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ee1c25><colcolor=#fff> 면류 | 기스면 · 도삭면 · 딴딴면 · 마장면 · 뱡뱡면 · 쏸라펀 · 우육면 · 작장면 · 장수면 · 초마면 · 탕육사면 |
밥류 | 황금 볶음밥 · 차오판 | |
죽류 | 납팔죽 · 화생호 | |
탕류 | 누룽지탕 · 마라탕 · 불도장 · 훠궈 | |
만두류 | 딤섬 · 만터우 · 물만두 · 소롱포 · 춘권 · 훈툰 | |
두부류 | 건두부 · 마파두부 · 모두부 · 취두부 | |
육류 | 거지닭 · 경장육사 · 구수계 · 궁보계정 · 난자완스 · 남경 오리 요리 · 동파육 · 홍소육 · 라조기 · 백운저수 · 북경 오리 구이 · 삼투압 · 저표육 · 양꼬치 · 어향육사 · 오향장육 · 차사오( 미즈차사오) · 탕수육 · 궈바오러우 · 해삼주스 · 화퇴 · 회과육 | |
수산물 | 멘보샤 · 샤오룽샤 · 샥스핀 · 세수해 · 쏸차이위 · 처우구이위 · 취하 · 칭둔귀 · 카오위 | |
반찬 채소류 |
소채( 자차이 · 청경채볶음) · 청초육사 · 파오차이( 쏸차이) | |
음료 | 량샤 | |
주류 | 틀:중국의 술 · 틀:대만의 술 | |
간식 후식 |
내유작고 · 라탸오 · 뤼다군 · 사치마 · 삼부점 · 시미로 · 월병 · 주량원자 · 중화과자 · 탕후루 · 행인두부 · 바쓰 | |
대만 홍콩 마카오 계열 |
누가 크래커 · 대만 샌드위치 · 대만식 카스텔라 · 루로우판 · 빤켁 · 좌종당계 · 지파이 · 쩐주나이차(버블티) · 쭈빠빠오 · 타로볼 · 펑리수 · 할포 | |
기타 | 귀령고 · 꽃빵 · 루어보가오 · 부용단 · 빙( 젠빙) · 서홍시초계단 · 석자갱 · 유탸오 · 전가복 · 쭝쯔 · 차예단 · 팔보채 · 피단 | |
<colcolor=#fff> 마라탕
|
|
<colbgcolor=#900> 언어별 명칭 | |
한국어 | 마라탕 |
영어 | Spicy Hot Pot / Malatang |
중국어 |
(
간체자) 麻辣烫 ( 정체자) 痲辣燙 (Málàtàng) |
[clearfix]
1. 개요
초피· 팔각· 정향· 회향· 쿠민 따위를 넣고 가열해 향을 낸 기름에[1] 고춧가루와 두반장을 넣고 육수(주로 사골 육수)를 부은 다음 야채· 고기· 버섯· 두부· 완자· 해산물· 푸주·납작당면 등을 넣어 끓이는 중국 요리이다. 쉽게 생각하면 1인용 훠궈라고 보면 된다.캡사이신을 포함하여 다양한 향신료를 사용하며, 특히 매운 맛을 느끼게 해 주는 물질인 캡사이신의 효과와는 다른 종류인 하이드록시 알파 산쇼올이라는 화학 물질 탓에 마파두부처럼 입 주변과 혀가 얼얼한 맛이 특징인 요리 중 하나이다.
