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11:19:33

Geometry Dash/포럼 순위/ARED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0B0FF, #4166F5, #4166F5, #4166F5, #20B0FF)"
파일:Geometry Dash Logo.png

{{{#!wiki style="margin: 0px -10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colbgcolor=#0080ff><colcolor=#fff> 게임 요소 파일:icon-kit.png 아이콘킷( 레퍼런스) · 파일:gmd-achivements.png 업적( 샤드 수집 · 힘의 길)
커뮤니티 Pointercrate · 한국 포럼 · 갤러리 · 관련 사이트
· 용어( 소고기) · 기네스 · 관련 인물 · 논란 및 사건 사고
공식 레벨 파일:Easy GMD.png 스테이지( The Tower) · 파일:DemonGauntletIcon.webp 건틀렛 · 파일:MapPackFolderGMD.png 맵팩( Demon 맵팩) · 파일:weekly.png 위클리 데몬
온라인 파일:gmdcp.png 크리에이팅( 오브젝트 · 트리거) · 파일:GD_플레이버튼.png 온라인 레벨( 시리즈 · 챌린지) · 파일:ListsGMD.png 리스트 · 난이도 표기 문제
데몬 난이도 구분
파일:EasyDemonGMD.png Easy · 파일:MediumDemonGMD.png Medium · 파일:DemonGMD.png Hard · 파일:InsaneDemonGMD.png Insane · 파일:ExtremeDemonGMD.png Extreme
포럼 순위 등재 관련 #
Upcoming · Unrated · 역대 포럼 순위 1위( 플랫포머) · Main - Extended List
Legacy List · AREDL List · 플랫포머
연동 게임
기타 RobTopGames · Mega Hack · Geode
}}}}}}}}}}}}

파일:Leaderboard_Top1.webp
포럼 순위
1위 ~ 150 Main - Extended List
151위 ~ Legacy List
All Extreme Demon AREDL List

[ 목차 펼치기 · 접기 ]
1. 개요2. Main List3. Legacy List4. 순위 미정
4.1. 클래식 모드
4.1.1. HAPPY PILLS (?)4.1.2. DREAMING (?)4.1.3. Destruction 19 (Top 75)4.1.4. PixelSonic (Top 1000)4.1.5. Ykds1479ymdppr (Top 150)4.1.6. Pentakill (Top 1000)4.1.7. Devils Disco (Top 1000)4.1.8. Disintegrate (Top 700)
4.2. 플랫포머 모드
4.2.1. The Tower XXII (Top 1000)4.2.2. The Abyss (Top 600)4.2.3. Terminal Heaven (Top 800)4.2.4. 22 Trials of PAIN (Top 800)4.2.5. Robot King (Top 1000)4.2.6. Storm Front (Top 900)4.2.7. Tower of Infinity (Top 1000)4.2.8. Dungeon Treasures (Top 1000)4.2.9. Bouncy Ball (Top 900)4.2.10. Entrenched (Top 1000)4.2.11. FRUSTRATION (Top 800)4.2.12. Ice Climbers (Top 1000)4.2.13. Free Solo (Top 500)4.2.14. HYPER GRAVITRON (Top 700)4.2.15. Jetpack Trials (Top 600)4.2.16. Beatpulse (Top 900)
5. 관련 문서

1. 개요

AREDL 리스트는 Geometry Dash의 Extreme Demon 난이도의 모든 레벨을 난이도 순으로 정렬한 리스트이다. AREDL 리스트는 150위까지는 Pointercrate 리스트를 따르고 그 밑의 순위와 새로 레이팅된 Extreme Demon의 경우 독단적으로 리스트를 운영한다. 따라서 150위 이내에도 Pointercrate와 순위가 다른 경우가 존재한다.

2. Main List


===# Tidal Wave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idal Wav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Acheron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rmodynamix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Silent clubstep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lubstep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Avernus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ark Dragon Fir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Abyss of Darkness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eath Note Dubstep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Kyouki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razy(Creo)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Slaughterhouse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Lost(CRIM3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Sakupen Circles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Hell Yes(mr-jazzman)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Tunnel of Despair #===
파일:지메포크랭킹.jpg
Pointercrate 랭킹 TOP1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11px -10px"
#1 - Tidal Wave
OniLinkGD
#2 - Acheron
ryamu
#3 - Silent clubstep
TheRealSailent
#4 - Avernus
PockeWindfish
#5 - Abyss of Darkness
Exen
#6 - Kyouki
{出見塩}
#7 - Slaughterhouse
icedcave
#8 - Sakupen Circles
[AUF] Diamond
#9 - Tunnel of Despair
Exen
#10 - KOCMOC
cherryteam
}}}}}}}}}
최근 변경 내역: ↑1 Acheron #2
↑1 Silent clubstep #3
↓2 Avernus #4
기준일: 2024년 6월 16일
Tunnel of Despair
Tunnel of Despair - Exen & more, Verified by Zoink

캡션
<rowcolor=#ffffff>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및 버전
없음 91351939 1분 44초 75309 2023.6.7 (2.1)
{{{#!wiki style="margin: -16px -11px;" 공식 포럼 최고 순위 #9(Hardest Demon)
공식 포럼 현재 순위 #9(Hardest Demon)
난이도 Extreme Demon
}}} ||

Exen이 만든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디자인된 레벨이다. 좁은 터널을 지나가는 듯한 독특한 게임플레이와 잘 맞는 싱크가 특징이다.

2023년 6월 7일, Zoink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게임플레이가 참신하긴 하지만 드랍 파트의 독특한 경로를 그리는 웨이브를 외우는 데 한 세월이 걸렸고 최악의 클릭 패턴들도 있다며 혹평했다. 오죽하면 1위 맵인 Acheron과 Tidal Wave도 버프하고 베리파이한 Zoink가 이 맵은 최초로 자신이 버프한 부분을 일부 너프한 후 베리파이했을 정도. 너프 이전에는 1만 어템 가량을 사용했는데 너프 이후에는 1천 어템 만에 베리파이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2023년 10월 1일, 17위에 배치되었다. Zoink가 클리어하고 Top 30 정도이며 Top 20이여도 놀랍지는 않을 것 같다고 평가했는데 이보다 높은 순위로 배치되었다. 애초에 Zoink 자체의 실력 상승폭이 너무 커서 본인이 클리어한 맵들을 대부분 저평가하는 것도 있고 아무래도 Zoink가 원본을 먼저 플레이하고 너프된 버전을 플레이한 것과, 게임플레이가 난해하고 타이밍도 Top 30이라기엔 까다로운 편인 게 고평가의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다만 포럼 등재가 4달 정도 늦어진 것으로 보아 개인차가 크고 포럼 관리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많이 갈렸을 가능성이 있다.

원래 Zoink는 베리파이 영상에서 썸네일이 없다고 Drake를 썸네일로 썼었다. Zoink가 대체로 썸네일에 이상한 걸 쓰긴 하지만 베리파이 영상은 다른 유저들이 썸네일을 만들어 줬었는데, 유독 이 맵은 썸네일 제작 요청을 못 했는지 등재 순간까지도 포럼 순위표에 드레이크 얼굴이 박혀 있는 기묘한 상황이 연출되었다. 현재는 다른 맵들과 유사한 스타일의 썸네일이 제작되어 그걸로 변경되었다.

2024년 3월 13일, 20위에서 10위로 무려 10계단이나 상승해서 Firework를 제치고 Top 10에 진입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10위도 여전히 저평가이며 더 올라가도 이상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2024년 3월 17일, wPopoff가 최초로 클리어했다. Acheron보다 어렵다는 말은 장난이였으나, 여전히 이 맵은 저평이라고 생각했는지 이 맵을 Top 5~7 사이로 평가하였다. 추가로 어떻게 레이팅이 되었는지 의문이 들 정도로 형편없었으며 후반(77~94%)은 아케론, AoD를 포함한 어떠한 레벨의 후반보다 훨씬 어려웠다고 한다. 여담으로 이 맵이 재미없다며 포기하겠다고 언급한 지 6시간 후 클리어에 성공해 댓글창에서 밈이 되고 있다. wPopoff의 클리어 이후 한 계단이 더 올라 KOCMOC을 제치고 9위로 올라갔다.
===# KOCMOC #===
파일:지메포크랭킹.jpg
Pointercrate 랭킹 TOP1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11px -10px"
#1 - Tidal Wave
OniLinkGD
#2 - Acheron
ryamu
#3 - Silent clubstep
TheRealSailent
#4 - Avernus
PockeWindfish
#5 - Abyss of Darkness
Exen
#6 - Kyouki
{出見塩}
#7 - Slaughterhouse
icedcave
#8 - Sakupen Circles
[AUF] Diamond
#9 - Tunnel of Despair
Exen
#10 - KOCMOC
cherryteam
}}}}}}}}}
최근 변경 내역: ↑1 Acheron #2
↑1 Silent clubstep #3
↓2 Avernus #4
기준일: 2024년 6월 16일
KOCMOC
КОСМОС[1] - cherryteam[2], Verified by Zoink

캡션
OT 3AKATA DO PACCBETA // verified by GMD Trick ;) // dedicated to ViPriN
<rowcolor=#ffffff>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및 버전
001441 87665224 1분 28초 158706 2023.03.12 (2.1)
{{{#!wiki style="margin: -16px -11px;" 공식 포럼 최고 순위 #8(Hardest Demon)
공식 포럼 현재 순위 #10(Hardest Demon)
난이도 Extreme Demon
}}} ||
spk가 레이아웃을 만들고 cherryteam이 맵 데코를 제작한 Slaughterhouse 스타일 맵.

원본 레이아웃 버전은 업커밍 데몬 중에서도 최고 난이도로 여겨졌으나 제작 과정에서 너프되었다. 너프 전/후 비교 영상[3]

Slaughterhouse 스타일의 레이아웃이지만 보라색 우주 테마의 디자인이 호평을 받고 있다. 다만 앞부분과 뒷부분 파트는 드랍 파트의 디자인에 비해 심심하다는 의견이 많으며, 한국 유저들 사이에서 Sauz 파트의 토끼가 뜬금없을 뿐만 아니라 분위기를 해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4]

2021년 8월 23일 첫 프리뷰 영상이 올라왔고, 2021년 12월 8일 레이아웃이 완성되었으며, 2022년 10월 17일 Full Level이 공개되었다.

원래는 Dolphy가 베리파이할 예정이였으며, Dolphy가 레이아웃 버전에서 54-82%, 73-100%를 달성했다.

이후 베리파이어가 Dolphy에서 Trick으로 교체되었고, 77%를 달성했다. Firework보다 어렵다고 하였지만, Slaughterhouse와의 우열 비교는 하지 않았다.[5]

3월 12일 Trick이 베리파이를 맡은 것으로 알려진 지 일주일이 채 되지 않아 베리파이하였다. 이후 10위권 안에 어디에든 들어갈 수 있으며 플루크를 해버린 덕에 정확한 난이도는 모르겠다고 한다.

이후 Cursed에 따르면, 현재 맵 재조정&히트박스 조정과 함께 풀 디테일 플레이 편의성을 위해 konsi 파트가 교체된다고 한다. 그에 따라 Vernam이 현재까지는 언레이팅 상태로 유지해 달라고 모더 팀에게 부탁한 상태라고 한다.

한편 konsi의 파트가 kivvvi의 파트로 교체됨과 동시에 최적화가 끝난 이후 Zoink가 베리파이를 맡게 되었으며, 단 하루만에 53%를 달성하였다. 그리고 5월 13일 베리파이되었다.

사용된 곡은 SLEEPING HUMMINGBIRD – КОСМОС (∆XIUS LIИK RMX), 곡이 뉴그라운즈에 없는 NONG 형식의 맵이기 때문에, Albee라는 유저가 리믹스한 곡을 사용하고 있다.

2023년 5월 22일 에픽으로 레이팅되었다. 난이도 평가에 따라 최고난이도의 에픽맵이 될 가능성이 높으며, 베리파이어 Zoink는 실제로 간접적으로 이 맵이 LIMBO보다 어렵다고 평가하였다.[6] 그러나 Zoink는 Firework급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하였으나, 이후 전 베리파이어였던 Trick이 업데이트된 이 맵을 Firework보다 어렵다 하였다. 그리고 포럼에서 Hard Machine보다 두 배 어렵다던 MINUSdry보다 높은 순위에 랭크되었으며, Zoink를 제외한 유저들 대부분이 이 맵을 Firework 정도의 티어로 보고 있다.[7]

9위에 등재됨으로써 최고난이도의 에픽맵에 등극했다. 이전 버전의 베리파이어였던 Trick은 6월 16일 클리어 이후 Firework보다 어려운 8위로 평가하였으며 본인이 베리파이한 버전보다 게임플레이가 매우 나빠졌다는 혹평을 하였다.

Trick의 의견이 반영되었는지 Firework보다 높은 9위로 교체되었다.

2024년 1월 6일, Cursed가 두 번째로 클리어했다. # 게임플레이, 히트박스, 밸런스가 엉망이라는 평을 남겼다.

2024년 1월 18일, ArShadow가 클리어하였다. # ArShadow는 현재 업커밍 1위 데몬으로 예상되는 Kocmoc Unleashed를 베리파이하던 중 깬 것이라 그런지 어템을 약 1만밖에 들이지 않았다.

2024년 3월 4일, Doggie가 42419어템을 들여 마지막 클릭에서 두 번이나 죽고 클리어하였다. #

2024년 3월 16일, PoCle가 30,409 어템을 사용해 한국 최초로 클리어했다. #

2024년 3월 18일, Tunnel of Despair와 순위가 뒤바뀌어 10위로 떨어졌다.

===# Firework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lassical VIP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MINUSdry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ry Ou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The Lightning Rod #===
The Lightning Rod - Lavatrex


Lavatrex가 레이아웃, 디자인, 베리파이까지 모두 담당한 개인 제작 맵이다. 디자인은 조잡한 편이지만, 코어 디자인으로 구성된 좁은 공간에서 파란 열쇠만 먹어야 하는 거미 모드나 깜빡이며 공간이 제약되는 웨이브 등 참신한 게임플레이가 특징인 맵이다.

2023년 8월 29일 Lavatrex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예상 난이도는 Top 15.

2023년 10월 8일, Zoink 최초로 클리어했다. 클리어 이후 맵의 이상한 게임플레이 때문에 자신이 클리어한 레벨 중 2번째로 나쁜 맵이라 평했다.[8] Zoink답게 이 맵도 1만 어템 미만을 사용하여 클리어한 후 아마도 Top 15일 것이라고 언급했다.

2023년 10월 19일, 13위에 배치되었다. Tartarus급 맵을 대부분 5천 어템 전후로 쳐내는 Zoink가 어템을 꽤 많이 사용한 것도 그렇고, 정황상 Tartarus급-Tartarus 근소 상회급 맵들 중 가장 어려운 축에 속하는 것으로 보인다.

최초로 유명해진 당시에는 비슷한 이름 때문에 유명한 꽁데몬 'The Lightning Road'의 리메이크로 오해를 받기도 했다.

===# Deimos (ItsHybrid) #===
Deimos - ItsHybrid & more[9], Verified by Doggie

ItsHybrid가 주최한 Phobos의 공식 후속작.[10]

2021년 10월 14일, 디자인이 완성되어 full level이 공개되었다. 현재 난이도는 TOP 1급으로, 추후 난이도 밸런싱과 너프 등을 통해 TOP 5정도의 난이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Skele의 Deimos와는 달리 이 맵은 Phobos를 연상시키는 요소가 많다. 전작의 호스트였던 Tygresek도 참여하였으며, Phobos에도 참여하였던 Smokes는 이번에도 참여하여 파트를 만들었다.

베리파이어인 Blitzer가 38%, 31-64%, 46-100%를 달성했다.

현재 베리파이어가 Cursed로 바뀌었으며, 55-100%를 달성했지만 드롭하여 ThnnderGD가 베리파이하게 되었다.

현재 Thnnder가 45%, 41-93%를 달성했다.

2023년 8월 5일, Doggie가 43,813번의 시도 끝에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Doggie는 이 맵을 Abyss of Darkness Sakupen Circles 사이인 7위로 평가했으며, 10위 이내 어디든 들어갈 수 있다고 첨언했다.

2023년 8월 8일, Zoink가 5,209라는 어템으로 최초 클리어를 하였다. Zoink는 클리어 이후 이 맵을 Saul Goodman과 arcturus 사이인 The Hallucination과 비슷한 난이도라고 평가했다. 발언 시점 기준 15~16위로 평가했는데, Doggie가 7위로 평가한 것과 차이가 크다.[11]

2023년 9월 1일, 피쳐드로 레이팅되었다.

2023년 9월 22일, 13위에 배치되었다. 이 맵을 클리어한 두 초고수 Doggie와 Zoink의 난이도 평가가 크게 갈렸는데, 실질적으로 Zoink의 의견이 중점적으로 반영되어 배치되었다.[12] 사실 대부분의 유저들은 Doggie가 이 맵을 과대평가하였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있어도 Firework와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는데 Zoink가 마치 BoJ의 Wooshi999마냥 비정상적으로 이 맵을 빨리 깨버린 것이다. MINUSDRY는 몰라도 LIMBO는 아예 Tartarus 이하로 보는 유저들도 있을 정도로 확실히 Firework급 맵보다 크게 쉽게 여겨지는데, 그보다 낮은 순위이기에 Doggie가 놓은 티어보다는 Zoink가 놓은 Tartarus-Tartarus 근소우위의 티어로 여겨지기 때문. 실제로 상당수의 유저들이 LIMBO~Tartarus 사이는 난이도 차이가 아주 크지 않으며,[13] 맵 순위를 개인차에 따라 크게 변동을 두는 반면 MINUSDry 위로는 아래 맵들과 순위를 거의 섞지 않기에 실질적으로 Zoink의 손을 들어주었다고 봐야 한다. 아무래도 Zoink가 이 맵에 굉장히 적은 어템을 쓰고 클리어한 것이 영향을 크게 미친 것으로 보인다.

Trick이 이 맵을 클리어한 뒤 Zoink를 제외한 다른 유저들이 생각한 순위에 근접한 10위로 평가함으로써 순위의 향방은 다시 알 수 없어졌다. 현재 Geometry Dash에서 가장 유명한 초고수 3명이 전부 난이도 티어를 다르게 잡은 상황이라[14] 개인차가 상당히 심한 것으로 보인다. 보통 개인차가 심한 맵들은 구 불가능 맵처럼 독특하고 좋지 못한 게임플레이를 가진 맵인 경우가 많은데, 이 맵은 또 게임플레이에 대한 평가는 일관적으로 괜찮다는 게 특이한 점.

그러나 LIMBO가 이 맵 아래인 15위로 떨어져버리고 그 위의 맵들이 The Lightning Rod[15], Codependence 등 Tartarus급은 아니라고 평가받는 맵들인지라 그동안 LIMBO가 과대평가되어왔을 뿐 사실상 이 맵도 Tartarus급은 아니라는 것이 주류가 되었다.

===# LIMBO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LIMBO(Geometry Das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poocubed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arfai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Saul Goodman #===
Saul Goodman - Renn241 & more, Verified by Jori

Renn241의 브레이킹 배드 시리즈 마지막 맵으로, 난이도는 arcturus급이라고 한다.

iIilaseriIi가 25-65%, 54-100%, 44-74%를 달성했지만 드롭하여 Jori가 베리파이를 맡게 되었다.

현재 Jori가 65%, 35-100%, 25-91%를 달성했다.

2023년 5월 3일 베리파이되었다.

2023년 5월 22일 에픽으로 레이팅되었다.

2023년 5월 25일 Zoink가 클리어하고는 LIMBO보다 어렵고 arcturus, KOCMOC보다 쉽다라고 하였다. Tartarus급 난이도를 가진 맵으로 보이며, 베리파이 전 예측대로 10위권에 랭크될 것으로 보인다.

2023년 6월 11일, 12위에 랭크되었으나 5일 뒤, KOCMOC의 등재로 13위에 안착하였다.

한국유저 BrianTheKimbap이 한국 최초로 클리어했다! #

2023년 12월 3일, 한국유저 Seturan이 67969어탬을 들여 마지막 웨이브 구간에서 7번(91x3, 92x4)의 실패를 경험한 끝에 클리어하였다. #

2024년 3월 13일, 한국유저 Plkil이 82% 플루크를 하여 클리어했다. #

여담으로, 엔딩 아트 직전에 Silent clubstep의 극악 듀얼 파트를 볼 수 있다.[16][17]

===# Eyes In The Water #===
Eyes In The Water - hawkyre & more, Verified by LordVadercraft

hawkyre가 주최한 합작 맵이다.

기존의 다른 맵들에선 보기 힘든 독특한 분위기의 디자인과 마찬가지로 독특한 게임플레이를 가진 맵이다. 겉보기에는 최상위권 데몬치고 공간도 넓고 쉬어 가는 부분도 많다고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상당히 좁은 간격과 불규칙적인 클릭 패턴이 합쳐져 엄청난 난이도를 자랑하는 맵이다. 중반부에 장애물이 가려진 부분이 있어 암기맵으로 취급받기도 한다.

베리파이는 LordVaderCraft가 맡았다. LordVaderCraft가 98%[18], 34-100%를 달성한 후, 2023년 10월 27일 135,054번의 시도 끝에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LordVaderCraft는 이 맵이 Firework보다 어렵다는 평가를 내렸다.

2023년 11월 6일, 피쳐드로 레이팅되었다.

2023년 12월 6일, 17위에 등재되었다. 당초 LordVaderCraft가 Firework보다 어렵다고 평가한 것과는 달리 그보다 확실히 낮은 Tartarus급 순위에 배치되었다. 최초 클리어자인 Netermind가 이 맵을 Solar Flare 아래, Walter White 위의 30위[19]라고 주장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024년 2월 1일, Trick이 클리어했다. # Firework 바로 아래인 10위라는 평을 남겼다.

2024년 2월 7일, Zoink가 클리어하였다. # 어느 곳에 위치해도 좋은 맵이나, 10위권은 절대 아니라는 평을 남겼다.

2024년 3월 31일, 한국 유저 Seturan이 라이브 중 마지막에서 두번째 클릭[20] 에서 키가 씹혀 점프를 하지 못해 98%에서 죽었다. 그리고 다음날인 4월 1일[21], Seturan이 한국 최초로 클리어했다. #

===# Solar Flare #===
Solar Flare - Linear & Rynoxious, Verified by swiborg

Linear와 Rynoxious가 제작한 NC 레벨.

2023년 4월 30일 swiborg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swiborg는 이 레벨의 난이도를 TOP 35~55 정도로 평가했다.

2023년 5월 18일, 에픽으로 레이팅되었다.

2023년 6월 10일, Tartarus 바로 아랫 순위인 21위에 배치되었다가, 다음날 Saul Goodman의 등재로 22위가 되었다. 이후 Solar Flare 위에 배치된 맵이 늘어나며 29위까지 내려갔다가, 2023년 11월 08일 클리어한 여러 유저들의 고평가로 19위까지 상승하였다.

이 맵의 60hz 프레임 퍼펙트 수는 89개로, Tidal Wave의 레이팅 이전에는 레이팅된 맵 중 가장 많은 60hz 프레임 퍼펙트 수를 가진 맵이었다. 기존 1위는 Avernus의 82개였는데, 이 맵은 Tartarus보다 조금 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60hz 프레임 퍼펙트 수가 더 많다. 심지어 Tidal Wave는 3분짜리 맵이고 Solar Flare는 1분을 조금 넘기는 맵이라 초당 프레임 퍼펙트 수는 이쪽이 더 많다. 프레임 퍼펙트의 개수가 난이도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 주는 좋은 예로, 프레임 퍼펙트가 발생하기 쉬운 웨이브가 맵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면서 대부분의 타이밍이 딱 60hz 프레임 퍼펙트에 걸릴 정도로만 적당히 좁기 때문에 프레임 퍼펙트의 개수가 뻥튀기된 사례다.

===# Belladonna #===
Belladonna - Vernam & itami, Verified by exsii

CherryTeam 소속의 Vernam과 Itami가 만든 레이아웃 스타일의 레벨. Vernam이 레이아웃을 제작하고 Itami가 디자인인지 모르겠는 디자인을 담당하였다. 따라서 이 레벨 또한 레이팅된 것에 불만을 표하는 이들이 종종 보인다. 또한 레벨 전체에 공점 동타가 도배되어 있다.

2023년 9월 27일 exsii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 The Hallucination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Hallucination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Edge of Destiny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etrayal of Fear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Codependence (Solo) #===
Codependence - TCTeam, verified by Kapinapi & ViralDl, Solo verified by Pukklez

TCTeam이 제작한 2 Player 레벨. 현존하는 가장 어려운 2 Player 맵이다. # Duelo Maestro[22]를 보면 알겠지만 2 Player 맵을 혼자서 클리어하려면 동시에 두 개의 캐릭터를 따로따로 조종해야 하기 때문에 난이도가 급상승한다.

이 맵은 맵의 대부분을 2 Player 모드로 진행하는 데다 각각의 구간을 어지간한 상위권 Insane Demon ~ 하위권 Extreme Demon 수준으로 까다롭게 만들어 놓았다. 대부분이 미니 모드고 반으로 공간이 제한되어 있으며 듀얼 모드에서 비행기의 불편한 감도 때문에 좋지 않은 게임 플레이는 덤이다. 심지어 원래 솔로 클리어를 고려하고 만들어진 맵이 아니라 양쪽 구간의 클릭 패턴도 일치하지 않고 따로 노는 구간이 많아, Pukklez가 프로그레스를 내기 전까지만 해도 솔로 클리어는 불가능한 맵으로 평가받았다.[23]

2020년 7월 5일, Kapinapi가 ViralDl과 함께 베리파이하였다.

2023년 6월 5일, Pukklez라는 유저가 약 165,000어템을 사용해 최초로 혼자서 클리어했다.

2023년 7월 29일, Reptilian이라는 유저가 2번째로 혼자서 클리어했다. 클리어 이후 이 맵이 LIMBO보다 훨씬 어려우며 아마도 Top 10에 들어갈 것이라 언급했다.

2023년 9월 24일, conski라는 유저가 3번째로 혼자서 클리어했다.[24]

포럼 1위 유저이자 Acheron 베리파이어로 유명한 Zoink가 이 맵을 파고 있다. 이 맵이 Zoink가 처음으로 파는 2 Player 맵인데, 메인리스트 올클리어를 노리는 Zoink 입장에서는 본인이 지금까지 플레이해 오던 감각과 전혀 다른 스타일의 맵을 울며 겨자 멱기로 파는 상황이다. 그래서인지 Zoink는 생방송으로 이 맵을 팔 때마다 항상 쌍욕을 퍼부으며 멘탈이 갈려 나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3년 8월 15일, 8위에 등재되었다. 이 맵의 등재로 인해 Zodiac이 Top 30에서 떨어졌다.

이로써 Codependence는 2번째로 메인 리스트에 등재된 2 Player 맵이 되었다. 1번째는 Duelo Maestro인데,[25] 이 맵의 등재 당시 2 Player 맵이 포럼에 등재되어도 되냐는 논의가 있었지만 혼자서 베리파이에 성공한 맵은 등재를 허용한다고 기준을 세우는 쪽으로 마무리되었다. 그런데 Codependence는 2명이서 베리파이해 이 기준에 적용되지 않는데, 등재 여론이 형성되자 혼자서 클리어한 기록만 있으면 최초로 혼자서 클리어한 유저를 베리파이어로 취급하여 등재를 허용하는 쪽으로 기준이 완화되었다.

2024년 1월 24일, 재평가로 순위가 3단계 하락하여 Top10에서 퇴출되었다. 내려가는 건 그렇다쳐도 굳이 3계단이나 떨어트려 Top 10에서 퇴출당한 게 뒤가 구리다는 말이 있다.[26]

포럼에 등재할 때 2명이서 클리어하는 것이 아닌 혼자서 클리어해야 인정된다.[27]

참고로 맵 제목인 Codependence는 "상호의존성"을 의미한다.
이 맵의 게임플레이를 고려하면 꽤나 적절한 제목.

2월 16일, 포럼이 2P가 난이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레벨을 리스트에서 지우기로 결정하면서 Sides Of My Mind, Horros와 함께 나란히 레거시로 퇴출되었다. 이는 포럼 역사상 가장 큰 하락이다(11위→549위, 무려 538위나 떨어졌다.) 무려 포럼 10위권이 레거시에 있는 장면을 볼 수 있다.[28]

2월 17일, 어제 결정에 대한 반발로 인해 다른 2P 레벨과 함께 리스트로 복귀되었다.[29] 이로써 Codependence는 포럼 역사상 가장 큰 하락과 가장 큰 상승을 동시에 경험하게 되었다.

국내에서는 Plusxenon[30] 57%를 달성한 기록이 있다.

2024년 5월 20일, 무려 10계단이나 떨어져 23위가 되었다.

===# Mayhem #===
Mayhem - by Cherryteam, Verified by LordVadercraft



CherryTeam이 제작한 레벨. Cherryteam 맵답게 클릭싱크가 잘 맞는게 특징이다.[31]

또한 Slient Clubstep, Trueffet, The Yangire 등과 함께 극도로 심각한 초살맵으로 드롭 이전 파트가 난이도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버프된 후로는 Silent Clubstep의 프리드롭과 비견된다는 평이 나올 정도이다.[32]

2022년 2월 24일, full Level이 올라왔다. 난이도는 top5급이라고 한다. 베리파이를 맡았던 유저들[33]에 의하면 Firework보다는 쉽고, SWI보다는 확실히 어려우며, Tartarus급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2022년 5월 15일, RicoLP가 39-100을 성공했다.

2022년 6월 5일, LordVadercraft가 66-100을 성공했고, 7월 21일에는 51%, 10-85%, 7월 27일에는 83%, 10-100%을 달성했다.

2022년 7월 31일, LordVadercraft가 90%[34]에 도달했다.

2022년 8월 8일, LordVadercraft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난이도는 4-8위라고 하였다.[35]

2022년 8월 17일, 레이팅되었다.

2022년 9월 17일, 10위에 등재되었다. 다만 저평가라는 말이 꽤 많다. 상당수의 유저들이 Tartarus보다 높은 순위에 랭크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Tartarus 바로 아래 순위에 랭크되었기 때문. 베리파이 당시까지만 해도 Tartarus급이라는 것이 중론이었으나, 프레임 퍼펙트 수의 차이[36] 등으로 이 맵이 더 어렵다는 유저들이 존재한다. 이 문제는 Tartarus가 밑으로 내려감으로(...) 해결되었다.

2023년 12월 13일, 27위에서 22위로 재배치되었다. 이로써 베리파이 초기에 받았던 평가와 비슷한 순위에 배치되었다.

제목의 뜻인 '아수라장'과는 다르게 디자인은 깔끔한 편이다.

===# COMBUSTION #===
COMBUSTION - Cersia & Slithium, Verified by Slithium

Cersia의 신맵으로, 본래는 1.9 GDPS에서 제작될 예정이었으나 제작 도중에 2.1에서 제작하기로 변경되었으며, Slithium이 베리파이하였다.

2023년 9월 27일 Zoink7,575어템을 사용해 최초로 클리어하였다. 클리어 이후 Zoink는 이 맵을 10~12위로 평가했다.

2023년 10월 18일, 19위에 배치되었다. Zoink가 Firework급인 10~12위로 평가한 것과 차이가 크다. Zoink 특성상 본인이 깬 맵을 항상 저평가하는데, 이 맵만큼은 예외로 심지어 포럼은 아예 이 맵의 티어 자체를 Zoink가 상정한 티어보다 한 단계 아래인 Tartarus급으로 간주했다.


===# walter white #===
walter white - Renn241, Verified by iIilaseriIi



Renn241이 제작한 레벨이다. 레벨의 제목은 같은 Renn241의 레벨인 Jesse Pinkman처럼 브레이킹 배드라는 드라마의 등장인물 중의 한명인 월터 화이트이다.[37]

2022년 2월 18일 레벨이 완성되었고, 6월 15일 자유베리파이로 바뀌었다.

2022년 7월 2일, iIilaseriIi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난이도는 TOP 15 라고 한다.

2022년 7월 21일 레이팅되었다.

2022년 8월 13일 16위에 등재되었다.

2023년 9월 10일 Seturan이 한국 최초로 클리어했다. # 파트 설명란에 월터 화이트의 나무위키 설명을 긁어 오더니, 하디스트 파트에 7~100이라고 적어 두는가 하면 Fun rate에는 Silent clubstep이라고 적으며 시원하게 깠다. 클리어 이후 이 맵이 Tartarus보다 어려운 23위라고 언급했다.


2024년 5월 28일, 36위에서 25위로 수직상승했다.

===# UNKNOWN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UNKNOWN(Geometry Das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Deadlier Clubstep #===
Deadlier Clubstep - HeroZombie80 & more, Verified by Jenath


Neptune의 자작맵 Deadly Clubstep을 리메이크 및 극상향한 버전으로, Tartarus와 Silent Clubstep 등 Clubstep 계열 상위권 익데들의 게임플레이를 모아놓은 것이 특징이다.

노래는 다른 Clubstep 계열 데몬들과 달리 Clubstep의 풀버전을 활용했다.

2023년 10월 23일 베리파이되었다.

2024년 2월 19일, Zoink가 최초로 클리어하였다.

===# PSYCHOPATH #===
PSYCHOPATH - DeniPol, Verified by BONN GD

2019년경부터 제작되기 시작한 DeniPol의, 다른 게임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한 레벨이다.

4월 14일, CBF를 사용하여 베리파이되었다.

4월 26일, 레이팅되었지만 단 7시간만에 언레이팅되었다. 이로써 CBF 사용은 금지라는 것이 공인되었다.

5월 16일, CBF를 사용하지 않고 재베리파이함으로써 2일 후 다시 레이팅되었다.

===# arcturus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rcturus(Geometry Das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Sinister Silence #===
Sinister Silence by Wahffle & more, Verified by DarkTD


현재 3번째 최장 길이의 익스트림 데몬.[38] 길이가 무려 9분에 달한다. 게다가 순간난이도도 결코 쉽지 않은 편. 베리파이어는 Top 35로 평가했다.

재평가로 Tartarus보다 높은 순위에 랭크되었다.

