재
사용 악기 보컬, 일렉트릭 기타, 어쿠스틱 기타
레이블 폴리도르, 앳코, ASO, 워너 브라더스, 덕, 리프리스, 서프독
별명 기타의 신(Clapton is God)[7]
미스터 슬로핸드(Mr. Slowhand)[8]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1. 개요2. 설명3. 생애4. 음악적 스타일과 평가5. 논란 및 사건사고
5.1. 패티 보이드와의 관계5.2. 마약과 알코올 중독 이력5.3. 인종차별 및 극우적 정치 성향5.4. 코로나19 관련 음모론 및 백신 회의론 주장5.5. 과속운전 논란
6. 사용 장비7. 개별 문서가 있는 곡들8. 디스코그래피9. 음원차트 차트인 목록
9.1. 미국 빌보드 싱글 차트
9.1.1. 1위9.1.2. 2위9.1.3. 3위 - 10위9.1.4. 11위 - 40위
9.2. 영국 UK 싱글 차트
9.2.1. 1위9.2.2. 2위9.2.3. 3위 - 10위9.2.4. 11위 - 40위
10.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2190281.jpg

영국의 전설적인 기타리스트이자 싱어송라이터, , 블루스 음악가이다. 별명은 " 기타의 신", "Mr Slowhand".

2. 설명

최고의 음악적 성취를 거둔 기타리스트를 꼽을 때 항상 거론되며[9], 동시에 영국을 대표하는 기타리스트, 음악가 중 한 명이다. 또한 1960년대 말 이후 록 음악의 발전에 큰 공헌을 한 록 음악 역대 최고의 아티스트 중 한 명이기도 하다. 그래미 어워드를 18번 수상하였고[10],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3회 헌액되었다.

20세기 초반부터 이어져오던 정통 블루스를 현대의 록 음악과 결합하여 독특한 장르인 블루스 록을 개척했다는 큰 업적이 있다. 의외로 잘 안 알려진 사실이지만, 크림시절 사이키델릭 록과 애시드 록을 블루스 록 장르와 융합해 하드 록 헤비 메탈의 원형을 제시한 기타리스트이며, 에릭 클랩튼이 없었다면 메탈 기타 주법도 지금과는 많이 달랐을 가능성이 높다.[11] 메탈 뿐만 아니라 블루스, 소프트 록, 하드 록 등 장르를 가리지 않고 어쿠스틱 및 일렉트릭 기타 연주법의 교본으로도 불린다. 한국에서는 " Layla"와 " Tears in Heaven", " Wonderful Tonight", " Change the World" 등의 곡들이 유명하며, 한국에서도 인기가 높은 음악가 중 한명이다.

단순히 기타 연주법이나 장르 개척 등 음악적으로만 성과를 거둔 것이 아니라 상업적으로도 매우 성공해, 솔로와 크림 시절 판 음반 판매고까지 합치면 1억 장 이상의 음반 판매고를 올렸다.[12] 이는 폴 매카트니[13], 밥 딜런, 사이먼 앤 가펑클 등 어지간한 록 아티스트들보다도 더 많은 것이다.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왕성하게 활동해 싱글 정규 앨범만 21장을 냈고 판매고도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14] 록 음악의 살아있는 전설 중 한 명이다.

크림부터 플라스틱 오노 밴드까지 수많은 밴드를 거쳐갔음에도 솔로 시절의 활동으로 더 유명한 음악가이다. 보통 폴 매카트니, 프레디 머큐리, 로버트 플랜트 등 록 음악의 아이콘들은 각각 비틀즈, , 레드 제플린 등 유명 밴드의 프론트맨으로 활동하면서 유명해진 경우지만, 에릭 클랩튼은 밴드가 아닌 솔로만으로도 비틀즈나 롤링 스톤스, 레드 제플린 등 레전드급 밴드와 상업적이든 음악적이든 간에 거의 자웅을 겨룬다는 점[15]에서 에릭 클랩튼이 가지고 있는 개인으로서의 파급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나 기타를 배우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름을 한번쯤은 들어봤을 것이고, 동종 업계에서도 클랩튼을 존경하는 사람들이 아주 많다. 그가 개최하는 Crossroads Guitar Festival에 나오는 게스트의 면면에서 그 영향력을 짐작할 수 있으며, 'Bluesbrakers'란 곡은 퀸의 브라이언 메이가 존경하는 에릭 클랩튼을 생각하며 만든 곡이다.

음악적인 업적 이외에 사생활 및 인생사는 막장스러움과 비극이 가득하다. 비틀즈의 멤버이자 본인의 절친 조지 해리슨과 함께 패티 보이드를 두고 벌인 세기의 불륜은 록 음악 역사상 가장 유명한 일화들 중 하나이며, 1991년 어린 아들이 초고층 아파트에서 추락해 사망한 일, 약물과 알코올 중독, 극우적 발언 등, 위대한 음악가인 동시에 여러 논란을 이끌었던 시대의 아이콘이었다.

3. 생애

<rowcolor=#ffdd47> 1968년 크림 고별 공연 1985년 Live Aid
<rowcolor=#ffdd47> 2013년 크로스로드 기타 페스티벌 2019년 크로스로드 기타 페스티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릭 클랩튼/생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음악적 스타일과 평가

에릭 클랩튼의 작품은 단지 흥미만으로 접근 할 수 없다.
로리 갤러거
에릭 클랩튼은 기본적으로 나에게 영향을 준 유일한 기타리스트이다.
에디 밴 헤일런[16]
40년 넘게 블루스 음악을 하는 것은 현세의 고통을 치유하기 위해서예요. 태어나서 처음 들은 음악이 블루스였고 방황하던 사춘기에도 의지할 것은 블루스뿐이었죠. 내 언어와도 같은 이 음악의 순수함을 믿어 왔고 언제까지나 그럴 것입니다.

에릭 클랩튼은 로버트 존슨, 머디 워터스, 프레디 킹, 비비 킹, 앨버트 킹, 버디 가이, 휴버트 섬린의 블루스 음악에 영향을 받았는데,[17] 60년대 이후로 대중음악이 사이키델릭 록 시대를 지나며 급변하는 대중음악계에서 침체기에 있던 블루스 장르를 성공적으로 살려냈으며, 현재까지도 비단 기타 연주 기술 뿐만 아니라 녹음 기술, 기타 사운드 등 대중음악의 발전에 매우 크게 공헌한 인물으로 평가받는다. 피터 그린, 로리 갤러거 등과 더불어 블루스 록이라는 장르로는 최고봉이라 평가받아도 무방한 인물. 비틀즈의 멤버인 조지 해리슨 존 레논[18] 그의 영향력을 받아 1968년경 이후 블루스 음악을 취급했으며[19] 비슷한 블루스의 전설 다이어 스트레이츠, 레드 제플린, 딥 퍼플 등이 그의 영향을 받았다.