2. 기원
마라탕의 기원이 되는 음식은 쓰촨 지방의 음식인 마오차이(冒菜)다. 청두시에서는 마오차이를 흔히 '1인용 훠궈'라고 한다. 혼자나 둘이서는 여러 재료를 다양하게 시켜야 하는 훠궈를 먹기가 부담스럽기 때문에 다양한 재료를 대나무 채에 한데 모아 담아 한꺼번에 훠궈 국물에 끓인 다음 1인분씩 그릇에 덜어서 내놓은 것이 마오차이의 유래다. 마오차이는 길거리에서도 여전히 판매되지만 고급화된 프랜차이즈와 대형 매장도 여럿 존재한다.마라탕도 중국 전역에 '쓰촨의 마라탕'이라고 알려졌지만 정작 쓰촨 지역에서는 음식 이름 앞에 마라를 붙이는 경우가 별로 없다. 쓰촨의 잘 알려지지 않은 음식이 다른 지역에 수출될 때 마라를 앞에 붙여 맛의 특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2] 쓰촨 현지인은 마라탕을 쓰촨 요리로 인정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쓰촨 지방에서 식당에서는 훠궈와 비슷한 마라탕을 먹으며 길거리에서는 미리 마련된 육수에 꼬치를 샤브샤브처럼 담갔다가 익히는 방식으로 먹는데 이처럼 꼬치( 串)를 육수에 담가 샤브샤브처럼 먹는 마라탕은 마라촨(麻辣串, 뀀[3])이나 촨촨샹(串串香)이라고도 부른다.
랴오닝 지방에서는 한국의 전골처럼 뜨겁게 끓는 상태에서 건더기를 건져 먹으며 독특하게도 육류는 양고기나 소고기가 아닌 말고기를 넣어서 먹고 순대와 우유, 연어, 콩 등을 주로 첨가하여 먹기 때문에 현지인 사이에서도 상당히 많은 호불호가 갈린다.
3. 식당
중국에서 마라탕 식당은 탕에 넣을 재료를 뷔페식으로 진열해 놓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4] 한국의 마라탕 식당도 대개 이러한 중국 식당의 방식을 사용한다. 손님이 직접 매운맛의 단계를 선택하고, 양푼에 먹고 싶은 재료를 담아서 카운터에 내면 무게에 따라 가격을 매긴 후[5] 주방에서 재료를 넣고 조리하여 탕을 완성해서 가져다준다. 양고기, 소고기, 새우 등은 가격이 비싼 원료인지라 별도로 추가해서 넣는다. 마라탕의 볶음 요리 버전인 마라샹궈를 함께 판매하는 경우가 많고 마라샹궈도 이런 식으로 가격을 매기지만 별도의 조리가 들어가는 관계로 무게당 가격을 좀 더 비싸게 매기는 경우가 많다.뷔페식이 아닌 단품 메뉴로 정해진 레시피대로 재료를 넣은 마라탕을 제공하는 식당도 있는데 이런 곳들은 마라탕 전문점이라기보다는 여러 메뉴를 동시에 취급하는 식당일 가능성이 높으며 마라탕 특유의 향신료 향을 약하게 하는 경우가 꽤 있어 입문용으로 적당할 수도 있다.
식당에 따라서 마라탕에 땅콩 양념[6]을 주는 곳도 있으므로 땅콩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사전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7] 최근에는 땅콩 양념을 별도로 배치하여 이런 땅콩 알레르기 손님을 배려하는 곳도 늘어났다.
기호에 따라 테이블에 배치된 라유( 고추기름), 마유( 산초기름), 마장(깨장), 흑초(어두운 색의 식초)를 첨가하여 풍미를 더할 수 있다. 라유는 매운맛을, 마유는 얼얼한 느낌을 더해주며 흑초를 넣으면 감칠맛을 더하고 매운맛을 중화하는 효과가 있다. 가게에 따라 다르나, 산초기름이 아닌 산초가루를 놓아두기도 한다.