===# Sonic Wave Infinity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onic Wave Infinity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SARYYX NEVER CLEAR #===
SARYYX NEVER CLEAR - artos & more, Verified by skyzl



===# Damascus #===
Damascus
Damascus - Dzeser & more[39], Verified by Timo

캡션
A montage of scattered memories projected from the creating era. Verified by Timo. 2.2 fix by Vikings.[번역]
<rowcolor=#ffffff>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및 버전
FREE 93339534 5분 10초 344606 2023.08.13. (2.1)
{{{#!wiki style="margin: -16px -11px;" 공식 포럼 최고 순위 #31(Hardest Demon)
공식 포럼 현재 순위 #31(Hardest Demon)
난이도 Extreme Demon
}}} ||
공식 포럼 데몬리스트 점수(100%) 93.81
데몬리스트 점수(48%) 9.38
한국 포럼 데몬리스트 점수(100%) 135.448
총합 68명의 크리에이터가 참여한 5분 10초의 대작. 각 파트마다 크리에이터 본인이 만든 레벨이나 합작 레벨 중 본인이 참여한 파트의 디자인을 따왔다.

크리에이터/디자인 모티브[ 펼치기 · 접기 ]
|| 참여자 || 디자인 모티브 ||
Jo2000 Titanity
Gusearth Tempest Rift
Weoweoteo & Kruso Lake of Fire
Lieb Relativo, Dynasty, Electrotime
Fury0313 Saguaro
Nicki1202 Dire Dire Sea
Avery[41] To the Top
TheJosiahTurner Apache
Alter OmegaPlex
Cookieszs Ballfunk
Logik Foxtrox
Megantwoo Tech City
Jeyzor Sunset
PhantomX Elysium
Toxic Crimson Flare
AlrexX BYE
IronDofus435 X Force
Thomartin Posh, Retina
Wod & Dasher3000 Love
TheTrueEclipse Volatile
Jaredkawaii Beautiful Now, Imagination
Smokes Plasma Purse Series(1, 2, 3, Finale)
Norcda Childa Kimera
Dzeser Kill Stealer
Tygrysek The Ultimate Phase, Phobos
PG1004 PG Clubstep, Willy
Dorami Theory of Firepower
Blitzmister Mang Game
Zimnior12 Infinite Travel
Mazl Vee
Rob Buck Buck Force
GDSkele Omicron
iliRyanili The Flawless
Ninetales MetalWalker
Platnuu Delta Interface
Obsidium Digital Sensor
Allan Quasar
Kazia Atmosphere, Intricate
Surv Breakout
Dehznik Cosmic Dreamer
Ozix Milky Ways
Ilrell Haven
FozaeKitty TeCH BliTz
KFAOpitar Warmth
Wolfstar Obscure Glow
Megaman9 Titanium
Brittank88 Ocular Miracle
VERSU5 Infrared
Loogiah Molten Punch
WhitePythor Highschool Days
Adiale Promises
Nahuel2998 Utopian Delusions
ErisethSP! Spilled Milk, Tempest
AirForce Automation
Findexi Incongruence
TDChris02 Lost Legends
SuperSNSD & GDSkele Mr Mr
Disp & Koolboom Star Chaser
Lassiboii Running in the 90s
Chromatik RanBoq
iBlade Phobos
Yozyo Endstage
Oskux 독자 디자인


===# Midnight #===
Midnight - Yuko, Verified by nei


===# Tartarus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lubstep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Jigsaw #===
Jigsaw - Nekon & more, Verified by Gokill GD

Nekon이 주최한 합작으로, 유명 공포 영화 시리즈인 쏘우를 테마로 한 맵. 베리파이는 Gokill GD가 담당했으며, 현재 71%, 31-91%를 달성했다. 난이도는 Zodiac과 비슷한 수준으로 예상되고 있다.

2023년 10월 2일, 베리파이되었다.

2023년 12월 9일, 피쳐드로 레이팅 되었다.

2024년 1월 22일, Zoink가 최초로 클리어하였다. # 44위에 위치하기에는 저평가되었을수도 있지만 아마도 아니었을 것이라는???? 평을 남겼다.

1월 26일, 5계단 상승하여 39위에 재배치되었다.

===# Oblivion #===
Oblivion[42] - Published by Dice88, Created by Benji8080, Goobfrudla & Eth



Cognition의 공식 후속작. 사용된 곡은 Creo Idolize이다.

2020년 4월 6일, Benji8080의 채널에 이 맵의 레이아웃이 공개되었으며, 공식적인 Cognition의 후속작이라고 한다.

2021년 1월 15일, Goobfrudla와 Eth의 채널에 완성된 Oblivion의 풀 버전이 공개되었다.
베리파이는 Dice88이 진행할 것이라고 한다.

현재 Swiborg가 72%, 49 - 100%, 26 - 63%, 47 - 89%를 간 상태이다.

2021년 7월 6일, Dice88이 베리파이하였다.

2022년 7월 8일, 베리파이된지 약 1년만에 레이팅되었다.

2022년 7월 31일, 6위에 등재되었다. 만약 베리파이되었을때 레이팅되었다면, 당시 1위였을 수도 있던 것이다. 다만 대부분의 유저들 사이에서는 과대평가라는 말이 많다. 심하게는 4순위 아래의 Mayhem보다 쉽다는 말이 나올 정도.[43]

2023년 1월 2일, Kyouki의 3위 등재로 10위권에서 떨어졌다.

2024년 3월 8일, 재평가로 6계단이나 하락하였다.

2024년 4월 30일, 모바일 유저 bemj80이 이 맵을 모바일로 클리어했다.[44] #


===# The Golden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Golden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Verdant Landscape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446799 76543324 2분 9초 116282 2021.12.14
Verdant Landscape - ItsNisha
FINALLY COMPLETE AND VERIFIED MY FIRST 2.1 SOLO LEVEL! From now on, welcome the scenery of spring when it rains.



한국인 유저 Nisha가 제작하고 베리파이까지 손수 한 개인맵.

Windy Landscape에서 모티브를 얻은 맵으로 2021년 12월 14일에 업로드되었고 같은 달 26일 후광으로 레이팅 되었다. Windy Landscape에서 모티브를 얻은 맵 답게 여러모로 디자인이 비슷하다.[45]

어두운 분위기, 헬 테마 레벨 등이 리스트 최상위권을 꽉 잡은 상황에서[46] 녹색 계열의 매우 밝은 디자인과 그에 걸맞는 노래 선정으로 상당한 호평을 받았고, 게임플레이 역시 많은 유저들한테 재미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좋은 퀄리티와 달리 난이도는 극도로 어렵다. 쉬워보이는 외관과 달리 칸들이 대부분 좁으며, 이따금씩 보이는 웨이브가 매우 좁다.

2021년 12월 31일 ThunderBT가 최초로 클리어했다. 최소 Renevant보다 어렵다고 한다. 그 다음날 두 번째로 클리어한 Spaceuk는 Zodiac Kenos 사이라고 했다.

2022년 1월 18일, 11위에 배치되었다.

2022년 6월 11일, Zodiac을 꺾고 10위로 상승했지만 6월 12일, Abyss of darkness가 1위로 배치됨에 따라 10시간(...) 만에 다시 11위로 내려왔다.

===# ATOMIC CANNON Mk III #===
ATOMIC CANNON Mk III - LIEB & more, verified by Zeronium

LIEB이 주최한 ATOMIC CANNON 시리즈의 세번째 레벨.

베리파이는 Zeronium이 맡았으며, 현재 32-100%를 달성했다.

2024년 5월 1일, 베리파이되었다.

2024년 5월 2일, 에픽으로 레이팅되었다.

===# Delta #===
Delta - ArtsiBurn, Drakosa & more, Verified by Doggie


===# Shukketsu #===
Shukketsu[47] - by Yuko and more, Verified by Baeru



Yuko가 개최한 합작맵이다.

2021년 11월 11일, 레벨이 완성되었다.

2022년 4월 3일, Baeru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난이도는 TOP 15 정도라고 한다.

2022년 8월 3일, 레이팅되었다.

8월 27일, 19위에 등재되었다.

===# The Paroxysm of Rage #===
The Paroxysm of Rage - Zacanaii & Evil Buds, Verified by turtl


===# Climax #===
Climax - HushLC & Wain


2023년 10월 2일, 베리파이되었다.

===# Trueffet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rueffe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Aerial Gleam #===
Aerial Gleam - by EndLevel & more[]Endlevel, Deadlox, Electro, Antares, CuluC], Verified by Doggie

Arctic Lights Aquatic Auroras를 잇는 Endlevel 웨이브 3부작의 마지막 레벨.

EndLevel왈, Azure Flare와 Aerial Gleam을 마지막으로 더이상의 EndLevel의 웨이브 레벨[49]은 아마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50]

난이도는 가뜩이나 심하게 압박을 주던 특유의 웨이브는 어두운 디자인과 잘 보이지 않는 가시, 이전보다도 좁아진 간격이 합쳐지며 더욱더 어려워졌다. 맵의 길이는 동일인물이 만든 익스트림 데몬인 Cognition 정도로 짧지만, 초반 5초 뒤 바로 웨이브에 들어가서 43초간의 압박을 견디게 되는 구조인데다 초반부 웨이브는 Sonic Wave Infinity도 한 수 접어줘야 될 만큼 극악하다.

난이도 외적으로 특이할 사항이라면, 나써류의 구조를 따라가는 웨이브 레벨임에도 나써 특유의 이펙트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 깜빡이는 것만 보면 나써류라 생각할 수도 있지만 나써류는 여러 부분이 교차해서 깜빡이는 반면 이 레벨은 특정 부분이 한꺼번에 깜빡인다.[51] Endlevel 본인도 nc 레벨은 아니라고 설명란에 못 박았다.

또한 베리파이 권한이 굉장히 많은 사람들을 거친 레벨이다.[52]

처음엔 Riot이 베리파이를 할 예정이었으나 Lime에게 베리파이 권한을 넘겼고, 2021년 2월 3일에는 IRainstorm으로 베리파이어가 교체되었으며 이후 49-100%를 성공[53]하고 Alphanetic TTV[54]에게 베리파이권을 넘겼다.

그 후 Alphanetic은 42-100%, 87%을 성공하며 이 레벨을 베리파이 직전까지 끌고 갔지만, 안타깝게도 그의 멘탈 문제로 베리파이를 Slithium이라는 유저에게 넘겼다.

하지만 Slithium도 87%에서 죽은 후 결국 베리파이 권한을 또다시 Prolix에게 넘겼다.
Prolix는 맵이 Tartarus와 비슷한 수준으로 버프되었다고 언급했으며, 51%를 달성했다.

2020년 7월 9일, EndLevel의 유튜브 채널에 Aerial Gleam의 디자인 업데이트 프리뷰가 올라왔다.
EndLevel의 말에 따르면 CuLuC이 맵 전체를 전면 리디자인 중이라고.

2021년 7월 23일, CuLuC의 채널에 리디자인중인 Aerial Gleam의 티저 영상이 공개되었다.

8월 16일, CuLuC의 리디자인이 끝나 EndLevel과 CuLuC의 채널에 업데이트 버전의 Full Level이 공개되었다. # #.

2022년 1월 10일, 베리파이어가 Chattative로 변경되었으며 현재 54%, 24-100%를 달성한 상태이다.

하지만 3월 19일, Chattative가 게임을 접으면서 베리파이어가 Doggie로 또다시 바뀌었다.

4월 26일경, Doggie가 클리어에 성공하였다. 난이도는 Arctic Lights보다 훨씬 어려우며 Promethean보다 어려운 16위로 평가했다.[55] Endlevel의 모든 웨이브 맵들 중 버프 버전 Azure Flare 다음으로 어려운 맵으로 평가받는다.

5월 14일, 마침내 레이팅되었다.

2022년 6월 12일, 13위에 등재되었다. 대체로 순위는 적당하다는 분위기이지만 개인차가 갈리며 일부 유저들에게서 Zodiac급이라는 말도 있다.

Zoink가 8400어템, Cursed가 9400 어템을 써서 클리어했다. Cursed는 첫번째/두번째 웨이브가 다른 파트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어려우며 47%에서 디자인때문에 자꾸 죽는 것을 깠으나 나머지 유저들은 나쁘지 않은 맵이라는 평가를 내렸다.

8월 8일, 16위에서 10위로 순위가 상승하였다.[56] 그러나 4일 뒤 Silent Clubstep의 4위 배치로 10위권에서 퇴출 당했다.

8월 24일, 30위권 수준으로 너프되었다.[57] 해당 버전을 재 베리파이한 Doggie는 23위 근처가 적절하다고 한다. [58]

2022년 9월 7일 17위로 재배치되었다. 정확히 Kenos 위인걸 보면 Jeller와 BeMixZ의 의견이 반영된 듯하다.

2023년 4월 23일, 모바일 유저 VERTOP[59]이 맵을 모바일로 클리어 했다.[60][61]

===# NETWORK #===
NETWORK - Amza & Agat3, Verified by vulcanium4

FRAMEWORK의 후속작. 전작과 동일하게 흑백 테마이나, 전작보다 더욱 발전한 디자인과 그에 걸맞는 게임플레이, 그리고 76~80%에 등장하는 버그성 듀얼 모드[62]가 인상적이다.

vulcanium4가 91%, 36-100%를 달성했다.

2023년 10월 7일, 베리파이되었다.

10월 21일, 피쳐드로 레이팅되었다.

11월 17일, 37위에 랭크되었다.

===# Critical Heat #===
Critical Heat - by Zeniux & Zeus, Verified by hstorm


===# Zodiac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Zodiac(Geometry Das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Hard Machine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Hard Machin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Terminal Rampancy #===
Terminal Rampancy - Xyriak, Verified by ThunderBT

Xyriak이 무려 5년이라는 개인맵 사상 역대급의 제작 기간을 거쳐 출시한 화제의 작품. 기간에 걸맞게 오브젝트 수도 33만 5천 가량으로 상당한 규모에 달한다.

베라파이어로 선정된 ThunderBT가 90%, 42-100%를 달성했다.

2023년 4월 14일 ThunderBT가 베리파이했으며, TOP 30-50급 정도의 난이도라고 한다.

2023년 5월 18일, Brumik이 최초로 클리어했으며, 27~30위로 평가했다.

===# Esfera #===
Esfera - by Keias and more[63], Published by SyQual, Verified by Baeru



Keias가 주관하는 Lightning Collab Team의 5번째 합작맵[64]이다.

맵 제목인 Esfera와 전체적인 테마로 보아 메이플스토리 한 지역를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 [65]

레벨 완성 전 부터 베리파이어는 전작과 같은 Plusxenon으로 결정됐었다. Plusxenon은 50%~100%, 38% 등을 달성했지만, 30위 급으로 너프를 하고 베리파이어가 Baeru로 교체되었다.

2022년 2월 27일, Baeru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Bloodlust 보다 어렵고 Zodiac 보다 쉽다고 한다.

2022년 5월 31일, 무후광으로 레이팅되었다.

2022년 7월 1일, 28위에 등재되었다.

이 맵에 사용된 곡은 Viscelarity - Upgrade이나, 작곡가가 뉴그라운즈 계정을 지우면서 그의 곡들도 같이 삭제되었기 때문에 Boom Kitty - Badland로 대체되었다.

===# Kenos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Hell Yes(mr-jazzman)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Keres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ere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Fragile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ragile(Geometry Das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Frost Spirit #===
Frost Spirit - Dray & Halzion, Verified by Varium


===# Crackhead Circles #===
Crackhead CIrcles - AlrexX, Verified by teraaa


===# NEUTRA #===
NEUTRA - Jenkins, ILRELL and Marwec

Marwec과 ILRELL이 레이아웃을 짜고 Jenkins가 디자인한 레벨. 곡은 SixImpala의 LOVELOVELOVELOVELOVELOVE을 사용했다.

맵의 제목은 해당 곡을 작곡한 SixImpala가 개발한 보컬 신디사이저의 이름이기도 하며, 맵 중간중간과 엔딩 크레딧에 작곡가의 로고나 오너캐 얼굴 등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이를 모티브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

Aeonair가 베리파이했으며 그는 이전까지는 약 15위로 평가했으나 생각이 바뀌었는지 베리파이 이후 이 맵이 Hard Machine보다 어렵지만 20-25위를 할 것으로 예측했다.[66] 비행기 프레임 퍼펙트가 2개 있으며, 프레임 퍼펙트는 25개로, Tartarus보다 많은 수준이다.

2023년 2월 28일, 에픽으로 레이팅 되었다.

2023년 3월 26일, 28위에 등재되었다. 이로써 인게임에서 두번째로 어려운 에픽맵이 되었다.[67]

2024년 1월 6일, 국내 유저 Alextop1231이 Bloodbath에서 점프를 해 231075어템 끝에 한국 최초로 클리어했다! [68]

===# Promethean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romethean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Lotus Flower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180211 75813671 1분 33초 39717 2021.11.18
Lotus Flower - by StarkyTheSalad and zzzgecko, verified by BrianTheBurger
Cause all I want is the moon upon a stick. Verified by BrianTheBurger



로봇 칼타와 인게임 최악의 비대칭 듀얼로 악명높은 맵. 비대칭 듀얼의 단순 순간난이도로만 치자면 인게임 내 최악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로봇 파트의 난이도도 The Golden같이 비정상적인 수준을 제외하면 굉장히 어려운 축에 들고, 암기 요소도 많다.

길이도 별로 길지 않지만, 로봇 파트의 순간난이도도 상당히 높은데 비대칭 듀얼은 이견이 없는 현존 서버의 맵들 중 최고난이도이며, 역사상 가장 어려운 비대칭 듀얼로, 앞으로 오랫동안 깨지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흉악한 난이도를 자랑한다.[69] 비대칭 듀얼에 약한 유저라면, 이 맵을 어지간한 최상위권 익데보다 어렵다고 여길 수도 있다.

영상에 사용 된 음악은 Radiohead Lotus Flower이지만 실제 레벨에 사용된 음악은 Waterflame Cove이다. Lotus Flower는 Newgrounds에 올라오지 않은 음악이기 때문.

2021년 11월 18일, 베리파이 되었다.

2021년 12월 5일, 레이팅 되었다.

2022년 1월 4일, 21위에 배치되었다.

2022년 3월 30일, Cognition과 순위가 바뀌어서 22위로 올라갔다.

2022년 5월 8일, msg라는 유저가 한국 최초로 클리어했으나, 그가 핵을 사용한 유저라는 사실이 밝혀져 없던 일이 되어버렸다.

2022년 7월 29일 24위에서 20위로 올라갔다.

===# Thinking Space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inking Spac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qoUEO #===
qoUEO - by GhostVandalf, verified by Franzy


웨이브 버전 Promethean으로, 1분도 안되는 짧은 길이임에도 Crimson Planet보다 높은 순위에 위치하여있으며 그만큼 최악의 순간난이도를 자랑한다.

웨이브 챌린지에서 모티브를 따온 맵답게 웨이브 챌린지와 그 뒤의 추가 파트로 구성되어있다. 첫 25%의 웨이브는 어지간한 웨이브 챌린지 이상의 고난이도를 보여준다.[70] 뒤의 파트는 의외로 꽤나 긴 길이의 익스트림 데몬들과 비교해보아도 적당한 수준이지만, 앞부분이 너무 어려워서 애초에 그 파트를 넘는 것부터 어렵다.

게임플레이가 Lucid Nightmares와 자웅을 겨룰 정도로 최악으로 악명높으며, 아예 첫 클리어자인 Skycrab은 챌린지 맵을 해본 적 없는 익스트림 데몬 전문 플레이어들은 시도하지 말라고 할 정도로 끔찍한 게임플레이를 자랑한다. 디자인은 꽤 괜찮지만 무후광으로 레이팅된 이유가 게임플레이가 거지같아서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로 이 맵의 게임플레이는 혹평받는 편이다.

2022년 11월 15일 26위에 배치되었다.

===# SUPERHATEMEWORLD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57571983 1분 06초 33163 2022.9.30[71]
''SUPERHATEMEWORLD- by Icedcave and more, verified by Cursed


과거에 Icecave가 만든 SUPERHATEMEWORLD(구)를 게임플레이 수정 및 리메이크한 맵이다.

2022년 9월 30일, Cursed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2년 10월 12일, 레이팅되었다.

2022년 11월 13일, 30위에 등재되었다.

한국 유저 Pocle이 한국최초로 클리어하는데 성공했다!

===# Cold Sweat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old Swea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Widestep #===
Widestep - 出見塩(Demishio)

出見塩의 개인맵.

2024년 1월 4일, 74위로 내려간지 얼마 안되어 갑자기 61위로 13계단이나 올라갔다. 메인에서 이정도의 상승은 매우 이례적인 일.

===# Crimson Planet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rimson Plane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Renevant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Renevan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ConClusion #===
ConClusion - DreamZone GD, verified by BrowarKedewar

DreamZone이 제작한 Control 시리즈 3부작의 마지막 맵.

===# Sky Shredder #===
Sky Shredder - Dorvict


===# Calculator Core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vent Horizon(xKor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shimmer #===
shimmer - Amplitron


===# DIRECTIONS #===
DIRECTIONS - ryli06 and Nightning, Verified by SwordBx


===# Cognition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ognition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Cosmic Cyclone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Hydra(F-777)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Trotil #===
Trotil - Eiriley & more, Verified by ItzTayfun


러시아 합작. Tartarus보다 근소하게 어려운 난이도였으나 떡너프를 받아 Bloodlust보다 조금 어려운 수준이 되었다.

===# Amalgam #===
Amalgam - XLSpiral, Verified by Wooshi

과거 XLSpiral이 장난식으로 만들어 둔 레이아웃을 디자인한 맵이다. 맵의 거의 대부분이 반배속으로 진행되며, 웨이브 꼬리가 길목을 다 덮을 정도로 좁은 웨이브 파트가 특징이다.

베리파이는 Wooshi가 맡았으며, 2023년 10월 22일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클리어 이후 이 맵이 Crimson Planet보다 확실히 어려우며 Sinister Silence와 Thinking Space 사이인 32~48위 사이일 것이라고 언급했다.

Paqoe가 3,613 어템을 들여 최초 클리어 하였으며, 난이도는 Crimson Planet 주변으로 평가하였다.

2023년 11월 2일, 피쳐드로 레이팅되었다.

포럼에 Crimson Planet보다 낮은 순위인 59위에 랭크되었으며 60위로 하루만에 이동하였다.

===# SARY NEVER CLEAR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ARY NEVER CLEAR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Instinct (Krazyman50Real) #===
Instinct - Dysbelief, KrmaL, pocke & more[72], Verified by KrmaL

Dysbelief이 주최하고 KramL이 베리파이한 합작맵으로, Valor와 Mystic을 이은 포켓몬고 3부작의 비공식 후속작.[73] 맵의 이름은 전작들처럼 Pokémon GO의 팀 인스팅트에서 따 왔으며, 그에 맞게 노란색 테마를 가졌고 맵 마지막 부분에는 썬더가 등장한다. 공식 후속작과는 다르게 전작들의 분위기를 맞추기 위해 한 파트를 제외하곤 2.0 느낌으로 제작되었으며, 게임플레이도 그에 맞추어 독특한 것이 특징. 여담으로 KramL의 파트는 기존에 쓰였던 파트를 그대로 재탕했다(...).

사용된 노래는 AeronMusic - Sourcream으로, 전작들에 쓰인 곡과 같은 작곡가.

여담으로 이 맵은 Sonic WaveLegacy로 보낸 맵임과 동시에 BloodlustExtended로 보낸 맵이다. 이후 Tidal Wave의 등재로 인해 Extended List로 떨어졌다.

===# Scream Machine #===
Scream Machine - TMco & more, Verified by WatchPiggy


===# Lucid Nightmares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Lucid Nightmare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RUST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71912451 1분 27초 39062 2021.07.29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111.07
데몬리스트 점수(51%) (공식포럼) 11.11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93.367
RUST - by neigefeu, verified by Keir
This is my hardest level, inspired by KrmaL and Crohn44. Good luck.



가장 쉬운 익데 중 하나로 꼽히는 Acu를 제작한 neigefeu의 새로운 맵. Black blizzard와 Sunset Sandstorm에서 영감을 받았다. 노래는 Sunset Sandstorm과 같은 Creo - Outlaw이나 SS보다 훨씬 어려운 게임플레이와 동타를 동반한 미쳐 돌아가는 칼타가 일품이다. 특히 후반부 큐브 칼타는 헛구역질이 날 정도. 다만 클리어 유저들의 평가는 재밌다는 의견이 많다.

세계 최초 클리어 유저인 Kelvin은 컨트롤러로 클리어했다.

한국 최초로 RedCraft가 클리어 했다.

===# CORRODERE #===
CORRODERE - Zeostar & more[74], Verified by Gzeee


===# ATOMIC CANNON Mk II #===
ATOMIC CANNON Mk II - LIEB, verified by Zeronium

LIEB이 제작한 ATOMIC CANNON의 후속작. 전체적으로 게임플레이는 싱크와 잘 맞는 편이며, 드롭부터는 노래와 딱딱 맞는 싱크와 그에 따른 연타가 일품이다.

2023년 5월 27일, Zeronium이 59%를 달성했다.

2023년 6월 1일, 베리파이되었다.

===# Shardscapes #===
Shardscapes - by Kiba, Verified by eiruni



Kiba가 제작한 레벨이다. 맵의 100%로봇 모드만으로 이루어져 있는 특이한 게임플레이를 선보인다.

매우 극악한 공점 칼타, 끝 점프가 맵 전체에 도배되어 있고, 큐브가 아닌 로봇 모드로 넘어가야 하기에 난이도는 더욱 어려워진다. [75]

2022년 5월 6일, eiruni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난이도는 최소 75위라고 한다.

2022년 5월 21일, 레이팅되었다.

최초 클리어자는 theworldofme로, 29위 ~ 35위 사이의 난이도라고 평가했다. #

2022년 6월 13일, Bloodlust보다 한 칸 위인 33위에 등재되었다.

2022년 7월 26일, 34위에서 30위로 올라왔다.

여담으로, 이 맵에 사용된 곡은 Creo의 Slow Down이다.

===# Akashic Records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arnivores 문서
2.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RUTHLESS #===
RUTHLESS - Surjaco & more, Verified by LordVadercraft

Surjaco가 주최한 합작으로, RELENTLESS의 후속작. 난이도는 Top 10이라고 한다.

2022년 11월 12일, LordVadercraft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현재 20위에 배정 되었다.

2023년 4월 21일 40~60위권 수준으로 너프되었다.

2023년 4월 22일, Miro가 한국 최초로 클리어 했다. 같은 날에 Fh1r이라는 한국유저도 클리어하였다.

2023년 9월 24일, 한국유저 Seturan이 클리어했다.

===# Sides Of My Mind (Solo) #===
Side Of My Mind - MaxxoRMeN, Verified by Polyatomic & TheyCallMeEvan

MaxxoRMeN의 2P 레벨.

2023년 5월 28일, Polyatomic와 TheyCallMeEvan에 의해 베리파이되었다.

2023년 10월 14일, Rqd가 혼자서 클리어에 성공했다.

===# Horros (Solo) #===
Horros - Shrc, Verified by Shrc & Sr3k.

Shrc의 2P레벨.

2022년 11월 14일, Shrc와 Sr3k에 의해 베리파이되었다.

2023년 10월 4일, Ryclix가 혼자서 클리어에 성공했다.

===# Ragnarok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라그나로크 문서
5.29.1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Escape Room #===
Escape Room - SleyGD, Verified by MiniShoey


2023년 5월 27일 에픽으로 레이팅되었다.

===# TORN #===
TORN - Kyhros, Woom, para & more, Verified by DiamondSplash


2023년 6월 24일, DiamondSplash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 me when machine gang (Solo) #===

===# Launchpad Labyrinth #===
Launchpad Labyrinth by Moffe, verified by WSCKR


Moffe의 익스트림 데몬. 베리파이어는 WSCKR이였는데, 이후 해커로 밝혀졌다.

게임플레이가 매우 좋지 않기로 악명 높으며 대부분의 클리어자들이 혹평을 아끼지 않았다. 디자인도 상당히 좋지 못한 편인데, 최적화가 심각해 LDM을 켜도 프레임 드랍이 걸리는 수준이다. 나쁜 게임플레이, 나쁜 최적화, 나쁜 베리파이어 삼위일체를 달성한 여러모로 레전드 맵. 순위는 Bloodlust급이지만, wPopoff는 클리어 이후 이 맵이 Tartarus, Oblivion을 상회한다고 주장했다.

2023년 9월 20일 Seturan이 한국 최초로 클리어했다. 간만에 하면서 엄청나게 열받았다며 설명창에 어마어마한 욕을 퍼부었다. 어지간히 끔찍했는지 영상 제목의 맵 이름도 Absolute Garbage[76]라고 적어 두었다. 설명창에는 맵 이름을 Shitty Silent clubstep이라고 적어 둔 건 덤. 그리고 체감 난이도 순위도 -1위로 매겨 놨다(...)

===# Silent Club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lubstep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Descent Into Exile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77518059 1분 39초 73707 2022.01.22
Descent Into Exile - by Riot, GrenadeOfTacos, Icedcave, and More[77], verified by BGram
DIE.



GrenadeOfTacos, Icedcave, Riot이 주최한 합작맵이다.

2022월 1월 22일, BGram이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난이도는 40위 정도라고 한다.

2022년 3월 3일, 26위에 배치되었다.

===# Omega Interface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68654380 1분 12초 134688 2021.04.28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104.5
데몬리스트 점수(49%) (공식포럼) 10.45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84.1
Omega Interface - by Platnuu and Zipixbox, verified by RG, published by Platnuu
void GiveHint (string& asName, string& asMessageCat, string& asMessageEntry, float afTimeShown);



Delta Interface, Sigma Interface에 이은 Platnuu의 Interface 시리즈 3번째 레벨. 사용된 노래는 onumi - NOSTALGIA이다. 전체적으로 회색과 빨간색이 어우러진 테마이며, 저속으로 시작하다 8%부터 배속이 자주 바뀌는 웨이브 구간과 칼타로 이루어진 미니큐브 구간이 여러번 나온다.

베리파이어인 RG는 이 맵이 Cognition SARY NEVER CLEAR 사이라고 하며 2021년 8월 17일 기준으로 Cognition 바로 위인 15위에 안착해있다.
최초 클리어자는 Dice88로 약 5900어템 만에 클리어하였으며, 한국인 유저 Jeller가 11280 어템을 사용하여 한국 최초, 세계 5번째로 클리어했는데, 무려 51%에서 플루크했다.

2021년 9월 29일, 재평가로 인해 22위로 떨어졌다.

===# Congregation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68668045 3분 17초 23723 2021.04.28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83.61
데몬리스트 점수(42%) (공식포럼) 8.36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64.349
Congregation - by Presta, verified by Floofle



맵 전체가 어려운 타이밍으로 돼 있는 맵이다. 맵의 길이는 3분으로 긴 편이지만 오브젝트는 약24000으로 적은 편이다.

2021년 9월 1일 한국 최초로 Miro가 클리어 했다.

2022년 1월 25일, 46위에서 37위로 상승했다.

여담으로, 드랍 파트가 노래와 함께 갑자기 튀어나오기 때문에 Congregation Jumpscares라는 밈이 생겨났다.[78] 이 밈 덕택에 2024년 만우절 위클리 데몬에도 등극했다(...)

===# Pandemonium (Cersia) #===

===# The Rupture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Ruptur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Jupiter My Favourite #===
Jupiter My Favourite - Akunakun, Verified by LuigiDB


===# Kappa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59800588 1분 49초 184350 2020.02.21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112.86
데몬리스트 점수(50%) (공식포럼) 11.29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95.462
Kappa - XLSpiral and more, published by Armadeus, verified by nSwish
My very first megacollab, featuring multiple amazing creators, verified by nSwish. EDIT: Visual bugs fixed.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0% 이상이 필요합니다.
12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0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5% 이상이 필요합니다.
1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Baeru[!] 100% Youtube
Moderns 100% Youtube
Spyrosh 100% Youtube
ArtsiBurn 100% Youtube
Consuno 100% Youtube
RicoLP 100% Youtube'
Amza 100% Youtube
CringyDylan 100% Youtube
Maseh 100% Youtube
Swiborg 85% Youtube
Ryclix 50% Youtube
}}}}}} ||
베리파이가 된 지 약 1년 6개월 만에 레이팅 되었다.

2021년 9월 9일 한국인 유저 Baeru가 8020어템을 사용해 세계최초로 클리어했다.

2021년 9월 29일 16위에 배치되었다.

2022년 3월 14일, 28위로 하락했다.

===# The Art of the Blade #===
The Art of the Blade - mbed, Subwoofer, Zoroa & more, Verified by Kyoto


===# Bloodlust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loodlus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Fog #===
Fog - Notes & Slayer, Pixll


===# Coral Cave #===
Coral Cave - Washed and awesomeme360, verified by Washed, published by awesomeme360


모티브는 소닉 러쉬 어드벤처의 3번째 레벨인 코럴 케이브이다.
===# Asterios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130420 60870688 2분 9초 211417 2020.04.13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96.63
데몬리스트 점수(53%) (공식포럼) 9.66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75.042
Asterios - Exen & More[80], Verified By Atomic
I am very grateful to all the participants. Verified by Atomic. Thanks!



2018년경 Exen이 1년간 만든 Extreme Demon이다.

Aronia와 더불어 서버에서 몇 없는 최상위 싱크를 가진 익데이며, 본래 세미 임파서블급의 난이도를 가지고 있었으나 Aronia 난이도로 너프되었다.

2021년 7월에 별이 붙었으며, 25위에 배치되었다.[81]

2022년 3월 30일, 39위에서 35위로 올라갔다.

===# Jesse Pinkman #===
Jesse Pinkman - Renn241, Verified by Comlayze



Renn241이 제작한 레벨이다. 레벨의 제목은 브레이킹 배드라는 드라마의 등장인물 중의 한명인 제시 핑크맨이다.[82]

2022년 5월 2일, Comlayze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난이도는 Lucid Nightmares와 The Rupture 사이라고 말했다.

2022년 5월 30일, 레이팅되었다.

2022년 6월 30일, 35위에 등재되었다.

