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8 22:13:08

가공의 기년법

1. 개요2. 사례
2.1. 순수한 가상의 기년법2.2. 기존 기년법 또는 연호의 변용
2.2.1. 가상의 한국 연호2.2.2. 가상의 일본 연호2.2.3. 가상의 중국 연호2.2.4. 가상의 서양 연호
3. 같이 보기

1. 개요

창작물(소설/게임/애니메이션) 등에서 등장하는, 작가가 창조한 가공의 기년법 또는 연호. 가공의 화폐와 마찬가지로 작품 내의 배경이 현실이 아님을 강조하기 위해서 쓰이는 작지만 효과적인 장치이다. 특히 기년법의 경우 화폐단위보다도 더 크게 작중 세계의 역사와 배경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 효과는 지대하다. 하지만 이미 우려먹을 대로 우려먹어 지금은 양산형 판타지 소설의 필수요소 중 하나다.

가상의 기년법이 쓰이는 경우는 크게 3가지 있는데 첫째는 현실 세계가 아닌 판타지 세계관인 작품, 둘째는 아득히 먼 미래를 다루는 작품, 셋째는 실제 역사처럼 등장하는 가상의 통치자가 자신을 드높이기 위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기에 작품에 따라서는 이러한 가상의 기년법과 현실 세계에서도 쓰이는 서력기원 등의 실존 기년법이 함께 병용되기도 한다. 또한 한 작품 내에서 여러 종류의 가상의 기년법들이 동시에 나오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는 이유는, 현실에서 주로 쓰이는 서력 기년법을 사용한다면 필연적으로 현실세계와의 연관점이 의식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시대적으로 특정 사건이나 문물의 발전 양상이 서력 기년법으로 따졌을 때 옳고 그른지 고려해야 할 수도 있고 고증 문제도 복잡해질 수 있기 때문. 따라서, 작품이 서사적으로 크게 긴 작품이라 연대 구분은 필요한데 서력 기년법에 얽매이고 싶지 않을 경우에 작가들이 주로 사용한다.

주로 판타지 장르나 SF 쪽에서 많이 사용되는 편이지만 작품마다 사용유무는 다르다. 같은 판타지 소설일지라도 해리 포터 시리즈처럼 현실의 내용이 등장하는 경우는 등장인물의 생몰년까지 서력으로 나오지만 반지의 제왕 같은 경우는 쓰이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같은 SF지만 스타워즈 시리즈에는 독자적인 기년법이 등장하는 반면, 스타크래프트 시리즈는 현실과의 연관점이 배경설정의 극히 일부 정도임에도 불구하고[1] 서력 기년법이 사용된다.

굉장히 잘못 사용되고 있는 개념이기도 하다. 기년법은 연도를 세는 기준을 정하는 것일 뿐 역법 그 자체가 아니다. 역법에는 연도의 기준을 정하는 방법까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정확히는 역법의 구성요소 중 하나일 뿐이다. 따라서 연도를 말할 때 무슨무슨 '력'을 넣는 것을 매우 어색한 표현이 된다.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현재를 '서기 xx년'이 아닌 '그레고리력 xx년'이라고 표현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레고리력은 서기 1582년에야 도입되었으므로 그레고리력이란 표현이 연도의 기준이 될 수 없음을 쉽게 알 수 있다. 현실에서도 이슬람력 등의 표현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이슬람력에서 기년법의 기준은 헤지라이고, 따라서 원칙적으로는 '헤지라 xx년'이 옳으며 실제로 무슬림들은 그렇게 사용한다. 다만 일반 한국 사람들한테 헤지라가 매우 생소한 개념이므로 우회적으로 이슬람력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우리가 '서기'라고 줄여쓰는 '서력기원'을 '서력'으로 불렀는데, 일본에서는 일본 고유의 연호가 사용되므로 익숙하지 않은 서력기원을 우리가 헤지라를 이슬람력으로 치환하듯이 서력으로 치환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일본에서는 '력'이 기년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받아들여졌고 일본 창작물에서 수많은 '력'을 사용하는 기년법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사실 역법이 기년법의 요소를 담고 있으므로 현실에서야 '서양 달력으로는 xx년이라더라'를 '서력 xx년'이라고 충분히 줄여 부를 수 있지만, 창작물에서 역법의 사용자가 자기네 연호나 기년을 말하면서 역법을 거론하는 것은 어색하다.