한국에서 매운 음식 식당에서 쿨피스를 함께 취급하는 것처럼 중국 마라탕 식당에서 매운맛을 달래주는 음료를 함께 판매하는데 빙홍차, 빙탕설리(冰糖雪梨), 예슈예즈(椰树椰汁), 차파이 등이 있다. 한국에서도 상당수의 마라탕 전문점에서 이같은 중국 음료와 칭따오, 하얼빈 등의 중국 맥주를 함께 판매한다. 빙홍차는 그냥 맛이 강한 복숭아 아이스티[8], 빙탕설리는 배+모과 맛 꿀차[9], 예슈예즈는 코코넛밀크 맛 음료에 가깝다고.[10] 차파이는 복숭아 향이 나는 우롱차이며, 유자녹차, 자스민 향 등 종류가 많다. 이 외에도 경전내홍차라는 밀크티도 있다.
3.1. 위생 문제
마라탕의 특성상 국물의 색이 진하고 향신료 건더기가 많아서 작은 이물질은 육안으로 발견하기 어려우며 강한 향신료를 사용하는 요리이기 때문에 잔반 재사용을 하거나 재료의 질이나 신선도, 위생 상태가 좀 떨어져도 자극적인 향신료 맛에 가려지므로 먹는 사람이 알아차리기 힘들다는 지적이 있다.마라탕을 실온에 보관하면 순식간에 상하니 주의해야 한다. 덥고 습한 여름에는 3시간 이내에 상할 수도 있다. 마라탕이 다른 음식에 비해 유독 빨리 상하는 이유는 마라탕에 다량으로 들어가는 땅콩 소스의 부패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이다.
원하는 재료를 직접 고를 수 있게 되어 있는 곳은 대부분 재료 통에 뚜껑이 없고 열려 있으므로 벌레 등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위생 문제가 걱정된다면 재료를 진열해 두는 마라탕 전문점 말고 고급 중화요리 전문점 중에 마라탕도 하는 곳을 찾아보자. 마라탕의 인기에 편승해서 기존 중국 음식점 중에서도 마라탕을 판매하는 곳이 꽤 생겼기 때문이다. 이런 곳에서 마라탕을 시킬 경우 재료를 원하는 대로 직접 선택할 수는 없고 가게에서 정해진 레시피대로 재료를 추가해서 만들어 준다는 차이가 있다.
2019년 7월 22일 식약처의 위생 점검 결과 위생 상태가 불량한 음식점과 원료 공급 업체들이 무더기로 적발되어 마라탕의 위생 상태에 대한 논란이 일어났다. 기사.
2022년에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의 한 마라탕 배달 전문점에서 넓적 당면을 타일 접착제 통에 보관하고 있는 모습이 논란이 되었다. 기사.
2023년에는 식약처에서 마라탕· 양꼬치· 치킨 배달 음식점 4천여 곳을 위생 점검 했는데 이 중 51곳(1.3%)만이 적발되었다는 의외의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기사.
4. 한국에서의 인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cd313a><colcolor=#fff> 면류 | 짜장면( 간짜장 · 물짜장 · 사천짜장 · 삼선짜장 · 유니짜장 · 짬짜면 · 짬짜장) · 기스면 · 짬뽕(고추짬뽕 · 굴짬뽕 · 중화 야끼우동 · 삼선짬뽕) · 우동(삼선우동) · 울면(삼선울면) · 우짜 · 중국냉면 · 반반 메뉴(볶짜면 · 볶짬면 · 탕짜면 · 탕짬면 · 탕우면) |
밥류 | 볶음밥 · 삼선볶음밥 · 잡채밥 · 짜장밥 · 짬뽕밥 · 중화비빔밥 · 탕볶밥 | |
요리류 | 탕수육( 김치피자탕수육) · 깐풍기 · 양장피 · 유산슬 · 유린기 · 마라탕 · 군만두 · 맛탕 · 물만두 · 깐쇼새우 · 콩국 | |
간식·후식 | 공갈빵 · 꽈배기 · 호떡 · 찹쌀도넛 · 누룽지탕 | |
2010년대 초반까지는 한국에서 인지도가 낮은 요리였으며, 조선족이 많은 동네 중 하나인 대림동에서조차 현지에 사는 한국인은 그다지 즐겨 먹지 않았다. 그러다가 2010년대 중반부터 중국인이나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전문 음식점이 늘어나면서 점점 한국인에게도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점차 청년 여성층을 중심으로 마라탕의 얼얼한 매운맛이 인기를 끌면서 대학가나 주요 번화가에 마라탕 프랜차이즈 식당이 여러 곳 생겨나고 마라 라면, 마라 치킨, 마라 떡볶이, 마라 닭발, 마라 부대찌개 등의 마라맛을 강조한 파생 메뉴·가공식품이 출시될 정도로 빠른 속도로 유행했으며 대중화되었다.