여담으로, 이 맵에 사용된 곡은 Let's Stomp!로, 비대칭 듀얼 데몬으로 유명한 Celestial Force와 같은 곡이다. [83] 또한 맵 제작자가 맵을 만드는 데 2일 밖에 안 걸렸다고 한다. [84]

===# Terminux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271828 76865589 1분 17초 109669 2021.12.27
Terminux - VulgarisAerae, iRainstorm & More[85], verified by Jeller



Eternal Moment의 후속작으로 제작된 한국인 합작레벨이다.

2021년 12월 27일, Jeller에 의해 베리파이 되었다.[86] 그리고 12월 30일 Baeru가 최초로 클리어 했다.

2022년 1월 6일, Sakupen Circles와 함께 레이팅 되었다.

2022년 2월 5일, 42위에 등재되었다.

2022년 6월 20일, Arctic Lights와 순위가 역전되며 41위로 올라왔다.

===# no jokes #===
no jokes - theParadoxTeam


길이가 39초로 가장 짧은 익스트림 데몬이다. 웅장하게 전주를 깔아 놓고 드랍을 예고하는데 막상 드랍 파트는 평화로운 BGM과 디자인으로 흘러가는 게 특징.

===# Twilight #===
Twilight - Yuko


===# CITRA #===
Citra - Varse



Varse가 제작한 39초길이의 가장 짧은 익스트림 데몬 중 하나이다.

2022년 6월 13일, Varse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난이도는 40위 정도라고 한다.

2022년 6월 15일, Jori가 최초로 클리어했다.

2022년 7월 23일, 레이팅되었다.

2022년 8월 15일 40위에 등재되었다. 이로 인해 5년 넘게 메인리스트 자리에 있었던 Sonic Wave가 Extended List로 떨어졌다.

===# Sazerix #===
Sazerix - Zeptrus, Verified by Skycrab


===# BarbarosFinaleFinale #===
BarbarosFinaleFinale - awesomeme360, Moffe & Dep96


===# Gracefully #===
Gracefully - Nindy & more, Verified by vaen

게임플레이와 디자인이 별로 좋지 못했던 Graceful의 후속작이다. 모던 디자인이 특징이다.

===# Awedsy #===
Awedsy - Sink & SleyGD, Verified by Zeronium


===# Aronia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ronia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Deimos (EndLevel)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eimos(Geometry Das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Pagoda #===
Pagoda by Seturan & more


===# Moving Forward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99692910 2분 30초 80000 2024.01.25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16.26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69.105
Moving Forward - crohn44, Verified by LuigiDB
Glide sequel; 80000 objects not fun to make. 2.1 level out in 2.2 yippee. My final Geometry Dash level. Verified by Luigi. Good Luck!



Glide의 후속작이자 Glide, Sunset Sandstorm을 만든 crohn44의 마지막 레벨. 전작인 Glide에 비해 길이가 매우 길어지고 난이도가 어려워졌으며[87] 디자인이 풍성해졌다.

LuigiDB 전에 2명의 베리파이어가 거친 레벨이다.[88] 이전 베리파이어인 무명유저 zipi와 KNOEPPEL이 베리파이를 시도하려다 접은 것으로 보이며 그들은 마지막의 Special Thanks의 명단에 올라가있다.


===# ATOMIC CANNON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77681476 1분 00초 65396 2022.01.28
ATOMIC CANNON - by LIEB, verified by Zeronium
After all this time, I have never released a solo. That changes today after EIGHT YEARS. Good luck, you'll need it! Verified by Zeronium.



LIEB가 제작한 레벨이다. Viprin의 Intercept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했다고 한다.

2022년 1월 28일, Zeronium이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난이도는 47-79위 라고 한다.

2022년 2월 3일, 레이팅 되었다.

2022년 3월 4일, 58위에 배치되었다.

2022년 4월 2일, Baeru가 한국 최초로 클리어했다.

2022년 4월 4일, 58위에서 48위로 올라갔다.

===# Sigma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igma(Geometry Das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Neon Skyline #===
Neon Skyline - by recillia


===# Knights of Thunder #===
Knights of Thunder - HangerLord, Verified by Helix


===# Atmos #===

===# Ploink #===

===# IthacropoliX #===
IthacropoliX - BIGMAC77 & more, Verified by cobrablitz

Ithacropolis의 후속작.

2022년 6월 6일, Zeronium이 최초로 클리어했다.

===# Nhelv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68353244 2분 34초 177932 2021.04.15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82.07
데몬리스트 점수(57%) (공식포럼) 8.21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63.322
Nhelv - by Notlsa, Dienid and SrGuillester, verified and published by SrGuillester



SrGuillester가 레이아웃을 만들고 Notlsa와 Dienid가 디자인한 합작이다. 많은 데코와 디자인[89], 그리고 암기가 플레이어를 어지럽게 만드는게 특징이다. 인게임 최고의 익스트림 데몬 중 하나로 평가된다.

2021년 9월 26일 한국 최초로 Lumived가 52521어템을 사용해 클리어했다.

===# untitled unmastered #===
untitled unmastered - para, Verified by vinny


Para의 개인맵으로 익스트림 데몬중에 오브젝트 수가 947개로 가장 적으며,[90] 적은 옵젝임에도 수준급의 퀄리티를 가지고 있다.

한국 유저 Minyong이 한국 최초로 클리어했으며, 그 다음으로 silicosis가 2번째 익데로 한국 2번째로 클리어, 민트초코가 한국 3번째로 클리어했다.

맵의 대부분이 비행기 파트이며 60Hz 유저들을 입구컷하는 초반 와리가리, RUST의 그 와리가리 비행기를 여러번이나 박아넣은 게임플레이가 특징이다. 보이는 것보다 어려운 레벨의 예시.

===# Cicatrize #===

===# DsinK #===

===# SAND SAILOR #===
SAND SAILOR - Custi & ked, Verified by nei


===# Farthest Outpost #===
Farthest Outpost - Jghost, Verified by Kyoto


2023년 10월 6일, 베리파이되었다.

===# Ouroboros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Ouroboros(Geomatry Das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CONNECT #===

===# Ourwa #===
Ourwa - 出見塩 (Demishio)


===# kowareta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owareta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FRIDAY #===
Friday - Metalface221


===# Dump #===
Dump - by GiggsRH, Koopazu


===# Visible Ray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Visible Ray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Excruciation Chamber #===
Excruciation Chamber - spcreat


===# Th3Dev0n #===

===# The Yandere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Yander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Arctic Lights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rctic Light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WORSTBRAINMAP #===

===# Plasma Pulse Finale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lasma Pulse Final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Gustavo Fring #===
Gustavo Fring - Kutsu and Renn241, verified by Acratic, published by Renn241



Kutsu와 Renn241이 제작한 익스트림 데몬맵이다.

2022년 5월 29일, Acratic이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2년 7월 6일, 80위에 등재되었다.

===# Frozen Cave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060521 68908396 1분 15초 135517 2021.05.07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93.87
데몬리스트 점수(54%) (공식포럼) 9.39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72.408
Frozen Cave - TyakyoFyai and more[91], published by TheParadoxTeam, verified by khrizmass
Here we go. Made by Aqualime, Vornickon, AlexOris, FlashWings576, DimaCrut, TyakyoFyai, Sleynt & Quicklen. Verified by Khrizmass.



얼음 테마의 익스트림 데몬이다.

2021년 8월 29일 한국 최초로 Robin이 Frozen Cave를 클리어했다.

2022년 4월 17일, 43위에서 45위로 내려갔다.

===# Fragmented #===
Fragmented - by Cersia, Sink, Verified by TGM05


===# Dust Bowl #===

===# SZYSLAK #===
SZYSLAK - ZeusGD and Zeniux, verified by maxis044

2022년 11월 5일, 67위에 등재되었다.

===# REPENTLESS #===
RELENTLESS - Renn241, Verified by Blankb


===# CHROMA FINALE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72570152 1분 13초 130914 2021.08.15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58.49
데몬리스트 점수(57%) (공식포럼) 5.85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51.353
CHROMA FINALE - Renn241, verified by saturn
The Epic finale to the CHROMA series! After many months the series is finally finished! Thanks to all who supported me, Verified by saturn!



번쩍이는 디자인과 빠른 게임플레이가 특징인 CHROMA 시리즈의 마지막 맵이다.

2021년 10월 6일 한국 최초로 Miro가 클리어했다.

2022년 5월 19일, 58위에서 51위로 올라갔다.

===# Calamity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64766514 2분 24초 48011 2021.04.20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75.68
데몬리스트 점수(59%) (공식포럼) 7.57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59.478
Calamity - Awedsy, verified by Kurumi
Verified by Kurumi Mouse


Awesdy의 1.9 디자인 레벨이다.

2021년 10월 2일 42위에 등재되고 다음날 Hard Machine이 5위에 배치돼서 43위로 밀려났다.

2021년 10월 3일 한국최초로 Baeru가 3178어템을 사용, 60%에서 플루크를 해 클리어했다.

===# AKIRA #===
AKIRA - by Eridani, Verified by Denni


===# Hardry #===

===# EGO KILLING #===
EGO KILLING - [Exact] team, Verified by Wolvez


===# RAM #===
Ram - James & more[92], Verified by Zipi

2023년 10월 15일, 베리파이되었다.

===# Spectrum Cyclone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pectrum Cyclon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nevermore #===
nevermore - EidamGD & more[93], Verified by kovosrutek


2023년 9월 24일, 베리파이되었다.

===# CRIDIUM #===
CRIDIUM - YOET & more, Verified by teraaa


===# Fever Dream #===
Fever Dream - icedcave, Verified by BGram


===# Kjdf8314jlfssf #===

===# Aquatic Auroras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quatic Aurora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Storming Summit #===
Storming Summit - Nimbus and more


===# Shutdown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78164953 1분 50초 138954 2022.02.17
Shutdown - by OliSW, verified by MiniShoey
Hot Chilly



타 게임 FE2 Community Maps에 있는 맵들 중 하나인 "Shutdown"[94]을 모티브로 한, OliSW가 제작한 익스트림 데몬이다. 뛰어난 퀄리티로 난이도, 재미, 디자인 모두 잡은 맵이라는 호평을 받는다.

2022년 2월 17일, MiniShoey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2년 3월 30일, 69위에 등재되었다.

===# Requiem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52303420 1분 14초 297953 2019.01.27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72.36
데몬리스트 점수(52%) (공식포럼) 7.24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57.697
Requiem - Lithifusion, Verified by Zylenox
Lightning McQuiem



Lithifusion의 개인맵이다. Zylenox가 베리파이하기로 했으나 제작자인 Lithifusion가 Zylenox의 베리파이어 자격을 말투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이유로 박탈하였다. 그 뒤로 Lithifusion은 핵을 이용하여 맵을 자신의 계정에 업로드하였고, 맵을 복사해 먼저 베리파이하는 사람이 베리파이어가 되는 '레이스' 형식으로 베리파이를 진행하였다. 결국 Zylenox가 1월 26일 베리파이에 성공하였다.[95]

Killbot의 후속작답게 번쩍거리고 맵을 가리는 디자인이 주가 되며, 베리파이어인 Zylenox에 따르면 맵을 가리는 디자인이 난이도의 반 이상을 차지한다고 한다. 실제로 레이아웃을 보면 인세인 데몬~익스트림 데몬 하위권 정도의 난이도이지만, 맵의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의 디자인이 난이도를 급상승시킨다. 특히 장애물은 둘째치고 본인의 아이콘마저 잘 안보이는 첫 번째 드랍 파트가 백미. 이 덕에 이 맵에 도전할 예정이라면 레이아웃 버전을 찾아 연습하는 것이 선택이 아닌 거의 필수이다. 그리고 이 특성 탓에 LDM을 키면 난이도가 상당히 하락할 것을 우려했는지 이 맵은 LDM을 켜도 특유의 디자인은 상당 부분 유지된다.

또한 이 Killbot과 Requiem을 잇는 스토리는 인터넷 악플과 제작자 해당 맵 제작자인 Lithifusion의 자살한 친구인 David[96]의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설정상 킬봇은 피해자들을 자해, 또는 자살하도록 유도하는 바이러스인데, 피해자들중 소수는 바이러스에 탈출한다. 하지만 탈출해도 정신적 충격으로 PTSD같은 질환을 앓게 되며, Requiem은 킬봇으로부터 탈출하고 난 뒤의 피해자들의 정신상태를 묘사한 맵이라고 한다. Killbot이 실제 자신에게 일어난 일이 아니라 컴퓨터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묘사하듯, Requiem도 트라우마가 생긴 피해자들의 생각일 뿐이며, 그들이 보는 충격적이고 공포스러운 것들은 모두 가짜다. 이 모든 것이 그저 피해자 본인의 상상일 뿐이다.[97]

여기서 킬봇은 인터넷 악플을 의미하며, Requiem의 중간마다 나오는 검정색 아이콘은 악플을 이기지 못하고 자살한 David, 그리고 수많은 피해자들을 의미한다. David는 인터넷 상에서 킬봇과도 같은 사람들의 악플에 의해 괴로워했으며, 이에 Lithifusion이 주위에 도움을 요청하라고 권유하였지만 David는 그 어떤 도움도 거부하였다. 이에 2017년 12월 6일, Lithifusion은 자신의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고 David에게 디스코드로 욕설을 퍼부으며 David를 차단했다. David는 좌절하다가 결국 일주일 뒤인 2017년 12월 13일, 자살이라는 돌이킬 수 없는 길을 선택했다. Lithifusion은 David에게서 '자기가 한 실수를 되풀이라지 마라.' 와 같은 말을 들었으며, 이는 Requiem의 드롭 파트 이후에서 볼 수 있다.[98] 또한 영상의 24초경에서 RIP DAVID 라는 글자가 보인다. 이 맵의 다른 목적이 David를 향한 추모이므로 이런 글귀가 삽입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더해 맵 맨 마지막에 머리를 감싸쥐고 있는 사람의 모습은 Lithifusion 자신의 모습을 타이머를 맞춰두고 찍은 뒤 트레이싱한 거라고 한다. 또한 마지막에 점멸되며 나오는 단어는 DON'T OBEY THE VIRUS(바이러스에 굴복하지 마라.)이다.

자세한 사항은 영상을 보는 것을 추천. Killbot과 Requiem의 스토리 및 여러가지가 정리되어있다.

여러모로 구성이 잘된 스토리성 맵이라는 점과 꽤나 고퀄리티를 자랑하는 맵임으로서 빨리 레이팅 되기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많지만 레이팅이 안될 확률이 어느 정도 있는 것이 50% 부근에 손가락 욕이 등장한다는 흠이 있다. 이 때문인지 베리파이된 2019년 1월부터 현재까지 거의 2년간 별이 붙질 않고 있다.

그러던 2021년 9월 6일, 2년 7개월이라는 긴 시간 끝에 드디어 레이팅 되었다. RobTop이 별이 붙지 않는 이유로 추정되던 손가락 욕을 직접 제거하면서 별을 붙인 것으로 추정. 다만 무후광으로 레이팅 되었는데, 디자인이 좋지는 않은데다[99] 해당 맵에 쓰인 곡인 Astronaut - 13 (FlashYizz Remix)가 뉴그라운즈에서 잘렸기 때문에 후광을 받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Sonic Wave보다 순위가 높으며, 이는 베리파이 당시 충분히 10위 안에 들 수 있는 레벨이었다는 것이다.

해당 맵의 제목인 Requiem은 추모곡, 장송곡 등을 뜻하는 말이다. 해당 맵을 제작한 Lithifusion의 뜻이 잘 드러나는 듯하다.

여담으로,맵의 마지막 부분[100] EXIT라는 글자와 클리어를 향하고 있는 화살표가 보이며 클리어가 되는데 이는 관점에 따라 플레이어가 David처럼 Killbot을 이겨내지 못하고 스스로 삶을 끝내는 출구를 택한다는 의미와 전작에서부터 이어져온 Killbot의 공격을 이겨내고 마지막 순간 결국 출구를 찾아 탈출해낸다는 2가지의 의미로 해석해낼 수 있다.어떤 엔딩을 믿을지는 플레이어 본인의 몫.
인생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행복하게 사세요. 그게 바로 David가 원하는 삶일겁니다.
- Lithifusion

===# of Ambrosia #===
of Ambrosia - Renn241, Verified by Pi Guy


맵이 전혀 보이지 않아 통째로 암기해야 한다는 괴악한 구성을 가진 익스트림 데몬. LIMBO 등 타 암기맵들은 그래도 맵과 장애물은 보여 어느 정도 타이밍을 참고할 수라도 있는데, 이 맵은 처음부터 86%까지 맵도 장애물도 전혀 보이지 않고 노이즈를 연상케 하는 배경만 나온다.

===# ConTroller #===
ConTroller - DreamZoneGD


무명 유저 DreamZoneGD의 개인 레벨. 동시에 그의 첫 레벨이기도 하다. 암기 형식의 데몬이며 1분 정도 되는 짧은 길이지만 강렬한 게임플레이가 특징이다.
2022년 4월 20일, DreamZoneGD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난이도는 75-50위 정도라고 한다.

2022년 5월 22일, Abyss of Darkness와 같이 레이팅되었다.

2022년 6월 22일, 85위에 등재되었다.

===# Mirrored Calamity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016422 59157630 2분 23초 140304 2020.01.11[101]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48.06
데몬리스트 점수(57%) (공식포럼) 4.81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46.634
Mirrored Calamity - Chuckgamer1 and more[102], verified and published by Nimbus
Remake of Cosmic Calamity by XGen26 and many more! Verified by me after 16,422 attempts. Good Luck!



2.0 시절 유명 인데 중 하나인 Cosmic Calamity의 리메이크.

===# Sparkling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77765367 1분 26초 128737 2022.01.31
Sparkling - by Mzero and more[103], verified by Johnfree



Mzero가 주최한 합작맵. 처음부터 끝까지 지속되는 빠른 게임플레이가 특징이다.

2022년 1월 31일, Johnfree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2년 3월 6일, 레이팅되었다.

2022년 4월 6일, 37위에 등재되었다.

2022년 6월 19일, 많은 클리어 유저들의 저평가로 14칸이나 추락했다. 현재 54위.

===# Eternal Moment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086400 59539361 1분 3초 59539361 2020.02.04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67.21
데몬리스트 점수(51%) (공식포럼) 6.72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55.181
Eternal Moment - Rainstorm and more[104], published by Rainstorm, verified by nSwish
All moments are happening all the time. | Verified by nSwish



한국 초고수 유저 Rainstorm의 합작맵이다.

2020년 12월 25일에 별이 붙었다. 크리스마스 선물

2021년 1월 11일에 28위에 등재되었다가... 같은 날에 Timor가 28위에 등재되어 29위다.

마지막 구간에서 마지막 가시를 넘어가다 죽을경우 충격!란 글씨가 뜬다.

===# RANDOM ACCESS MEMORY #===
RANDOM ACCESS MEMORY - Acute and more Verified by Zeronium


===# Beyond Hell #===
Beyond Hell - Published by fakeblast, Created by Enzeux and more


===# Omega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Prototyp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Gamma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Gamma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Dance of the Violins #===
Dance of the Violins - by DrayTM and more[105], verified by WatchPiggy


===# network #===

===# Spacial Rend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pacial Rend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Hyper Paracosm #===
Hyper Paracosm - EndLevel, TheRealSneaky, iIiViRuZiIi


===# Collect All Pets #===
Collect All Pets - rynoxious and AlrexX, Verified by swiborg


===# the wiener #===
the wiener - Rynoxious and more[106], verified by Taiago


===# Dedohexdragon #===
Dedohexdragon - Awedsy, Published by royen


===# Ryft #===
Ryft - by DreamLight and more


===# Iris of a Puppeteer #===
Iris of a Puppeteer - by EternaswipVMAX


===# XRAY #===

===# Cybernetic Crescent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ybernetic Crescen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Wasureta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Wasureta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Macabre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acabr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Bete Noire #===

===# Edge of the World #===
Edge of the World - by L4tezk and more


===# Sink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77255632 1분 30초 130136 2022.01.03
Sink - by Awedsy, verified by nac
My last 1.9 level, enjoy! (nac verified this i think) for sink!



Awedsy의 1.9 디자인 맵이다. 메가테라 제로가 부르고 누유리가 작곡한 픽서(VOCALOID 오리지널 곡)을 사용했다.

2022년 1월 3일, nac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2년 2월 14일, 한국최초로 Baeru가 클리어했다.

2022년 3월 2일, 69위에 등재되었다.

2022년 3월 14일, 63위로 올라갔다.

===# Sewers #===

===# Golden Club #===
Golden Club - by GDZenmuron


한국 유저 PoCle이 한국최초로 클리어했다!

===# Loochiverse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81373023 1분 3초 74191 2022-07-24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37.84
데몬리스트 점수(52%) (공식포럼) 3.78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77.929
Loochiverse - by moretwister and more, Published by Nerhy, Verified by DTDom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2% 이상이 필요합니다.
13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1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2% 이상이 필요합니다.
0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0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Varium 100% #
skycrab 100% #
Scotchtape 100% #
crumche 100% #
Tunax 100% -
ezvie 100% #
Flexx 100% #
Jasuki 100% #
Brumik 100% #
skzyl 100% #
Teno 100% #
ChloeCutie 77% #
Blathers 52% #
}}}}}} ||

Nerhy의 합작맵이다. 중간에 나오는 보스파이트가 인상 깊은 맵이다.[107]

포럼에 71위로 등재되었으나 Acheron이 등재되며 72위로 내려갔다.

===# ELLIPSISM #===
ELLIPSISM - by Swib, Bibu


한국유저 Pocle이 한국최초로 클리어했다!

===# LUMINA #===
LUMINA - hechie & more, Verified by LunarSpark


===# Cersia Madness #===
Cersia Madness - by Cersia


===# Tenochtitlan #===

===# Sonic Wave Rebirth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onic Wave Rebirt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Sonic Wave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onic Wav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Pingas21 #===

===# Infinite Iniquity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200356 59331091 3분 48초 226126 2020.01.22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55.29 데몬리스트 점수(53%) (공식포럼) 5.53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49.935
Infinite Iniquity - Flukester & more[]Flukester, Reunomi, Nikce, Dream, Stamina, Nico99, Jghost217, Waffl3X, Spark, MrMeurick, HelpegasuS, Sminx, Lime, Expy, Enzore, Xstar7, PleoSliSirHadoken, Nampac, Zoroa, Chaoz18, CreatorDino'''], Verified by-verified by Swiborg (go spam him)

[109]

- Twisted Tranquility의 후속작. 1차 프리뷰에서 몇몇 파트와 레이아웃을 공개했으며 Twisted Tranquility 2를 가제로 삼았다. 이 제목은 너무 길어 맵의 제목으로 정할 수 없는데, 이에 따라 다른 제목을 결정해야 했으며 유력한 후보가 'Infinite Tranquility'였다. 그리고 4월 8일자로 새로운 프리뷰가 공개되었는데, 전 프리뷰에서 공개되지 않았던 게임플레이와 디자인이 공개되었으며, 멤버의 변동사항 및 결정된 베리파이어를 알렸다. 또한 이름은 "Infinity Tranquility"로 확정되었다. 또한 베리파이어는 Skullo가 맡게 되었다고 했는데, Skullo가 게임을 접으면서 베리파이어는 다시 미궁에 빠졌다. 이 외에도 전 프리뷰에서 이름조차 공개되지 않았던 HelpegasuS의 파트가 공개되었고, 엄청난 디테일이 돋보이는 MrPPs, Pikappa의 파트를 비롯해서 많은 파트가 공개되었다.

두 번째 프리뷰가 나오고 나서 유저들의 반응은 호불호가 갈렸는데, 불호의 쪽은 너무 1칸 비행으로만 도배된 게임플레이와 제너릭한 디자인을 탓했다. 게임플레이는 최대한 5위 안에 위치시키기 위해 어렵게 만들려고 하다보니 1칸 비행이 많아진 듯하며, 디자인은 Torch121 등 데일리 레벨에 자주 등장하는 크리에이터가 꽤나 있다보니 더욱 제너릭하게 느껴지는 듯하다. 게다가 게임플레이와 디자인에서 호평을 받던 전작의 위용을 살리지 못한 것도 한몫을 한다. 그러나 이 중에서도 HelpegasuS와 MrPPs, Pikappa의 파트는 매우 호평을 들으며, Ocular Miracle에 있어도 된다는 의견이 있을 정도이다.

여담으로 주최자 Flukester가 신출귀몰하는 참여자들 때문에 스트레스 받는 영상을 올렸다.정작 자기 자신도 신출귀몰하는중 어쨌든 진행되고 있기는 하다. 이후 별 프리뷰가 공개되지 않다가 5월 3일 crazen이 첫 베리파이 방송을 켰다.

그렇게 Crazen이 현재 유튜브에 베리파이 프로그래스 영상을 올리는 중인데, 최근 확인된 정보에 따르면 맵의 제목이 Infinite Iniquity로 확정되었다.

전작에 참여했던 멤버들 중에선 주최자 Flukester를 제외하고 Jghost217, CreatorDino가 참여했다. Jghost는 흑백으로 이루어진 매우 심플한 디자인으로 제작했고(이전 프리뷰와 다르게 간단한 뒷배경이 하나 제작되었다.), Dino는 전작과 똑같이 대시공점을 이용한 제트팩 게임플레이를 선보였다.

그렇게 소식이 미비하다가, 2020년 1월 21일, 베리파이어 Crazen이 54%를 기록했고, 마침내 1월 23일, 드디어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장정 2년이 넘는 시간에 걸쳐서 모든 작업이 완료되었다.

2021년 9월 6일, 1년 7개월 만에 드디어 레이팅이 되었다.

Hikari라는 한국유저가 세계 최초로 클리어했다!

===# Molten Gear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000117 62138313 3분 1초 268218 2020.06.13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42.98
데몬리스트 점수(52%) (공식포럼) 4.3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44.217
Molten Gear - Knobbelboy & more[]Bianox, PanMan, Lucasyecla99, Shyv, Shocksidian, Xaro, Lexicon(Gameplay by GironDavid), Creeper4, HelpegasuS, Terron, Pennutoh & Metalface221, Xender Game, Pyndra, Stratos(Gameplay by Surv), Morphix, Viprin(Redesigned by Cirtrax), ZephiroX, Knobbelboy], Verified by Knobbelboy
Blah Blah Fire, Factory, Robots, Gears and Stuff. Terron should burn in it.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2% 이상이 필요합니다.
9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8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6% 이상이 필요합니다.
0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0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rori 100% Youtube
ViewSonic 100% Youtube
BGram 100% Youtube
LuigiDB 100% Youtube
REGman 100% Youtube
nSwish 100% Youtube
Blitzer 70% Youtube
tzzzjzmz024 100% Youtube
MrDoli 73% Youtube
}}}}}} ||

- Fusion, Fusion II를 잇는 Manix의 마지막 Fusion 시리즈이자 어마어마하게 많은 사람들이 참여한 거대한 규모의 극악의 난이도를 가진 맵이었다. 전체적으로 주황색을 띤 맵이다. Manix가 스트림 방송을 하는 도중 한 시청자가 마지막 Fusion 시리즈의 제목을 'Fusion Z'로 해야한다고 해서 이 맵의 이름이 지어졌다고 한다. Fusion II를 베리파이한 MaxiS9이 Verify하기로 했었지만 Surv에게 넘어갔고, Surv가 게임을 접은 후 ChiefFlurry로 넘어가 Verify가 진행 중이었다. 그러나 결국 ChiefFlurry가 게임을 접어 DiamondSplash에게 맵을 넘겼고, 얼마 안돼서 46%를 갔다.[111]

하지만 그 뒤로 몇 개월째 Fusion Z에 대한 아무런 소식도 올라오지 않았다.[112] 얼마뒤 Erebus 등을 클리어한 유저 Rampage가 베리파이한다고 했지만 하루만에 포기했다.(...) 그리고 이 맵을 간간히 하던 HequinoX가 베리파이중이었다. 그런데, 갑자기 Fusion Z가 Manix648의 계정에 업로드되었다. 처음에는 그의 계정이 해킹을 당했다고 생각되었지만 Geomania에 의하면 해킹을 당한 것이 아니라 일종의 밈을 위해 핵을 써서 업로드했다고 한다.

10월 14일, Manix가 채널을 접겠다고 발표했고, Fusion Z는 폐기된 맵이며, 스스로가 업로드를 원하지 않고 또 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로써 Upcoming 레벨 최고 기대작이었던 맵 중 하나가 영원히 묻힐 수도 있었다. 그러나 Knobbelboy가 이 맵을 되살린다고 하고, Geomania가 베리파이하는 것이 확정되면서, 프로젝트가 재개되었다. 하지만 Bianox, Edicts, LazerBlitz, TeslaX 등 주요 크리에이터들이 Manix의 뜻을 존중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프로젝트를 계속할거면 자신들의 파트를 삭제하고 다른 사람의 파트로 교체할 것을 요구했으며,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RobTop에게 건의를 해서 이 맵에 별이 붙지 않게 할 것이라고 했다. 이 당시 Manix와 Knobbelboy의 행동에 대한 평가는 각각 호불호가 갈렸고 이는 GMD 커뮤니티의 큰 이슈였다. 대체적으로 한국 유저들은 Knobbelboy의 편을 많이 들었던 듯. 이후 Manix를 지지했던 크리에이터들의 파트가 교체됨으로써 논란은 잠잠해졌다.

그 이후 Fuzion Z 콘테스트를 진행한다고 공지가 올라왔다. 그에 따르면 LazerBlitz, Manix 외 7명[113][114]의 파트가 사라지고 콘테스트를 통해 크리에이터를 선발해 이 구간을 채울 예정이라고 했다. 조건은 오렌지색, Fusion Z 느낌의 디자인으로 5~10초 길이의 맵을 제작하면 된다. 기간은 12월 15일까지로 예정되어있었다. 그러나 심사 및 편집이 오래 걸리는지 결과가 2주동안 나오지 않다가 결국 2018년 1월 2일 결과가 나왔다. 또한 맵의 이름도 바꿀 예정이라고 한다![115] 현재 그의 채널에서 투표를 하고 있다.[116]

그리고 6개월동안 소식이 없다가 2018년 7월 25일 Knobbelboy가 자신의 유튜브 계정에 리메이크 버전의 프리뷰를 올렸다. 전체적으로 원작의 수준에 맞게 디자인하겠다고 한다. 그에 따라 GironDavid의 파트를 대체한 Lexicon와 Surv의 파트를 대체한 Stratos는 그 게임플레이를 거의 그대로 가져왔으며 Loogiah를 대체한 Pyndra는 원래 파트의 분위기와 거의 똑같게 디자인했다.

Geomania가 유튜브 채널을 삭제해 지메를 접은 것으로 보인다. 그렇게 베리파이어는 불명.

여담으로 리메이크되기 이전에도 멤버교체가 몇번 일어났는데, TeslaX의 파트가 사라지고 TeslaX, Manix, Edicts가 함께 만든 보스파이트 부분으로 대체되었었으나 현재는 삭제되었다. Serponge는 자신의 파트를 오랫동안 만들지 않아서 퇴출되었고 Viprin의 파트로 대체되었다. 또한 1.9스러운 디자인과 어렵기만 하고 재미없는 게임플레이 때문에 비꼼을 받던 Xcy-7의 파트가 2017년 4월 6일자로 결국 퇴출당하고 유명 크리에이터인 Terron의 파트로 대체되었다.[117]

현재 NeironExGaming(Exen)이라는 유저가 구버전을 극상향시켜서 베리파이에 도전하고 있으며 82%를 갔지만 핵으로 의심받는 유저에다가 공식 버젼도 아니다.

그러다가 12월 18일 Exen이 구버전[118]을 베리파이에 성공하게 된다. 그러나 Exen 답게 핵의심을 피해가지는 못했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GDBot으로 베리파이했다고 주장한다.[119]

2019년 3월 30일에는 Xender Game이 자신의 파트의 프리뷰를 올렸다. 이때 맵 이름은 Molten Gear로 확정되었다.[120] 그리고 8월 26일에는 Cirtrax가 스트리밍으로 Viprin의 파트를 재디자인했다.

그렇게 한국시각 2019년 9월 2일 새벽, 드디어 총 완성본이 올라왔다! 베리파이, 업로드 또한 Knobbelboy 자신이 할 생각인듯.[121]

2020년 2월 28일경, Fusion Z의 1.9 버전이 LuigiDB에게 베리파이, 레이팅 되었다. 이 버전에는 최근 복귀한 Manix648도 제작에 참여하였다.

며칠 후, Knobbelboy가 프로그레스가 늦어서 미안하다며 53% 프로그레스를 올렸다.

이후 트위치 스트리밍에서 90%를 갔으며, 6월 7일 트위치 스트리밍에서 91%를 갔다!

그리고 한국시간 기준 2020년 6월 13일경, 2년의 세월이 흐르고 과거 Fusion Z에서 시작되었던 이 맵은 Molten Gear로 돌아와서 12989 어템만에 드디어 베리파이되었다! 베리파이어는 Knobbelboy로, 그의 유명세 답게 베리파이된지 얼마 안 돼서 에픽 레이팅을 받았다.[122]

업로드된지 하루만에 rori가 2,205 어템만에 최초로 클리어했으며, 포럼 순위는 39위 정도라고 한다.

2022년 2월 5일, Extended로 떨어졌으나 6월 1일, 9계단이나 상승하며 72위인 메인 리스트로 돌아왔다.[123] 많은 유저들이 이 맵을 sonic wave급으로 어렵다고 한 영향이 큰 듯. 그러나 얼마 안 가 다시 쫓겨났다(...) [124]

여담으로 이 맵의 음악이 또다른 익스트림 데몬 대형 합작맵인 Subversive의 음악과 같다.[125] 원곡 듣기

===# Shmarley Ville #===
Shmarley Ville - by Renn241, GhostVandalf, DrCuber


===# GONER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77310650 1분 10초 36692 2022.01.11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39.55
데몬리스트 점수(55%) (공식포럼) 3.95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42.519
GONER - by Nightning, verified by Matter
Song by Twenty One Pilots. Remix by Uvi/Undervania Verified by Matter. Level by Nightning. SUCK MY BLURRYFACE JEFF BOZO!