2. 사례

2.1. 순수한 가상의 기년법

2.2. 기존 기년법 또는 연호의 변용

2.2.1. 가상의 한국 연호

  • 광화(光化) ( 궁(드라마)): 일제강점기 광복 후 대한민국이 입헌군주국이 되면서 성조가 정한 연호. 1945년(광화 원년)부터 1993년(광화 49년)까지 사용.
  • 인화(仁化) ( 궁(드라마)): 성조 붕어 후 둘째 아들 이현이 즉위하면서 개원. 1993년(인화 원년)부터 작중 배경인 2006년(인화 14년)까지 사용 중.
  • 광희(廣熙) ( 더킹 투하츠): 대한민국 광복 후 3대 국왕 이재강의 연호. 2009년(광희 원년)부터 2012년(광희 3년)까지 사용.
  • 태화(泰和) ( 더킹 투하츠): 이재강 국왕 암살 후 동생 이재하가 즉위하면서 개원. 2012년(태화 원년)부터 에필로그에 나오는 2016년(태화 5년)까지 사용 중.

2.2.2. 가상의 일본 연호

  • 게이쵸(慶兆) ( 바사라): 실제 연호인 慶長과 발음이 같고 표기가 다르다.
  • 반포(万保) ( 이세계 약국): 실제 연호인 레이와(令和)의 후보 중 하나였던 연호. 레이와와 완전히 일치한다.
  • 세이카(正化) ( 도서관 전쟁): 작중에선 쇼와(昭和) 다음의 연호가 헤이세이(平成)가 아닌 세이카다. 실제로 세이카는 히로히토 사망 후 새 연호를 정할 때 헤이세이, 슈분(修文)과 함께 후보로 올랐던 연호라고 한다.
  • 쇼와(昭和) - 실존 연호이나, 실제로 존재했던 64년(서기 1989년) 이후를 쓰는 경우.
  • 타이쇼(大正) - 역시 실존 연호이나, 실제로 있었던 15년(서기 1926년) 이후를 사용하는 경우.
  • 텐쇼(天翔) ( 바사라2): 위의 게이쵸와 마찬가지로 실제 연호인 天正과 발음이 같고 표기가 다르다.
  • 헤이세이(平誠) ( 백화요란 사무라이 걸즈): 2019년 4월 30일까지 실제로 사용된 헤이세이(平成)와 한자 표기가 다르다.

2.2.3. 가상의 중국 연호

  • 민국력 ( 대통령 각하 만세): 엄밀히는 중국이 아닌 대한민국의 민국을 따온 것이지만, 실존하는 민국력은 중국이 사용했다.

2.2.4. 가상의 서양 연호

3. 같이 보기



[1] 설정상 UED의 먼 뿌리는 UN에서 출발한다. UN → UPL → UED. [2] 이 게임의 가상언어 휴므노스어로 '신성한 소리의 시대'를 뜻한다. 1년은 360일. [3] 포드가 T형 모델을 만든 서기 1908년을 기준으로 한다. 고로 AF 632 = AD 2540 [4] 우리가 흔히 쓰는 말로는 파운데이션력이 자연스럽겠지만 구판본 번역은 기원으로 직역했다. 다만 작품 특성상 기원도 오역이라고 하긴 힘들다. [5] 정확히는 여기서 나오는 가상 현실인 언더월드의 연표이다. [6] 에스겔력 한정으로 1년의 날짜가 220일로 365일보다 적지만 자전주기가 길기 때문에 지구로 치면 400일이라고 한다. [7] ∀건담의 정력과 한글 표기는 똑같지만 한자가 다르며 征曆이라 쓰며, ∀건담의 정력은 아래에 C.C로 표기했다 . [8] 알라바스타 왕국에서 고대 때 사용하던 기년법이지만 밝혀진 것이 적어 알라바스타 왕국에서만 사용한 것인지 알 수 없다. [9] 1600년 영국에서 실제로 발간한 항해력 중의 하나인 해원력에서 따온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