짜장면, 짬뽕, 탕수육 같은 다른 한국식 중화 요리와는 다르게 마라탕은 중화요리를 표방하는 중국집에서는 거의 취급하지 않으며 양꼬치, 훠궈, 마라탕 전문 식당에서 따로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11] 대한민국 사람들의 입맛에 맞게 현지화된 마라탕 식당은 국물을 즐기는 한국인의 취향을 고려하여 국물까지 마실 수 있도록 향신료의 농도를 낮추고 기름을 적게 쓰고 사골 육수를 사용하여 국물을 내놓는 경우가 대다수다.
보통 매운맛의 단계는 0~4단계까지 있다. 0단계는 매운 맛이 거의 안 들어간, 우리가 아는 사골 국물에 땅콩 소스가 들어간 색깔이며 단계가 올라갈수록 고추기름과 마라소스가 많이 들어가 빨간색이 짙어진다. 각종 토핑을 얹어낸 마라국수, 마라탕면 등의 응용 요리를 라멘이나 짬뽕과 유사한 비주얼로 내놓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다. 심지어 똠얌꿍의 시큼한 레몬그라스 맛을 결합한 '똠얌 마라탕'이라는 퓨전 요리까지 나오기도 했다.
마라탕의 유행으로 한국에서도 마라탕/ 훠궈 홍탕 소스를 인터넷을 통해 쉽게 구매가 가능하다. CJ제일제당, 오뚜기를 비롯 여러 회사에서 마라 소스를 경쟁적으로 출시하고 있으며 하이디라오, 라오간마 등의 중국 현지 브랜드 상품도 인터넷 쇼핑몰과 중국 식품 전문 매장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다. 한국의 브랜드에서 판매 중인 소스는 중국 브랜드 소스에 비해 한국인의 입맛에 맞춰 사골 육수를 사용하고 몇몇 자극적인 향신료를 빼 비교적 향이 약하고 맛도 마일드한 편이다.
대한민국에서의 마라탕 인기를 주도하는 소비자는 10대~20대 및 여성 소비층으로 분석된다. 2022년 3월 배달의민족에서 발간한 '배민트렌드 2022'에 따르면 10대 소비자층이 가장 많이 배달 주문한 메뉴로 마라탕이 뽑힌 바 있다. 출처, 기사 2022년 7월 KB국민카드가 학생증 체크카드를 발급한 회원 데이터를 분석해 발표한 최근 4년간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의 체크카드 이용 행태에 따르면 중·고등학생의 경우 여학생들의 마라 전문 음식점 이용 금액이 7%의 비중으로 3위를 차지하며 떡볶이 전문점을 제칠 정도로 두드러진 반면에 남학생의 이용 금액 비중은 순위에 없을 정도로 낮았다. 대학생도 여학생은 마라 전문 음식점이 2%의 비중으로 10위를 차지했지만 남학생의 이용 금액 비중은 순위에 없을 정도로 낮았다. 경향신문 기사, MBC 뉴스 영상.