Nightning이 제작한 익스트림 데몬맵이다.

2022년 1월 11일, Matter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2년 2월 21일, 67위에 등재되었다.

2022년 4월 3일, 71위에서 68위로 올라갔다.

여담으로 붉은 테마의 맵들은 재미없다는 평가가 많지만 이 맵의 클리어자들의 평가는 좋은 편이다.

===# Sephiroth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170000 60620063 2분 36초 169948 2020.04.02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40.66
데몬리스트 점수(56%) (공식포럼) 4.07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43.075
Sephiroth - Hosted by iRainstorm and Mulpan, Published by iRainstorm, Made by iRainstorm, Mulpan & More[126]
A tree of life connecting macrocosm, microcosm, human, love and God, is called "Sephiroth". Created by 18 people, verified by me.



Rainstorm과 Mulpan이 주최한 합작. 사용한 곡은 Xtrullor와 Hex Eater의 Soulstorm으로, 위에서 서술한 Akashic Records의 후속작이다.

원래 버전은 Bloodlust 정도의 난이도를 가지고 있었으나, 여러 번의 밸런스 패치와 너프를 거쳐 난이도가 많이 떨어졌음에도 50위권 안에 들기에는 충분하다고 한다.

2020년 4월 2일에 베리파이되었지만 오랜 시간 별이 붙지 않아 많은 사람들이 Akashic Records와 마찬가지로 Unrated Demon으로 남아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2021년 6월 초[127], 약 1년 2개월만에 드디어 레이팅되었다. 다만 Akashic Records와는 다르게 후광은 붙지 않았다.

베리파이어인 Rainstorm은 정확한 예상 순위는 언급하지 않았으나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최소 50위권 이상이라고 언급했고 최초클리어자인 Jeller는 이 맵을 최소 26위로 평가 #했다.

===# Necromancer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ime Machine(Waterflame) 문서
3.4.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Cosmic Ray #===

===# Yatagarasu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Yatagarasu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Rage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53878361 0분 58초 62281 2019.02.27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41.8
데몬리스트 점수(55%) (공식포럼) 4.18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43.641
Rage by XGen26 and more[128]Xec, Realvet, hawkyre], verified and published by nSwish
[129]
오랜기간 포럼 1위에 있었던 초고수 유저 nSwish가 베리파이하고 자신의 계정에 업로드한 맵으로, 1분이 안되는 짧은 길이에 속도감 있는 게임플레이가 특징인 맵이다.

===# X0 #===
X0 - by Mulpan, InterChange


===# FusionDynamix #===
FusionDynamix - Twister&nukeiix, Verified by Fenix


===# Edge of the Blade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비밀번호 없음 61366470 2분 26초 166652 2020.9.27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77.37
데몬리스트 점수(56%) (공식포럼) 7.74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61.321
Edge of the Blade by Sean and More[]Metalface221, Findexi (Redesigned by Uneskladovae), RpgRaketti (Designed by ChaSe), TehTactiq, GDSpeed, Edge, knobbelboy (Designed by Juhou), Onnikonna, Ryder, Vlacc, Rustam, SlimJim, Zeroya, Terron, Ja8pes, Masu], verified and published by eiruni
[131]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6% 이상이 필요합니다.
12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9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0% 이상이 필요합니다.
0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0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Xanii 100% youtube
nSwish 100% youtube
RG 100% youtube
Ozzy 100% youtube
Bleamer 100% youtube
Kurumi 100% youtube
Nimbus 100% youtube
BrianTheBurger 100% youtube
Exyl77 100% youtube
saturn 77% youtube
Cohvi 71% youtube
Nicholas Cage 56% youtube
}}}}}} ||
2020년 9월 27일에 너프를 하고 다시 Verify했다. 여담으로 엔딩 크레딧의 Special Thanks에 있는 Platnuu, RicoLP, TrusTa는 과거에 파트를 만들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교체된 크리에이터들의 닉네임이다. RicoLP의 파트는 Metalface221의 파트로 교체됐으며, Platnuu와 TrusTa의 파트는 Onnikonna의 파트로 교체되었다.
2022년 3월 21일, 72위로 올라갔다.

===# Silentium Clavas #===
Silentium Clavas - by Xol


===# The Hell Nutz #===
The Hell Nutz - by Isane and more[132], published by TheLasaga, verified by nac



Isane이 개최한 1.9 디자인의 The Hell 시리즈 리메이크 레벨이다.

2022년 5월 12일, nac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2년 7월 1일, 81위에 배치됐다.

2022년 8월 7일, Dance of the violins 가 99위에 배치됨에 따라Legacy list 로 떨어졌다.

===# Cersia Difficult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74840882 1분 24초 44254 2021.10.20
Cersia Difficult - by kyder and Cersia, verified and published by Cersia
veeery hard map by me and kyder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60% 이상이 필요합니다.
3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0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5% 이상이 필요합니다.
0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0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Magmeta 100% Youtube
Vikings 100% Youtube
DoSh7t 100% Youtube
}}}}}} ||

1.9 GDPS서버에 올라가있는 레벨을 본 서버에 올린 레벨이다.

2022년 1월 15일, 한국최초로 MinYong이 클리어 하였다.

2022년 4월 6일, Spakling이 37위에 등재돼서 Extended로 밀려났다.

===# xo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XO(Geometry Das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Generic Wave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Generic Wav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Titan Complex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itan Complex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Nunri #===
Nunri - by Szilu, verified by Wolvez



Szilu가 제작한 익스트림 데몬맵이다.

2022년 6월 19일, Wolvez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2년 7월 28일, 90위에 등재되었다.

===# ASHES #===

===# Icotact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66203074 0분 46초 24825 2021.01.04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37.42
데몬리스트 점수(58%) (공식포럼) 3.74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3.74
Icotact - by Ozpectro, Akira Kurisu and icedcave, verified by Spamdrew, published by icedcave
level by ozpectro, nobody and me.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8% 이상이 필요합니다.
6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6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1% 이상이 필요합니다.
1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nintendrip 100% Youtube
crumche 100% Youtube
Brumik 100% Youtube
saturn 100% Youtube
AlexDIRO 100% Youtube
Jeller[!] 100% Youtube
}}}}}} ||

1.9 스타일의 Medium길이 레벨이다.

제작자중 한 명은 Fexty로 유명한 Ozpectro, 한명은 여러 괴랄한 겜플의 메인 리스트 데몬에 참여했던 Icedcave다. 나머지 한명은...[134] Ozpectro의 영향으로 최근 트렌드의 디자인과 다른 소위 말하는 무이펙 기반의 디자인이 주를 이루고 있다. 전반적으로 매우 빡빡한 칼타와 간격이 눈에 띄며 특히 60%의 나비와 마지막 웨이브의 난이도는 웬만한 상위권 데몬과 비교해도 밀리지 않는 난이도를 가졌다.[135] AlexDIRO는 Erebus정도의 난이도라 평했고 saturn은 Erebus보단 어렵고 CHROMA FINALE보다 쉽다고 평했다.

이 레벨을 베리파이한 Spamdrew128를 포함해 대부분의 클리어자가 재미를 높게 평가했다.[136]

여담으로 과거 메인 리스트에서 가장 짧은 레벨이었다.

===# BuZzKiLl #===

===# Quantum Theory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78232736 1분 29초 51527 2022.02.21
Quantum Theory - by HeroZombie80, verified by Skipper



HeroZombie80이 제작한 공식맵 Theory of Everything 2를리메이크한 맵.

2022년 2월 21일, Skipper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2년 4월 4일, 86위에 등재됐다.

===# rosedynamix #===
rosedynamix - by rose;, Renn241


===# BRKMGB8GJCZ #===
BRKMGB8GJCZ - by robotchief and more


===# Molten Core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68414488 1분 3초 75499 2021.04.17[137]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77.31
데몬리스트 점수(47%) (공식포럼) 7.73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60.402
Molten Core - by Janucha, verified by ViewSonic
Prezydencki level! ~ Lech Kaczynski


2021년 4월 17일에 ViewSonic이 베리파이하였으며, 2021년 6월 21일에 22위로 등재되었다.

2021년 7월 9일, Alphanetic TTV[138] 업데이트 버전을 베리파이했다. 정확한 순위는 잘 모르겠으나, Sonic Wave와 Cataclyze의 사이 정도의 난이도라고 한다.

===# Kuzureta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71216292 1분 10초 171005 2021.07.11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44.2
데몬리스트 점수(45%) (공식포럼) 4.42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44.804
Kuzureta - Teno & More, verified and published by Teno
femboy level numba three



원래는 Wasureta의 공식 후속작에 맵 이름도 Kusareta였지만 이제는 더이상 Wasureta의 후속작이 아니라고 한다. 후속작이 아님에도 레타류의 특징인 극한의 순간 난이도와 매우 짧은 길이로 맵이 구성되어 있으며, 보라색 계통의 디자인이다. 난이도는 Wasureta보다 어렵다고 한다.

BGM은 YOASOBI 夜に駆ける를 사용했으며 맵은 현재 호평을 받고 있지만, 레타류[139]들이 하도 양산되다 보니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 성공적인 리메이크라 평가 받는 Fragile 정도를 제외한 나머지 레타류가 뇌절맵이라며 호불호가 크게 갈리는 것과 같은 맥락.[140]

6월 13일, Full Preview가 공개되었다.

7월 7일, 엔딩 크레딧이 교체되었는데, 기존의 엔딩 크레딧이 맵 분위기와 맞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아 Uriun이 새로 제작한 크레딧으로 교체되었다.

7월 10일, Teno가 베리파이에 성공하였다!

7월 12일, 한국 최초로 Baeru가 클리어했다.

9월 3일, 레이팅되었다.

2021년 10월 4일, 61위에 배치되었다.

여담으로 Kuzureta의 발음인 크즈레타는 "무너진" 이란 뜻의 일본어이다.

===# Instinct (ItsHybrid) #===

===# Xronier #===

===# Basil #===

===# Erebus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vent Horizon(xKor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Delebit Oblivio #===
Delebit Oblivio - Team Smokeweed[141], Verified by Dorami



Team Smokeweed의 3번째 맵[142]

- 2015년에 Galatic Fragility를 만든 Team Smokeweed의 신작이다. 당시 멤버가 모두 지메를 접어 완전히 새 멤버로 교체되었다.[143]
여담으로, MDGFroid라는 유저 때문에 여러 사건을 겪은 맵이기도하다. 자세한 것은 이 영상 참조.-We Don't Need MDGFroid-

2019년 1월 9일에 풀 디자인 버전이 공개되었는데, 각 파트의 디자인은 호평받으나, 테마가 뭔지 모르겠다는 의견이 많다.
베리파이는 해당 프리뷰 영상에서 하고싶다는 실력자들이 대거 댓글을 달았지만 최종적으로 Tricks33이 베리파이어로 결정되었다.
그런데 어느새부턴가 Skulzi가 베리파이를 맡게되었고, Skulzi가 62~100과 61%를 갔다.

이후 베리파이어가 Dorami로 변경되었고, 2019년 12월 29일, 90%를 갔다.

1월 10일, 스트림에서 Dorami가 97%에서 무려 2번이나 죽었다!
그리고 다음날, 스트림에서 Dorami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4951어템을 소비해서 배리파이 하였다.

그러나 네임드 유저인 Dorami가 베리파이를 담당했고, 원래부터 어느정도 이름이 알려져 있던 합작팀인 TeamSmokeWeed가 제작한 맵인데도 불구하고 이상하리만치 인기가 없었다. 심지어 베리파이된지 1년이 지나고 후속작에 레이팅이 되는 와중에도 이상할 정도로 별이 붙지 않았다.

지금까지 클리어한 유저 또한 존재하지 않았으나, 2021년 3월 17일 OrangeStorm이라는 해외권 유저가 세계 최초 클리어에 성공했다.

2022년 1월 21일, 2년이라는 긴 시간 끝에 마침내 레이팅되었다!

===# OVERKILL #===

===# Retention Rush #===
MISFIRE - by TheBlackHell


===# The Reaper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030607 68894921 1분 23초 145836 2021.05.09[144]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45.45
데몬리스트 점수(50%) (공식포럼) 4.54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45.403
The Reaper - by xoanon and more[145], published by kyhros, verified by Doggie
Quod sumus, hoc eritis. Fuimos quandoque, quod estis. Mors certa, hora incerta. Update Verified by Teno[* Old Version Verified by Doggie #



2021년 7월 12일, 한국최초로 Jeller가 무려 55% 플루크로 클리어 했다.

2021년 9월 1일, Teno가 업데이트 베리파이를 했다.

2022년 3월 2일, Sink가 69위에 등재돼서 Extended로 밀려났다.

2022년 3월 23일, 85위로 내려갔다.

===# GBS #===

===# Nightshade #===

===# Sunset Sandstorm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596247 55547703 1분 46초 56781 2019.05.15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37.42
데몬리스트 점수(39%) (공식포럼) 3.74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41.436
Sunset Sandstorm by crohn44
Feel the burn. Inspired by Black Blizzard

Black Blizzard에서 영감을 받은 맵
1인 제작자가 베리파이와 업로드를 모두 한 몇 안 되는 포럼 등재 맵이다. 사막 테마의 맵으로, Black Blizzard와 비슷하게 칼타이밍 구간들이 많으며, 특히 초반 칼타가 엄청 심하다. 0%부터 32%까지의 칼타 싸움을 해야하며, 이 때문인지 다른 포럼 데몬과 다르게 32% 이상만 가도 등록할 수 있다.[146]

2020년 8월 25일, Bradenbowl[147]모바일로 클리어하면서 모바일 리스트 1위가 되었으나 Artificial Ascent로 인해 2위로 밀려났다. 이후 재평가받아 1위를 다시 빼앗았다. 이후 2021년 5월 7일, BB를 투명 버전으로 클리어한 것처럼 이 맵도 세계 최초로 Invisible 버전으로 클리어하였다!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32% 이상이 필요합니다.
33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22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26% 이상이 필요합니다.
5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4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Xavereth 100% Youtube
Rainstorm 100%[!] Youtube
Youngwoong2 100%[!] Youtube
LuigiDB 100% Youtube
zDemented 100% Youtube
Jeller 100%[!] Youtube
BradenbowlPro 100% Youtube
nSwish 100% Youtube
Teris700 100% Youtube
arishi 100% Youtube
Nimbus 100% Youtube
Sonixray 100% Youtube
TheUltraBlock 100% Youtube
Ezvie 100% Youtube
drandr 100% Youtube
Luqualizer 100% Youtube
Joshua28 100% Youtube
BrutalSword107 100% Youtube
Evilseph83 100% Youtube
galaxa04 100%[!] Youtube
AlejandroGD17 100% Youtube
BradenbowlMobile 100% Youtube
ElitusEnt 77% Youtube
skzyl 67% Youtube
garrowpop 62% Youtube
Kv082 62% YouTube
zoinkdoink 59% YouTube
BlazeD77 58% YouTube

}}}}}} ||

===# Altered Ascent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60698989 2분 27초 176712 2020-04-05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36.4
데몬리스트 점수(53%) (공식포럼) 3.64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40.909
by Genericqueso and more[152]Prism], published by Prism, verified by npesta
A remake of Artificial Ascent by a bunch of sick creators. Verified by npesta.



과거 포럼 1위를 차지했었던 Artificial Ascent의 리메이크 맵.

===# Thunderzone #===

===# reeses potentially #===

===# Dark Flare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비밀번호 없음 48942548 2분 57초 144415 2018.09.15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35.41
데몬리스트 점수(60%) (공식포럼) 3.54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40.391
Dark Flare - by KuraiYonaka and more[153]KeiAs, MDGFroid, Cloud72, Estachi, Trolla, GMD Dominator, CowMeat, Quitora, Moonfox, Soulsand, Buddy365, Ticky, Cenos, Mulpan, InterChange, DarkBoshy, CrePusCule, Luciela, DreamerZ, Mold], published by KeiAs, verified by Plusxenon
Lightning Collab Team's last level and hardest ever. Verified by Plusxenon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60% 이상이 필요합니다.
1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9% 이상이 필요합니다.
4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0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Bleamer 100% Youtube
Chamchi[?] 81% Youtube
Doughnutlike1[?] 52% Youtube
Delusion[?] 51% Youtube
Sowun[?] 50% Youtube

}}}}}} ||

Keias가 주관하는 Lightning Collab Team[158]의 4번째 합작맵이다. 2.1 초기에 시작된 맵이다 보니 몇몇 파트의 디자인 수준이 떨어진다는 평가도 받긴 하지만 Estachi, Trolla 등의 파트가 보강되었으며 한국 무명인 합작 중에는 최고 수준이라는 평을 받는다.

난이도의 겅우 전작인 Fabrication보다도 더욱 어렵다고 평가받는다. 등장 당시 아무리 저평가받아도 15~20등 안에 든다는 추측이 많았을 정도. 길이가 3분이나 되며 몇몇 파트의 순간 난이도가 매우 높다. 특히 Dotory의 파트는 역대 합작맵에서 가장 어려운 파트 중 하나로 꼽힐 정도.[159] 전 베리파이어인 Rainstorm은 이 레벨이 Digital Descent보다 어렵다 하였다. 실제로는 그 맵들과의 비교도 실례고, 어렵게 생각하는 사람들은 Yatagarasu와 비견될 수도 있다는 평도 가끔 나오는 편. 또한, Dotory 파트 이후의 난이도가 이전의 난이도보다 훨씬 어려우며, 후살맵의 정석과도 같은 맵으로 Subsonic, Deception Dive 등과 함께 꼽힌다.

원래는 전작인 Fabrication과 The Celestial Haze를 베리파이했던 Luciela가 베리파이한다고 했으나 Rainstorm이 베리파이어가 되어 40%까지 간다. 하지만 Rainstorm이 게임을 접으며 다시 Luciela가 베리파이어가 되었는데 갑자기 PlusXenon으로 교체되었다. PlusXenon의 말에 따르면 Luciela가 너무 힘들어 보여서 설득했다고 한다.
PlusXenon은 7월 23일에 60%를 갔으며, 7월 28일 88%, 8월 8일에는 93%까지 갔다.

여담으로 MDG의 파트에 버그가 발견되었는데, 마지막 듀얼에서 타이밍이 맞으면 양쪽이 다 배 모드로 바뀌는 것.[160]

2018년 9월 15일 베리파이 되었고 2019년 2월 28일, 레이팅과 동시에 에픽이 붙었다.

저평가로 말이 꽤 많기도 한데, 이맵을 파고있는 Zagros 는 Top12 난이도라고 말했다. 그후 crazen이 이맵은 Erebus나 the yandere,[161] Titan complex보다도 어려우며 현 11위 정도 난이도라고 했다.[162] 그러나 순위가 적당하다는 유저들도 많이 존재하는 만큼 난이도 의견차가 꽤나 크게 갈리기도 한다.[163] 디자인의 경우 꽤 괜찮다는 평가와 에픽을 받기에는 부족하다는 의견이 갈리는데, 서양권에서는 이 맵을 최악의 에픽 맵으로 꼽는 경우도 존재한다. 다만 게임플레이의 경우 난이도 밸런스가 불균일하다는 점을 제외하면 익스텐디드 리스트 익데들 중에서도 손에 꼽을 정도로 좋다는 평가가 대부분이다. 난이도와 게임플레이를 모두 잡은 몇 안 되는 맵이라는 평가.

본래 Lightning Collab Team의 마지막 맵이었으나, 후속작으로 Esfera의 프리뷰가 공개되고, 베리파이도 되면서 더이상 아니게 되었다.

===# Chromatic Haze #===
by Gizbro and Cirtrax, verified by Gizbro, published by Cirtrax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60% 이상이 필요합니다.
7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5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 이상이 필요합니다.
1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DTDom 100% youtube
StarPrint[?] 100% youtube
KandyMan 100% youtube
Wolfy 100% youtube
BrianTheBurger 100% youtube
RG 100% youtube
Pushenka 93% youtube
snaphap 83% youtube
Emonadeo 76% youtube
}}}}}} ||

Prismatic Haze의 후속작. 이번에도 Gizbro의 레이아웃을 Cirtrax가 디자인했으며, 노래는 Creo Reflections를 사용하였다. 베리파이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전작보다도 싱크가 더 좋아진 게임플레이가 일품이다.

===# Dimensional Breaking #===
by Laminer and more[165], published by Dalfa, verified by Zeronium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Ddiamond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74034217 2분 04초 83001 2021.09.25
Ddiamond by Lfritz and Tesseract, verified by lamp86, published by LFritz
Suspended like a prism splitting floodlight to poles of primary colours clawing the veil of the vacuum



Lfritz와 Tesseract의 2인 합작맵. Lfritz 맵의 특징인 눈이 아플정도로 빛나는 디자인과 챌린지 같은 웨이브가 특징이다.

디자인은 좋지만, 게임플레이는 나쁜 편이다. Cursed가 이 맵을 깨고 Boring이라고 혹평했을 정도.[166][167]

===# DubKore X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75455769 1분14초 15759 2021.11.06
DubKore X - by Loogiah, verified by Blankb
first level in "Kore" remake series. Very hard. Dedicated to MaJackO and Crack <3 Verified by Blankb



한국인 크리에이터 MaJackO의 Core시리즈를 리메이크한 레벨.

===# Celestial Force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772002 47237400 2분 06초 174562 2018.07.04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33.51
데몬리스트 점수(55%) (공식포럼) 3.35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39.381
Celestial Force by GaidenHertuny and more[]GaidenHertuny, HelpegasuS, GeometryTom, MrLorenzo, JustBasic, Auntex, Xyriak, MindCap, Soulax, Djoxy, Elayad, Manheadrambo, Stormy97, Hoshikido, Zafkiel, Wless, Jihn], published by MindCap, verified by Gizbro
Extreme Demon Verified By Dagger! Thanks to GaidenHertuny for making nearly half the gameplay. Bugfix update by Gizbro!!!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5% 이상이 필요합니다.
15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9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8% 이상이 필요합니다.
14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6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XeonJH[!] 100% Youtube
Grey749[!] 100% Youtube
Hilo 100% Youtube
Plusxenon[!] 100% Youtube
pyh4476[!] 100% Youtube
ZegWollah 100% Youtube
Wolfy 100% Youtube
PlasmaLust[!] 100% Youtube
Kainite[!] 100% Youtube
Sowun[!] 78% Youtube
Tsukinple[!] 75% Youtube
noob[?] 67% Youtube
StarhaGD[!] 61% Youtube
JakeM2436 60% Youtube
Sparky[?] 60% Youtube
GunnerBones 57% Youtube
Bigthunder556 55% Youtube
ddddr[?] 52% Youtube
Schuld[?] 49% Youtube
GD Canaras[?] 48% Youtube

}}}}}} ||

Gamma의 호스터 Mindcap이 호스팅한 대형합작맵. 듀얼 모드가 주 모드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듀얼이 시도때도 없이 나온다! 겜플은 전체적으로 매우 좋은 편. 중후반까지의 게임플레이를 모두 GaidenHertuny가 제작했다.
원래 Sunix가 베리파이한다고 했으나 게임을 접었기 때문에 ThatJ4ke가 베리파이하게 되었다. 후에 겜플이 자기와 맞지 않다면서 포기해 Dagger라는 유저한테 넘어갔는데 3일만에 클리어했다.

한국 유저 Xeon이 세계 최초로 클리어 했다. 그의 말에 따르면 10위권 안으로 들어갈 만한 난이도라고 언급했는데 그 때문인지 순위가 약간 올랐다. 이로서 1년 넘게 10위 자리를 독점해 난이도 논란까지 불러일으킨 Cadrega City를 처음으로 11위로 밀쳐내는 것에 성공했다.

2018년 11월 4일, Hilo라는 모바일 유저가 세계 최초로 모바일 클리어를 해냈다![183]
그리고 세계 3번째로 한국유저 Grey749가 클리어했다!

2019년 2월 15일 기준 클리어자 5명 중 4명이 한국인이다.

2020년 4월 5일, venfy라는 한국의 모바일 유저도 모바일 격파에 성공했다!

2020년 5월 30일, Just1234라는 유저가 무려 10번째 데몬(!!)으로 클리어했다.

초기 베리파이어는 Dagger였고 이 문서에도 dagger가 베리파이했다고 서술했었으나, 이후 60hz와 240hz에 있는 버그를 수정한 버전을 wolfy가 다시 베리파이 하였고, 버그가 완전히 수정되지 않아 다시 버그수정을 한 맵을 Gizbro가 베리파이하였다. 버그수정으로 인한 재베리파이는 핵으로도 가능할텐데 왜 제대로 다시 베리파이하였는지는 의문.

과거 가장 어려운 듀얼 데몬이라는 평을 오래 들어왔으나, 요즈음 게임플레이+맵 디자인 모두를 완벽하게 해내는, 한국의 노벨보이 내지 크맨으로 불리는 temp의 개인맵 spectrum cyclone과 해커로 유명한 Exen의 Aronia가 나와 현재는 가장 어려운 듀얼맵 자리를 물려주게 되었다.[184]

===# Tapwreck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apwreck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Hyperchaos #===

===# ameliorate #===

===# RELENTLESS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103105 74361921 1분 06초 184696 2021.10.06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31.72
데몬리스트 점수(55%) (공식포럼) 3.17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38.403
RELENTLESS - by Surjaco and more[185], published by Surjaco, verified by FieRcE7
It's been a long ride. After one whole year, my masterpiece, has been verified by Fierce7, in 22,823 attempts. Thank you to everyone who supported me along this journey.



2021년 10월 6일, FieRcE7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1년 11월 10일, 75위에 등재됐다.
하지만 11월 14일, arcturus가 5위에 등재돼서 Extended로 밀려났다.

2022년 3월 31일, 89위에서 95위로 내려갔다.

===# The Mainframe #===

===# Devil Vortex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evil Vortex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Timor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imor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super probably level #===
Super Probably Level - Alkali, Verified by Luqualizer



Weekly demon인 The fairydust 등을 만든 Alkali 의 첫 익스트림 데몬이다. 유튜브에서 한때 주목을 받은 'Totally Legit Level'이란 맵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맵으로, 이 맵은 시각적 난이도와 체감 난이도가 완전히 따로논다! 그냥 봤을 때는 이게 무슨 익스트림 데몬이냐? 라고 할 정도로 쉬워보이지만, 데코레이션이 없는, 레이아웃 버전으로 보면 정말 말그대로 페이크를 도배, 떡칠 수준을 넘어선 그냥 이 맵이 페이크의 대명사라고 불려도 될 만큼(...) 페이크를 많이 집어넣은 맵이란 걸 알 수 있다.[186]

디자인이 호불호가 갈려 당시 레이팅 될 만한 레벨이었는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이펙트 레벨로 분류할 여지도 분명 있고 해당 레벨을 뜯어보면 트리거가 매우 정교하게 들어갔다는 것을 눈치챌 수 있으나 시각적으로는 덜 떨어진 레벨이라 보는 유저들도 있었기 때문이다.

클리어자 중 초고수 유저 nSwish는, Super Probably Level를 깨고 클리어 당시 기준 20위권에 평가했다(...). Gamma보다 어렵다고 한 것이다. 그리고 최초 클리어자는 한국 최초 클리어이자, 모바일 클리어자인 venfy가 클리어했다! https://youtu.be/6AeM5tcP3MM

처음 등재됐을 당시 근처 순위에 있던 레벨은 다 레거시에 갔지만[187], 클리어자들 대부분이 높은 순위로 평가한 덕에 몇달 간격으로 크게 순위가 올라가서 비슷한 순위를 유지하고있다.

여담으로 죽을 때마다 해당 구역에서 플레이어를 약올리는 대사가 출력된다.

===# WOW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비밀번호 없음 49291867 2분 05초 200628 2019.04.23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99.46
데몬리스트 점수(46%) (공식포럼) 24.86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64.47
WOW - by TrusTa and more[]TrusTa, Pennutoh, ChaSe, Disp, Failure444, SlimJim, Marwec, Splash], published by TrusTa, verified by npesta
Layout by Trusta, Deco by Pennutoh, Chase, Disp, Failure, Slimjim, and Marwec. Check the video for the song. Thanks npesta for verifying!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6% 이상이 필요합니다.
4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3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6% 이상이 필요합니다.
1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Technical 100% Youtube
steven 100% Youtube
Jeller 100%[!] Youtube
ViewSonic 63% Youtube

}}}}}} ||

만드는 레이아웃마다 극악의 난이도를 보여주는 Trusta의 게임플레이답게 초반부터 많이 어려운 게임플레이가 많으며, 이 레벨의 가장 큰 특징인 연타가 컨트롤에 자주 섞여 들어간다는 것이 특징.[190] 특히 이 레벨의 알파이자 오메가인 중반부 20~40회 연타 구간[191]에서 연타 요구가 절정을 찍으며, 이 때문에 메인 리스트 내에서도 특유의 색깔을 어필하는 레벨이다.

이전에 Upcoming Demon 문서에도 등재되어 있었으나 다른 여러 레이아웃들처럼 묻힐 것이라고 예상되었고 삭제되었다. 그러나 11월 12일에 Pennutoh의 파트가 공개되었다![192] 그리고 12월 3일에 ChaSe의 파트까지 공개되면서 공식 프리뷰를 올렸다. 그와 동시에 멤버가 대규모로 교체되었다. 아마 기존의 크리에이터들은 전부가 네임드 크리에이터였으므로 좀 더 마이너한 크리에이터들에게 기회를 준 듯하다. 다만 Loogiah의 경우는 개인의 사정상 불참하게 되었다고 한다. 2017년 12월 25일, Marwec의 파트가 공개되었다. 그리고 6월 22일날 Failure444의 파트도 공개되었다.
2018년 8월 14일 SlimJim의 파트가 공개되었다.

사용된 노래는 Dustvoxx -TRiGGER(zekk remix).[193][194] 하지만 노래가 Nong이라서 F-777의 Space Battle로 대체되었다.

그리고 2019년 2월 12일 자신이 직접 27%를 간 영상을 올리게 된다. 정황상 모든 디자인이 다 끝난듯.
그리고 영상 제목과 설명란에서도 볼수 있듯이 이 맵이 TrusTa 자신의 마지막 지메 프로젝트가 될것이라 한다.
이유인 즉슨 자신에게 다른 직업이 있다고 언급했다. 항상 시간에 쪼들려 사는 추세인듯 하다.
2019년 2월 19일 현재. 34%~82%까지 갔다.

이후 Deimos를 베리파이한 것으로 유명한 npesta가 베리파이 권한을 넘겨 받았고, 2019년 4월 22일 베리파이 되었다! 난이도는 zaphkiel보다 어렵다 한다. 그렇게 TrusTa는 이 맵을 마지막으로 지메를 완전히 떠났으나, 2020년을 기점으로 다시 복귀했다.

2020년 7월 28일 부로 WOW의 후속작인, POW가 제작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Jeller가 37268 어템을 들여서 한국 최초로 클리어하였다.[195]와우갓 전설의 시작

===# ConFusion #===

===# Framework #===

===# Catalyze #===
Catalyze - Noctalium, ZephiroX & Davphla, Verified by MrSpaghetti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5% 이상이 필요합니다.
26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2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rWooshi 100% Youtube
steven 100% Youtube
Wolfy 100% Youtube
Mycrafted 100% Youtube
Real 100% Youtube
TheUltraBlock 100% Youtube
Rain22 100% Youtube
Technical 100% Youtube
Metalface221 100% Youtube
stardream999 100% Youtube
Kainite 100% Youtube
DIIIS thik 100% Youtube
Powerbomb 93% Youtube
Zeroya 78% Youtube
Shiorin 77% Youtube
Alexey86rus 75% Youtube
KrZyX 75% Youtube
Evandrus 73% Youtube
Mix991 71% Youtube
Dorami 66% Youtube
Helios1009 65% Youtube
Sowun 65% Youtube VoTcHi 61% Youtube
Blathers 61% Twitch
DomTheDonkey 58% Youtube
ItzMezzo 57% Youtube

}}}}}} ||

- Zaphkiel의 후속작으로, 전작과 같이 Noctalium이 게임플레이를 만들었다. 전작을 디자인한 Darwin과 비슷한 스타일을 가진 ZephiroX에게 디자인을 맡겼으며, 전작에서 Noctalium이 핵을 써서 업로드했다가 큰 파장을 일으킨 적이 있어 이번에는 Varthox라는 무명유저에게 베리파이를 맡겼다. 전작인 Zaphkiel도 최고의 익스트림 데몬 중 하나라는 평을 들었는데, Catalyze는 그 전작보다도 디자인과 게임플레이에 있어서 더 뛰어나다는 평을 듣는다. 다만 이러한 완성도에도 불구하고 영상이 God Eater와 같은 날에 나오는 바람에 묻힌 감이 있다.

Varthox와 Noctalium의 말에 따르면 Zaphkiel보다 어렵다고 한다. 베리파이어인 Varthox는 완성된지 2일만에 17~88%까지 가는데에 성공했고, 7월 2일에 75%까지 갔다! 중간에 Varthox의 계정에 모든 맵들이 싹다 날아가버리는 개꿀잼 몰카 사태도 벌어졌었다. 그러나 8월 26일, Varthox가 포기 선언을 했고 DiamondSplash가 베리파이를 한다고 했다. 그 후 결국 11월 14일 MrSpaghetti가 25000어템 이상을 써서 베리파이하게 된다![196] 참고로 한국 유저 VoTcHi가 19587어템을 써서 한국 최초로 클리어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이 맵의 곡과 Zaphkiel이 싱크가 잘 맞는다. 작곡가가 같아서 그런 것 같다.[197][198]

이 맵의 발음을 카탈리제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데, 정확한 발음은 카탈라이즈 임을 명심해두자.[199]

===# Dreams #===

===# Lucid Chaos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62817170 2분 0초 166240 2020.07.18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34.45
데몬리스트 점수(61%) (공식포럼) 3.44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39.881
by CairoX and more[200], published by CairoX, verified by Colorbolt
My first legit megacollab yeet. Also fixed some deco issues and bugfixes in helpegs part.. enjoy :D



Lucid Nightmares의 후속작. Concaved Memories도 Lucid Nightmares의 후속작이긴 하지만 이맵하고는 무관하다.