기타리스트로서는 클린 톤에 강세를 둔다.[20]

그의 연주는 기본적으로 블루스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거기에 사이키델릭 하드 록, 레게, 컨트리 뮤직, 나중에는 재즈까지 여러 장르를 넘나들며 새로운 시도를 했다. 그렇게 현대 팝, 락의 조류를 따라가면서도 언제든지 클랩튼 본인이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던 로버트 존슨의 델타 블루스로 돌아가 블루스의 기본을 다진 복고적인 사운드를 선보이기도 한다. 그가 얘기하길 "블루스는 락이 벽에 부딪혔을 때 언제든지 다시 돌아가 영감을 얻어 돌아오는 군 본진과 같다."라고 했다. 'Wonderful Tonight' 등에서 보여주는 클린하면서도 따뜻한 클랩튼 특유의 기타 톤(우먼톤, 하프톤)에 매료되어 카피하려고 하는 초보 기타리스트들이 많지만, 결국 파 보면 톤이 문제가 아니라 단지 기본기가 신급으로 탄탄한 것뿐...이라는 진리를 깨닫고 좌절하게 만드는 연주자이기도 하다.

블루스 연주자 대부분이 그렇듯 클랩튼 연주의 핵심은 펜타토닉 스케일이다. 펜타토닉 스케일이란 건 블루스의 기본이자 끝이기도 하다. 기타 이펙터의 최첨단 장비도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그의 끈적거리면서 정확한 울림의 소리는 그의 정확한 양손 타이밍과 오른손 피킹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풍부한 비브라토를 넣어도 충분하게 지속되는 써스테인(sustain)은 철저하게 그의 손 밸런스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미세한 피킹 각도와 터치에 의해서 소리의 뤼앙스가 울려 퍼진다. 그는 어느 음 하나라도 대충 치는 게 없다. 정확하고 모든 음 하나하나에 의미가 들어있다.

한국에서는 제프 벡, 지미 페이지와 함께 소위 록 3대 기타리스트라는 타이틀로도 불린다. 참고로 이 3대 기타리스트라는 건 1970년대에 어느 일본 음악기자가 그의 개인적 취향에 따라 주장한 3대 기타리스트라는 표현이 한국에 들어와서 마치 확고한 정설인 것처럼 정착된 건데, 오직 한국에서만 유행해온 표현일 뿐이고 한국 이외의 나라들에선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표현이 아니다.[21]

음악계 종사자들이 최고의 명예 중 하나로 꼽는 로큰롤 명예의 전당유일한 3중 헌액자이기도 한데, 솔로 아티스트 자격, 야드버즈의 멤버 자격, 크림의 멤버 자격으로 헌액되었으며 그래미 어워드 18회 수상의 빛나는 전설 중의 전설이다. 또한 비틀즈 롤링 스톤스와의 친분으로도 유명하다. 특히 조지 해리슨과는 엄청난 절친이었으며 조지와 패티 보이드를 놓고 벌인 사랑 경쟁은 유명하다.[22]

상술했듯이 블루스 록의 개척자로 70년대 헤비 메탈 하드 록의 형성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대표적으로 레드 제플린은 에릭 클랩튼의 영향을 받은 밴드이며,[23] 그는 하드 록이나 메탈 음악을 자주 연주하지는 않았지만, 그가 개척한 장르였던 블루스 록은 후일 많은 메탈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주게 된다. 레드 제플린뿐만 아니라 딥 퍼플, 에어로스미스, 건즈 앤 로지스, 주다스 프리스트, 밴 헤일런 등 수많은 전설의 헤비 메탈 밴드가 에릭 클랩튼의 기타 연주법, 작곡 스타일을 계승하였다. 메탈뿐만이 아니라 여러 음악가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행사했다. 그 중에서 다이어 스트레이츠의 기타리스트 마크 노플러는 그의 유산을 가장 직접적으로 계승한 기타리스트로 꼽힌다.[24] 클랩튼에게 영향을 받은 기타리스트들은 동시대의 데이비드 길모어, 브라이언 메이를 비롯해 빌리 스콰이어, 에디 밴 헤일런, 리치 샘보라, 게리 무어, 알렉스 라이프슨, 에릭 존슨, 조 보나마사, 거스리 고반, 에드 시런까지 그의 영향력은 현재도 진행 중이다.


리드 기타 실력이야 말할 것도 없지만, 리듬 기타 능력도 상당하다. 해당 영상은 Layla의 라이브 영상인데 에릭 클랩튼이 리듬 기타를 맡았다. 코카인(Cocaine)이나 레이 다운 샐리(Lay down Sally) 같은 곡에서의 리듬을 끌고 가는 능력 또한 그의 그루브 감이 얼마나 자연스러운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25]

5. 논란 및 사건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록 음악의 전설로 평가받는 에릭 클랩튼이지만 그것과는 별개로 클랩튼의 개인사는 온갖 비극으로 점철되어 있으며, 클랩튼 본인도 심각한 논란들을 여럿 일으켰다. 존 레논, 루 리드, 로저 워터스 등과 함께 최고의 음악가임에도 불구하고 인간적으로는 좋은 평을 받지 못하는 록 음악가로 자주 언급된다. 심지어 이러한 뻘짓으로 인해 2023년 롤링 스톤이 개정한 최고의 기타리스트 순위에선 30위권에도 들지 못할 정도로 순위가 하락했으며[26], 원래는 지미 페이지, 브라이언 메이와 함께 음악가들 중에서는 기사 작위까지 노려볼 만 했으나 이 또한 요원해졌다.[27]

5.1. 패티 보이드와의 관계

말이 세기의 사랑이지, 실질적으로는 세기의 불륜과도 다름 없는 행보였다. 물론 패티 보이드가 조지 해리슨에 대한 애정을 점차 잃고 있었고 보이드가 먼저 클랩튼에게 다가가긴 했더라도, 보이드를 끌어당기기 위해 Layla라는 노래를 만들고 불륜을 저질러 절친의 아내를 뺏었다는 점은 동서양 불문하고 도덕적으로 올바르지 못한 행위로 받아들여진다. 이 과정에서 보이드는 진짜로 불륜을 저지를 마음은 없었지만 클랩튼이 너무 적극적으로 대시해서 놀랐고, 조지 해리슨이 클랩튼과의 관계를 알면서도 신경쓰지 않고 역으로 더 대놓고 불륜을 저질러 마음에 큰 상처를 입어 클랩튼에게 간 것일 뿐이었다.

그러나 에릭 클랩튼 역시 조지 해리슨이 보이드에게 한 것과 거의 동일한 행동을 반복했고, 술을 진탕 퍼먹고 들어와서 불륜이나 저지르고 폭력을 행사하는 등 그녀에게 큰 상처를 남기게 되었다. 그루피 문제도 심각하여, 보이드와 결혼하고 나서도 그루피와 셀 수 없을 만큼 많이 잤고, 애인들도 많이 만들었다고 한다. 이 와중에 믹 재거에게 애인을 NTR당하기도 했다(…). 또 해리슨의 몇배에 달하는 마약을 피우고 걸핏하면 알코올 중독 증세를 보였던것도 보이드에게 큰 스트레스로 작용했다. 결국 보이드는 1989년 에릭 클랩튼과 이혼하였고 정신병원까지 가야할 정도로 큰 상처를 입었다.

더군다나 에릭 클랩튼은 보이드를 사랑해서 결혼한 게 아니라 그냥 조지 해리슨의 커리어가 탐났기에 보란 듯이 아내를 뺏어서 결혼을 한 것이었다며 양심 없었던 행동을 후일 고백했다. 다행히 클랩튼은 나이가 들면서 이런 행동이 잘못되었다는 점을 알게 되었고 보이드에게 좀 더 잘해줘야 했다면서 자신의 행동을 후회했다.