마라탕 유행을 '트렌디화'로 분석하는 경우도 있다. 과거 냄비형 신당동식 떡볶이나 엽기 떡볶이류가 차지했던 젊은 여성층이 선호하는 매운 간식류의 트렌드가 양이나 재료, 매운 맛의 다양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고 강렬한 맛과 화려한 비주얼을 가진 새로운 음식 마라탕으로 넘어간 것으로 분석된다. 결국 이전까지의 유행음식과 마라탕의 차이는 혼자서 자기가 원하는 형태로 커스터마이징해 먹을수 있는 자유도가 높은 혼밥러 음식이라는 점이 여성들의 다양한 음식취향을 한번에 충족시켜준다는 측면에 있다. 한국에서 마라탕이 차지하고 있는 젊은 여성층 주도의 트렌디한 외식의 위상을 일본에서는 한식, 특히 치즈가 들어간 매운 음식들이 차지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일본 학자들 중에서는 이 점에 착안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5. 한국의 마라탕 체인점
한국의 마라탕 체인점 목록은 다음과 같으며, 이외에도 무수히 많다.
5.1. 홈페이지가 있는 마라탕
- 다복향
- 탕화쿵푸
- 야미마라탕
- 라화쿵부
- 춘리마라탕
- 라홍방마라탕
- 소림마라
- 신마라명가
- 마라당
- 마라공방
- 미미관마라탕
- 홍주방
- 대박마라탕
- 취향마라
- 라쿵푸 마라탕
- 피슈마라홍탕
- 샹츠마라
- 착한마라탕
- 라와마라탕
- 마라순코우마라탕
- 라사천마라탕
- 초선마라
5.2. 홈페이지가 없는 마라탕
- 핫미마라탕
- 라화방
- 라화공방
- 룽푸청 마라탕
- 마라연구소
- 마라부마라탕
- 향리원마라탕
- 구들마라탕
- 신룽푸마라탕
- 신라마라탕
- 마라영웅
- 마라롱 마라탕
- 마라캡틴
- 상상챈마라탕
- 니하오마라탕
- 신미방마라탕
- 신라방마라탕
6. 조리법
1~3번은 마라탕 소스를 제조하는 과정이다. 시판되는 소스를 구매할 경우 바로 4번 과정부터 진행하면 된다. 가정에서 마라탕을 조리할 경우, 환기가 잘 안 되는 공간에서 끓이면 집 안 전체가 고추기름, 팔각, 산초 냄새로 가득 차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으며 냄새가 매우 강렬하여 집에 냄새가 배면 잘 빠지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1. 기름을 넉넉하게 두르고[12] 각종 향신료( 초피, 팔각, 정향, 회향, 쿠민, 육두구 등)을 넣어서 향유를 만들고 체에 걸러서 향신료들을 거른다.(이때 찬물에 불려놓고 기름에 볶으면 향신료의 향을 기름에 좀 더 많이 담아낼 수 있다. 뜨거운 물도 가능하고 시간도 찬물보단 짧지만 향 손실이 찬물보단 심한 걸 감안할 것.)
- 2. 1에서 만든 향유에 고춧가루를 넣어서 고추 향을 첨가해 주고 체에 걸러 고춧가루를 거른다.
- 3. 여기에 두반장을 넣어 볶아 소스를 만든다.
- 4. 소스에 육수를 넣고 청경채, 배추, 팽이버섯, 양송이버섯, 고수, 옥수수면, 소시지, 고기[13], 두부, 버섯, 어묵, 완자, 두부피(豆腐皮), 고구마떡, 콴펀(宽粉, 넓적 당면), 푸주(腐竹, 죽순 형태의 말린 두부) 등 취향에 따른 원하는 재료를 넣고 끓여서 완성한다.
채식주의자를 위한 비건 마라탕도 있는데 일반 마라탕이 주로 사골 육수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비건 마라탕은 유채씨유 같은 식물성 기름과 채소 육수를 사용하고 청경채, 배추 같은 식물성 건더기와 납작당면, 떡 같은 탄수화물류, 그리고 버섯류 건더기 정도만 넣는다.