2022년 3월 30일, 92위에서 97위로 내려갔다.

===# Stygian Machinery #===
Stygain Machinery - by Sikatsuka and more[201], published by TeamE12, verified by Jeller



Blade of Justice를 제차 레거시로, BX20를 Extended로 내려보낸 데몬이다.

===# Paroxysm #===
Paroxysm - Lemons, Verified by Mix991



Flux시리즈를 만든 Lemons의 첫 익스트림 데몬, Lemons의 맵 디자인 답게 심플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처음부터 끝까지 헛웃음이 절로 나올 정도로 어려운 구간들로 가득차있다. 처음 큐브, 로봇과 거미 모드부터 눈을 의심하게 만드는 칼타가 나오고, 20%대에 등장하는 비행은 1칸, 0.5칸 비행이 굉장히 많아 어지간한 유저들은 손대기도 힘들다[202]. 중반 웨이브 모드 역시 공간이 매우 좁으며, 40%대 큐브 모드 타이밍과 50%대 볼&UFO에도 칼타가 깔려있다. 후반에는 정확한 높이로 뛰어야 죽지 않는 [203] 로봇과 마지막 비행이 등장하는데, 이 구간 역시 매우 어렵다.[204] 다행히 길이는 짧은 편이다.

깨는 유저마다 족족 욕을 한바가지씩 들이부으며 깰 정도로 게임플레이가 혹평을 받으며, 무작정 난이도만 높게 설정하고 재미도는 집어던졌다는 여론이 대세. 하도 혹평이 심한 나머지 후속작인 Anoxysm은 난이도를 대폭 너프하고 게임플레이를 보강하는 방향으로 제작되었다.

Mr. Budgie라는 유저가 모바일로 35%를 갔다!

신원미상이라는 한국 유저가 모바일로 62%를 갔다.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3% 이상이 필요합니다.
11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6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BrianTheBurger 100% Youtube
Kapinapi 100% Youtube
ShapiroFan2006 100% Youtube
DiamondSplash 100% Youtube
Metalface221 100% Youtube
nwolc 100% Youtube
TheUltraBlock 88% Youtube'''
Seturan 67% Youtube
Wolfy 63% Youtube
BlazeD77 62% Youtube
Zeroya 58% Youtube

}}}}}} ||

===# Freedom08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210317 55274070 4분 20초 372011 2019.04.28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92.88
데몬리스트 점수(49%) (공식포럼) 23.22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60.87
Freedom08 by Pennutoh and more[205]Pennutoh, Metalface221, Zanna83, Nemphis, Prism, Enlex, Pennutoh(again), Bianox, Angryboy, LeoCreatorX, Juhou, Avakai, Failure444, ShowtimeVonParty, Sminx, Pennutoh(again), MrLorenzo, Altin, Psynapse, ISanE, Temp, Nico99, Allan, PokeChatt, Pennutoh(again), Knobbelboy], published by Pennutoh, verified by Golden
Sometimes you just need to sit down and relax. Verified by Golden, special effects by enlex.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9% 이상이 필요합니다.
15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9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2% 이상이 필요합니다.
4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4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Technical 100% Youtube
Tipp7[!] 100% Youtube
Gizbro 100% Youtube
Aphorism 100% Youtube
Ferox242 100% Youtube
Seturan[!] 100% Youtube
Nimbus 100% Youtube
Luqualizer 100% Youtube
woohwang[!] 100% Youtube
Sparky[?] 100% Youtube
steven 81% Youtube
Railblazer 78% Youtube
MrSpaghetti 74% Youtube
Floppy 69% Youtube
ItzHyperFlame 56% Youtube
garrowpop 52% Youtube

}}}}}} ||

Pennutoh가 레이아웃을 만들고 여러 크리에이터들이 디자인한 맵. 제목의 08은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에서 비전머신 8번을 차지하고 있는 다이빙(영어명 Dive)에서 따 왔다고 한다.(...) 8번째 레이아웃이라 그런거 아니었어? 원래 Upcoming Demon 문서에도 잠깐 등재되었으나 오랜 기간 동안 새로운 프리뷰가 올라오지 않아 삭제되었다. 그러나 Pennutoh가 몇 개월 뒤 풀 레벨 영상을 공개했고, Knobbelboy가 버그를 수정해준 후 그 영상을 올렸다.

FREEDOM DiVE[210] 원곡을 전부 사용했기 때문에 맵이 4.5분으로 매우 길다. 합작원 중 Enlex는 원래 이 합작에 안 들어갈 예정이었지만 계속 Pennutoh에게 매달린 결과 누군가가 합작을 포기하자 결국 파트를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Zanna83은 파트를 두 개 가지고 있었는데, 두번째 파트가 모종의 이유로 삭제되고 Temp의 파트로 교체되었다.
9월 8일에 해프닝이 있었는데, 한국의 지메유저 tipp7이 서버에 유출된 버전을 44%를 간 영상을 올려,[211] Verifier인 Golden과 Pennutoh, Juhou 등 합작 제작자들은 물론 국내 유저들과 본인 팬카페에게도 비난을 받았다.[212] 정식 Verifier인 Golden보다 높게 프로그래스가 나온 데다 베리파이되지도 않은 레벨을 유출 버젼으로 플레이해 Golden과 Pennutoh의 허락 없이 영상을 업로드 했기 때문에 Golden을 무시하는 행위라고 많은 비난을 받았다.[213][214]
이렇게 비난이 많이 쏟아진 후 영상은 삭제되었고 Tipp7이 사과문을 올렸다.
Golden은 사과문을 보고 용서했지만 이 일로 인해 일부 유저들이 tipp7에게 실망했다.
사건 요약

현재 베리파이어인 Golden이 78%까지 갔다.
그리고 2월 14일 유튜브 생방송에서는 80%까지 갔다고 한다.

같은 달인 2월 26일에는 90%까지 가서 Verify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이후 89를 2번, 90을 2번 더 먹는 등 소고기로 인해 베리파이 진행이 생각보다 매끄럽지 않았다. 결국 한국시간으로 4월 28일 오후 10시경에 드디어 베리파이에 성공하였다.

한편 저번에 해프닝을 일으킨 tipp7이 베리파이된지 1주일도 안 돼서 순식간에 87%나 갔다. 5월 5일에 97%를 갔다. Technical49는 올라온지 이틀만에 클리어했다.

5월 6일 한국인 유저 tipp7이 한국 최초로 클리어 했다!

그리고 5월 18일 레이팅되었다.

여담으로 Freedom19라는 리메이크작도 존재한다.

===# Jamboree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비밀번호 없음 74821587 1분 10초 100898 2021.10.09
Jamboree - by JustJohn
My best and final level. Fully made and verified by me. Thanks to everyone that made this possible! :)



JustJohn의 개인레벨.

한국 유저 chosbar가 세계 최초로 모바일 클리어 기록을 남겼다!

===# Photovoltaic II #===
Photovoltaic II - Mazl & more[215], Verified by Technical49



- Photovoltaic의 후속작으로, 전작과 같이 Mazl이 주도한다. 베리파이는 Knobbelboy가 맡았으며, 그가 최초로 풀 영상을 찍기도 했다. 멤버가 상당히 많이 교체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Platnuu와 Nicki는 디자인까지, Aquatias는 게임플레이를 완성했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퇴출되고 다른 멤버들이 자리를 채웠다. 그 외에도 공개되지 않았던 후반부 멤버는 거의 물갈이되었다 싶을 정도로 많이 바뀌었다. 또한 Mew의 파트 등 유지는 되었지만 완전히 구성이 바뀌어버린 파트도 있다. 구버전 프리뷰, 교체된 멤버 중 Viprin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베리파이어인 Knobbelboy도 포함되었었다.

크리에터 콘테스트를 개최했었으며, 2개의 파트를 선정했는데, YakobNugget과 LuisLuigi가 우승했으며 Lemons는 5위를 했으나 초대되어 자신의 파트를 만들었다.

원래 Knobbelboy가 베리파이중이었으나 이 맵에 흥미를 잃었고 God Eater를 베리파이하기 위해 포기했다. 이후 호스터인 Mazl이 한국 유튜버인 Dorami에게도 베리파이를 직접 부탁했지만, Idols를 베리파이한지 얼마 되지 않았고 맵이 별로 매력적으로 보이지 않았던 Dorami는 이를 거절했다. 그리고 Stalemate Redux의 베리파이어인 Zephal이 버프해서 61%까지 갔으나 금방 포기하고 이후에 Technical이 베리파이하게 되었다.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5% 이상이 필요합니다.
18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9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Stilluetto 100% Youtube
stardream999 100% Youtube
Grey749 100% Youtube
rWooshi 100% Youtube
Skullo 100% Youtube
RG 100% Youtube
Seturn 100% Youtube
DiamondSplash 100% Youtube
Pushenka 100% Youtube
Extravagon 88% Youtube
Gizbro 73% Youtube
Vyrtual 73% Youtube
Moosh 73% Youtube
TrueOmega 73% Youtube
Player999900 71% Youtube
SwayXD 69% Youtube
npesta 65% Youtube
Shiorin 57% Youtube

}}}}}} ||

===# The Moon Below #===
The Moon Below - by Onvil, verified by maxis



Onvil이 제작한 레벨이다.

2022년 4월 15일, maxis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2년 5월 30일, 91위에 등재되었다.

===# Raisins #===

===# Lateral Myst #===
===# Friday Vortex #===
Friday Vortex - by declan, GrenadeofTacos and Cersia, verified and published by Cersia



declan과 GrenadeofTacos, Cersia가 제작한 1.9 디자인의 나인서클 레벨이다.

2021년 6월 6일 Cersia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2년 7월 16일, 119위에 등재되었다.

===# FIFTY THREE #===

===# IMAPHONE #===

===# Spirit House #===

===# Apollo 11 #===

===# FIREPOWER #===

===# inanimate INSANITY #===

===# Bitcrusher #===

===# Digital Descent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igital Descen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Stalemate Redux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talemate Redux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TheCinnyBun #===
TheCinnyBun - by Renn241, verified by saturn, published by Cinny



Renn241이 제작한 데몬. Renn241의 제작했지만 레벨 이름도 TheCinnyBun이고 레벨도 Cinny의 계정에 올라와있다.

2022년 1월 5일, saturn이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2년 3월 8일, 107위에 등재됐다.

===# Cadrega City #===
Cadrega City - by Pennutoh, Verified by Sunix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4% 이상이 필요합니다.
18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2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DiamondSplash 100% Youtube
Rain22 100% Youtube
HackMan617 100% Youtube
Metalface221 100% Youtube
Epsilonic 100% Youtube
Rainstorm 100% Youtube
Sowun 100% Youtube
BrianTheBurger 100% Youtube
OlmoZ 100% Youtube
vart 100% Youtube
Zagros 100% Youtube
Gabs 100% Youtube
stardream999 100% Youtube
Technical 100% Youtube
Wolfy 100% Youtube
Gizbro 100% Youtube
XylOL 95% Youtube
temp 72% Youtube
Minute29 71% Youtube
Mas 68% Youtube
Sonic80 67% Youtube
xTetra 55% Youtube
nwolc 54% Youtube

}}}}}} ||

- Sunix가 베리파이한 맵. BGM은 Kurumi City를 모티브해 Time Machine을 썼다.[216]
정신을 빼놓는 칼타이밍, 길고 험난한 비대칭 듀얼, 좁은 웨이브 등이 어우러진 극악맵이다. 게임플레이로 유명한 크리에이터인 Pennutoh답게 싱크는 완벽한 편. 하지만 재미있는 게임플레이라고는 절대 평가받지 않는다. 웨이브 모드에는 중력 반전까지 있고 UFO와 볼 모드는 칼타이밍이 난무하며 나비모드, 비대칭 듀얼이 수없이 나오고 마지막 하이라이트인 웨이브와 비행기 모드, 비대칭 듀얼은 극악 그 자체. 어려운 데다가 까다로워서 클리어자가 없다가 결국 10월 11일, DiamondSplash가 1번째로 깼다! 그리고 Rain22가 12월 3일 2번째로 클리어 하였다.

처음 포럼에 안착했을 때의 순위는 10위였는데, 계속 어려운 익스트림 데몬들이 나옴에도 계속 재평가를 받아 10위를 1년 넘게 지키는 기상천외한 일이 일어나 유저들에게 이슈가 되었다. 과대평가 논란과 별개로 2018년에는 10위의 대명사로 별명을 굳히기도. 이러한 10위 독점은 10월 24일에 Celestial Force가 무너뜨리며 막을 내렸다.

여담으로 타디스 그림이 있다.[217]

===# ZAPHKIEL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Zaphkiel 문서
2.1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Factory Realm X #===
Factory Realm X - HelpegasuS, Verified by Enzeux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4% 이상이 필요합니다.
13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0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Metalface221 100% Youtube
Waivve 100% Youtube
GD Canaras 100% Youtube
Kainite 100% Youtube
DiamondSplash 100% Youtube
BrianTheBurger 100% Youtube
Pablohh 100% Youtube
Rainstorm 100% Youtube
Enzuu 100% Youtube
Wolfy 100% Youtube
Jaw IS 98% Youtube
CrypticDash 95% Youtube
Infusion 60% Youtube

}}}}}} ||

NecroDynamix로 이름을 알린 무명 크리에이터 HelpegasuS의 1.9 - 2.0 스타일 디자인 맵이다.[218] 매니악한 드롭 파트에 잘 어우러진 무브 덕분에 임팩트가 상당히 느껴지는 맵. 맵의 대부분을 듀얼이 차지하고 있으며, 하나하나가 엄청난 난이도를 자랑한다. 원래는 Insane Demon정도의 난이도였지만 2018년 3월, Enzeux라는 유저가 Bloodbath보다 어렵게 만드는 목표로 상향 업데이트를 해 이 정도 난이도가 되었고, 결국 익데로 승격해 Digital Descent 위까지 올라왔다가 재평가로 다시 DD 밑으로 내려갔다.

업데이트 이후로[219] 한동안 클리어자가 없던 비운의 맵이다. 그러던 5월 3일, Metalface221가 최초로 클리어하였고, 이후 5월 24일 Waivve라는 유저가 2번째로 클리어하였다. 한국유저 [ND]GD Canaras가 이 맵에서 96%를 갔다가 6월 3일, 17038어템만에 결국 클리어하였다.[220]
7월 22일에 한국유저 Kainite가 5591어템만에 클리어하였다. 클리어 영상

이 맵이 업데이트 되고 3년 뒤, 신원미상이라는 유저가 한국 최초로 모바일로 클리어했다

===# Springtime #===
Springtime - by VigorousGarden and more[221], Verified by Caustix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Dole Damos #===
Dole Damos - by Jeyzor



Matilda the Machine 이후 약 5년 만에 새로 등장한 Jeyzor의 비대칭 듀얼 레벨이다. 2020년 이후 Jeyzor의 스타일에 맞게 온갖 독특한 이펙트와 색감, 원래부터 악명이 높았던 비대칭 듀얼이 개성이 되는 레벨.

2022년 5월 3일, Jeyzor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2년 6월 19일, 113위에 배치됐다.

===# RGB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74343352 1분 22초 173724 2021.10.05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16.72
데몬리스트 점수(??%) (공식포럼) 1.67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28.726
RGB - by SleyGD, verified by Blitzer
Red, Green, Blue, The Spectrum.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으로만 만들어진 레벨이다.

===# RAINBOW GIRL #===

===# ABEL #===

===# very rusty pipeline #===

===# Omicron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Omicron(Geometry Das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Tempered Steel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251326 59270436 1분 45초 111907 2020.01.19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51.30
데몬리스트 점수(49%) (공식포럼) 12.83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40.346
Tempered Steel - Temp and more[]Temp, Zanna83, Minaxa, Isane, Surge, Endlevel, Molds, ItsHybrid, Realvet, Delerium, Shaun07, iEstia, Levo, Naotyu] published by ItsHybrid, verified by crazen

[223]
"Traverse into the smoldering flames of metallic forgery... will you survive? Or will you succumb to the vicious flames? Verified by crazen."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9% 이상이 필요합니다.
5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5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7% 이상이 필요합니다.
1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Vurz 100% Youtube
ViewSonic 100% Youtube
Rainstorm 100% Youtube
MrSpaghetti 100% Youtube
RG 100%
}}}}}} ||

===# Delta Interface #===
Delta Interface - by Platnuu, Verified by skzyl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1% 이상이 필요합니다.
13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8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rWooshi 100% Youtube
Ozzy612 100% Youtube
Zagros 100% Youtube
BrianTheBurger 100% Youtube
Metalface221 100% Youtube
Rainstorm 100% Youtube
Mullsy 100% Youtube
Evilseph83 100% Youtube
ErKe 84% Youtube
Nimbus 75% Youtube
Gabs 65% Youtube
Vyrtual 62% Youtube
Shiorin 52% Youtube

}}}}}} ||

- Orochi의 제작자로 유명한 Platnuu의 맵, 음악은 Camellia - δ:for the DELTA지만 음악이 뉴그라운즈에 없는 관계로 Gaden의 Stellar Drift를 사용한다. 베리파이어였던 Yelooh 왈 Platnuu와 상의해서 고른 곡이며, 싱크가 잘 맞는 편은 아니지만 원곡처럼 초반에 비는 부분이 있는 곡 중에서는 이 곡이 최선이라고 한다.

Yelooh가 56%, 38~100%를 갔다. 그리고 2월 9일에 82%를 갔다!

의외로 베리파이어가 매우 자주 바뀐 맵 중 하나다. Sean 등 다양한 유저가 시도하였으며 무명유저인 Yelooh에게 베리파이가 맡겨져 82%까지 갔으나 결국에는 SrGuillester가 4월 25일 베리파이했다.

여담으로 Deception Dive에 쓰인 곡과 싱크가 잘 맞는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원곡과 달리 초반에 비는 부분이 없어서 사용이 불가능하다.

대체적으로 호평을 받는 디자인 부분과 달리 게임플레이 면에서는 Platnuu의 레이아웃이 다 그렇듯이 좋지 않은 평가를 받고 있다.

2021년 5월 2일, 업데이트를 했다.

===# vaenstep #===
vaenstep - by Renn241, verified and published by vaen



Renn241이 제작한 레벨. The CinnyBun과 비슷하게 업로더의 닉네임이 레벨 이름에 있다.

2022년 5월 14일, 119위에 등재됐다.

===# Step To Hell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비밀번호 없음 34489220 2분 01초 125519 2017.06.03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84.77
데몬리스트 점수(57%) (공식포럼) 21.19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56.622
Step To Hell by LaZye and more[]LaZye, Nico99, Bloodshot, CompleXx, VooDoo89, Failure444, ChaSe, Poccottini, Skullkid, Sxap, Pennutoh, Rustam, xKstrol, Zimnior12], published by LaZye, verified by BoldStep
You have stepped foot in hell, but can you get out? After months of being unverified its out! Made by 13 creators and verified by BoldStep..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7% 이상이 필요합니다.
21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5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6% 이상이 필요합니다.
3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2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Mullsy 100% Youtube
Skullo 100% Youtube
BrianTheBurger 100% Youtube
Technical 100% Youtube
Sunix 100% Youtube
Talios 100% Youtube
TGI 100% Youtube
Septile 100% Youtube
vart 100% Youtube
Grey749[!] 100% Youtube
Gizbro 100% Youtube
Koozoo2000 100% Youtube
RG 100% Youtube
Kainite[!] 100% Youtube
Shia 100% Youtube
Dorami[!] 74% Youtube
Pengu 72% Youtube
Helios1009 71% Youtube
RicoLP 60% Youtube
Aery 60% Youtube
GD Falcon 60% Youtube

}}}}}} ||

Blue Hell이라는 이지데몬으로 유명한 LaZye의 맵이다. 베리파이어인 BoldStep이 2017년 6월 3일에 베리파이한 극악맵이다. 별은 베리파이 후 1~2개월 뒤에야 붙었다. 별이 붙었는데도 불구하고 포럼에 올라가 있지 않다가 한달정도 지나서 9위를 차지하며 등재되었다. 디자인이 Yatagarasu Athanatos를 연상시키며, 사용한 노래는 Clubstep이다.
초반부터 끝까지 엄청나게 극악한 비행모드를 선보인다.[228] 그 외의 다른 모드들도 칼타이밍 천지이다. 맵 분위기를 봐서는 2.0때 만들어진 것 같지만 2.1때 재디자인/재구성됐다. 전체적으로 매우 어려운 난이도를 자랑하지만, 후반이 더 어려우며 특히 Chase의 파트가 매우 극악하다.

여담으로 Sunix가 Step to Hell에서 "Hell"을 "School"로 바꿔서 Step to School이라는 제목으로 영상을 올린 게 유명하다. 학교=지옥 주최자인 LaZye가 이탈리아 사람이라서 그런지 멤버 중 Nico99부터 Poccottini, Sxap, Pennutoh까지 이탈리아 유저가 꽤 많이 참여했다.

클리어자가 한동안 없었으나 올라온지 3달 반 후에 9월 23일, Skullo가 최초로 클리어했다![229] 그리고 9월 30일 Sunix가 클리어했다!

원래 Sakupen Hell보다 아래였지만 등수가 계속 상승하여 Artificial Ascent의 위까지 안착했으나, 재평가로 인해 AA, DD와 함께 순위 싸움 중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8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8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 Auroral Darkness #===
Auroral Darkness - by iIiViRuZiIi, verified by benedikT



===# Solarion #===
Solarion - by iNighti and ZephiroX, verified by Kevelia, published by ZephiroX


===# Killbot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illbo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Demonicat #===
Demonicat - f3lixsram & more[230], Verified by Rampage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4% 이상이 필요합니다.
14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7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Mycrafted 100% Youtube
DiamondSplash 100% Youtube
Psychotix 100% Youtube
Rainstorm 100% Youtube
steven 100% Youtube
Golden 100% Youtube
Gizbro 100% Youtube
Moosh 97% Youtube
Briyoda 88% Youtube
TGM05 87% Youtube
Railblazer 78% Youtube
Shia 58% Youtube
Davphla 57% Youtube
Septile 55% Youtube

}}}}}} ||

- f3lixsram이 주축이 되어 움직이는 팀인 Epix Cats Team이 만든 극악맵이자, 그들이 만든 첫 익스트림 데몬. 프랑스 유저들로 이루어졌으며, 프랑스인이 아닌 MaxiS9, Pineapple 등이 속해있던 프랑스 합작팀 HexagonDashers[231]와는 다르게 모두가 프랑스인이다. 꽤 오랜 시간에 걸쳐 만들어졌으며 맵의 디자인이 굉장히 화려하다. 그 중 가장 호평을 받는 파트는 MagicXdash의 파트다. 슈퍼마리오의 테마를 기반으로 파트를 만들었으며, 매우 특이하다는 평을 받는다. Darwin의 경우 Hinds의 스타일과 비슷한 새로운 스타일을 적용했는데, 그의 원래 스타일에 비해 아쉽다는 평을 많이 받는다. 그 외에도 Vrymer의 파트 등이 특이하다는 평을 받는다. 수준 낮은 디자인으로 지메에서 가장 욕을 많이 먹는 크리에이터 중 하나로 꼽히는 Adiale의 파트는 꽤 괜찮았다는 평인데, 자신이 아닌 Yakimaru가 디자인해서 그렇다.(...)

베리파이어 BoldStep으로 정해졌었으나, Rampage로 바뀌었으며 12월 23일, 97%(!)를 먹었다!
결국 1월 14일 새벽 즈음에 11k 어템 가까이 소모해서 클리어에 성공한다. 97%에서 4번이나 죽은 걸 봐선 Aquatias의 파트가 마의 구간인 듯하다. 여담으로 Darwin의 이름이 Gaywin(...)으로 바뀌는 이스터 에그가 있다.[232]
2월 4일에 Awakening Horus와 같이 별이 붙어 5위 이내를 예상하는 유저들이 많은 편이었으나 2월 11일에 11위를 차지했다.

===# Black Flag #===
Black Flag - by NekonGames, Avati and more[233]NekonGames, Asuith, AirSavage, SeokSo, Andr1x, Avati, Supris, Nidroo, Shant, Maplegaegosu, JuzGiew, Nau, Liu, BeClan, Zubwill, Loolycat, Lax33, Nekotik, Reunomi, CuluC, DiamondSkull, HellPhire, Gokill, Isane, Lagnugg, ChoGath, Electro543, Just a GD player] , published by NekonGames, verified by Asuith



NekonGames와 Avati가 주최한 대규모 합작레벨이다. 해적을 테마로 하였으며, 오랜 시간 동안 많은 사람들이 참여한 만큼 뛰어난 퀄리티를 지니고 있다. 노래는 Boom Kitty가 작곡한 곡이자 비트 세이버 수록곡이기도 한 Rum n' Bass.

2022년 3월 25일, Asuith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2년 5월 3일, 114위에 등재되었다.

===# Fabrication #===
Fabrication - Published by KeiAs, Created by CrepusCule & more[234], Verified by Luciela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4% 이상이 필요합니다.
6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6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DiamondSplash 100% Youtube
Mullsy 100% Youtube
Mycrafted 100% Youtube
1Sparky1 100% Youtube
Plusxenon 100% Youtube
AlexDIRO 100% Youtube
}}}}}} ||

- Lightning 콜라보 팀의 3번째 합작맵이자 XXL 길이의 맵이다. 한국인 실력자 Luciela가 베리파이하였으며 인세인 데몬을 레이팅 받았었다. 그러나 5월 21일 극버프가 되었으며 베리파이어인 Luciela에 따르면 Carnage Mode와 쌍벽을 이룰 것 같다고 말했다. 포럼 입성후 Carnage Mode와 12단계 높은 26위에 배치되며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235]

2.0 디자인과 2.1 디자인이 섞여있는 것이 특징 합작 기간이 길어지는 도중 2.1이 나오고 그 당시 합작 멤버가 교체되어서 2.1 요소가 추가된 듯 하다.

Luqualizer가 포럼에 올라가자마자 최초로 클리어하였고, 한국에서는 Angelbaton이 최초로 클리어하였다.[236]
버프 전 클리어자는 Luqualizer와 Angelbaton, Plusxenon, Xiko, fhewi, Danger 이렇게 총 6명이었는데 Luqualizer을 제외한 나머지 5명 모두가 한국인이었다. 그렇지만 버프를 해서 이 기록들은 모두 쓸모가 없어졌다.[237]

8월 10일 DiamondSplash가 버프 버전을 세계 최초로 클리어 하였다.

여담으로, nSwish라는 초고수 유저가 2020년 9월 10일 기준으로 이 맵을 마지막으로 Main List를 전부 올클리어를 했다![238] nSwish도 감격스러웠는지, 설명에 My Top 75 Achievements라고 쓰여져 있다.

===# La Cueva #===

===# Effect II #===
Effect II - by MrSupremeGD, verified by ButterFish



MrSupremeGD가 제작한 익스트림 데몬맵이다.

2022년 6월 19일, ButterFish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2년 8월 4일, 146위에 등재되었다.


2020년 12월 4일에 90위에서 81위로 올라왔다.

2021년 2월 14일 한국 최초로 ysj1005가 클리어했다.

===# Quantum Dynamix #===
Quantum Dynamix - by Awedsy and more[]Awedsy, GrenadeofTacos, Luckyy, Smokes, nikroplays, silver, Culuc, G-Force, Genoxide, Riot, icedcave, Aurorus, Komp], published by GrenadeofTacos, verified by Cersia



Awesdy가 주최한 합작맵이다.

2022년 5월 18일, 130위에 등재됐다.

===# Stereo Extremeness #===

===# Future Chaos #===

===# Luxtra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65332454 1분 26초 225703 2020.11.22
Luxtra - by TheGalaxyCat, verified by Zeronium
A solo extreme demon that I worked very hard on and I hope you all can enjoy the level and have fun playing it! Verified by Zeronium ^^



베리파이 된 지 약 1년 만에 별이 붙고 순위에 오른 레벨.

2022년 1월 24일, 141위에서 118위로 23위나 올랐다.

===# Based Gang (Solo) #===

===# Bang Gang (Solo) #===

===# Gentlemens Clique (Solo) #===

===# Low Death #===
Low Death - by Migueword and KrmaL, verified and published by KrmaL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크맨의 새로운 날먹 버프 레이팅

2015년에 제작된 Insane 맵인 Migueword의 High Life를 극버프시킨 맵. 5년이 지난 2020년에 베리파이 되었다. 5년전에 바로 베리파이 되었으면 메인 리스트까지 노려볼만 했으나, 5년이라는 긴 세월로 이미 실력은 심각하게 상향 평준화되었고, 이것보다 어려운 맵이 많이 나오면서, 100위권 밖으로 밀려나간 상태이다. 이 맵은 사실 만우절 기념으로 올린것이라고 한다.

2021년 5월 15일에 144위에서 135위로 올라갔다.

2021년 10월 5일 재평가로 152위에서 149위로 올라갔다.

===# Occult Outcry #===
Occuit Outcry - by Havok and more[240], published by Havok, verified by AeonAir



2021년 3월 22일에 너프 업데이트를 했다.

===# Black Blizzard #===
Black Blizzard - KrmaL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Krazyman50의 마스터 피스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0% 이상이 필요합니다.
70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49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SrGuillester 100% Youtube
rWooshi 100% Youtube
Kevelia 100% Youtube
DiamondSplash 100% Youtube
TrusTa 100% Youtube
Stealz 100% Youtube
RpgRaketti 100% Youtube
Swooker 100% Youtube
Powerbomb 100% Youtube
Herdys 100% Youtube
Luqualizer 100% Youtube
Poemi 100% Youtube
Dirisone97 100% Youtube
Th31 100% Youtube
DiamondDark 100% Youtube
Real 100% Youtube
Mix991 100% Youtube
Pablohh 100% Youtube
Plusxenon 100% Youtube
Waivve 100% Youtube
Coal56AB 100% Youtube
Frety 100% Youtube
BlackMG 100% Youtube
Skullo 100% Youtube
Snowr33de 100% Youtube
Atomic 100% Youtube
TomPP 100% Youtube
Sylz 100% Youtube
liPlatinum 100% Youtube
Sunix 100% Youtube
Wonderless 100% Youtube
Komic 100% Youtube
Rainstorm 100% Youtube
BrianTheBurger 100% Youtube
crohn44 100% Youtube
Enzeux 100% Youtube
ShapiroFan2006 100% Youtube
Enzuu 100% Youtube
xImJuliittoZ950 100% Youtube
GDonut 100% Youtube
Eiruni 100% Youtube
EroGamer 100% Youtube
Xavereth 100% Youtube
ValenQpr 100% Youtube
Zagros 100% Youtube
flukeNflaith 100% Youtube
alexi17 100% Youtube
LuigiDB 100% Youtube
leaflet 100% Youtube
Gamer Rocket 98% Twitch
Spectral 95% Youtube
Swithical 95% Youtube
Aviila RX2X 92% Youtube
ZhenthicOmega 69% Youtube
IIDustikII 68% Youtube
TrueOmega 68% Youtube
Lyal 65% Youtube
Chapo 63% Youtube
Plasmic 60% Youtube
Omega Stryker 59% Youtube
TheFrozenTide 58% Youtube
phatpig321 56% Twitch
ItsDoomeDash RB 54% Youtube
Minute29 51% Youtube
Galaxy GD 51% Youtube
Andies 45% Youtube
Guille1999 43% Youtube
Bigthunder556 43% Youtube
Freek323 42% Youtube
Dillon [GD] 42% Youtube

}}}}}} ||

- KrmaL이 만든 데몬이다. 제목답게 검은색이 많이 사용되었다.

2.1 초창기 가장 유명한 익스트림 데몬 중 하나로, 디자인과 게임플레이 면에서 고평가를 받는다. KrmaL의 대표작 중 하나이기도 하다.

시작하자마자 극악한 미니 큐브 공점 칼타가 나오는데, 이 칼타는 맵에서 가장 어려운 파트로 평가받는다. 이후 대형 큐브 칼타, 암전된 UFO-볼-비행기-큐브 순서대로 나오며 매우 어려운 듀얼 파트로 이어진다. 비대칭 듀얼에 생각보다 타이밍이 빡빡하고 구성이 난잡해서 적응하기 어렵다. 이후 저속 비행기와 웨이브로 좁은 공간을 지나가면 클리어.

원래 현 버젼보다 훨씬 어려웠으나 KrmaL이 모니터를 144Hz로 바꾸면서[241] 맵을 대폭[242] 하향시켰다. 5월 21일에 클리어되었다.

별이 받은 후 10위가 되었다. 이후 Demonicat의 등장으로 20위권에서 퇴출되었다.

여담으로 하향 전 버전에 비해 극후반부의 좁은 지형을 통과해야하는 비행기와 웨이브 부분, 칼타이밍 계단 부분 등 다양한 파트가 너프되었다.

하지만 KrmaL의 언급에 따르면 자신은 너프를 한 것이 아닌 맵을 베리파이 했을 뿐이며 흔히 너프되지 않았다는 버젼들은 완성이 안된 버전이라고 했다. 가급적이면 너프된 맵이라는 말을 사용하지 말자.

이 맵은 2017년 1월~2월 경에 있었던 해킹사건의 피해를 입기도 했는데, 해커가 KrmaL의 계정을 해킹하면서 이 맵의 복사본을 뿌렸다. 그 덕에 아직 나오지도 않은 맵이 복사본으로 돌아다니게 되었고, 출시 이전에 많이 어려울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출시 이후 하루만에 클리어자가 나오게 되었다. 심지어 Rulas라는 한 유튜버는 핵을 써서 풀영상을 올리기도 하였다![243]

BoldStep은 나오자마자 60~100%을 갔고, Sunix는 40~100%을 갔다가 클리어했다. 심지어 SrGuillester는 76%이후 바로 클리어했다.

2017년 12월 17일, 한국에서 Plusxenon이라는 유저가 7개월간의 고행 끝에 약 38000어템을 먹고 드디어 첫 번째로 클리어하였다!!

2020년 6월 15일, Bradenbowl이라는 유저가 세계 최초 모바일 클리어에 성공했다!
근데 이 사람은 그것도 모자라서 같은 해 12월 10일, 세계 최초로 완전 투명 버전의 Black Blizzard를 클리어하기에 이른다. 사용한 총 어템만 무려 74,099어템이라고...[244]

2022년 3월 30일, Shutdown이 69위에 등재돼서 Legacy로 떨어졌다.