5.2. 마약과 알코올 중독 이력

에릭 클랩튼의 마약 중독은 마리화나 LSD에 쩔어있던 영국 록씬에서도 꼽힐 정도로 심각했다. 동시대의 모든 음악가들 중 키스 리처즈, 지미 페이지, 루 리드와 함께 마약 중독으로 제일 악명이 높았다. 1960년대~1970년대에는 폴 매카트니, 엘튼 존, 믹 재거, 시드 바렛 등 수많은 음악가들이 마약에 중독되었었고[28] 이들을 제대로 단속한다면 영국 음악계는 그날로 1900년대 초반(...)으로 돌아가는 것이나 마찬가지였기에[29]경찰도 웬만하면 눈감아주는 수준이었지만, 에릭 클랩튼은 마약 중독의 전설(...)인 키스 리처즈도 저리가라할 정도로 마약을 너무 많이 해서 경찰에 잡힐 뻔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마약을 흡입하고 있던 도중 경찰이 들이닥쳐 황급히 도망쳤을 정도로 막장이었다.[30] 패티 보이드 역시 조지 해리슨의 약물 중독에 실망해 에릭 클랩튼과 결혼한 것이었는데, 알고 보니 해리슨에 비해 클랩튼은 비교도 안 될 수준(...)[31]으로 마약에 찌들어있어 이혼의 한 사유가 되었다고 한다. 심지어는 " Cocaine"이라고 마약을 주제로 한 곡도 녹음했다.[32] 설상가상으로 커트 코베인, 시드 비셔스, 짐 모리슨 등 여러 음악가들의 목숨을 앗아간 것으로 유명한 헤로인까지 손을 댔는데[33], 스스로도 지금까지 살아있는 게 기적일 지경이라고 한다(...).

알코올 중독 이력 역시 마약 중독까지는 아니더라도 상당한 흑역사로 남아있다. 술을 먹고 공항에서 진상짓을 부리다가 투옥된 일화도 있다. 1980년대에는 음악 작곡에 대한 부담감으로 너무 많은 술을 마셔서 스스로 알코올 중독 센터에 들어가기도 했다.[34] 그의 알코올 중독은 1991년 어린 아들이 초고층 아파트에서 추락해 사망한 사건 이후에야 고쳐질 수 있었다.[35] 이후 자신의 명의로 "크로스로즈 센터(Crossroads Centre)"라는 이름의 재활기관을 협력설립하기도 했다.

5.3. 인종차별 및 극우적 정치 성향

오늘 밤에 모이신 청중 중에 외국인이 있습니까? 만약 있다면 손을 들어 주세요... 그래서 어디 계십니까? 어디 계시든 간에, 그냥 여기서 떠나 주시죠. 콘서트장만이 아니라, 우리 나라에서 떠나 주시죠...[36] 저는 당신들이 여기 있는 걸 원하지 않습니다. 이 방 안이든 우리의 나라에든. 들어 보세요! 우리들은 그들을 모두 돌려 보내야 합니다. 영국이 흑인 식민지가 되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외국인을 쫓아냅시다. 아랍인들을 쫓아냅시다. 깜둥이들을 쫓아냅시다. 영국을 계속 하얗게... 검은 유색인종과 깜둥이들 아랍인과 망할** 자메이카인은 여기에 어울리지 않습니다. 우리들은 그들을 원하지 않습니다. 여기는 영국입니다, 여기는 백인의 나라입니다, 우리는 까만 중동 놈들과 검둥이들이 여기에 사는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그들을 환영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실히 해야 합니다. 영국은 백인을 위한 나라입니다. 나 참... 여기는 대영제국입니다, 백인의 나라인데, 도대체 우리에게 망할** 무슨 일이 일어나는 겁니까? ... 검둥이들을 쫓아내자! 영국을 계속 하얗게!
Do we have any foreigners in the audience tonight? If so, please put up your hands … So where are you? Well wherever you all are, I think you should all just leave. Not just leave the hall, leave our country … I don’t want you here, in the room or in my country. Listen to me, man! I think we should send them all back. Stop Britain from becoming a black colony. Get the foreigners out. Get the wogs[37] out. Get the coons[38] out. Keep Britain white … The black wogs and coons and Arabs and f*cking Jamaicans don’t belong here, we don’t want them here. This is England, this is a white country, we don’t want any black wogs and coons living here. We need to make clear to them they are not welcome. England is for white people, man … This is Great Britain, a white country, what is happening to us, for f*ck’s sake? … Throw the wogs out! Keep Britain white!
― 1976년 8월 5일 버밍엄 콘서트 도중의 발언[39]

White Riot: 인종차별을 받아들인 음악 운동가들(BBC)
어떻게 Rock Against Racism 운동은 파시즘과 싸웠나?(가디언)

영국의 대중음악가들 상당수가 노동계급 혹은 중산층 계급 출신이기에 노동당을 지지하고 진보적인 성향을 띠는 경우가 많은데,[40] 에릭 클랩튼은 영국 대중음악계에서는 이례적으로 보수 우파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41] 어릴 때에는 성공회의 독실한 신도였고, 현재에도 노동당의 사냥 반대 정책을 맹비난하고, 사냥할 권리를 주장하는 등 보수주의적인 정치 성향을 여과 없이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클랩튼이 비판을 받는 이유는 단순히 보수 우파 성향이라서가 아니라, 인종차별주의와 정치극단주의 때문이다. 믹 재거[42] 로저 달트리[43], 필 콜린스[44], 이안 커티스[45] 과거의 브라이언 메이[46]처럼 보수적인 성향을 가지는 락스타들도 얼마든지 존재한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클랩튼이 유독 정치 성향 문제로 말썽을 많이 일으키는 이유는, 본인의 극단주의적 사상 때문에 사회적으로 문제가 될 발언들을 자주 하였기 때문이다.[47]

1976년 인종 분리를 주장한 극우 정치인 이넉 파월(Enoch Powell)을 지지 선언하고 콘서트장, 기자 회견 등 공식적인 자리에서 인종차별주의적인 발언을 수차례 하여 구설수에 오른 적이 있다. 그가 종종 콘서트장에서 쓴 "영국을 계속 하얗게!"는 70년대 당시 악명을 떨쳤던 극우 정당 영국 국민전선[48]의 슬로건이었다. 동시기에 파시즘에 경도되어 각종 문제 발언을 하던 데이비드 보위[49] 함께 인종주의에 반대하는 록(Rock Against Racism) 운동이 시작되는 데에 큰 영향을 끼쳤다.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 이후 에릭 클랩튼의 과거 인종차별적인 언행도 최근에 들어서 더더욱 비판받는 중이다. 클랩튼은 "내 주변에 흑인 친구도 많고 흑인 여자와 사귄 적도 있다"라며 인종차별주의자임을 부정하고 있지만, 이는 영미권 백인우월주의자들의 전형적인 변명 레퍼토리라 긁어 부스럼만 만들었다. 물론 클랩튼은 흑인이자 역사상 최고의 기타리스트로 불리는 지미 헨드릭스와 절친 사이였기 때문에 진심으로 한 말일 수도 있다.[50]

이후 2018년에 자신의 발언을 공식적으로 사과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넉 파월이 좋은 정치인이라는 것에는 입장을 철회하지 않았다. 즉 사람에 따라서는 불리한 상황에 따라 인종 차별에 대해서 사과만 했지 본심은 변하지 않았다고도 보일 여지가 있는 것. 다만 파월 건은 무대에서 횡설수설하다 실수로 한마디 거든 것이라고 자서전에서 주장하기는 했다.

