許 허락할 허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言,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1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キョ
|
||||||
일본어 훈독
|
ゆる-す, がり, ばか-り, もと
|
||||||
许
|
|||||||
표준 중국어
|
xǔ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許는 '허락할 허'라는 한자로, '허가(許可)하다', '허락(許諾)하다'를 뜻한다. 한국과 중국의 성씨로 사용된다.2. 상세
뜻을 나타내는 言(말씀 언)과 소리를 나타내는 午(낮 오)가 합쳐진 형성자이다.斯처럼 "이것"이라는 뜻의 근칭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수사 뒤에 붙어서 餘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유니코드에는 U+8A31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YROJ(卜口人十)로 입력한다.
- 강희자전: 1151페이지 14번째 글자
3. 자원
출전 | 원문 | 해설 |
설문해자 | 聽也。从言午聲。 | |
청대 단옥재 설문해자주 |
𦗟言也。 𦗟從之言也。耳與聲相入曰𦗟。引伸之凡順從曰𦗟。許、或假爲所。或假爲御。下武傳。許、進也。卽御進也。東平王蒼正作昭茲來御。又爲鄦之叚借字。 从言。午聲。 虚呂切。五部。 |
4. 용례
4.1. 단어
- 면허( 免許)
- 소허( 少許)
- 잠허( 暫許)
- 청허( 聽許)
- 특허( 特許)
- 허가(許 可)
- 허급(許 給)
- 허다(許 多)
- 허락(許 諾)
- 허문(許 文)
- 허부(許 副)
- 허상(許 上)
- 허시(許 施)
- 허여(許 與)
- 허용(許 容)
- 허유(許 由)
- 허접(許 接)
- 허종(許 從)
- 허참(許 參)
- 허체(許 遞)
4.2. 고사성어/ 숙어
4.3.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326,770명, 전체 29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양천(陽川)과 김해(金海)가 있다. 자세한 사항은 허(성씨) 문서 참조. 아래 예시는 대표적인 허씨들.
- 가허( 賈許)
- 추허조( 趨許 祖)
- 허각(許 閣)
- 허경영(許 京 寧)
- 허구연(許 龜 淵)
- 허난설헌(許 蘭 雪 軒)
- 허준(許 浚)
- 허균(許 筠)
- 쉬니엔츠(許 念 慈)
- 쉬융웨(许 永 跃)
4.4. 지명
- 한국
- 부산광역시 강서구 허왕후길( 釜 山 廣 域 市 江 西 區 許 王 后길)
- 서울특별시 강서구 허준로(서울 特 別 市 江 西 區 許 浚 路)
- 세종특별자치시 허만석로( 世 宗 特 別 自 治 市 許 萬 石 路)
- 중국
4.5. 기타
4.6. 중국어
- 许 [xǔ]
- 동) 허가하다
- 예) 允许 [yŭnxŭ]: 허락하다
- 예2) 不许 [bùxŭ]: 불허하다
- 예3) 特许 [tèxŭ]: 특허하다
- 동) 칭찬하다
- 예) 赞许[zànxŭ]: 칭찬하다
- 동) 약속하다
- 동) 약혼하다
- 동) 바치다, 주다
- 부) 아마도, 혹시
- 부) ~가량, ~정도
- 예) 少许 [shăoxŭ] : 약간쯤
- 부) 대단히, 매우
- 예) 许多 [xŭduō]: 상당히 많은
- 부) 이와같은
- 예) 如许 [rúxŭ]: 이와같은
4.7. 일본어
4.7.1. 훈독
- 훈독
- 상용한자표내
- ゆる-す
- 상용한자표외
- もと
- 許す(ゆるす, JLPT N3): 허가하다. 허락하다
4.7.2. 음독
- 음독
- 오음(呉音): コ(표외)
- 한음(漢音): キョ
- 許可(きょか, JLPT N3): 허가
4.7.3. 기타
- 許嫁·許婚(いいなずけ): 약혼자[1]
5. 유의자
6. 상대자
- 禁(금할 금)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忤(거스를 오)
- 𩵱[⿰魚午](농어 오)
- 𠵦[⿰吾午](만날/거스를 오)
- 旿/ 㬳(밝을 오)
- 玝(사람이름 오)
- 仵(짝 오)
- 吘(개가싸울 우, 소가울 후, 진언 흠)
- 杵(공이 저)
- 㞰(산이름 허)
- 汻(물가 호)[2]
- 𠖴[⿰冫午]
- 𪞸[⿰㐫午]
- 𡉦[⿰土午]
- 𭘔[⿰巾午]
- 𱙈[⿰女午]
- 𪭟[⿰扌午]
- 𢨵[⿰戶午]
- 𭠕[⿰手午]
- 𰝿[⿰火午]
- 𥘪[⿰示午]
- 𥄭[⿰目午]
- 𥐭[⿰石午]
- 𫀩[⿰禾午]
- 𬑩[⿰睡午]
- 𥾿[⿰糸午]
- 𰭷[⿰耳午]
- 𲆨[⿰酉午]
- 𫒍[⿰金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