===# Edelweiss #===

===# Aesthetic #===
Aesthetic - by SyQual, verified by Rainstorm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60% 이상이 필요합니다.
8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7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8% 이상이 필요합니다.
3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Zeronium 100% youtube
}}}}}} ||

===# Yuh #===
by lFritz, verified by Moosh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100% 이상이 필요합니다.
2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2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60% 이상이 필요합니다.
0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0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TheUltraBlock 100% youtube
Kotamon 100% youtube
}}}}}} ||
쉬운 인데로 유명한 1929의 제작자 Lfritz가 만든 맵이다.

베리파이어인 Moosh를 제외한 클리어자들의 평가가 유난히 좋지 않은데, 특히 한국 최초 클리어자인 ysj1005는 1929가 레이팅만 안됐어도 이딴 똥쓰레기가 안나왔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사실 1929와 이 맵 모두 싱크 위주의 맵들인데, 재밌는 게임플레이로 호평을 받았던 1929와는 달리 Yuh는 싱크에 비해 게임플레이가 나쁜 편이라 평가가 매우 안좋다.

===# Polygonal Paradox #===
Polygonal Paradox - by AleeXhey, kreno and Hypno, verified and published by Hypno



AleeXhey와 kreno, Hypno가 제작한 익스트림 데몬맵이다.

2022년 6월 16일, Hypno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2년 7월 29일 146위에 등재되었다.

===# Floating Outskirts #===

===# Missing Benefits #===
Missing Benefits - Antares and more[245], Verified and published by TGI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63% 이상이 필요합니다.
14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1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Septile 100% Youtube
Jaw IS 100% Youtube
Pablohh 100% Youtube
Dorami 100% Youtube
Enzeux 100% Youtube
RG 100% Youtube
Enzuu 100% Youtube
TheUltraBlock 100% Youtube
Waivve 100% Youtube
PoisoN 100% Youtube
Technical 100% Youtube
xBeNx 80% Youtube
KneeVan 80% Youtube
Tipp7 77% Youtube
}}}}}} ||

원래 Factory Realm X와 Demonicat 위였으나 난이도 재평가로 인해 그 둘의 밑으로 떨어졌다.

===# Mind Control #===
Mind Control - by Deadlox and more[246] published by Deadlox, verified by xander

익스트림 데몬 Crowd Control의 후속작이다. 베리파이는 전작과 같은 xander.

2022년 1월 20일 zander가 베리파이에 성공했고, 1월 25일 레이팅되었다.

2022년 2월 26일, 129위에 배치되었다.

2022년 4월 8일, 137위에서 133위로 올라갔다.

===# SnowFall Fiesta #===

===# Artificial Ascent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rtificial Ascen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Dualies #===

===# Night Rider #===
Night Rider - LmAnubis & more[247], Verified by LuigiDB



- 2018년 LmAnubis가 주최하면서 시작된 초거대 합작맵이다. 많은 유명인 참여와[248]비슷한 시기에 많은 주목을 받던 익데인 Ocular Miracle[249]과 대결 선상에도 오를 정도의 초고퀄리티로 꽤나 많은 인기를 누렸지만, 주최자인 Anubis와 그 외에도 참가한 유저 일부가 도중에 게임을 접거나 잠시 그만뒀기 때문에 2019년에는 합작에 대해 알려진 정보가 거의 없다시피 했다.

그러다가 2020년 4월 7일, Anubis의 채널에 첫 프리뷰가 올라왔는데, 유저들의 오랜 기대에 부응하듯이 맵의 디자인이 매우 뛰어나며, 맵 자체의 테마답게 도시 야경, 네오 시티 등등 각 파트마다 테마의 개성도 매우 뛰어나 유저들의 극찬이 끊이질 않았다.

이후 제작과 멤버 추가모집, 그리고 마지막 CC 이후 2021년 1월 6일, 마침내 마지막 프리뷰가 올라왔다. 이후 2022년 1월 1일, 풀버전이 올라왔다.

반응은 그야말로 매우 뜨거웠으며, 이전 프리뷰에서 보인 일부 파트들의 부족함이 완전히 채워졌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향후 베리파이어는 -누가 베리파이하냐는 댓글러들의 공세를 맞이하며- -심지어 롭탑도 트윗으로 언급했다- Anubis의 언급에 따르면 LuigiDB로 결정되었다고 한다.

맵의 테마, 배경 등이 미래 도시의 아름다움이나 야경의 불빛 가득한 네오 시티를 연상한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며, 일각에서는 최근 출시된 게임인 사이버펑크 2077의 배경만큼이나 아름답다며 극찬하기도 했다.[250]

디자인이 매우 호평을 받는 반면, 게임플레이는 일부 지적이 보이기도 하는 편이다. 2018년에 제작을 시작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래된 게임플레이를 대대적으로 수정하지 않고 거의 대부분 그대로 내보냈기 때문.

2022년 2월 10일, LuigiDB가 베리파이 했다.

난이도는 어려운 편은 맞지만 아주 어렵지는 않으며, 130~150위 정도로 평가받고 있다.

2022년 2월 26일, 레이팅 되었다.

2022년 3월 9일, 131위에 등재되었다.

===# MISFIRE #===
MISFIRE - by Galaxxyss


===# Insane Techniques #===

===# Ouroboros Startpos 2 #===

===# Quantum Processing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Quantum Processing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lodin da fish washer #===
lodin da fish washer - by koko43, verified by ButterFish



koko43이 제작한 큐브, 로봇 칼타 레벨이다.

2021년 8월 4일, ButterFish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2년 6월 13일, 142위에 등재되었다.

===# The Old Trail #===

===# BBBBBBBBBBBBBBBBBBBB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BBBBBBBBBBBBBBBBBBB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Belloq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비밀번호 없음 55610687 2분 19초 212511 2019.5.19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44.74
데몬리스트 점수(53%) (공식포럼) 11.18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37.212
Belloq - Skidel and more[251]Pennutoh, Enzore, Sminx, SlimJim, Jaoday, Unigeny] published by Sminx, verified by BrianTheBurger
thing with sand



Pennutoh가 주도한 합작으로, 사막 테마의 싱크가 잘 맞는 맵이다. BrianTheBurger가 베리파이하였다. 베리파이 하는데 8633어템을 소모한 그는이 맵이 대략 30~60위쯤 위치할 것이라 예상했다.

레이팅되어 53위에 안착하였다.

최근 유튜브 등지에서 이 레벨이 매우 싱크가 잘 맞는다는 것을 이용해 상당한 싱크를 보여주는 다른 노래들과 섞는 밈과 55~56% 중간 꽃병같은 오브젝트가 깨지는 연출에 다른 장면을 끼워넣는 밈이 유행하고 있다. 싱크 면에서는 Moskau가 단연 최고로 여겨지며, 특히 69%가 제일 싱크가 잘 맞는다 하며 원래 음악 대신에 Moskau를 틀고 깨야 한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Hilo가 모바일로 클리어하는데 성공했다!

1tzBee라는 유저가 60hz 한국 최초로 클리어하였다!(한국 최초이자 세계 두번째다.)[252]

2022년 4월 8일, 144위에서 139위로 올라갔다.

===# Glowy #===
Glowy - Rob Buck & Galzo, Verified by BoldStep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5% 이상이 필요합니다.
19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8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DiamondSplash 100% Youtube
WhiteDwarf 100% Youtube
Kevelia 100% Youtube
Sunix 100% Youtube
SrGuillester 100% Youtube
Stilluetto 100% Youtube
Kainite 100% Youtube
Railblazer 100% Youtube
Melodyst 89% Youtube
Naxrin 67% Bilibili
Spamdrew128 64% Youtube
MagnusVN 62% Youtube
DaAlexSeed 60% Twitch
Acticath 59% Youtube
Tipp7 55% Youtube
Gojira 52% Youtube
lPiggyl 48% Youtube
adLiN 48% Youtube
ItzDeceptix 45% Youtube

}}}}}} ||

- 한국계 미국인 유저인 Rob Buck이 무려 26만 오브젝트로 만든 맵이다. 레벨의 이름 답게 글로우 오브젝트를 모두 제거하면 6만개만 남는다. 고로 글로우 오브젝트가 무려 20만개.
초반 1분 레이아웃은 Sunnet(현 Galzo)이 만들었고 디자인과 나머지 레이아웃은 Rob Buck이 하였다. 초반에는 1.9/2.0식 평범한 디자인의 맵같지만 뒤로 갈수록 눈아프게 떡칠해 놓은듯한매우 밝고 현란해지는 디자인이 인상적이다.

길이는 3분 20초 가량으로 3분 정도인 Fusion Z보다 길고 난이도도 매우 어렵다. 다만 BoldStep이 이 데몬은 어템 수보다는 시간을 많이 잡아먹는 데몬이라고 말한 것을 보면, 순간난이도는 이곳의 여타 데몬보다는 비교적 쉬우나 이걸 3분 20초동안 실수 없이 플레이하는 것이 난이도로 크게 작용하는 듯하다.

Sonic Wave 81%, Yatagarasu 96%(...)를 간 BHFusion이 스트림에서 자신이 베리파이한다고 밝혔으나 한동안 소식이 없었고, BoldStep으로 바뀌었다. 그 후 오래 끄는 일 없이 맵을 베리파이했다. 그리고 나오기 무섭게 Sunix가 단 1700 어템프를 소모해 클리어했다...[253][254] Sunix가 클리어하고 나서 레이팅되고, 별을 받은지 얼마 되지 않은 9월 26일경, 포럼 17위에 올라왔다.[255] 그 후 한동안 클리어자가 없다가 몇 주 뒤인 10월 12일, DiamondSplash가 Glowy를 두 번째로 클리어했다.
한국인 유저중엔 YoshinoDash라는 유저가 처음으로 클리어 하였다.
재평가를 받았는지 Bausha vortex 위로 올라왔다.

===# Nightmare Chasm #===

===# Crystal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112516 73645039 1분 8초 87371 2021.09.14
Crystal - by Zeronium
its a crystal cave or something idk



Zeronium의 개인 맵이다.

===# Quaoar (Flosia) #===
Quaoar - by Flosia and more[256], Verified by zPlasmaLust



Flosia가 개최한 한국인 합작레벨이다.

2021년 9월 4일, zPlasmaLust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2년 6월 4일, 146위에 등재되었다.

===# Flyway #===

===# DESOLATE #===

===# Rate Demon #===
Rate Demon - RoiMousti, verified by Dorami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61% 이상이 필요합니다.
4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3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Kapinapi 100% Youtube
Zalgaryth 100% Youtube
Kainite 100% Youtube
robotchief 88% Youtube
}}}}}} ||

===# Power Grid #===
Power Grid - Zurteh & more[257], Verified by Zeronium


===# Void Wave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001441 59620684 4분 18초 366,022 2020.02.10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25.87
데몬리스트 점수(60%) (공식포럼) 8.90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36.996
Void Wave - CherryTeam[258], Verified by Dorami
Gangster's Paradise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10월 18일에, Dorami가 데코를 고치고[259] Verify 한다고 밝혔다.[260] 그리고 2021년 1월 16일경, Dorami가 Void Wave를 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마지막에 실수로 점프를 눌러 98%를 먹었다(...). 그 후 1월 17일경, 마침내 Void Wave를 깼다!
현재 데몬리스트에 상주해있는 에픽맵들 중에 길이가 가장 긴 맵이다. 4분 18초.

===# Bausha Vortex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ausha Vortex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Spectrum Rave #===
Spectrum Rave - by Ryder and more[261], published by Ryder, verified by Floppy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4월 경부터 시작되어 21년 8월에 완성된 합작으로, 이름답게 전체적으로 무지개색을 띄고 있다. 디자인을 잘하는 크리에이터들이 모인 만큼 파트 하나하나의 퀄리티도 수준급이고 게임플레이도 준수한 편이다. 여담으로 Duffz의 파트도 있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Eggnog의 파트로 교체되었다.

===# Death #===

===# Never Beat It #===
Never Beat It - by HeroZombie80, verified and published by Metalface221



1.9스타일의 맵이다.

2021년 10월 1일 Miro가 세계 최초로 클리어했다.

===# Balengu Vortex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alengu Vortex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EnCrypted #===

===# Bass Cave #===
Bass Cave by Bloodshot, verified by nSwish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본래 핵으로 베리파이 된 맵인데, 어째서인지 레이팅이 되었고 그와 동시에 이 맵의 제작자인 bloodshot은 게임플레이와 디자인을 수정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본래의 게임플레이와 난이도에서 크게 어긋나지 않게 수정하겠다고 말했고 맵의 수정이 완성된 후 nswish에게 베리파이를 맡겼다. 초고수답게 베리파이는 빨리 끝났고 당시 nswish의 말에 의하면 infernal abyss의 바로 밑단계에 위치하는 난이도라고 한다.

그후 distraught의 바로 밑에 배치되었다.

===# distraught #===
distraught - alkali & more[]alkali, Eclipsed, Salaxium, Prism, Juhou, Vapen, YakobNugget, Lazuli, Voltex, Failure444, Sminx (엔딩 로고)], verified by TGI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전체적으로 검은색을 띄고 있는 맵. 드롭 시작부터 4배속이 난무하는 등 어려운 난이도지만 특히 alkali의 미친 큐브 칼타이밍이 매우 어렵다. 디자인을 잘하는 유명 유저들이 모인 만큼 맵 퀄리티는 좋은 편.

===# Sinister Incision #===
Sinister Incision - by Yoshikawa and more[263], published by ItsHybrid, verified by MrSpaghetti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Hinds의 Night Terrors를 리메이크 한 맵.

2021년 1월 25일에 86위로 등재되었다.

2022년 5월 3일, Black Flag가 114위에 등재돼서 Legacy로 떨어졌다.

===# Ethereal Artifice #===
Ethereal Artifice - Zeroya and more[264]Zeroya, Isane, HelpegasuS, Geo, Majkomar, Masu, Platnuu, Enixy, Xaren], published by Zeroya, verified by Mycrafted



Zeroya와 11명의 크리에이터들이 참여하여 만들어진 합작맵이다. 특이하게 HelpegasuS의 파트까지는 붉은색 위주의 디자인인 반면, Geo의 파트부터는 초록색 위주의 디자인으로 맵이 진행된다.

===# Static Ignition #===
Static Ignition - Magmeta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Magmeta가 개인으로 제작한 익스트림 데몬, 노래로는 Electroman Adventure의 리믹스 버전을 사용한다.

2022년 4월 6일 Sparkling이 37위에 등재돼서 Legacy로 떨어졌다.

===# Berserk #===
Berserk - Zylenox and TrusTa, verified and published by TrusTa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비밀리에 진행된 Trusta와 Zylenox의 합작
Zylenox와 TrusTa의 극비(?) 합작.

2021년 1월 25일, 116위에서 106위로 올라갔다.

2021년 12월 10일, 레거시인 151위에서 133위로 올라갔다.

2022년 4월 4일, Quantum Theory가 86위에 등재돼서 Legacy로 떨어졌다.

===# Reactor Core #===

===# poocu4ever #===

===# Prisma #===

===# Collapse #===

===# The Sulphur Sea #===

===# Neurostasis #===

===# Illusion #===

===# eternal entropy #===

===# Auditory Breaker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uditory Breaker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Ziroikabi #===
Ziroikabi - RoiMousti, Hacked by Endlevel
방심할 틈 없는 패턴범벅인 맵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2% 이상이 필요합니다.
20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8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Waivve 100% Youtube
batya13370 100% Youtube
Kapinapi 100% Youtube
Seturan 100% Youtube
Rain22 100% Youtube
npesta 100% Youtube
vart 100% Youtube
benji8080 100% Youtube
Blazer2 100% Youtube
zPlasmaLust 100% Youtube
Spouty 100% Youtube
lolwut 100% Youtube
Zagros 100% Youtube
Kainite 100% Youtube
Kay 100% Youtube
Rainstorm 100% Youtube
Cool Dash 100% Youtube
Zerviot 76% Youtube
alexi17 61% Youtube

}}}}}} ||

한국인 크리에이터인 Zariku의 인세인 데몬맵 Zirokabi를 RoiMousti가 리메이크한 맵. 대부분 Zirokabi의 디자인을 따르고 중간에 미로 구간도 존재한다. 다만 베리파이어 Endlevel이 핵 익스포징을 받아 Hacked 처리된 비운의 맵 중 하나이다.

전작 Zirokabi의 특성을 잘 살린듯한 맵으로 호평을 받고있는데, 특히 후반부에 등장하는 공점 미로와 아이콘을 제외한 모든 화면이 가려지는 구간은 그 특성을 멋있게 살려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디자인도 Roimousti답게 매우 화려한 디자인을 자랑한다.

초반의 웨이브 구간과 비행 구간이 굉장히 어렵다고 손꼽히는 구간이며, 정말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한국 최초로 Seturan이 클리어했다. https://youtu.be/9WVkV3MtVA8
또한 한국 두번째로 Chamchi가 클리어하였고,[266] 최근에 한국 세번째로 PlasmaLust가 클리어하였다.

2022년 3월 8일, TheCinnyBun이 107위에 등재돼서 Legacy로 떨어졌다.

===# Pandemonium (Yakimaru) #===
Pandemonium - by Yakimaru and Terron, verified by knoeppel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Death Moon + Nine Circles =
Yakimaru와 Terron이 제작한 레벨이다. 맵은 Funnygame의 Death Moon과 비슷한 디자인과 구조로 리메이크 했다고 볼 수 있다.

2022년 3월 4일, ATOMIC CANNON이 58위에 등재돼서 Legacy로 떨어졌다.

===# SECTOR 19 #===
'''SECTOR 19 - by Sillow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illow의 개인 레벨이다.

2022년 3월 3일, Descent Into Exile이 26위에 등재돼서 Legacy로 떨어졌다.

===# lovel #===

===# TURN THE LIGHTS OFF #===

===# Hatred #===
Hatred - AZuLer4 & SrGuillester, Verified by SrGuilleste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약 1분동안 볼, 큐브, 비행, 웨이브로 이루어진 칼타맵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7% 이상이 필요합니다.
40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29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BlassCFB 100% Youtube
JakeM2436 100% Youtube
rWooshi 100% Youtube
Pablohh 100% Youtube
Emerdy 100% Youtube
Mullsy 100% Youtube
Rainstorm 100% Youtube
Sungsu Kim 100% Youtube
DiamondDark 100% Youtube
iNeo 100% Youtube
ElFranz 100% Youtube
Edstar24 100% Youtube
Talios 100% Youtube
Skullo 100% Youtube
Sunix 100% Youtube
ShapiroFan2006 100% Youtube
TGM05 100% Youtube
BrianTheBurger 100% Youtube
DiamondSplash 100% Youtube
Colorbolt 100% Youtube
GDonut 100% Youtube
GunnerBones 100% Youtube
Gabs 100% Youtube
Eiruni 100% Youtube
Swithical 100% Youtube
Nimbus 100% Youtube
Zagros 100% Youtube
Luqualizer 100% Youtube
PoisoN 100% Youtube
GD Circles 78% Youtube
Saidek 78% Youtube
recillia 63% Youtube
Citrus Sinensis 61% Youtube
Cenos 59% Youtube
XGen26 57% Youtube
BlakeJM 53% Youtube
TomPP 50% Youtube
Hilo 50% Youtube
Pjoes 50% Youtube
KimCY 47% Youtube

}}}}}} ||

- 44%의 3배속 5단가시 넘기를 제외하면 맵의 전부가 저속 모드로 이루어져있다. 그래서 Subsonic처럼 빠르고 현란함으로 난이도를 이루는 것 보다는 타이밍 위주의 데몬이다. 초반부터 엄청난 타이밍의 사이클, 큐브 모드로부터 시작하는데 저속모드이긴 하지만 웨이브와 소형웨이브의 틈을 보면 0.5칸 정도로 엄청나게 좁은 것을 알 수 있다. 또 아주 정확한 타이밍에 들어가지 않으면 죽는 UFO와 정말 조그만 틈만 벌어진 로봇[267]칼타이밍의 끝을 보여준다. 심지어 불규칙한 중력반전+1칸이라는 좁은 공간의 반칸가시를 피하는 소형 비행기, 마지막에 블럭의 위치를 암기해야하는 소형 큐브 모드 부분도 있다. 초반 웨이브와 중후반 로봇모드를 맵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라고들 뽑는다. 또한 마지막 맵 제작자들의 이름이 나오는 블록 끝에 있는 가시에 죽는 사람들도 몇 있으니 조심하자.
이미 익스트림 데몬에 포럼 순위권이긴 하지만, 타이밍 데몬을 소개하는 영상 등을 보면 요즘도 최상위권에 많이 들어간다. 길이가 많이 짧아서 순위가 조금 낮게 책정되었었으나 결국 1년 뒤에나 난이도를 재평가 받아서 여러 맵들을 제치고 19위에서 14위로 올라 Bloodbath까지 뛰어넘었다. 그러나 좀 더 높게 책정되어야 한다는 사람도 있다.

현재 실력자 한국인 유저 Rainstorm8169어템을 사용하여 한국 최초로 클리어하였고,[268][269] 같은 날 Sungsu Kim29000어템가량을 사용하여 두 번째로 클리어 하였다.

Hilo가 모바일 최초로 클리어했다!

코인은 총 2개가 있다.
첫번째 코인은 21%, 초반 미니 큐브모드 때인데, 2단 가시를 넘고 한 번 더 점프하면 중력반전 포탈을 타면서 먹어진다. 포탈을 탄 직후에 숨겨진 공점을 눌러야 한다. 안 누르면 그대로 죽는다.
두 번째 코인은 66%에 중력반전 발판에 닿자마자 클릭을 하면 숨겨져있던 중력반전 공점이 눌러지면서 맨 밑바닥으로 순간이동, 후에 저속모드로 최대한 넓은 2단 가시를 넘으면 코인을 얻을 수 있다. 2단 가시 밑바닥이 가려져 안 보이기 때문에 먹을 때 조심해야 한다.
여담으로 2번째 코인을 먹을 때 죽으면 언더테일의 짜증나는 강아지가 나온다.[270]

여담으로 베리파이어인 생방송에서 SrGuillester가 마지막 가시에서 죽은 전적이 있다.[271][272]
또한 SrGuillester가 맨 처음 이 맵의 프리뷰를 소개할 때 매우 쉬운 데몬(Very easy Demon)이라고 소개했다. 역시 칼타 성애자

이 맵의 후속작으로 Deathwish라는 맵이 있었으나, 영상 코멘터리와 영상이 올라간 날짜를 보면 만우절 영상임을 알수 있다. 하지만 만우절 영상인건 둘째치고 맵 퀄리티가 좋아 현재까지도 이 맵이 나오길 바라는 댓글이 달리고 있다.

2022년 3월 2일, Legacy로 떨어졌다.

===# Furious Flames #===
Furious Flames - Failure444 & Demonic Platypus, Verified by BrianTheBurge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타 맵들에 비해 듀얼의 비중이 많은 익데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3% 이상이 필요합니다.
4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4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Mullsy 100% Youtube
DiamondSplash 100% Youtube
Pablohh 100% Youtube
Kapinapi 100% Youtube

}}}}}} ||

Failure444라는 유명 크리에이터가 디자인하고, Demonic Platypus라는 무명인이 레이아웃을 제작한 합작맵이다. 초반부터 끝까지 눈 돌릴 틈을 주지 않으며, 특히나 칼타이밍과 비대칭 듀얼들이 이 맵을 더 어렵게 만든다. 일자비행은 기본이요, 비대칭 듀얼도 가히 Novalis급이기에 고도의 암기력과 정신력을 필수로 한다.[273] 또한 90% 이후 소고기 파트 또한 굉장히 어렵다는 평이 많다.[274]

2.0때 시작해서 2.1때 마무리를 지었다는 대목에서 쉽게 눈치채기 쉽지만 합작이 정말 오래 진행되었고 그만큼 베리파이어도 자주 교체되었다.
맨 처음에 이 맵의 레이아웃을 제작한 Demonic Platypus를 시작으로 DiamondSplash, Rampage의 손을 거치다가 최종적으로 BrianTheBurger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그러나 Infernal Abyss, Mystic, Paroxysm보다 쓰레기라는 평을 지겹도록 들을 정도로 게임플레이가 엉망이다. 말도 안 되게 버그가 많고 타이밍 구성도 매우 짜증나게 구성된 바람에 억지로 레벨 난이도를 올리는 것의 문제점을 그대로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가 되었다. 이 때문에 DiamondSplash[275]가 바로 클리어한 뒤로 클리어 소식이 정말 띄엄띄엄 전해지며 비주류 데몬으로 전락했다.

4월 11일경에 너프를 진행했으며 이맵의 Verifier인 BrianTheBurger가 그대로 진행했다. 너프와 함께 버그까지 수정했으며 이 영향으로 순위가 19위 하락했다.

11월 16일경, 갑자기 핵으로 극상향을 먹어 레거시로 떨어졌다![276] 하지만 다음날 다시 원상복구되었다.

===# ULTRA VIOLET #===

===# miss you #===

===# Cadrega Mode #===
Cadrega Mode - Pennutoh, Designed by TCTeam[277][278], Verified by EroGame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61% 이상이 필요합니다.
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OlmoZ 100% Youtube
clumpshh 100% Youtube
Floppy 100% Youtube
Hilo 100% Youtube
temp 100% Youtube
Kapinapi 100% Youtube
MrBudgie 100% Youtube
Tipp7 85% Youtube
StarhaGD 65% Youtube

}}}}}} ||

- Pennutoh가 만든 레이아웃을 그가 속한 팀인 TCTeam이 디자인한 맵이다.
베리파이는 원래 무명유저 Lit이 하고 있었으나 EroGamer에게 넘어갔다. 그리고 98%를 갔다...[279]

여담으로 TCTeam이 처음 디자인을 마쳤을 때 Pennutoh가 재디자인을 부탁했다. 본인의 마음에 안 들기 때문이라고. 그래서 몇몇 파트를 수정한 후 엔딩아트도 수정되었었다.

이후 9월 16일 베리파이했다.

Sepheid가 모바일로 클리어했다!

처음 공개되었을 때는 Top10안에 든다고 평받았었으나 노멀모드에서 플레이했을 때 의외로 쉬워[280] Top40 안에도 못 든다고 하는 사람도 존재한다.[281]

2021년 1월 31일에 80위에서 94위로 떨어졌다.

2022년 2월 5일, Terminux가 42위에 등재돼서 Legacy로 떨어졌다.

===# Hyper Paradox #===
Hyper Paradox - ItzHybrid & More[282], Verified by Kapinap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Hyper Paracosm의 리메이크
Hyper Paracosm의 리메이크맵.

2022년 1월 22일, Storming Summit이 63위에 등재돼서 레거시로 떨어졌다.

===# New Record #===

===# CHROMA II #===
CHROMA II - by Renn241, Verified by saturn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CHROMA 시리즈의 2번째 맵.

===# BuTiTi III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684651 57433866 2분 25초 283190 2019.09.15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44.74
데몬리스트 점수(62%) (공식포럼) 11.18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37.212
BuTiTi III by JonathanGD, verified by Nexus
The last level in the BuTiTi series. No more BuTiTi sequels after this one. | Spend 7 months to build this. Verified by Nexus.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Butiti 시리즈의 3번째이자 마지막 레벨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62% 이상이 필요합니다.
13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6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5% 이상이 필요합니다.
2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2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ViewSonic 100% Youtube
LuigiDB 100% Youtube
galaxa04[!] 100% Youtube
AVALANCHA 121 100% Youtube
Technical 100% Youtube
Cutter[!] 100% Youtube
GuitarHeroStyles 100% Youtube
Plasmic 78% Youtube
Qynx 71% Youtube
Galaxy GD 68% Youtube
Bleamer 68% Youtube
Stilluetto 66% Youtube
Nimbus 62% Youtube
}}}}}} ||

JonathanGD의 불렙[285]과 긴 길이[286]로 유명한 맵 시리즈인 BuTiTi 시리즈의 마지막 레벨이자 가장 어려운 레벨.[287] Nexus GD가 97%를 먹고 9월 16일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베리파이를 끝내고 Nexus GD는 응원해준 사람들에게 감사의 표시를 전하고, JonathanGD의 레벨들을 매우 좋아했는데 이번에 이 맵을 베리파이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했다.

초반에는 칼타이밍으로 간을 보다가 중반의 BuTiTi 시리즈의 상징과도 같은 듀얼 모드에서 난이도의 정점을 찍는다. 레이아웃만 봐도 상당한 난이도인데다가 특유의 눈뽕 디자인으로 눈을 아프게 하고,[288] XL 맵+4배속인데도 불구하고 맵의 23%를 차지한다. 프랙티스 모드로 돌리면 한 번 죽는 순간 정말 고행이라는 느낌이 들 정도. 듀얼이 끝나면 또 다시 칼타이밍 구간과 좁은 나비 모드로 소고기를 유발한다.

갤럭사라는 유저가 한국 최초로 클리어했다.

Michigun 밈과 To be continued를 이어 이번에는 마지막 3단 가시에서 죽을 시 물감으로 그리고 번진 듯한(...) 노움 그림이 나타나는데,이게 심히 병맛이라 여기서 죽으면 그야말로 화를 돋울 듯 하다.[289]

여담으로 LDM을 켜지 않고 처음 있는 해골모양 ULDM을 먹으면 죽는다.[290]

===# Voltage #===

===# Ziroikapi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비밀번호 없음 56827411 1분 22초 110828 2019.08.03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56.21
데몬리스트 점수(43%) (공식포럼) 14.05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42.673
Ziroikapi by Davphla and more[291]RoiMousti, Kapinapi, ViralDl, Supris, Kubson, Atom9, ItsHybrid, ZWK], verified and published by Kapinapi
Ziroikabi but better. Co-hosted with Roimousti and ViralDl. Magnet Wave Gang.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번째 Zirokabi 리메이크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3% 이상이 필요합니다.
2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2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2% 이상이 필요합니다.
0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0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Technical 100% Youtube
blazer2 100% Youtube

}}}}}} ||

Ziroikabi에 이은 Zirokabi의 3번째 리메이크 데몬이다.

===# Zinhwa #===

===# DMG CTRL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No Copy 73733373 1분 2초 53002 2021.9.17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7.04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18.772
DMG CTRL - by GhostVandalf, verified by Divade
Stop saying this looks like Acheron or Crowd Control. Verified by Div - My first solo!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GhostVandalf의 개인 레벨이다.

2021년 9월 17일, 베리파이 되었다.

2021년 10월 28일, 135위에 등재되었다.

2022년 기준 수많은 데몬들의 포럼 등재로 레거시로 떨어지게 되었다.

===# Surge of Memories #===
Surge of Memories - TMNGaming, Verified by Kevtom(41594507)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urge of 시리즈 2번째 레벨

- TMNGaming의 어려운 맵이다. 2018년 1월 28일에 Kevtom에 의해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원래는 Rando_da_camando 등 다양한 유저들이 베리파이 하려고 했으나 마지막엔 Kevtom으로 넘겨줬다. 퀄리티 및 디자인은 다른 Extreme Demon와는 차별화된 특징으로 호평받고 있지만 그다지 유명하지 않다.
2019년 6월 18일, 베리파이된지 거의 1년 반만에 레이팅 되었다.

===# Worse Trip #===

===# Astral Divinity #===
Astral Divinity - knobbelboy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Knobbelboy의 최고의 맵

Knobbelboy가 오랜 기간동안 공들여 만든 익스트림 데몬. 제작 당시에는 엄청난 인지도를 얻으며 Bloodlust 베리파이와 함께 Knobbelboy를 Geometry Dash 커뮤니티를 대표하는 인물 중 한 명으로 올려준 맵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이 맵이 만들어진 지 상당히 오래 지난 현재에 와서도 인게임 최고의 디자인을 가진 익스트림 데몬을 논할 때 반드시 빠지지 않는 맵이 되었다.

다만 의외로 이 맵은 Geometry Dash를 통틀어 최고의 익스트림 데몬이라는 평가를 많이 받지는 못하는데,[292] 그 이유는 역대급의 디자인으로도 커버 불가능한 처참한 게임플레이 때문.[293] 특히 Technical은 게임플레이에 대해 100점 만점에 7점을 주며 혹평했다. Knobbelboy가 댓글로 미안하다는 말을 남길 정도. Kainite 또한 worst extreme demon이라고 클리어 영상 제목에 떡하니 달아놓았다. 꾸준히 발전한 디자인과는 달리 게임플레이 자체가 2.0 초반에 만들어져 매우 오래되었다 보니 생긴 문제.

이전에는 God Eater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었고 레이팅되어 포럼에 올라가 있었으나 모종의 이유[294]로 삭제되었고, Knobbelboy가 게임플레이와 디자인을 소폭 수정하여 다시 베리파이하였다. 이전 god eater보다는 조금 너프가 되어 나왔다고 한다. 너프가 되어서 나왔는데 너프되기전보다 순위가 높다

===# Surge of the Shield #===
Surge of the Shield - Geo and more[295], published by Geo, verified by Gabs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애니메이션을 익데로 만든 맵

맵에 쓰인 노래인 MADKID - RISE와 중간중간 나오는 방패 아트, 엔딩 아트 등으로 보아 모티브는 빼도박도 못한 이것. 프리뷰 공개 당시에는 Tate No Yuusha라는 가칭이었으나 완성 후 지금의 제목이 되었다.