2024년 미국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 중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를 지원했다. # 민주당이라는 당적에 의아함을 느낄 수도 있겠으나, 케네디 주니어는 문서에도 나와있다시피 코로나 19 백신 접종에 반대하며 음모론까지 제시하는 등 대다수의 민주당원들과 다른 성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5.4. 코로나19 관련 음모론 및 백신 회의론 주장

에릭 클랩튼의 Covid 백신 음모론은 슬픈 마지막 공연의 표식이다(NBC)
"코로나 봉쇄는 노예제"…백신저항 선봉에 선 에릭 클랩턴(연합뉴스)

2020년에는 코로나 바이러스 유행 가운데에서 밴 모리슨과 함께 봉쇄 반대 운동에 참가하고, 자가격리에 반대하는 내용의 곡을 발표하였다. 기사 번역

2021년 5월 17일에는 코로나19 백신은 위험하다고 주장했다. # 클랩튼은 밴 모리슨과의 합작 앨범 발표 2달 이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2번 맞았는데, 첫 번째로 백신을 맞았을 때와 두 번째로 맞았을 때 모두 팔다리가 마비되어 기타를 칠 수 없었다면서 백신은 "재앙적"이라고, 백신이 안전하다는 것은 프로파간다나 다름 없다고 주장하였다.[51]

2021년 중순 이후로도 "This Has Gotta Stop" 등의 자가격리 반대, 안티백신 메시지를 담은 곡을 발표하며 꾸준히 봉쇄와 백신 반대 활동을 펼치고 있다. 2021년 10월에는 백신 반대를 외치는 그레그 애벗 텍사스 주지사와 사진을 찍었다. #

영미권 내에서 가장 유명한 음악가 중 한 명인만큼 거의 백신반대론의 상징격인 인물이 되어가고 있다. 앤서니 파우치보다 에릭 클랩튼이 더 설득력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이러한 행보 때문이었는지는 몰라도, "이제는 동료들하고 연락도 잘 안 된다"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 # 대부분의 뮤지션 동료들이 코로나 19의 확산 예방을 위해 락다운이나 백신 접종을 권고하는 행보를 보인 것을 생각해 보면 그들이 클랩튼과 거리를 두는 것도 무리는 아니라고 할 수 있겠다.

5.5. 과속운전 논란

파일:클랩튼옹 과속.jpg
2004년 프랑스 경찰에게 단속당한 클랩튼

닉 메이슨과 더불어 영국 음악계에서는 알아주는 유명한 차덕이지만 속도광 면모가 있는지, 무려 3번이나 과속으로 운전면허증을 정지당한 바 있다. 1988년 크리켓 경기를 보러 가다가 제한 속도인 150km를 훌쩍 넘긴 속도로 페라리를 몰아서 경찰에 의해 연행되었고 6주간 면허를 정지당했다. 2000년 서리주에 위치한 집 근처에서 과속을 하다가 또 6개월간 정지를 당했고, 2004년에는 옆나라 프랑스에서 과속 운전을 하다가 운전면허를 정지당했다. 비교적 최근인 2016년에도 포르쉐를 몰고 과속운전을 해 벌금을 물었다. 이외에도 젊은 시절 자동차를 몰고 가다가 교통사고를 낸 적도 있다. 다행히 인명사고는 없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6. 사용 장비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이 분류에 대한 설명은 에릭 클랩튼/사용 장비 문서
문서
를 참고​하십시오.

7. 개별 문서가 있는 곡들

분류:에릭 클랩튼 노래 참조.

8. 디스코그래피

에릭 클랩튼/음반 목록 참조.
  • Eric Clapton (1970)
  • 461 Ocean Boulevard (1974)
  • There's One in Every Crowd (1975)
  • No Reason to Cry (1976)
  • Slowhand (1977)
  • Backless (1978)
  • Another Ticket (1981)
  • Money and Cigarettes (1983)
  • Behind the Sun (1985)
  • August (1986)
  • Journeyman (1989)
  • From the Cradle (1994)
  • Pilgrim (1998)
  • Reptile (2001)
  • Me and Mr. Johnson (2004)
  • Sessions for Robert J (2004)
  • Back Home (2005)
  • Clapton (2010)
  • Old Sock (2013)
  • I Still Do (2016)
  • Happy Xmas (2018)

9. 음원차트 차트인 목록

9.1. 미국 빌보드 싱글 차트

9.1.1. 1위

9.1.2. 2위

9.1.3. 3위 - 10위

  • "For Your Love" / "Got to Hurry" (1965, 6위, 야드버즈)
  • " Sunshine of Your Love" / "SWLABR" (US: Gold) (1968, 5위, 크림)
  • " White Room" / "Those Were the Days" (1968, 6위, 크림)
  • " Layla" / "I am Yours" (1970, 10위, 데릭 앤 더 도미노스)
  • "Lay Down Sally" (1977, 3위)
  • "Promises" (1978,9위)
  • "I Can't Stand It" (1981,10위)
  • " Layla (Acoustic)" (1992, 12위)
  • " Change the World" (1996, 5위)

9.1.4. 11위 - 40위

  • "Crossroads" (live) / "Passing the Time" (1968, 28위, 크림)
  • "Cold Turkey" / "Don't Worry Kyoko" (1968, 30위, 플라스틱 오노 밴드)
  • "After Midnight" (1970, 18위)
  • "Willie and the Hand Jive"(1974, 26위)
  • "Hello Old Friend" (1976, 24위)
  • " Wonderful Tonight" (1977, 16위)
  • " Cocaine" (1979, 30위)
  • "I've Got a Rock 'n' Roll Heart" (1983, 24위)
  • "Forever Man"(1985, 26위)
  • "My Father's Eyes" (1998, 16위)

9.2. 영국 UK 싱글 차트

9.2.1. 1위

  • "Love Can Build a Bridge" (1위, 1995)

9.2.2. 2위

9.2.3. 3위 - 10위

9.2.4. 11위 - 40위

  • "Wrapping Paper" / "Cat's Squirrel" (1966, 34위, 크림)
  • "I Feel Free" / "N.S.U." (1966, 11위, 크림)
  • "Strange Brew" / "Tales of Brave Ulysses" (1967, 17위, 크림)
  • " Sunshine of Your Love" / "SWLABR" (US: Gold) (1968, 25위, 크림)
  • "Anyone for Tennis (The Savage Seven theme)" / "Pressed Rat and Warthog" (1968, 40위, 크림)
  • " White Room" / "Those Were the Days" (1968, 28위, 크림)
  • "Badge" / "What a Bringdown" (1969, 18위, 크림)
  • "Cold Turkey" / "Don't Worry Kyoko" (1969, 14위, 플라스틱 오노 밴드)
  • "Comin' Home" / "Groupie (Superstar)" (1969, 19위, 댈라니 앤 보니)
  • "Swing Low, Sweet Chariot" (19위, 1975)
  • " Knockin' on Heaven's Door" (38위, 1975)
  • "Lay Down Sally" (39위, 1977)
  • "Promises" (37위, 1978)
  • "Behind the Mask" (15위, 1987)
  • "Bad Love" (25위, 1990)
  • " Wonderful Tonight (Live)" (30위, 1991)
  • "Runaway Train" (31위, 1992)
  • "It's Probably Me" (32위, 1992)
  • " Change the World" (18위, 1996)
  • "Circus (Album version)" (39위, 1998)
  • "My Father's Eyes" (33위, 1998)
  • "Forever Man (How Many Times?)" (26위, 2000)