7. 건강
여타 자극적인 외식 메뉴가 그렇듯이 건강에는 좋지 않은 음식이다. 마라탕은 1인분에 1500~2000kcal 에 육박하는 고칼로리 음식으로 꼽힌다. 마라탕을 만들 때 사용하는 마라 소스는 원재료 중 식용유의 비율이 5~60% 정도로 지방 함량이 매우 높은 편이고 사골 육수도 기름을 걷어내지 않으면 지방 함량이 10% 이상이다. 게다가 마라탕에는 햄, 소시지, 고기, 납작 당면, 옥수수면, 떡, 수제비, 유부, 어묵, 푸주[14] 등의 고칼로리 재료를 마음대로 넣을 수 있으므로 어떤 재료를 얼마만큼 넣느냐에 따라 열량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게 된다.향신료로 인한 강한 자극과 높은 염분도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마라탕에는 화자오, 정향, 육두구, 팔각, 산초, 회향, 초피 등 다양한 종류의 향신료들이 들어가는데 이런 향신료들은 소화 기관에 자극을 주게 되며 계속 반복될 경우 설사나 위염 등의 각종 질환을 야기할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 판매되는 마라탕은 향신료의 비중이 낮은 편이지만 나트륨 함량이 2000~3000mg 정도로 높기 때문에 국물은 적당히 마시고 남기는 것이 좋다. 영상[15]
8. 기타
- 쓰촨에서는 마라탕 가게도 당연히 많지만 마오차이가 주로 판매된다. 쓰촨 외의 지역에서는 마라탕과 마오차이가 혼용되는 추세고 초기에는 맛이 그렇게 강하지 않던 마라탕도 갈수록 더 얼얼하고 매운 맛을 추구하면서 둘 사이의 구분이 옅어지고 있다. 쓰촨 이외의 대도시에서는 마오차이 가게와 마라탕 가게의 음식에 차이가 없는 경우가 많다. 쓰촨식의 얼얼하고 매운 맛을 즐기고자 한다면 되도록 마오차이 가게에서 시켜야 실패가 적다. 마오차이는 비교적 널리 알려지지 않은 이름이라 쓰촨 사람이 운영하는 가게이거나 쓰촨에 본점을 둔 체인점일 가능성이 높으며 그럴 경우 쓰촨 현지의 맛을 추구하는 편이고 대체로 맛도 보장된다.
-
중국인은 대개 마라탕의 국물을 먹지 않고 건더기만 건져 먹는데 건더기만 건져 먹는
훠궈류에서 유래했기 때문이기도 하고 염도가 높고 조미료, 고추기름, 향신료가 많이 들어가 건강에 좋지 않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애초에 마라탕(麻辣烫)의 烫(tàng)은 데우거나 끓였다는 의미만 있어서 국이나 국물이라는 뜻의 汤(tāng)과는 별개의 음식으로 취급한다. 한 예로 2019년 후반에 중국 인터넷상에서는 "마라탕 국물까지 마실 놈"이라는 욕이 유행한 적이 있었다. 유래는 중년 여성이 딸의 가난한 남자친구와의 결혼을 반대하며 "그렇게 가난해서야 마라탕 먹을 때 국물까지 다 마시겠네"라는 비하 발언을 하는 통화 영상인데
중국인이 마라탕 국물 마시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보여준다. 한국으로 치면
탕수육을 먹고 난 뒤에
접시에 남은
소스에 밥까지 비벼서 싹싹 긁어먹는다는 뉘앙스에 가깝다.
다만 이 기준을 한국식 마라탕에까지 가져와 한국식 마라탕도 국물을 마시면 안 되는 것처럼 몰아가며 지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한국식 마라탕은 국물까지 마실 수 있도록 개량이 되었기 때문에 전혀 해당되지 않는다. 중국에서도 마라탕 국물을 그냥 버리기는 아깝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많이 있기에 사골 육수나 우유를 베이스로 하여 국물을 먹을 수 있는 마라탕 제품이나 레시피들이 많이 나오고 있고, 이런 마라탕은 중국인들도 국물까지 먹는다. 원래 정통 현지식 마라탕은 한국식으로 개량된 마라탕보다 국물도 새빨갛고 기름도 훨씬 많이 들어가있어 딱 봐도 국물을 먹을만한 인상이 아니지만, 이런 국물을 먹는 마라탕은 생긴 것도 한국식 마라탕과 비슷하다.