===# Spectrum Split #===

===# 2 1 1 #===
2 1 1 - SrGuillester & Etzer and more, Verified by SrGuillester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약 5년만에 나온 2.0 픽셀 스타일 익스트림 데몬
2016년부터 제작을 시작해 2020년에 출시되기 까지 무려 5년이라는 시간이 걸린 데몬. Etzer가 시작한 프로잭트답게 디자인이나 아트, 이펙트로 분류되던 타 데몬들과 다른, 픽셀 및 검은블럭이라는 매우 독특한 컨셉을 보유하고 있다. SrGuillester가 만들고 Etzer가 디자인을 할 맵이었으나 Etzer의 사기 행각이 밝혀지고 소리소문없이 게임을 접게 되면서 출시가 많이 지연되었다. 베리파이를 할 유저를 구하는 과정도 어려웠는데, 처음에는 Andromeda가 베리파이를 맡았지만 포기, 이후 무명 유저였던 GigamiX가 도전한 끝에 베리파이에 성공했지만 얼마 안 가 핵임이 밝혀지며 베리파이를 맡을 유저를 구하는 건 다시 오리무중에 빠졌다.[296] 마지막 파트의 디자인이 계속 만들어지지 않아 한때 platnuu가 리디자인을 시도하기도 했으나[297], platnuu 역시 느린 작업을 전전하다 게임을 접으며 프로잭트가 수렁 속에 빠지게 되었다. 그렇게 출시가 매우 지연된 211은 잊혀지는 듯 했으나... TheFakeFlame의 디자인이 마지막 파트가 되어서 그렇게 SrGuillester는 잊혀저가는 211의 마지막 프리뷰를 공개했다! 베리파이는 SrGuillester 자신이 직접한다하며 211이 부활을 하게 되었다. 마지막 프리뷰가 공개된지 일주일 정도 되자 베리파이 영상이 나왔다. 그렇게 업로드까지 었으며 계속 지연되던 211의 출시가 드디어 이루어지게 되었다. 여담으로 게임에서 211을 치면은 맵의 ID로 인식해 이 맵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제목이 211을 띄운 2 1 1이 되었다.

===# devoid #===

===# Tunnel #===

===# Dolos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Free copy 58417850 1분 40초 131737 2019.11.28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27.08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35.066
Dolos by Enzeux and more[298]HelpegasuS, MrMeurick, Mitz, Keitch, Enzeux], verified and published by Enzeux
The master of cunning deception. Are you capable of outrunning his curse? Two-year-old megacollab by me and 9 friends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You are going to Brazil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100% 이상이 필요합니다.
91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63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1% 이상이 필요합니다.
28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20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Rainstorm 100% youtube
}}}}}} ||

Enzeux의 레이아웃을 그를 비롯한 다른 브라질인들이 데코한 맵.
2020년 8월 6일경, 너프 및 게임플레이를 고쳤다. 이후 50위권에서 69위까지 재평가를 받고 계속 떨어져 이 자리로 오게 되었다.[299]

===# The Hell Field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Hell Field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Glitched Memories #===
by TCTeam[300], published by TCTeam, verified by Zagros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글리치 스타일의 Clubstep 노래 맵 리믹스

Clubstep을 곡으로 사용했거나 테마를 가진 스테이지들을 글리치 형태로 삽입한 다중 오마주 스테이지. 전체적으로 Clubstep 특유의 악마 입 디자인이 꾸준히 나온다는 것과, 군데군데 유명 스테이지인 Ice Carbon Diablo X, Red World Rebirth, Clubstep Nightmares[301], Tartarus[302]등의 디자인을 모방한 것이 특징이다.

===# Audio Expulsion #===
Audio Expulsion - Goodsmile & more[303]Goodsmile, Jghost217, Edge, JustBasic, OSIRIS GD, AbstractDark, Unigeny, Kugelblitz], Verified by Luqualizer, Published by Goodsmile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1에서 돌아온 Audio 시리즈의 세번째 맵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8% 이상이 필요합니다.
22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7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Mullsy 100% Youtube
Stilluetto 100% Youtube
WhiteDwarf 100% Youtube
Technical 100% Youtube
Gabs 100% Youtube
Enzuu 100% Youtube
Dorami 100% Youtube
Kapinapi 100% Youtube
Humbler 100% Youtube
IIwapon77II 100% Youtube
Kainite 100% Youtube
Gizbro 100% Youtube
BrianTheBurger 100% Youtube
RG 100% Youtube
Aphorism 100% Youtube
Rainstorm 100% Youtube
UbiVoiD 100% Youtube
EroGamer 62% Youtube
Pushenka 61% Youtube
Golden 60% Youtube
Komic 48% Twitch
MrBudgie 48% Youtube
}}}}}} ||

Goodsmile을 주최로 하는 극악 합작맵인 Audio 시리즈의 3번째 맵이다. 본래 Audio 시리즈의 베리파이를 담당한 Goodsmile이 게임을 접어 Luqualizer가 베리파이하게 되었다. Luqualizer는 대략 20~30위권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한다.

한때 고평가라고 말이 많았던 레벨로, 많은 유저들이 섭소닉보다 쉽다고 평했다.

9월 1일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Thonyell이 모바일로 클리어했다!

===# MONSTROSITY #===
MONSTROSITY - Snarlax523, verified by WSCK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Crippled Depression #===

===# Anoxysm #===
Anoxysm - Lemons, verified by Mix991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oxysm의 후속작

극악 익스트림 데몬 Paroxysm의 후속작이자 Lemons의 두번째 익스트림 데몬. Paroxysm과 마찬가지로 수려한 디자인과 상당한 난이도를 보여준다.

처음 레이아웃이 올라왔을 때에는 Top 3[304]까지 노려볼 만하다는 평을 받았다. 하지만 베리파이 과정에서 여러 게임플레이 수정과 너프를 거치면서[305], 출시 이후에는 무작정 난이도만 높게 설정하고 내다버린 게임플레이를 가진 전작보다 훨씬 낫다는 평을 받는다. 물론 말이 전작보다 쉬운 거지 여전히 호락호락한 난이도는 아니니 주의. 비행도 0.5칸에서 1칸으로 늘어난 정도가 끝이며, 전작에서의 매서운 칼타는 여전히 남아있다.

===# SubSonic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ubSonic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The Cellar Path #===

===# NetzWerk #===

===# ikaros #===
ikaros - by Andr1x and more[306], published by Pavlaxan, verified by Woosh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인지도가 많이 낮은 35인 대규모 익스트림 데몬 합작

===# Boogie #===
by MiniWheatDuo and more[307], published by DigitalZero, verified by Railblazer



길이가 6분 37초로 익스트림 데몬 중 2번째로 긴 맵이다. 익데치고는 간격이 넓음에도 매우 긴 길이 때문에 쉽지않다.

2021년 8월 24일, 베리파이되었다.

2021년 10월 3일, Main List 끝자리인 75위에 배치되었다. 하지만 다음날 Kuzureta가 61위에 배치돼서 바로 Extended로 밀려났다.

2022년 6월 16일, 112위에서 149위로 내려갔다.

===# Mujigae #===
Mujigae - by YGYoshi, verified and published by Freaklin
무지개

한국계 미국인 유저 YGYoshi[309]의 무지개색을 사용한 극악한 나인써클류맵. 디자인에서 호불호가 갈리나, 처음 제작해본 맵이라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제목은 '무지개'를 로마자로 쓴 듯 하다. [310]

10월 2일 ThatJ4ke가 Freaklin에게 베리파이되기도 전에 클리어하였다. # 다만 그에 의하면 Sonic Wave보다는 쉽다고 한다.

결국 11월 3일에 Freaklin이 Verified하였다!

그리고 한동안 소식이 없다가 Endlevel도 클리어했다. 난이도는 Bloodbath와 비슷하거나 더 어렵다고 했다.최근에 unrated demon list에서 DD위까지 떡상했지만 다시 DD아래로 내려갔다.

2021년 2월 9일, 드디어 레이팅되었다!! 그리고 2월 16일날에 112위로 등재되었다.

===# Betrayal of Destiny #===
Betrayal of Destiny - by Straw and more[311], published by Splash, verified by FrostBur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Betrayal of Fate의 버프+리메이크
Betrayal of Fate의 리메이크 맵이다. 2021년 1월 25일 업데이트를 했으며, 베리파이어는 FrostBurn이라는 유저가 했다.[312]

===# Shock Therapy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071703 57121503 2분 26초 118687 2019.08.22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35.61
데몬리스트 점수(49%) (공식포럼) 8.90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32.751
Shock Therapy by Arb71703 and more[]Arb71703, Jenkins GD, Grax, RadiationV2], published by Arb71703, verified by LuigiDB
Shocking isn't it? By Arb, Jenkins, Grax and RadiationV2. Verified by Luig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잘 보이지 않는 곳곳에 칼타이밍이 섞인 레벨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9% 이상이 필요합니다.
3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2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64% 이상이 필요합니다.
0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0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ViewSonic 100% Youtube
Gizbro 100% Youtube
goldjojo 75% Youtube
}}}}}} ||

===# i hate you #===
i hate you - AlrexX verified by Blitze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나 싫어...?

===# My Worst Demon Level #===

===# Vivacious #===

===# SINGULARITY #===
SINGULARITY - Bianox & Eclipsed, Verified by Knobbelboy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노래, 맵의 분위기, 보라색의 삼단조화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6% 이상이 필요합니다.
20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8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Technical 100% Youtube
Hotball1 100% Youtube
Zeroya 100% Youtube
stardream999 100% Youtube
Kay 100% Youtube
Vyrtual 100% Youtube
rWooshi 100% Youtube
BrianTheBurger 100% Youtube
Kapinapi 100% Youtube
UbiVoiD 100% Youtube
Eiruni 100% Youtube
RG 100% Youtube
Metalface221 100% Youtube
lolwut 100% Youtube
steven 100% Youtube
MrSpaghetti 100% Youtube
Zagros 100% Youtube
Enzeux 100% Youtube
Railblazer 73% Youtube
vinny 73% Youtube
}}}}}} ||

- Kenos의 주도자로 유명한 Bianox와 Spacial Rend의 총괄자였자 에디터 중 한명인 Eclipsed의 합작이다. 전체적으로 보라색 테마를 가지고 있다. 맵 제목의 뜻은 특이점이다. God Eater도 그렇고, 노벨보이의 맵은 여러모로 테라리아 칼라미티 모드와 관련이 있기에 이 Singularity라는 이름도 칼라미티 모드의 재료 이름인 Galactica Singularity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Knobbelboy가 God Eater를 제작하다가 이 맵을 베리파이한다고 했다. 난이도는 Bloodlust보다는 어렵지 않다고 한다. 다만 Bloodlust가 끝난지 얼마 되지도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에 진행하던 프로젝트를 끝내지 않고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Knobbelboy의 태도는 호불호가 갈린다. 댓글에는 Knobbelboy가 해야 하는 프로젝트의 목록을 작성해줄 정도이다. 하지만 Knobbelboy의 말로는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는 전부 잘 되어가고 있다고는 한다.

4월 7일에는 34%와 46~100%, 4월 25일에는 81%를 가 진행중이라는 것을 확실히 알렸다. 7월 5일엔 96%를 갔다! 마지막 점프에서 죽었다고... 소고기의 저주 Bloodlust때가 생각난다

여담으로 Bianox가 Crazen에게 플레이해보라고 복사본을 줬었으며, 83%까지 갔다. 다만 Bloodlust를 Knobbelboy에게서 빼앗은 전적 때문에 이번에도 Knobbelboy의 프로젝트를 빼앗은 것으로 오해받고는 한국 커뮤니티에서 엄청난 비난을 받았다. 반면 다른 커뮤니티에서는 Knobbelboy의 프로젝트를 빼앗는게 오히려 밈이 되었으며, 이제는 자신도 그 밈을 즐기고 있을 지경이다.[314]

===# Breakout Redux #===
Breakout Redux - Mindcap, TheTactiq & more[315], Verified by Waivve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Breakout이 2.1로 돌아왔다!

Stalemate Redux를 만든 TheTactiq의 새로운 Redux맵이다.
원작 Breakout을 제작한 Nwolc도 참여했으며 콘테스트를 열어 Majkomar가 우승해 파트를 가져갔다.
베리파이는 Mirq와 Waivve가 공동으로 맡으며 Waivve가 84%를 갔다.

2018년 8월 17일 Waivve가 베리파이했다! 난이도는 Zaphkiel과 비슷하다고 했다. 하지만 초고수 유저 Rainstorm은 절대 그 정도 난이도가 아니라며, 25위권이 적당하다는 평을 내렸다. 그렇게 38위에 안착했다.

8월 11일 노벨보이의 트위치 생방송에서 베리파이 되었다! 총 18408어템을 들였다.

===# The Hell World #===
The Hell World - Published by Stormfly, Created by Sohn0924 & more[316]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ohn0924의 두번째 The Hell 시리즈
- 1.2때 한국인 유저 Sohn0924가 프랙티스 버그[317]를 사용해 업로드한 The Hell World를 1234, Koreaqwer, Zelda 등 여러 유저들이 디자인을 한 버전. 원래 Zelda 파트는 원작을 뜯어고쳐 비대칭 듀얼을 만들었었으나 원작대로 수정되었다. Krazyman50이 스트리밍에서 RobTop에게 이 맵에 별을 주라고 직접적으로 얘기해서 The Hell Zone과 동시에 데몬이 되었다. 브금은 Dry Out으로 공식 맵 브금이 쓰였다.[318]

Swithi가 최초로 클리어했다.[319] 그 이후 Wooshi999가 2번째로 클리어했고 Wooshi999가 클리어한지 일주일만에 Sunix가 3번째로 클리어했다.

난이도는 Bloodbath와 엇비슷하다고 했다. 그래서 Bloodbath와 비슷하거나 그 아래라고 평가받았었으나, 타이밍 구간들이 재평가되면서 Bloodbath와 Phobos까지 제치고 처음 나왔을 때는 6위까지 올라갔었다.

여담으로 1.2때 맵인 만큼 순수하게 공점, 발판 타이밍과 4단가시, 1칸비행, 볼 타이밍 등으로만 난이도가 결정된다. 몇몇 유저들은 2.0 ~ 2.1 데몬들이 너무 이펙트에만 열중한 나머지 난이도는 그냥 0.5 ~ 1칸 비행이나 좁은 웨이브 구간 또는 로봇 타이밍과 여러가지 포탈 도배로 결정되니 개성이 없다고 평가하고, 오히려 1.2때부터 해온 슈퍼 고인물올드비들은 이런 맵이야말로 진정한 익스트림 데몬 난이도를 부여받을 자격이 있는 맵이라고 한다. 정작 플레이해보면 두 쪽 다 암걸린다

그리고 의외로 모르는 사실인데, 이 맵은 사실 상위 50위 데몬 중 만들어진 후 클리어 되기까지 가장 오랜 시간이 걸린 맵이다. 2013년에 만들어져서 2017년에 디자인되어서 클리어됐으니 무려 4년 동안 클리어되지 않았다. [320] 다만 디자인과 상향 등등으로, 완전히 '다 만들어진 후'라면 1년도 안 된다.

Cycles가 가장 어려운 레벨 취급받던 1.2에 Bloodbath를 쌈싸먹는 난이도의 맵을 무더기로 만든 Sohn0924 역시 대단하다고 평가된다. 다만 이 사람은 국내에서 프랙티스 버그를 처음으로 발견했음에도 그 버그를 악용했기 때문에 그 당시에는 비판을 받았다.[321]

현재까지 이 맵을 클리어한 사람은 swithi, Wooshi999, Sunix, Dirisone97, Skullo로 5명이다.

===# Free For All 2 #===

===# Faded Dream #===

===# ErebuS #===
ErebuS - by Platnuu, verified by Ozzy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latnuu의 Erebus 리메이크
Platnuu가 만든 Erebus의 리메이크. 원작처럼 초록색 계열의 디자인을 사용하며, 마지막 5단가시를 뛰어넘는 파트가 없어졌다.

===# hot rod #===

===# ruber cash 22 #===

===# Athanatos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thanato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Adrenaline #===
Adrenaline - Hosted and Published by okjongmin, Made by okjongmin & More[322], Verified by MrSpaghett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한국인 레이아웃에서 시작된 XXL 익스트림 데몬

국내 유저 Wapon77이 지금으로부터[323] 1년 6개월 전인 2019년 6월 부터 합작의 존재를 알린것이 이 대규모 합작의 전신이다.[324]
합작 초기부터 내로라하는 레이아우터들과 디자이너들이 총집합한 합작이라 그런지 세간으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고, 그에 맞춰 Wapon은 유저들의 파트영상을 유튜브에 올림으로서 계속해서 이 합작의 존재를 커뮤니티에 퍼트렸다.

중간에 크리에이터 콘테스트도 2회씩 개최하면서 점점 규모가 커져갔고, 참가한 유저들의 기막히는 솜씨에 세간의 관심이 점점 커지면서 인기는 절정에 달해갔다.

그리고 2020년 12월 12일, 모든 과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Full Level 영상이 Wapon의 채널에 올라왔다. 1년 6개월의 노고를 알려주듯이 맵의 퀄리티는 다른 어떤 합작들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정도의 수준을 보여주며[325], 깐깐한 플레이테스팅과 버그 점검, 디자인 점검 등 수많은 장인들의 손길이 오고갔다. 그 결과 최종 오브젝트 개수가 약 45만개로 최근 나오는 합작들에 비해서도 굉장히 많다. 최종 쇼케이스 이후에는 드롭 구간의 임팩트가 아쉽다거나 검은 화면이 트랜지션에 지나치게 자주 쓰인다는 일부 지적[326]이 나올 뿐 전체적으로는 디자인과 게임플레이 전부 기대대로 잘 만들어졌다는 평가가 많다.

맵의 퀄리티하며, 길이, 테마, 게임플레이 등 첫 프리뷰가 올라왔을 당시 한창 유명세를 타고있던 Ocular Miracle과 비슷한점이 은근 많다. 사용된 노래인 Sharks의 Adrenaline 또한 Ocular Miracle에 사용된 노래인 Camellia의 Exit this earth's Atomosphere과 전개가 비슷한 것은 덤. 차이라면 어마어마한 크리에이터 라인업으로 초기부터 광풍을 타며 유저들의 핫 이슈로 한순간의 자리잡았던 Ocular Miracle과는 달리 초기 유명세가 OM보다 적었으나 꾸준히 존재감을 알려 가며 인지도를 높혀 이슈가 되었다는 점이 있으며, 디자인 지향점이 OM과 다른 편이고 그에 따라 오브젝트 역시 훨씬 줄어들었다는[327] 점 등이 있다.

2021년 3월 7일 MrSpagetti가 베리파이했으며, 2021년 5월 31일 시간이 꽤 지나서 레이팅되었다. #

베리파이어인 MrSpagetti는 이 맵의 난이도를 130위권으로 평가했으며, 최초클리어자인 zPlasmaLust는 120위권 후반대 #, L0ckvide0s는 140위권으로 # 평가했다.

2021년 6월 29일, 132위로 등재되었다.

===# Galactic Shift #===
Galactic Shift - by HelpegasuS and more[]HelpegasuS, Isane, DUBU, Tesseract, Reunomi, Amatuerre, Estachi, 1374, KireiMirai, LioLeo, SyQual, Krampux, Sikatsuka], published by TeamSmokeWeed, Verified by jbmoo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Galatic Fragility의 후속작

Galactic Fraguility, Delibit Oblivio를 제작한 Team Smokeweed의 3번째 합작.

이전작이 초반부이 헬 테마를 유지하다 갑자기 테마를 집어던진 드랍으로 들어가는 바람에 호불호가 극심히 갈렸는데, 이번 합작은 아예 테마를 정하지 않고 작업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따로따로 만들어진 파트들에 의한 파트 핏이라는 태생적인 한계를 내재하게 되었지만, 파트 각각의 디자인은 아주 준수한 편이다.

전작들과 달리 크게 홍보가 되지도 않았고[329] 조용히 베리파이되어 묻히는가 싶었으나, 오히려 Dorami와 Mulpan이 홍보한 Delivit Oblivio보다 빠르게 별이 붙어 포럼의 한 자리를 가져가게 되었다.

===# Dusker Processing #===

===# SPEEDRUN #===
SPEEDRUN - Kaito, verified by Cinc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특이한 디자인과 빠른 게임플레이가 합쳐진 맵

Innards를 만든 Kaito의 마지막 맵.

Innards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았던 제작자인만큼 이 맵에서도 독특한 색 조합과 픽셀 컨셉의 블럭 및 이펙트가 조화를 이루는 높은 퀄리티의 디자인을 보여주었다. 다만 맵을 시도한 사람들에 의하면 번쩍거려 눈이 아프다고 말한다.
시작부터 끝까지 쉬는 구간이 거의 없이[330]전체적으로 빠른 게임플레이가 특징. 가뜩이나 빨랐던 초반 이후 드롭으로 지나가면 대부분을 4배속으로 지나가야 하며, 그 4배속 안에서도 비대칭 듀얼과 각종 어려운 구성들이 난이도를 높이는 요소. 맵의 인지도가 높은 편이 아니라서 간과되지만 듀얼의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고 평가받으며 Bass cave의 밑, Athanatos의 위에 배치되었다.

2020년 3월 22일에 모더들이 평가한 Top 5 익스트림 데몬 중 3위에 선정되었다. 사유는 Kaito 특유의 색 조합과 이펙트에 어우러지는 글리치 테마.

2020년 11월 22일경, 난이도가 너프되고 게임플레이가 일부 수정되었다.

===# Coolie Mazie Paloozi #===

===# Kinetic Bypass #===
Kinetic Bypass - by Sminx, verified by Luqualize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년만에 레이팅된 독특한 게임플레이의 익스트림 데몬

===# Shock Breaker #===
Shock Breaker - by WormFodder and more[331], published by Spectex, verified by Technical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일렉트릭 컨셉의 고퀄리티 익스트림 데몬

===# Abandoned Planet #===

===# Microsoft DriveThru #===

===# memories #===
memories - by ImMaxX1


===# Endless Dream #===
Endless Dream - by DreamTide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모바일 유저가 제작부터 베리파이까지 모두 한 익스트림 데몬

최고의 모바일 유저 제작맵으로 평가받는 맵으로, 디자인, 게임플레이, 최적화 모든 것을 놓치지 않아 현재 인게임 최고의 익스트림 데몬을 논할 때 빠지지 않는 맵이 되었다.

===# The Hell Zone #===
The Hell Zone - Published by IStormflyI, Created by Sohn0924 & more[332]



- 1.2때 한국인 유저 Sohn0924가 프랙티스 버그를 사용해 업로드한 The Hell Zone을 1234, Koreaqwer, Ryan LC, Cyclic이 디자인을 한 버전. 원래는 Cyclic이 Verify하였으나 핵이었다고 자백한 이후 서버에서 삭제되었었다. 그리고 Zelda, Overowned, Stormfly 각각 세 유저가 자신만의 버전(너프 혹은 버프된)을 업로드하려 했고, 결국 먼저 Stormfly가 Verify하게 되었다.[333] 다만 RobTop은 초반 타이밍이 너무 어렵다면서 이 맵에 별을 붙이는 것을 거부했다.
Bedlet이란 유저도 디자인 추가 버전을 베리파이, 업로드했으며 https://youtu.be/ZNJsPayox2c Sonic Wave를 베리파이한 Sunix도 가장 어려웠던 버젼을 도전중이었다. 하지만 Krazyman50이 스트림 방송에서 RobTop에게 이 맵에 별을 주라고 직접적으로 얘기해서 The Hell World와 동시에 데몬이 되었다.

몇몇 유저들은 같은 타이밍 데몬인 Conical Depression 과 Hatred보다 이 맵이 위라고 평가하기도 하는데, 이유는 비슷한 수준의 타이밍에 The Hell Zone의 길이가 더 길고, 디자인 때문에 장애물이 잘 안보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포럼에서 Conical Depression 위로 승격되었으며 Bloodbath보다 위에 자리잡았다.

venfy가 모바일로 클리어했다!

2021년 10월 24일 148위에서 107위로 무려 41위나 상승했다.

===# Infernal Abyss #===
Infernal Abyss - Published by swithi, Created by Gboy, Manix648, Bianox & Rustam[334]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가장 유명한 2.0 익스트림 데몬 중 하나이자 당대 최고난이도 맵 중 하나로 꼽힌다.

원래 Gboy가 개인 맵으로 내려 했던 맵인데, https://www.youtube.com/watch?v=oja6x84yNFk 무빙 오브젝트에 오류가 나서 업로드 여부가 불투명해졌었던 맵이다. 무빙오류를 고치면서 Gboy가 디자인이 마음에 안든다는 이유로 Manix와 Bianox에게 부탁해 디자인을 강화하였다.

원래 TrusTa가 Verify하려 했으나, TrusTa가 Yatagarasu로 넘어간 이후 Brandon Larkin에게 맵이 넘어갔다. 하지만 Brandon이 자신이 Verify하려던 맵을 모두 포기해 DuaL KiKi에게 넘어갔다가 Mince에게 도착하는 등 여러모로 우여곡절이 있었다. swithi가 10월 말쯤에 클리어했지만 심심풀이로 클리어한 것이고 Verifier인 Mince를 위해 업로드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Mince와의 합의로 클리어한 영상도 2달간 비공개 처리됐었다. 그런데 Jacob Firestone이라는 사람도 이 맵을 클리어하고 업로드했다. 그러자 제작자중 하나인 Manix648이 swithi에게 맵을 업로드해달라고 했다.(즉 swithi버전이 공식 버전이다.)[335] 한편 현재 swithi는 핵 사용을 자백하였고, 그의 이름은 'forget'으로 바뀌었었으며, 그의 채널의 동영상이 모두 삭제되었었다. 지금은 일부 영상들이 swithical이라고 채널 이름이 바뀌어 있으며 복귀한듯하다. 자세한 내용은 이곳이나 이곳참고.

난이도는 길이가 짧지만 순간적인 난이도가 극악이기 때문에 Bloodbath보다 어렵다는 유저들이 많았고 결국엔 BB를 추월한 상태. 현재는 Bloodbath보다 두 티어 정도 더 어렵게 여겨진다.[336] 사실 초반에는 처음부터 좁은 비행구간에 칼타이밍 등으로 무장했다. 또 웨이브모드와 UFO모드에서 잘 죽으니 조심.

코인은 맨 마지막에 1개 있는데, 좁은 톱니바퀴 사이로 45도로 비집고 들어가야 한다. 97%에 있기 때문에 여기서 죽으면 망한다. 그래서 이 코인을 지나치고 그냥 클리어하는 유저들도 많다. 대표적으로 rainstorm. 그는 mulpan이 코인을 먹고 깨지 그랬냐고 하자 먹다 죽으면이라고 답했다.

많은 사람들이 모르는 사실인데, 사실 이 맵은 Gboy가 Cataclysm의 공식 후속작으로 만든 맵이다. 다만 Bloodbath에게 공식 후속작 자리를 뺏기고, 맵에 오류가 생겨 완전히 망가져서 버려졌다가 Manix가 부활시킨 것이다. 당시 Manix가 가장 좋아하는 맵이였다고.

Sunix가 이맵을 클리어하면서 당시 포럼 20위까지 전부 클리어를 하였다.

현재 클리어자는 Jacob Firestone 외 17명이다. 한국에서는 Xeon이 86~89% 사이에서 무려 8번씩이나[337] 죽어 그는 결국 이 맵을 50%를 간 또다른 국내 유저 Rainstorm에게 한국 최초 클리어 자리를 양보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진전이 없는 듯 하다가 한참 후 Rainstorm이 다시 이 맵을 파기 시작하여 결국 클리어하였다.

2018년 12월쯤 재평가를 받아 33위로 떡상했으나, 가면 갈수록 도를 넘는 상향 평준화의 피해를 받아 Extended로 떨어지고 말았다. Athanatos와 난이도 비교가 상당히 많이 이루어졌으나,둘을 다 깬 유저들이 입을 모아 Infernal Abyss가 더 어렵다는 의견을 내놓으며 순식간에 논란이 종결되었다.

전반적으로 게임플레이가 좋지 않고, 매우 저평가된 레벨로 여겨진다. 레벨을 클리어한 수많은 유저들에게서 게임플레이 혹평 및 저평가론을 쉽게 볼 수 있으며, 특히 Technical은 가장 역겨운 레벨, 정신건강을 생각해서라도 하지 말라는 평을 남 긴 뒤 그 이후로 레벨을 평가할 때 인퍼널보다는 겜플이 낫다는 말을 아주 많이 사용하기도 했다. Mr Spaghetti 역시 자신이 깬 레벨중 최악의 레벨이라 평했으며, 포럼 23위에 위치하는 spacial rend를 깨는데 들인 어템수와 infernal abyss를 깨는데 들인 어템수가 거의 비슷하다는 후일담을 남기기도 했다.

모바일 초고수 Hilo는 이맵은 모바일로 할시 celestial force보다 어렵다고 평했다.

===# Fabricated Thoughts #===
by MaxiKD, verified by YakobNugget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좁고 특이한 게임플레이를 가진 맵

===# Curie #===

===# Eleos #===

===# RASH #===
RASH - by Loltad, Verified by crumche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xuser morelike luser #===

===# Ithacropolis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159357 41149984 1분 47초 64852 2018.01.17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17.95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23.073
Ithacropolis by BIGMAC77 and more[338], published by BIGMAC77, verified by Skulzi
In a far away land forgotten by time, there lies an ancient, ominous city. Level by Me, 00Zero, Jowi and Joltic. Verified by Skulz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100%가 필요합니다.
12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2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8% 이상이 필요합니다.
10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2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BrianTheBurger 100% Youtube
Dellinger 100% Youtube
RG 100% Youtube
Gizbro 100% Youtube
Skullo 100% Youtube
Kainite[!] 100% Youtube
}}}}}} ||

Necropolis의 보라색 테마 리메이크 레벨. 이따구로폴리스

===# Masochism #===

===# OPSM1 #===
OPSM1 - VARSE, verified by Harry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TeaM Z #===
Team Z - 99Percent & more[340], Verified by Rain22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포럼 20위대에 안착한 대규모 합작으로, ZAPHKIEL 등을 클리어했지만 유명하지 않은 유저인 Rain22에게 베리파이되었다. 한때 Best Unrated Extreme Demon에도 자주 들 정도여서 99Percent가 유명 유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운이 좋게 별을 받았다. 안타깝게도 Rain이 91%를 먹고 나서 클리어했는데 그 클리어 영상이 녹화가 안 되었다고 해서 현재로써는 91% 영상밖에 찾아볼 수 없다.[341]이 때문에 핵이 완전히 아니라고는 할 수 없는 상황.

2018년 5월 4일에 다시 클리어하여 정상적으로 베리파이했다.

Kainite가 한국 최초로 클리어 했다! 클리어 영상.[342]
그에 이어 Dorami가 2935 어템으로 스트림에서 클리어했다.
그후 [ND]GD Canaras가 7654어템으로 클리어했다.
그 외 Rainstorm, Ohdangs란 유저조 클리어했으며, ItsDoLove란 유저는 59%를 갔다.

여담으로 국내유저들은 Team Z를 팀ㅋ라고 부르는데, 이는 전술한 Ohdangs가 처음 발언한 이후 Tipp7이 언급을 하면서 퍼진 것이다.

===# Disaster Dive #===

===# MadMansion #===
MadMansion by Rainstorm and more[343], verified and published by GunnerBones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많은 크리에이터들이 참여한 데몬 합작.

첫 프리뷰부터 검정/하양을 테마로 한 수려한 디자인과 2.1 익스트림 데몬 트랜드와 다른 암기형 게임플레이, 그리고 네임드 유저였던 MajackO[344]의 복귀로 화제몰이가 되기도 하였다. 여러모로 기존과 다른 노선을 택한 맵.

===# Mystic #===
Mystic - Published by EndLevel, Created by Krazyman50 & more[345]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If you're ever looking for something to beat do not try this. Ever. Almost all parts are aids as fxxk.
(당신이 클리어할 레벨을 찾고 있다면 이건 하지 마라. 거의 모든 파트가 X같으니깐.)
- 최초 클리어자 Sunix[346]
- EndLevel이 핵을 써 Verify한 극악 13인 합작맵이며 예전 Krazyman50외 13명의 합작맵 Valor의 후속작이다.
"신비로운"이라는 뜻의 제목에 걸맞게 음악도 그렇고 디자인도 그렇고 꽤 판타지하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풍긴다. 유명한 이지 데몬 Sidestep과 노래가 같다.
다른 극악맵들에 비해서 디자인이 깔끔하고 장애물이 잘 보여서 맵이 상대적으로 쉬워보일 수도 있지만, 실제로 상당히 어려운 익스트림 데몬이다. 또한, 게임플레이가 상당히 나빠서 많은 지적을 받는다.

초반부터 극악한 로봇 칼타이밍으로 시작해 초중반 극악의 4배속 1칸 소형 웨이브구간[347], 어지러운 볼모드, 벽타기 및 마지막 볼 타이밍[348]어지간한 데몬들을 뛰어넘는 어려운 파트들로 도배되어 있다. 아예 처음부터 Bloodbath보다 어렵다고 깔았으니 난이도를 알 만 하다. 그리고 Jonathan, Zendayo 파트가 후살이 심하다. 코인은 총 3개가 있으며 맵 난이도에 비해서 그렇게 어려운 것은 아니나 HexHammer의 파트의 2번째 코인 등 꽤나 까다로운 부분이 있다.

2017년 10월 25일 9시 4분, 스트림에서 한국 유저 Xeon이 4737어템을 들이고 클리어했다. 또 Y75라는 무명 한국유저도 약 한 달 뒤 클리어했다. 이후 2018년 3월 3일 쯤, Dorami도 클리어했다!
그 뒤, 2018년 9월 16일자로 Latent라는 무명 유저도
클리어했다.
현재 클리어자는 DiamondSplash, Sunix[349], Skullo, BrianTheBurger, Xeon, Y75, Wooshi999, BeanyBean, Kainite로 9명.
여담으로 Mystic(미스틱)은 이 게임의 진영 중 하나다. 이전에 Krazyman50외 13명(총 14명)이 Valor(발로)라는 합작맵을 만들었는데 그것도 이 게임의 진영 중 하나다. 베리파이어인 EndLevel도 Valor의 후속작이라고 했다. 후속작은 Instinct(인스팅트)일 것이라는 반응이 많았는데,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다.

SEA의 영상에 따르면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이라고 했다. JonathanGD, Sleepy, Ziel, Megaman, iBlade의 파트가 리메이크 될거라고 한다.
사용한 음악은 Sidestep.

여담으로 영상에 나오는 멍한 얼굴을 한 괴물 형태의 장애물은 해외에서 밈이 되었다. Clubette라는 의인화도 있는 모양(...)