10. 여담

파일:클랩튼60s.png
[52]
* 대중음악계에서 미남으로 유명하다.[53] 지금도 미노년이다. 헤로인 코카인, 마리화나, LSD 등 각종 마약을 엄청나게 해댔는데도 주름살이 별로 생기지 않았고 곱게 늙었다.[54] 그런데 안경을 쓰고, 동글동글한 얼굴 모양과 턱 수염 때문에 서양 록덕후들 사이에서는 "유일하게 수학 선생님을 닮은 록스타"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상단의 젊은 시절 사진에서도 볼 수 있듯이 1970년대 초반에는 수염을 기르지 않았는데 그때는 엄청난 꽃미남으로 사생팬을 몰고 다녔다고 한다. 하지만 70년대 후반 80년대 초부터 얼굴의 변화가 급격히 일어났다. 젊은 초기의 얼굴과 중노년기의 얼굴이 거의 딴판이다. 눈이 많이 처지고 전체적으로 얼굴의 분위기가 어둡고 그늘져졌다. 한국 팬들에겐 대부분 안경쓴 중년의 얼굴이 익숙할 것이다.
  • 기타를 연습하는 사람이라면, 혹은 블루스 연주를 정말 잘하고 싶다는 사람은 꼭 클랩튼의 연주 릭과 프레이즈를 카피해보자. 그의 연주는 기타의 기본기 및 블루스 스케일 운용과 마이너 믹솔리디안을 익히는 데 정말 많은 도움이 된다. 특히 Nothing But The Blues라는 마틴 스콜세지 감독의 에릭 클랩튼 다큐멘터리 영화에 나오는 공연실황을 카피하면 큰 도움이 된다.
  • 기타의 신이라는 이미지가 워낙 강해 잘 못 느낄 수도 있겠지만 사실 상당한 보컬 실력을 가지고 있다. 그에게 또 한 번의 전성기를 가져다 준 그 유명한 MTV Unplugged에서 심금을 울리는 그의 보컬을 다시 한번 들어보자.[55]
  • 1960년대 후반에는 단것에 비정상적으로 집착하여 초콜릿을 마약 먹듯 먹었다고 한다. 평생의 친구 조지 해리슨의 증언에 의하면 초콜릿 상자를 발견하면 그 자리에서 한 통을 다 비웠다고. 그래서 해리슨이 단것을 좋아하는 클랩튼에게 "그렇게 초콜릿 많이 먹으면 이 썩는다?" 라고 놀리듯이 작곡한 곡이 The Beatles 앨범에 수록된 Savoy Truffle이다.[56]
  • 조르지오 아르마니를 즐겨입는다. 그의 80~ 90년대 패션은 아르마니 세미정장차림으로 많이 입었고 그 외에도 롤렉스 시계를 좋아한다.
  • 1995년에 음악적 공로로 대영제국 훈장 4등급(OBE)을 받았고, 2004년에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장녀 앤 공주의 추천으로 신년 Honours List에 올라 3등급(CBE)으로 승급되었다. 나이차이가 꽤 나는 현재의 아내 멜리아 매케너리(Melia McEnery)[57]와 딸 세 명을 두고 있다. 현재 기사 작위 수여의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지지만, 현재 진행형인 수많은 논란들을 보면 넘어야할 산이 꽤나 많을 듯하다. 다만 사생활이 에릭 클랩튼급으로 막장이라고 여겨지는 믹 재거가 일찍이 기사 작위를 받은 것을 보면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 연주에 주로 사용하는 기타는 일렉트릭 기타계의 명기로 불리는 Fender Stratocaster. 데뷔초기에 이런저런 기타를 쓰다가( Gibson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Les Paul (BEANO)를 사용한 기타톤은 에릭 클랩튼이 신이라 불리는 계기가 되었고 크림시절까지 그의 메인기타는 언제나 깁슨이었다.) 1969년부터 스트렛을 자신의 메인으로 삼아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의 뮤지션으로서의 유명세 때문에 1988년도부턴 시그니처 모델[58]이 나오고 있는데, 그가 직접 개조를 한 오리지널 스트렛인 일명 블랙키(BLACKIE)를 기반으로 생산되고 있는 모델이다. 한국에도 정식수입 및 판매되고 있는데 가격은 약 2~300만원 대[59]. 2006년엔 에릭 클랩튼이 블랙키에 남긴 흔적을 100% 재현한[60] 리이슈 한정판 275대를 판매하기도 했다.[61]

* 탑기어 시즌19 4회의 기아 씨드 2세대 모델 리뷰편에서 제레미 클락슨이 기타 좀 치는 동네 형님으로 소개하면서 짧게 등장하였다. 카오디오에 일렉기타를 연결하여 짧게 2곡( Layla와 Sunshine of your love의 메인 리프)을 연주하며 성능 테스트를 해주었다.
파일:attachment/에릭 클랩튼/에릭클랩튼페라리.jpg * 티포시로도 알려져 있는데, 개인차고에 각종 페라리 차량을 수십 대 보유 중인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1976년에 첫선을 보여 엄청난 인기를 끌었던 512BB 모델을 가장 좋아하여 3대나 보유 중이라고 하는데, 페라리 측에서 클랩튼의 특별주문에 따라 페라리 458 이탈리아를 기반으로 한 원-오프(One-off) 모델인 Ferrari SP12 EC를 선보여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전체적인 디자인을 올드카인 512BB에 맞추었으며 본래 클랩튼은 12기통 엔진을 원했으나 458의 V8엔진을 그대로 탑재했다.
* 그가 소유한 은색 페라리 250 GT 베를리네타 루소는 핫휠에서 1:18 모형으로도 발매했었다.
  • 461 Ocean Boulevard를 발매했을 시점, 친구이자 동료 뮤지션인 비 지스가 침체기에 빠져있을 때 조언을 주었고 그리하여 그들의 명반 Main Course가 탄생했다. 이때를 기점으로 비 지스는 70년대 후반 전 세계를 휩쓸며 정상에 올라섰다.
  • 또한 나중인 1988년에 비 지스와 함께 번버리스(The Bunburys)라는 프로젝트 그룹을 결성하여 88 서울 올림픽 주제가 앨범에 노래도 수록했다.

* 에릭 클랩튼의 전기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가 개봉했다.