- 양념만 구매한다면 의외로 조리법이 매우 간단하며 집에서 해 먹으면 부대찌개처럼 냉장고 정리용으로 굉장히 훌륭한 음식. 애초에 양념에 원하는 재료를 넣고 조리하는 요리이므로 무엇을 넣느냐에 따라 배리에이션이 천차만별이다. 양념 역시 요새는 어지간한 동네 슈퍼마켓에서는 다 구할 수 있으니 관심 있다면 시도해 보자.
- 조선일보 기사에 의하면 "마라탕 먹으러 갈래?"라는 말은 중국 젊은 세대가 데이트 신청을 할 때 쓰는 표현이라고 한다. 데이트할 때 값싼 마라탕을 함께 먹을 정도면 진정한 사랑으로 볼 수 있다는 의미에서 이런 표현이 나왔다고 한다. ----
- 위 기사에 따르면 중국인들은 2020년대에 한국에서 유행하는 마라탕 열풍에 기뻐하면서도 다른 귀하고 맛있는 중국 음식들도 많은데 하필이면 값이 싼 마라탕이 인기를 끄는지 의아해하는 경우가 많았다. 중국 언론에서는 " 부대찌개, 김치찌개 등의 매콤한 국물 요리를 좋아하는 한국인들에게 색다른 빨간 국물 요리가 어필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한국에서의 마라탕의 인기가 중국에 보도되자 분청들이 "한국이 마라탕을 빼앗으려고 한다"고 억지주장을 하기도 했다. #
- 중국에서는 마라탕 주문 시 가장 맵지 않은 맛을 고르면 사골 국물 같은 흰색 국물의 마라탕이 나오며 대한민국에서도 일부 마라탕 가게에서 매운맛 0단계로 백탕을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 다만 백탕은 맛이 사골보다 훨씬 연하여 밍밍한 맛이기 때문에[16] 조금이라도 양념을 섞어서 먹는 것을 추천한다. 이 때문에 중국식 매운맛에 익숙하지 않은 한국 사람들을 위해 웬만한 마라탕 가게는 백탕에 마라를 살작 띄운 '0.5단계'가 있고, 이를 주문하면 살짝 매운 정도로 조리해준다.
- 대한민국의 마라탕 식당에서는 탕수육의 일종인 꿔바로우를 함께 취급하는 경우가 많으나 실제 중국의 마라탕 식당들에서는 수십가지 이상의 요리들을 취급하는 곳이 아닌 이상 메뉴판에 꿔바로우가 있는 것을 보기 힘들다. 한국에서는 기존에 양꼬치 식당을 운영하던 둥베이 지방 출신의 조선족과 신화교들이 마라탕 식당과 프랜차이즈를 운영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고 양꼬치가 유행하던 시기 한국인들에게 인기를 끌었던 꿔바로우도 함께 메뉴로 취급하게 된 것이다.
- 마라탕을 한어병음으로 표기하면 'Malatang'인데, 한국에서는 마라탕을 로마자로 표기할 때 그냥 한글 '마라탕'을 그대로 옮겨서 'Maratang'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 마라탕을 주제로 한 게임도 나왔다. #
- 20대 여성들이 주축이 된 여초 커뮤니티 등에서는 '마라탕 중독' '마라탕 메이트' 같은 표현까지 등장할 정도로 대체로 상당한 인기를 끌고 있는 반면 20대 남성층들이 주축이 된 남초 커뮤니티에서는 민트초코 수준의 호불호 음식으로 꼽힌다. 강한 향신료 맛이나 위생 문제를 이유로 마라탕을 싫어하고 자신이 싫어하는 마라탕이 유행하고 언론 등에 자주 언급되는 것에 대해 불만을 가진 유저들과 마라탕을 선호하는 유저들간의 논쟁이 종종 벌어진다.