* 상술했듯 조지 해리슨과는 생전 엄청난 절친이었고 비틀즈 최고의 명곡이라고 불리는 While My Guitar Gently Weeps의 기타 연주를 해주기도 했다. Savoy Truffle이란 곡 역시 조지가 초콜릿을 너무 좋아했던 에릭에게 "그렇게 단것 많이 먹으면 이 썩는다?"라며 놀리듯이 작곡한 곡이다. 1970년대 패티 보이드를 두고 벌인 사랑 경쟁 때문에 약간 사이가 어색해지기는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지가 죽을 때까지 에릭과 조지는 끈끈한 우정을 보여줬다.[62] 조지의 사후 폴 매카트니, 링고 스타 등이 연 "Concert for George"에서도 기타를 치며 친구의 죽음을 애도했다. 그 외에 비틀즈와는 꾸준히 연을 맺어왔다. 그 존 레논이 생전에 가장 좋아한 기타리스트도 에릭 클랩튼이었다고 한다.
  • 비틀즈 뿐만 아니라 여러 밴드들과 연을 맺어왔는데 대표적으로 레드 제플린과 접점이 많다. 그가 몸담았던 야드버즈가 몇 번 간판을 바꾸다가 레드 제플린으로 다시 탄생한 것도 있었고, 지미 페이지 등 레드 제플린의 멤버들이 클랩튼의 블루스 록 스타일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 김정철이 에릭 클랩튼의 광팬이라 평소 모습을 노출하지 않음에도 이 작자 콘서트에서 찍힌 사진이 수두룩하다. 거의 매 콘서트마다 찾아다닌다는 듯.

* 영국인들에게 가장 친숙하고 유명한 기타리스트 중 한 명이지만, 정작 영국의 국가원수인 엘리자베스 2세에게는 지미 페이지와 함께 누구냐고 질문을 받는 굴욕(?)을 당한 바 있다.
엘리자베스 2세 : 이 사람은 누구인가?
브라이언 메이 : 에릭 클랩튼. 기타리스트요. 주빌리 행사에서 기타 쳤던 사람이잖습니까.
엘리자베스 2세 : 그렇군. 옆에 서있는 자네도 기타리스트인가?

[1] 그래미 시상식의 가장 중요한 상들로 여겨지는 올해의 레코드상, 올해의 앨범상, 올해의 노래상, 최고의 신인상만이 기록되어 있다. 나머지 부문의 상들은 따로 문서 내 수상 목록에 수록해주길 바랍니다. [2] 3등급 CBE 왕실 훈장 수여자. 현재 지미 페이지와 함께 음악가들 중에서 기사 작위를 받을 확률이 가장 높은 사람 중 하나로 꼽힌다. 만약 에릭 클랩튼에게 기사 작위가 수여된다면 "Sir"가 이름 앞에 붙게 된다. [3] 최근 코로나 19 백신 접종 및 봉쇄 반대 운동에 참여하고 있다. [4] 아버지와 어머니가 결혼하지 않았기 때문에 에릭 클랩튼은 어릴적 자신을 대놓고 이부동생과 차별하며길러줬던 어머니의 성을 따랐다. [5] 모태신앙으로 유소년기에는 열심인 신자였다. 자서전에서 청년기와 중년기에는 마약에 중독되면서 신앙심에서 멀어지기도 했으나, 약물 중독을 극복하는 과정, 아들의 죽음을 계기로 다시 독실한 신자가 되었다고 밝혔다. [6] 헤비 메탈이나 사이키델릭 쪽에서도 활동한 적은 있지만 현재는 활동 빈도가 거의 없으니 일단은 현재 주로 활동하는 분야를 위주로 작성했다. [7] 흥미롭게도 라이벌 기타리스트 피터 그린의 별명은 The Green God, 그러니까 마찬가지로 "신"이었다. [8] 기타를 느리게 친다는 것으로 오해하는 사람도 있지만 오히려 유래는 정반대에 가깝다. 1960년대 크림 소속으로 활동하던 시절 기타를 너무 빨리 쳐서 기타 튜닝이 나가버리는 바람에 잭 브루스나 진저 베이커 같은 다른 멤버들이 "줄 튜닝해야 되니까 다음 곡 연주할 때까지 박수를 좀 천천히 쳐주세요"라고 한 것에서 기원한 별명이다. [9] 동시대에 또한 같이 꼭 언급되는 기타리스트로는 지미 헨드릭스가 있다. 실제로 두 명은 굉장히 친한 사이였다고 한다. [10] 특히 올해의 노래상은 2번, 올해의 앨범상도 2번 수상했다. 이는 프랭크 시나트라, 폴 사이먼 스티비 원더에 이은 역대 4위의 기록이다. [11] Sunshine of Your Love나 White Room 등 크림 시절의 노래들을 들어보자. [12]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best-selling_music_artists 19집까지 발매되었을때 추산한 것이므로, 20집과 21집이 발매된 현재로서는 아마 1억 장을 넘겼을 것이다. [13] 물론 솔로 시절 한정. 비틀즈 시절까지 합치면 당연히 매카트니가 더 많다. [14] 오히려 1980년대보다 현재 음반 판매고가 더 높은 역주행을 탄 경우다. 1980년대의 스튜디오 앨범들은 대개 빌보드 30위권조차 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던 반면, 1990년대 이후의 앨범은 단 2장을 제외하고(이마저도 그중 한 장인 Happy Xmas는 홀리데이 앨범 차트에서 1위에 올랐다) 전부 빌보드 10위권 안에 올랐다. 이는 폴 매카트니조차도 이루지 못한 대기록이다. [15] 오히려 1960년대 당시 클랩튼이 있었던 크림에서는 베이시스트인 잭 브루스에게 밀렸다. 물론 솔로 활동에서의 성공은 클랩튼이 훨씬 대박을 쳤긴 하지만. [16] When It's Love는 에디 밴 헤일런이 에릭 클랩튼에게 헌정한 곡이다. [17] 특히나 젊은 시절에는 크림을 결성했을 때 '나도 이제 버디 가이처럼 3인조 블루스 밴드를 이끄는 위치로 성장할 수 있는 거겠지?'라고 속으로 기대했을 정도로 버디 가이를 좋아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18] 이 둘은 본래 로큰롤 성향이었고, 밥 딜런의 영향을 받은 포크 록이나 사이키델릭 록을 취급하는 정도였다. 그러나 비틀즈 후반기와 솔로 시절 해리슨과 레논의 노래에는 블루지함이 꽤 강하게 나타난다. 반면 폴 매카트니의 솔로 활동에서는 상대적으로 블루스 넘버가 적은 편이다. [19] 레논은 생전 자신이 피터 그린과 에릭 클랩튼의 광팬이며 그들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20] 무조건 클린 톤만 쓰는 것은 아니고, 'Sunshine Of Your Love', 'Layla' 등은 퍼즈 등의 이펙터를 사용하였다. 물론 클린 톤의 황제이긴 하지만, 이펙터를 키더라도 레전드는 레전드이다. 또한 클랩튼은 스트랫으로 레스폴과 같은 fat한 사운드를 내길 원했었고 그 결과가 지금의 시그니쳐 스트랫이다. 90년대 라이브를 들어보자. 본인의 시그니쳐 스트랫으로 험버커 픽업과 다를 바 없는 두툼한 드라이브를 걸고 연주한다. [21] 애초에 만세불변의 역사상 최고의 기타리스트인 지미 헨드릭스가 없는 것 자체부터가 정설이라는 것을 부정하고 있다. [22] 말이 사랑 경쟁이지 실상은 대중음악사상 최악의 불륜이라고도 불리며, 조지 해리슨 역시 링고 스타의 아내와 맞바람을 피우며(...) 현재까지도 전설적인 사건으로 회자되곤 한다. 이때 클랩튼은 그의 명곡인 Layla를 패티 보이드에 바치기 위해 쓰기도 했는데, 이 곡은 롤링스톤 선정 500대 명곡에서 27위에 오를 정도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23] 정작 클랩튼은 지미 페이지의 음악은 블루스가 아니라 로커빌리라며 자신의 음악과는 거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레드 제플린은 야드버즈의 후신인지라 1960년대 음악가보다는 그 이전의 블루스 음악가들에게서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24] 특히 클린톤에 강세를 두는 기타리스트라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다이어 스트레이츠가 활동하던 70년대 후반~80년대 중반은 펑크, 디스코, 글램 메탈 등의 부흥으로 블루스의 입지가 작아졌는데 다이어 스트레이츠가 에릭 클랩튼 양식의 블루스를 들고 나와 히트를 쳐서 에릭 클랩튼의 90년대 재기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줬다. 에릭 클랩튼 개인도 상당히 고마웠는지 마크 노플러와 개인적인 친분 관계도 맺고 공연도 같이 자주 나간다. [25] 리드 기타는 Money for Nothing의 리프로 유명한 다이어 스트레이츠의 리더 마크 노플러가 맡았다. 클랩튼은 노플러와 협연 공연을 꽤 많이 했는데 무대에 서면 보컬도 소화해야 하는 만큼 주로 리듬 기타를 연주한다. [26] 다만 최근 롤링 스톤은 PC 성향으로 인해 비판받고 있는 중이라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27] 최근에는 칸예 웨스트가 친 나치 발언과 근 몇 년간의 심각한 대인관계 파탄으로 인하여 명실상부 동세대 최고로 인정받는 음악성에도 불구하고 대중적으로 지탄받는 아티스트의 대표격으로 급부상했지만, 선술한 인물들과 에릭 클랩튼은 그 부문의 원조격 인물들로, 어떻게 보자면 입만 털었던 칸예보다도 심각한 문제들을 여럿 일으켰다. [28] 물론 바렛을 제외한 핑크 플로이드 멤버들이나 리치 블랙모어, 브라이언 메이 등 마약을 의도적으로 멀리한 음악가도 소수 있었지만 당시 영국 록 음악가들은 과장이 아니라 80% 이상이 마약을 접했을 정도로 마약 문제는 심각했다. 물론 위에 언급한 음악가들이 드문 예시. [29] 경찰이 제대로 단속한다면 비틀즈, 롤링 스톤스, 레드 제플린, 크림 등이 전부 잡혀가야 한다(…). [30] 진저 베이커가 찾아와 경찰의 수사 대상에 클랩튼이 있었음을 귀띔해주었다고 한다. 참고로 잠시 피신한 이후 진저를 통해서 다시 경찰의 입장을 듣게 됐는데, 당시 마약 수사를 주도하던 노먼 필처(Norman Pilcher) 경사가 자신의 관할구역에서만 벗어나면 신경을 쓰지 않겠다고 했던 것이다. 이후 하루빨리 벗어나야겠다는 생각에 이사를 가게 되었다고 한다. [31] 조지 해리슨은 물론 전성기 시절엔 LSD 대마초에 찌들어 사는 등 심각한 마약 중독에 빠져 있었지만, 그래도 헤로인을 비롯한 온갖 괴상한 마약에 다 빠졌던 클랩튼보다는 덜 했다. 또한 힌두교를 믿은 후로는 마약 하는 양이 점점 줄기 시작했다. 물론 담배는 못 끊다가 암으로 죽기 몇년 전에 끊었지만... [32] Cocaine은 에릭 클랩튼이 쓴 곡이 아니다. J.J. 케일이라는 블루스, 컨트리 뮤지션이 있는데 클랩튼이 이 사람의 음악을 좋아해서 많이 가져다가 재편곡했다. 그래서 클랩튼이 만든 걸로 오해하는 사람들도 많다. After Midnight도 J.J. 케일의 곡이다. 또한 에릭은 그를 매우 존경해서 케일 사후 트리뷰트 앨범을 내기도 했고 그의 생전에는 'Road To Escondido'라는 앨범을 함께 내기도 했다. 물론 이 노래는 에릭 클랩튼의 커버 버전으로 가장 유명하고 클랩튼 스스로도 마약의 해로움을 얘기하는 곡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33] 헤로인은 키스 리처즈, 지미 페이지 등도 당시 많이 했었다. 