- 2020년대 이후 들어 초등학생들 사이에서도 마라탕이 인기를 끌고 있다. 기사 초·중·고 급식 메뉴로 마라탕이 나오는 경우가 많아졌다. # 학생들의 변화되고 있는 입맛이나 선호도, 앙케이트 결과를 반영한 것이라고 하며, 당연히 급식으로 나오는만큼 일반 식당의 마라탕에 비하면 매운맛과 향신료의 강도가 훨씬 약하다고 한다.[17] 때문에 백패커 2에서도 계촌초등학교 에피소드에서 탕후루와 함께 의뢰 메뉴로 선정되었다.
- 2020년대 마라탕, 그리고 마라탕과 같은 중국 음식인 탕후루의 유행 덕분인지 '마라탕후루'라는 두 단어가 합쳐진 단어가 탄생하기도 하였고, 이는 그대로 노래 제목이 되었다.
9. 관련 문서
[1]
기름은 보통
소기름이나 사천 지방에서 흔히 쓰는
유채유를 베이스로 사용한다.
[2]
깐궈-
마라샹궈, 촨촨샹-마라촨, 마오차이-마라탕.
[3]
꼬치를
중국 조선어로는 뀀으로 많이 표현한다.
[4]
뷔페식을 중국어로 '自助餐(Zìzhùcān, 셀프 서비스)'라고 한다.
[5]
8천 원~1만 원 내외의 최소 주문 금액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주로 청경채, 배추, 건두부, 푸주 등이 무게가 덜 나가니 이를 활용할 수 있다.
[6]
국물이 고소해지고 자극적인 매운맛이 덜해진다.
탄탄면 국물을 고소하게 하기 위해서 자주 들어가고 한국의
설렁탕에도 맛을 더하기 위해 넣는 경우가 있다.
[7]
땅콩 알레르기는 평범한
알레르기보다 증상이 훨씬 심하므로 소량의 땅콩만으로도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8]
와하하(娃哈哈)의 제품이다. 캉스푸 사에서 나온 제품도 있다. 비슷한 한국 음료로는 티즐이 있다.
[9]
이름에서 빙탕(얼음설탕)이 있듯이 상상 이상으로 달다. 한국 음료 중에서는 갈아만든 배와 어느 정도 결이 비슷할 것으로 추정된다.
[10]
한국에는 비슷한 음료가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11]
뿐만 아니라 조선족, 혹은 중국 귀화인 등이 중국인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중국음식 전문점은 왠만해선 다 마라탕을 취급한다. 외국인 노동자들이 많은 공단 근처 원룸가에서 이런 가게들을 쉽게 찾는 것이 가능하다.
[12]
식물성 식용유를 사용해도 되지만
소기름이나
돼지기름으로 조리하면 더 고소하다고 한다. 시판 소스는 대부분 유채유, 대두유 등 식물성 식용유로 제조된다.
[13]
취향에 따라
양고기 또는
소고기.
[14]
100g당 250kcal
[15]
떡볶이 1인분의 2배에서 3배 가량이고 라면 1개보다도 2배 가량 높다. 김치찌개, 된장찌개를 다 제치고 짜장면과 승부를 내야 하는 수준. 중화는 기본적으로 짜고 매운 맛을 강하게 내야 하다보니 전체적으로 나트륨 함량이 한식과 비교가 안 된다.
[16]
순수한 사골 국물은 가격이 비싸므로 다량의 물에 희석해서 사용한다.
[17]
대부분의 학교에선 맛과 비주얼이 육개장과 비슷하다. 그래도 넓적당면, 건두부 등의 건더기는 거의 비슷하게 나오는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