물론 둘 다 살아있는 게, 아니 80살 가까이 천수를 누리고 있는 게 기적이라는 평이 많을 정도. 참고로 이 세 명은 같은 마약 판매업자에게서 헤로인을 구매했으며, 함께 엄청난 양의 마약을 흡입하며 광란의 파티(...)를 벌인 적도 있다. [34] 들어가기 직전 더는 술을 마시 못할 것이라고 생각해 비행기에서 술을 엄청 마셨다고 한다.. [35] 여담으로 클랩튼도 두손두발 다 들고 자신의 패배를 인정한 술고래가 있었는데, 다름 아닌 더 후의 드러머 키스 문(...). 자서전에서 "그에 비하면 나는 라이트급"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36] 원문은 my country(제 나라). 한국어에서 '우리'는 듣는 사람의 소속 여부와 관계 없이 자신이 속해 있으면 사용하지만 영어권에서 '우리(our)'라는 표현은 듣는 사람도 속해 있을 때만을 의미한다. 듣는 사람인 외국인은 소속되어 있지 않는 에릭 클랩튼의 조국 영국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37] wog: 영국, 호주 등에서 중동, 북아프리카, 넓게는 지중해권과 남아시아인까지 비하하는 용어. [38] coon: 영어권에서 사용되는 흑인 비하 용어로 N word이상으로 금기시 되는 최악의 욕설이다. [39] 여담으로 이는 The Wall 음반에 수록된 In The Flesh에서 핑크가 하는 연설과 비슷하다. 로저 워터스와 에릭 클랩튼이 친했던 만큼 워터스가 이 발언에서 영감을 얻은 것일 수도 있다. [40] 대표적인 진보 좌파 성향의 뮤지션으로는 존 레논, 로저 워터스 등이 있다. 존 레논의 경우 노동 계급 출신이고, 워터스의 경우 중산층 계급으로, 둘다 영국 내에서 음악을 잘 모르더라도 진보주의적 정치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누구나 알 정도로 정치적인 행보를 자주 보인 인물들이다. 레논은 60년대 말의 히피 문화를 이끌었고, 워터스는 The Wall 등의 앨범을 보고 바로 알 수 있다. 굉장히 재미있는 것은, 로저 워터스와 에릭 클랩튼은 영국 대중음악계에서도 손꼽히는 절친이라는 것.좌우합작 심지어 1990년대 브릿팝 전쟁의 주인공들이었던 오아시스 블러만 해도, 당시에는 마치 노동자 계급의 오아시스와 중산층 계급의 블러처럼 이미지가 포장되었지만, 사실 두 밴드 모두 영국 노동당의 지지자들이었다. [41] 사실 에릭 클랩튼의 고향인 서리는 미들 잉글랜드의 본산지로 꼽히는 사우스 잉글랜드에 속한다. [42] 단, 지지하는 정당만 보수정당일 뿐 실제로는 리버럴한 색채를 띠고 있다는 의견도 적지 않게 보이는 중이다. 물론 재거의 경우 지지 정당이 확고할 뿐 대체로 중도적 성향이고 정치적으로 문제되는 발언도 전혀 하지 않는지라 대단한 여성편력으로는 비판받을지라도 이 방면에서는 비판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 [43] 노동계급 출신으로 과거에는 진보 성향이었으나 전향했다. [44] 원래 중산층이었으며, 정치에 그닥 관심이 없는 편이라고 한다. 다만 이쪽도 본인이 보수당을 지지한다고 했다가 노엘 갤러거에게 까이고, 블레어 총리 당선 이후 스위스로 이민간 것에서 보아 기본적으로 보수 성향을 띠는 것은 맞지만, 어쨌든 평소에 정치 관련 논의를 거의 하지 않으며, But Seriously 앨범에서 진보적 사회 문제를 담은 노래들을 담아낸 적도 있다. [45] 이쪽은 펑크 밴드의 프런트맨인데도 마거릿 대처를 지지했다. 단 이 당시 영국병으로 당대의 진보 계층마저도 노동당을 혐오했으므로 보수주의자로 속단하기는 어렵다. [46] 이쪽도 한때 보수적인 편이었다. 지금은 상당히 진보적인 성향이다. [47] 아이러니하게도 진보 좌파 성향을 드러내는 로저 워터스와 클랩튼은 나름 친분이 있는 사이이다. 게다가 둘은 거의 같은 동네(서리 주/로저는 그레이트 부컴, 에릭은 리플리) 출신이기까지 하다. 마찬가지로 친분이 있는 피트 타운젠드 역시 진보주의자이다. 정작 타운젠드와 영혼의 콤비로 유명한 로저 달트리는 보수주의자이다(...) [48] 브이 포 벤데타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49] 히틀러는 슈퍼스타였다라는 발언이 문제가 되었다. 그렇다고 히틀러의 악행을 옹호하는 맥락은 아니었지만, 이후 보위는 자신이 약물로 제정신이 아니었던 것 같다며 이 당시 파시즘 관련 발언을 후회했다. [50] 90년도에 에릭 클랩튼은 흑인 세션과 함께 공연을 여러 차례 소화하기도 했다. 지금도 공연에서 베이스에는 나단 이스트를 대동하고, 과거 드럼을 맡은 스티브 조던(Steve Jordan) 역시 아프리카계이다. 무엇보다도 그가 누구보다 존경하는 로버트 존슨이나 버디 가이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런 것을 보면 진정으로 뼛속까지 인종차별주의자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없지 않으나, 그렇다고 그의 발언이 없던 일 취급 받는 것도 아니므로 신중히 생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공연 직전에 흑인 세션이랑 싸우고 거하게 마약 빨다 와서 횡설수설했다는 가설이 유력하다 [51] 일반적으로 대중들은 이에 대해 헤로인까지 한 양반이 백신보고는 위험하다 하니까 설득력이 없다는 여론이 대다수이다. [52] 안경 쓰고 수염 기른 이미지가 더 유명한 한국에서 몇몇 리스너는 앨범은 다 수집하고 있지만 이 사진 속 주인공이 에릭 클랩튼인 걸 모르는 경우도 종종 있다(...). [53] 사실 당시 록 음악계에는 로저 달트리, 로버트 플랜트, 조지 해리슨 등 미남 뮤지션들이 매우 많았다. [54] 클랩튼만큼 마약을 많이 한 것으로 알려진 키스 리처즈 루 리드는 마약 이전과 비교했을 때 외모가 동일인물이 맞나 싶은 수준으로 심각하게 많이 변했고, 한창 잘나가다가 마약 중독으로 인해서 갑자기 탈퇴했다고 기정사실화된 시드 바렛 핑크 플로이드 멤버들도 몰라볼 정도로 외모가 변했다. 여러모로 운빨이 많이 따랐다고 할 수 있다. [55] 실제로 외국에서 꽤 많은 사람들이 "클랩튼은 기타보다 노래를 더 잘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이니 블루스 보컬리스트로는 톱클래스라고 볼 수 있다. 배철수 역시 "에릭 클랩튼은 기타만 잘 연주한 것이 아니라 노래도 잘 불러서 그에 맞는 유명세를 얻은 듯하다."라는 의견을 내비친 적이 있다. [56] 다만 클랩튼을 놀리는 건 그냥 표면상의 분위기고 실제로는 폴 매카트니를 디스하는 곡이라는 의견도 있다. [57] 1998년 53세의 클랩튼과 22세(!)의 나이로 만나 2001년 결혼. [58] TBX톤 컨트롤과 액티브 미드부스트가 달려 있어서 험버커 기타와 다름없는 사운드를 낼 수 있고 90년대에는 레이스 뮤직의 '골드 레이스 센서 픽업'이 장착되었으나 2000년부터 '빈티지 노이즈리스 픽업'이 장착되어 나오고 있다. 두 픽업의 소리는 미묘하게 다른데, 기본 바탕이 같지만 레이스 센서가 더 기름진 소리가 난다. [59] 커스텀샵은 기본 500만원부터고 사인이 헤드 뒤에 프린팅되어 있다. [60] 도장이 벗겨진 부분은 물론이고 수 천번의 연주로 뒤틀린 넥, 담배불을 지져서 끈 흔적을 그대로 담아냈다. [61] 참고로 이 블랙키의 탄생 배경은 다음과 같다. 원래 상기하였듯 깁슨을 주로 쓰던 에릭은 '데릭 앤 더 도미노스' 시절 동료이자 친구인 스티브 윈우드가 흰색 Stratocaster를 갖고 있는 것과, 자신의 우상인 버디 홀리와 버디 가이 모두 Stratocaster를 연주하였다는 것에 영향을 받아 내슈빌의 악기점에서 한 대 당 100달러 조금 안 되는 값에 생산된 지 몇 년 된 스트랫 여섯 대를 샀다. 이 중 세 대는 조지 해리슨, 피트 타운젠드, 스티브 윈우드에게 선물하였고, 나머지 세 대는 본인이 각각의 기타에서 좋은 부품만 골라 빼내어 스트랫 한 대를 만들었다. 이 기타가 바로 블랙키. [62] 오히려 패티 보이드랑은 결론적으로 둘 다 이혼했다. [63] 비슷하게 워터스의 동료이자 숙적인 데이비드 길모어 폴 매카트니와 친한 사이다. [64] 더군다나 워터스는 극좌에 가깝고 타운젠드도 공산당의 당원이었다는 점에서 매우 어울리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65] 일반적으로 록 음악 팬들, 특히 1960~80년대의 올드 록 리스너일수록 2000년대 이후 R&B와 힙합이 이끌어가는 현대 대중음악 시장을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다른 사람도 아니고, 록 음악가들의 최고참인 에릭 클랩튼이 비버의 팬임을 밝혔으니... [66] 비슷하게 친구 지미 페이지도 최근 힙합 쪽에 관심이 많아졌다는 듯. 이쪽은 아예 래퍼 퍼프 대디와 Come With Me라는 콜라보를 했던 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