===# aether (ZeroSR) #===

===# Turbulent Valley #===

===# The Hell Origin #===
The Hell Origin - Published by Stormfly, Created by Sohn0924 & more[350]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The Hell 시리즈의 원작자로 유명한 Sohn0924가 1.2 시절 프랙티스 버그를 이용해 베리파이한 맵을 이후 Tsukifuto, Azuler 등이 재디자인 하고 Stormfly가 재 베리파이한 맵이다.이쯤되면 진짜 1.2 시절에 이정도 난이도를 뽑아낸 Sohn0924도 대단하다 베리파이된 후 상당한 시간동안 별이 붙지 않다가 결국 별이 붙고 그러자마자 포럼에 등록된 맵이다.
초반부터 일자비행에 중력반전을 넣는, 일명 ICDX형식 비행이 존재하며, 볼 모드에서도 극 칼타를 요구하는 것이 상당한 난이도를 자랑한다. 이후에도 Bloodbath 초반 비행보다도 좁은 1자 곡선비행, 미치건 구간, 연타 구간 등등 정말 어려운 패턴이 맵 전체를 감싸고 있다.

Stormfly가 이 맵을 베리파이하다가 84%를 먹었을 때 자신이 해본 맵중 최악의 맵이라고 하며 12시간 안에 클리어 소식이 없으면 이 게임에서 만들어진 최악의 맵들 중 하나은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원문] 같은 날 90%도 먹었으나 다행히도 하루 뒤 클리어했다. 그리고 한동안 The Hell시리즈는 하지 않을 것이라 했다.

여담으로 한국인 크리에이터가 없는 유일한 The Hell 시리즈이다.[352]
현재까지 클리어자는 Herdys, Luqualizer, Sunix 총 3명이 클리어하였다.

Mike139115가 모바일로 클리어했다.

===# DARKENED #===
DARKENED - by Uneskladovae and more[353], published by Bianox, verified by Yoshikawa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분정도의 짧은 길이를 가졌지만, 무자비한 칼타로 플레이어를 압박한다.

===# OneAttempt #===

===# Supreme Demon Mix #===

===# Advanced AirStream #===
Advanced AirStream - by ZephiroX and more, published by Zekke, verified by Golde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The Hell Inferno #===
The Hell Inferno - by Sohn0924 and more[354], verified and published by Stormfly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번째이자 마지막 공식 헬시리즈 레벨
Sohn0924가 옛날에 제작한 The Hell 시리즈 맵 중 하나인 The Hell Inferno의 리메이크이다.

===# EnvY #===
EnvY - DanZmen, Verified by Dorami(45411361)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Slap Squad 시리즈, Running in the 90s와 같은 유명 데몬 맵을 대거 속출하던 DanZmen의 첫 번째이자 어쩌면 마지막이 될 수 있는 익스트림 데몬맵.[355][356] 디자인은 DanZmen의 맵에서 전형적으로 볼 수 있는 글로우 & 펄스 스타일의 형식을 띄고 있다.

맵을 보면 알 수 있지만, 다른 모드들도 충분히 어려우나 초반 웨이브가 미쳐돌아간다! 정말 순간난이도는 유명 웨이브 맵인 Zaphkiel 이상 수준. 그 외에도 칼타를 꽤 요구하는 편이다. 맵이 대체적으로 4배속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마지막에 저속파트도 있어서 다양한 모드, 속도에서의 실력을 요구하는 맵이다.
처음에는 인세인 데몬이였다가 최근에 익스트림 데몬으로 승격하였다.

[SD] AngelBaton이 한국 최초, 세계2번째로 클리어하였다!

현재 클리어자는 Schuld, zPlasmalust, SP VaLuE, Temp, Rainstorm, VoTcHi, Magellan, Kainite, Interchange, Kowoo, YoungUng2
1 Sparky, ddddr, Plue2007, kongback25, hangookin, 순북이, menace, Jeller, Alphaine, RedCraft 등등이다.

여담으로 한국인 유저들은 이맵을 이명박이라고 부른다. EnvY와 MB(..)의 발음이 비슷해서인 것으로 추정된다

===# Carnage Mode #===
Carnage Mode - Findexi & more[357], Verified by SrGuilleste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SrGuillester가 7월 24일 베리파이한 극악맵. 에픽맵인 만큼 디자인이 많이 좋다. 맵 내의 웨이브모드가 꽤나 극악하다. 베리파이 된지 6일만에 DiamondSplash가 처음으로 클리어했다. 그 뒤, 8월 2일, Sunix도 스트리밍에서 클리어했다. 저평가를 받는다는 멥치고는 길이가 최초클리어자가 빨리나온편이다
블오저를 생각하자
순간난이도가 그리 어려운 편은 아니지만 길이가 무려 3분이나 되는 데다 세세한 컨트롤이 많이 요구되기까지 한다. 그래서 3분대나 될 정도로 긴 맵 길이에, 다른 데몬 못지 않은 난이도까지 겸비하고 있어 이 맵이 저평가받았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다. 맵이 나왔을 때 시점으로 10위권 안으로 들어가야 한다는 사람도 상당수. 여담으로 Sunix가 이 맵을 스트리밍에서 클리어했는데 영상의 문제때문에 노클립 영상을 유튜브에 올렸는데 유저들이 노클립을 쓰지 않았다고 착각했을 정도로 플레이를 잘했다... 한국인인 GD Canaras가 79%를 갔다.그리고 2018년 4월 18일 결국 클리어해냈다!
여담으로, 이 합작맵이 Juhou가 참가한 첫 합작맵이다.

현재 클리어자는 Canaras, DiamondSplash, ElFranz, HackMan617, Skullo, Shuri, F1re1337, Pengu, Epsilonic, Sunix, Xylitol로 11명이다.

===# Removed Submission #===
Removed Submission - by WHErwin, verified by Gablo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Newgrounds를 테마로 한 맵.

===# The First #===

===# Asmodeus #===
Asmodeus - VeXioN & more[358], Verified by Sonic80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나온 지 1년이 거의 다 돼서야 별이 붙은 맵이다.

이름의 어원은 아스모데우스.

===# Tenth Circle #===
Tenth Circle - DeniPol, Verified by Doram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청백색의 나써류로. 최초 클리어는 Luqualizer로, 자신이 깼던 Thinking Space보다 최악이다이라는 평가를 했다.[359]

여담으로 데스 아트랑 엔딩 아트에 아헤가오(클릭주의)가 있다(...) 물론 Tenth Circle의 시작부분에 Toggle Death MEME (EFFECT)라는 글이 써져있는 공점을 클릭하면 없앨 수 있다.

사용된 노래는 러시아 가수 아르카디 우쿠프닉의 I'll never marry you(DJ KoKo Remix)이다. 원곡 듣기

클리어자들의 대부분은 게임플레이가 상당히 안좋다는 평을 했다. 하지만 업데이트 후로는 좋은 평을 받는다.

2021년 6월 2일날에 버그픽스겸 업데이트를 했다. 버프한 부분이 있지라도 대부분이 너프를 당해 2021년 6월 8일, Legacy로 떨어졌다.

===# Fusion Z #===
Fusion Z - by Manix648 and more[]Manix648, Platnuu, xcy7, Jo2000, Coliwog, Fred, Loogiah, Surv, Bianox, Lieb, Elanox, Terron, Edicts, Xaro, Noriega, LazerBlitz, LuichoX, KingTony], published by PlebKingdom, verified by LuigiDB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Manix가 재개최한 Fusion Z의 1.9 버전. 길이가 4분 후반대로 길고 순간난이도도 높은 편이어서 한때 저평가라고 어마어마하게 비판받았던 맵이었다. 인게임 저평가 맵 1위로 자주 꼽힐 수준. 그러나 지금은 순위가 조금 올라서 나아졌다.

2020년 11월 9일에 버그 픽스겸 업데이트를 했다. 주로 너프 업데이트를 했다.

===# Untitled #===
Untitled - iiLuna and more [361]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Convie가 제작한 레이아웃을 디자인한 맵으로, 노래는 레오루 No title을 사용하였다. 익데에서 쉽게 볼 수 없는 푸른색 계열의 디자인과 싱크가 딱딱 맞는 게임플레이가 일품이다. 다만 게임플레이 대부분이 연타나 웨이브로 이루어져 있는 등 난이도가 있는 편.

후속작으로 Retitled가 제작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서버에 레이아웃 버전만 올라와 있는 상태.

===# Falcon16 #===
Falcon16 - by Isane and more[362], published by Lieb, verified by Zeronium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하늘을 테마로 한 배경과 신나는 음악이 특징. Extreme demon 중에서는 테마를 갖고 있는 몇 안되는 것 중 하나로, 디자인에 대한 호평이 많다. 11퍼까지의 큐브 구간은 그리 어렵지 않으나 32%이후의 4배속 구간은 극악함 그 자체이다. 4배속 웨이브가 45%정도까지 2차례 등장하는데 그 부분만 넘어가면 뒷부분은 전반부에 비하면 난이도는 다행히(?) 쉬운 편. 그래도 겜플 자체는 꽤 재밌는 편이라는 평이며 전반적으로 뛰어난 퀄리티에 비해 상당히 인지도가 낮아서 제대로 된 Auto 버전이나 Shitty 버전도 없는 데몬이다.

===# VendetTa #===
VendetTa - ZenThrix24 & more [363], verified by Farzz Zinjj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Hardest demon 50위에 위치해있다가 Dark Flare 순위 결정에 의해 Extended로 떨어졌다.

===# Dimension Breaker #===
Dimension Breaker by Konsi and more[]Konsi, Enixy, Optex, Alecast, Bianox, MoonSpark, Enzore, Voltex, Logic, Failure444], published by Bianox, verified by Gabs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Galaxy Breaker의 후속작. Dimensional Breaking이랑은 이름만 비슷할 뿐 전혀 다른 맵이니 혼동하지 말 것.

===# Freedom19 #===

===# Caution #===

===# Phobos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hobo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Twilight Coexistence #===

===# Showdown #===

===# Le Midd Mapperoonies #===

===# Shibui #===
Shibui - by Kaz Va, verified and published by Xani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EXPLICIT #===

===# Sakupen Hell #===
Sakupen Hell - Published by TrusTa, Created by Noobas
문서 참조.

===# Ancestral Calamity #===
Ancestral Calamity - MrSpaghetti & more[365]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테라리아 Calamity Mod를 기반으로 제작한 레벨.
2018년 8월 29일 Mrspaghetti가 베리파이하였다.

===# Silentium Gradas #===
Silentium Gradas - Stormfly & more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Metalface221의 Silent clubstep 리메이크 맵이다.

===# Malevolent Maelstrom #===

===# Wild Rose #===

===# super kontik #===

===# Blade of Justice #===
Blade of Justice - Manix648, LazerBlitz & Knobbelboy[366], Verified by RicoLP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하향 전 버전
- Manix와 LazerBlitz가 만든 푸른색 계열의 합작 익스트림 데몬.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

제작 당시에는 불가능에 가까울 정도로 어려운, 최고난이도 데몬으로 악명높았던 맵이다. 2.0 후반~2.1 극초반에 나온 맵임에도 불구하고 Zodiac 수준의 맵을 만들었는데, 이로 인하여 당시 고수로 유명했던 실력자들이 전부 포기를 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길이 매우 좁은 첫 로봇과 모든 패턴이 판정을 이용한 좁은 길을 통과하는 어려운 웨이브와 비행으로 이루어진 초살부터 비대칭 듀얼 주제에 길과 가시의 간격이 매우 좁기까지 하는 중살[367], 바로 뒤쪽의 나비모드부터 시작되는 후살까지 거를 타선이 없다. 레벨 완성 이후 등장한 거미 모드 및 4배속을 제외하면 말 그대로 모든 컨트롤과 기믹 통과 능력을 요구하는 종합적인 고난이도 데몬. 이로 인해서 Yatagarasu도 우습게 보일 정도로 베리파이 도중 어마어마한 수준의 너프를 당했으며,[368] 너프 이후에도 익스트림 데몬 중에서 쉬운 축에 들어가는 맵은 아니다.

또한 2.0 시기의 명작 익스트림 데몬을 논할 때 반드시 언급될 정도로 준수한 게임플레이와 디자인을 보여주는 맵이다.

처음에 DuaL KiKi가 Verifier를 맡았을 때 하향을 시키고 verify하려 하였으나 학업문제로 Trusta한테 넘긴다음 TrusTa가 다시 상향을 하였으나, 게임에 소비하는 시간이 많다며[369] 다시 하향시킨 다음 lSunix한테 맵을 넘겨주었다. 결국 Sunix가 다시 상향시켰으나 컴퓨터 사양 때문에 결국 Sunix도 포기했다. 그 이후 ThatJ4ke와 Combined도 이 맵을 맡았으나, 그들 조차도 포기했다.
그후 마지막으로 재미로 이맵의 언너프 버젼을 하던 RicoLP가 맵을 옮겨 받아 2017년 7월 4일에 Verify했다. 비록 Manix가 이 맵이 빨리 나오는 것을 원해 너프를 먹었지만, 1년이 넘는 기간이 지나서 과거 최강의 데몬이라 생각되었던 맵 중 하나가 클리어되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370]

한편 이 맵이 베리파이되기 전에 Wooshi999가 Unnerfed 버전을 연습하고 있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이 맵이 올라온지 3시간 만에 Wooshi999가 클리어하고, 이는 이런 저평가에 아주 큰 영향을 끼쳤다![371] 현재 영상은 삭제되었지만 해당 영상은 RicoLP와 통화 중 녹화되었으며, Wooshi가 "Beat it"이라고 하자 RicoLP가 절망이 섞인 탄식을 내뱉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후 RicoLP가 해당 영상에 "..."이라는 댓글을 달았고, Wooshi를 비롯한 많은 유저들이 그를 위로해주었다. 심지어 한국인 유저 LIFE도 베리파이 하루 뒤 58%를 갔다.[372] Sunix도 베리파이 후 3일 뒤 클리어.

포럼에 2일정도 등재되지 않을 때 많은 유저들은 Bloodbath정도의 순위라고 예상했지만, 23위가 되면서 2020년까지도 회자되는 희대의 순위 논란이 발생하게 되었다. 나중에는 다른 극악 데몬들이 더 등장하며 Extended까지 밀려나게 되었다.

2.0 후기 Manix의 슬럼프 시절에 제작된 레벨이라, 해당 시기에 보인 타 레벨에서 요소들 배껴오기라는 문제를 고스란히 답습하고 있기도 하다. 전체적인 부분의 디자인을 Spearain이라는 유저의 Modern Paladin이라는 맵에서 도용하였고 이 맵에 쓰인 칼 디자인도 허가 없이 사용하였다는 의혹이 있다.

사용된 노래는 Betrayal of Fear.

2018년 3월 12일 Wooshi999가 언너프 버전을 다시 파기 시작해서 48~98%를 가는데 성공했다. 그의 말로는 확실히 Bloodlust보다 어렵다고 한다. 그는 현재 별이 붙어있는 버전을 이 언너프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고 싶다고 말했지만, 유저들의 반발을 살 것 같기도 하다고 했다.[373]

한때 엄청난 난이도로 유명한 이 맵도 곧 레거시로 떨어질 예정이다.
결국 Shatter이 133위로 등제 됨에 따라 Extented 퇴출.

그러나 Libertas가 너프 업데이트로 인하여 다시 올라갔다.

그렇게 2021년 4월 21일부터 4월 29일까지 제차 Extended에서 머물고 Stagyian Machinery의 68위 등재로 다시 레거시로 추락했다.

현재 Edge of Destiny라는 언너프 버전의 리메이크가 제작중이다. 이후 2023년 3월 10일 베리파이 되었다.

===# Alpha Baa X #===
Alpha Baa X - by Swithical and Eggnog, verified by kota, published by Eggnog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Alphabet X의 리메이크 맵이다.

===# Betrayal of Fate #===
Betrayal of Fate - Weoweoteo & Xcy-7 Verified by -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A Bizzare Phantasm과 배경음악이 Betrayal of Fate로 같다. 40%대 UFO 미로와 78% 큐브 암흑미로가 백미. 미국 유저 Weoweoteo가 이 맵을 클리어하는 영상을 찍지 않았는데, Extreme Demon을 깬 적이 없는 Weoweoteo가 업로드하기에는 너무 어려운 맵이라는 논란이 일어 핵이라고 의심을 받았다. 현재 Weoweoteo는 핵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다시 이 맵에 도전하고 있는 중. 그러나 지금은 소식이 전혀 없는걸로 보아 그냥 본인과 유저들 모두 잊어버리고 넘어간 것 같다. 다만 여러 플레이어들은 암묵적으로는 weoweoteo가 핵을 썼다고 생각하는 듯. SrGuillester는 이 영상에서 자신이 97%의 황당한 버그에 죽는 것을 보여주면서 "게임플레이도 제대로 테스트하지 않고 핵쓰지 말고, 그냥 핵쓰지 말라"고 비꼬는 듯이 말했다. 그러자 weoweoteo는 해당 영상에 이 맵(bof)를 플레이하면서 재미를 못느꼈다면 미안하고, 자신은 핵을 쓰지 않았다고 댓글을 남겼다.[374]

현재 클리어자는 Surv, BlassCFB, GoodSmile, Sunix외 23명이다.
한국인 유저 Koreaqwer이 최초로 클리어에 성공하였다.

===# Sysmique Locked #===

===# Biohazard #===
by Kains and more[375], published by Artumanka, verified by Artumanka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과거 1위 데몬이었던 Stalemate Redux의 리메이크맵. 타 리메이크 맵과는 다르게 구성을 제외한 게임플레이, 디자인, 노래 등을 모두 뜯어고쳤으며 주황색이던 전작과는 다르게 초록색을 테마로 하였다.

2021년 2월 22일경, 너프 업데이트를 했다. 이런 이유로 ikaros가 112위에 등재되어 Betrayal of Fate가 레거시로 갔었으나, 자리가 뒤바뀌어 레거시로 갔다.

===# Last Stop #===

===# Advent Aurora #===

===# Remember #===

===# help #===

===# Triadic Trials #===

===# Artifice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rtific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Zurb #===

===# GewErbiX #===

===# Sapphire Angel #===

===# Ruler of Everything #===

===# STICKS FOR BONES #===

===# PROTOFLICKER #===

===# Carcano #===
Carcano - by Asuith and TomsoN, verified by Kapinapi, published by Asuith
Cognition inspired, made by Asuith & TomsoN. Verified by Kapinapi. Dedicated to Endlevel.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If Cognition was much easier be like:

Cognition에서 영감을 받은 레벨. 그래서인지 맵의 구조가 Cognition과 비슷하다.

===# Hateful Reflection #===
Hateful Reflection - by YoonsrDynamix, Skrypto and GD Iris, verified by zDemented, published by GD Iris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빨간맵에다 나인써클이라는점에 저평가 당하는점이 있지만, 독특한 디자인을 가진 나인써클 레벨이다.

===# Anahita #===
Anahita - by Yuko and more[376], published by Yuko, verified by Orizu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흔치 않은 고퀄리티 익스트림 데몬

===# Epsilon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비밀번호 없음 57520174 2분 48초 219539 2019.09.21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9.529
Epsilon - By Drift and more[377]Splash, Juhou, Lazuli, SirHadoken, Hynaedon, Matterz, Vulcan, sqrl, Cybronaut, LeoCreatorX, Balloons, Jozhii], published by Team Proxima, verified by DiamondSplash
Definitely not named after the Greek letter. Team Proxima's first megacollab! Made by a bunch of idiots. Verified by DiamondSplash.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132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32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4% 이상이 필요합니다.
37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29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Hotball1 100% Youtube
}}}}}} ||
그리스 문자 엡실론에서 이름을 따온 맵. Team Proxima를 커뮤니티에 널리 알린 매우 빼어난 퀄리티를 보여주는 합작맵이다. 초기에 Splash의 채널에 올라온 레이아웃 영상을 보면 원래 난이도는 인세인 데몬으로 기획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고, 이후 합작이 진행되면서 파트 교체 및 유저 변경 등을 거친 결과 지금과 같은 Epsilon이 탄생하게 되었다.[378]

이 맵의 엔딩 크레딧을 자세히 보면 오른쪽 밑부분에 "Fallen Creators" 라고 쓰여진 묘비가 하나 나오는데, 이 묘비를 들여다보면 합작 도중 하차한 유저들의 닉네임이 주욱 나온다.[379]

2020년 8월 22일, 후속작인 Omicron이 출시되었다.
영상 보기

===# Atmosphere #===
Atmosphere - By Wombat and more[]Wombat, Djoxy, GaidenHertuny, KingTony, Manheadrambo, Mactanow, zhawker, Squared, SpadeKilla17, Kazia, Cyber Orion, Optation, Hexhammer, Straw, Aqwuh, Bermard, Oasiz, FozaeKitty], published by VoidSquad, verified by BrianTheBurge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VoidSquad의 합작맵이다. 2017년 6월 30일, Wombat의 채널에서 Atmosphere의 트레일러가 올라왔다. 참고. 지금 완성된 모습과는 달리 많은 합작 인원이 바뀌었으며 베리파이어도 바뀌어 있는 것을 알수 있었다. 현재 베리파이어는 BrianTheBurger이며, 2018년 2월 23일에 베리파이에 성공함과 동시에 이 맵이 세계적으로 공개하였다.

세계 최초로 Epsilonic라는 유저가 클리어 하였으며, SP ValuE라는 유저가 한국 최초로 클리어 하였다. 또 한국 유저 SuperSNSD R가 81%에서 한 번에 성공했다.

===# Supercharged #===

===# neighborhood #===

===# Sunk #===

===# Poltergeist Reborn #===

===# Molten Mercury #===
Molten Mercury - ItzHybrid & More, Verified by Kapinap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Tempered Steel의 후속작.

===# Dream City #===

===# Bloodbath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loodbat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Techno Flashes #===

===# Monstercat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비밀번호 없음 60810066 1분 09초 94511 2020.04.11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
Monstercat - by Tartofrez and more[381], published by f3lixsram, verified by Golden
Extreme demon MC by Tartofrez, Nottus, F3lixsram, Spark, Bransilver, Mezzo, Nexander and Vrymer. Verified by Golde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12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2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 이상이 필요합니다.
?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Rainstorm 100%[!] youtube
ddddr 100%[!] youtube
Jeller 100%[!] youtube
RG 100% youtube
Moosh 100% youtube
ViewSonic 100% youtube
Fenix 100% youtube
CaveMelv 100% youtube
shadow159951 100% youtube
CraZDemonX 100% youtube
GDonut 100% youtube
Xylitol 100%[!] youtube
Masol 94%[?] youtube
상천 94%[?] youtube
}}}}}} ||
Demonicat의 후속작.
2021년 1월 21일날에 149위에 배치되었다. 그러나 1월 23일날엔 Shibui가 138위, 1월 25일엔 Sinister Incision가 86위에 배치되면서 레거시로 떨어졌다...

===# Omorfia #===

===# Gateway #===

===# Game Over #===

===# ENTROPY #===

===# Barbaros Finale #===

===# Sodium #===

===# moment #===

===# Astrophobia #===

===# SUPERMAYOHATECLUB #===

===# Glacial Torrent #===
by MiniWheatDuo and more[388], published by Nell, verified by MiniWheatDuo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모바일 유저들의 합작 익스트림 데몬.

===# ElectroLux #===
Electrolux - Byboy11 and more[389], verified and published by GuitarHeroStyles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nasonic의 후속작. 전작의 제목의 유래가 Panasonic인걸 생각해보면 이 맵 제목의 유래는 당연히 이것.

Guitar의 성희롱 논란 이후 그의 계정에서 내려갔으며 Zafkiel7의 계정에 재업로드 되었다.

===# MOTOR MOGOK #===

===# Azurite (royen) #===

===# water demon #===

===# DEOGEN #===

===# Under Lavaland #===
Under Lavaland - N R G and more[390], Verified by Doram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독특하고 높은 퀄리티의 디자인과 달리 게임플레이가 상당히 좋지 않다...

===# Incandescent #===

===# Motorbreath #===

===# MINIMUM #===

===# maddening #===

===# Ecstasy #===
Ecstasy - by SleyGD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ldm을 키지 않거나 ldm,uldm버전을 따로 사용하지 않으면 소위 말하는 눈뽕이 있다.
겜플은 좋지 않다고 평이 나오는 편이며 그래서 그런지 클리어자가한국기준 Dorami ddddr, jentro 3명 뿐이다.

===# ATMarbl #===
ATMarbl - Pennutoh & more[391], Verified by Golde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Pennutoh가 레이아웃을 만들고 그와 친분이 있는 여러 크리에이터들이 디자인한 맵.[392] 역시 게임플레이를 잘 만들기로 유명한 Pennutoh답게 게임플레이가 좋다. 베리파이어는 Golden[393]이다.
2018년 4월 13일에 베리파이했으며 베리파이된지 한달만에 별이 붙었다.

현재 Top 50 순위에서는 40위권을 차지하고 있는데, 너무 저평가되었다는 의견이 많다. 최소 2~30위권으로는 올라가야 한다고 평가받는다.
베리파이어인 golden은 이 맵이 subsonic보다 확실히 어렵다고 했다. 그러나 초고수유저인 jbmoon은 이 맵이 개인적으로 블러드배스보다 쉽다고 하였다.
그리고 또다른 초고수유저이자 국내별갯수 1위인 sowun은 infernal abyss보다 훨씬 쉽다고 하였다. 파기 시작한 처음날 atmarbl을 81퍼를 갔다고....
다른 많은 유저들도 블러드배스보다는 어렵지 않다고 평가하고 있다. 결정적으로, srguillester도 또한 이맵이 너무 고평가되었다고 했고 재미마저 없다고 했다. 파다가 azuler에게 디스코드 전화가 와서 93퍼에서 죽은건 안비밀..... 결국 2020년 7월 11일 기준 125위에서 129위로 떨어져 Bloodbath 밑으로 떨어졌다,[394]

한국 클리어자는 Dorami, temp, Tipp7, zPlasmaLust, Kainite, Fuyu, SP VaLuE, Woo Hwang, Jbmoon, Kati4zMJ
1 Sparky, Bluerigel, Rainstorm, Schuld, TherZ, Itz두부, YoungUng2, Chosbar, ysj1005, ddddr, RedCraft, Prini, StarPrint
pyh4476, plue, 1tzBee, GyulGod, lsj612, 1qawsz, TheRealMap, JRainBowlX, sandstormy, venfy, DGG D70 등으로 [395]많다

이 맵에 쓰인 곡 Marbl의 작곡가인 Schtiffles가 곡을 업데이트하면서 싱크가 맞지 않게 되어버렸다...
싱크를 맞춰 플레이하고 싶다면 에디터에서 곡의 시작 부분을 1.7초가량 뒤로 늘리거나 PC버전일 경우 https://youtu.be/zMJ7S6oqJVc에서 곡을 다운로드받는 것을 추천한다.

2021년 1월 11일에 Eternal Moment가 28위에 등재되어 레거시로 떨어졌다.

===# HELIX #===

===# Siniristi #===

===# OOPZ #===

===# Azure Fiesta #===
by Geonox and more[396], verified and published by Doram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초고수 유저 Dorami의 여름 테마 합작 익스트림 데몬이다.
겨울 테마 합작이자 후속작인 Snowfall Fiesta가 만들어지고 있다.

평가가 극히(?) 갈린다. 유저들 대부분은 고평가되고 있는 맵이라고 주장한다.

===# Heavens Door #===

===# FAULTY CODE #===

===# The Hell Bird #===
The Hell Bird - Published by Havok, Created by Arb71703 and more[397], verified by Gizbro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10월 21일경, 갑자기 151위에서 142위로 재평가받아 레거시에서 구제되었다.

===# INTO PETALS #===

===# Down Bass #===
Down Bass - Exterys Valyrie(TheRealSpectra), Verified by TheRealSneaky

- 연두색 도시를 컨셉으로 잡고 만든 연두색 나인서클류. 2.0 시절에 'Crimson Clutter', 'Catastrophic'[399]과 함께 나인서클류 3대장을 이루었고, TheRealSneaky의 업데이트 후[400] Sonic Wave, Bausha Vortex와 함께 2.1 초기 나써 3대장을 형성했던 네임드 데몬이다.

비록 2019년 이후부터는 인플레의 희생양 중 하나가 되어 메인 리스트 퇴출, 익스텐디드 퇴출 직전까지 가서 서서히 잊혀지고 있지만, 자체 난이도는 여전히 어지간한 고수들도 손대지 못할 정도로 흉악하며, 라임색 도시 컨셉으로 이루어진 나써라는 특유의 개성과 괜찮은 노래 덕분에 구 나써 중에서는 꽤 기억되는 편이다. 그러나 2021년 1월 8일, 기어코 레거시로 강등되고 말았다.
업데이트 후 TheRealSneaky가 손캠 인증을 하긴 했으나 스피드핵을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고, Down Bass는 다시 핵맵 딱지가 붙게 되었다.

극버프 업데이트가 임팩트가 강해서 그렇지 업데이트를 굉장히 자주 하는데, 알려진 것만 12번이다.
모든 버전들: #
상향 전 버전 1: #
상향 전 버전 2: #

2018년 이후부터 Down Bass Incarnate라는 리메이크가 제작되고 있다.

===# Metal Requiem #===

===# Loose Screws #===

===# SHATTER #===
SHATTER - by efext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cave of heart #===

===# Voltaic #===

===# Idols #===
idols - ZafkielGD & more[401], verified by DoSh7t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Virtual Riot의 idols를 사용한 거대 합작. 사용된 오브젝트 수가 무려 256648개인 만큼 엄청난 퀄리티를 자랑한다! 본래 crazen이 베리파이하려고 했으나 Dorami에게 넘어오고 96%를 갔다! Zaphkiel 때가 생각난다 이후 방송에서 버그 수정 밎 약간의 버프를 했고, 며칠 뒤인 8월 12일 12시 20분 경 베리파이했다!

여담으로 원곡이 인게임에서 사용 불가능하여 Kolkian - Catalyze로 대체한 상태이다.[402]
난이도가 엄청나게 저평가를 받고 있다. 대부분의 유저들은 이 레벨이 Conical Depression 이상이라고 생각하고, 베리파이어인 Dorami도 이 맵이 3~40위권이라 평가했기 때문에 51위는 저평가가 아닐 수 없다. 결국 재평가를 받아 순위가 상승했다.
이후 ThatJ4ke가 클리어했는데 Phobos보다 어렵다고 한다.
이후 한국유저인 Enichi 가 73% 나비모드 구간에서 14번을 죽은 후 클리어했다.

2021년 2월 16일에 업데이트를 했다. 주로 버그픽스, 밸런스 업데이트를 했다. 밸런스 업데이트에서 대부분 너프를 했다.

===# ECSTASY #===

===# Inflective #===
by Texic and more[403], published by Mojitoz, verified by Vorgogne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Gang Plank Hell #===

===# phosphorescent #===
Phosphorescent - by LimeTime313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Want Me #===

===# Ethereal Entity #===

===# Aura #===

===# corrupted volume #===

===# Shinigami #===

===# i hate renn #===

===# Frozen #===

===# Le Fishe #===

===# Thorny Path #===

===# Prismatic Haze #===
Prismatic Haze - by Cirtrax and Gizbro, verified by Moosh, published by Cirtrax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Gizbro의 레이아웃을 Cirtrax가 데코한 것으로, 싱크가 잘 맞는 맵으로 알려져 있다.
2020년 12월 2일에 업데이트를 했다.

===# Conical Depression #===
Conical Depression - Krazyman50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원래 챌린지 맵으로 업로드했던 맵[404]을 더 늘려서 만든 맵이다. 1.0 스타일로 만든 맵인데 Krazyman50이 업로드하는 데 45600어템 넘게 소모했다고 한다.

맵은 소형 웨이브로 시작하는데 매우 비직관적인 레이아웃과 좁은 간격이 더해져 매우 높은 순간난이도를 자랑한다. 30%대 이후 비행도 앞의 소형웨이브보다는 아니지만 그래도 막장이다. 1칸비행이 밥먹듯이 나오고, 파란공점+노란공점[405]비행에, 소형화 파란공점 1칸비행[406] 등 막장스러운 타이밍+컨트롤 패턴들이 넘쳐나고, 그 이후도 일반 모드로 분홍공점을 타야 하는데, 분홍공점 바로 위에 블럭이 있어서 너무 빨리 누르면 박는다! 정확한 타이밍을 필요로 한다. 여기서는 길찾기적 요소도 조금 포함되어 있어 매우 힘들다. 이렇게 전부 클리어하고 나면 90%대는 거의 안전하다. Stereo Madness의 후반 비행구간을 소형 웨이브로 바꿔놓은 거만 빼면 말이다. 앞부분에 비해서는 매우 쉽기 때문에 가다가 실수해서 죽을 경우 정말 빡침을 느낄 수 있다.[407]

Thinking Space와 Silent clubstep 등과 함께 최악의 익스트림 데몬으로 거론되는 맵으로 디자인은 레이아웃과 다를 바 없는 1.0 그 자체인데다 게임플레이도 좋지 않은 편이다.

한국에서는 LIFE가 부계정으로 최초 클리어, 그리고 Luciela가 두번째, Seturan이 세번째, Rainstorm이 네번째로 클리어하였다. 그 후 Life가 클리어하기도 전에 85%를 먹었던 Cutter가 5번째로 클리어하였다. #

그리고 Netcortix라는 유저가 모바일로 클리어하였다!!! [408]

여담으로 Conical Depression의 뜻은 원뿔 우울증이다(...)

===# Empyrean #===

===# 1330X #===

===# Tempest Tornado #===
Tempest Tornado - by Colorbolt and more[409], verified by Nimbus, published by Colorbolt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현재 국내 클리어자는 LSoftphlia, StarPrint, ddddr, BLS, [GD] Baeru, TherZ, Ohdangs, 민용, Grey749 이렇게 9명이다.

===# Nemesis #===

===# Aurora #===
Aurora - TheKris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전체적으로 디자인 등 맵을 만드는 것을 ugetsu, Alex084가 도와주었다. 난이도로 보면 전체적으로 맵이 어렵지만, 그중에서도 거미와 웨이브를 활용한 흥미로운 듀얼 모드들이 존재하는데 초반 부분과 큐브+큐브, 큐브+웨이브, 웨이브+비행기, 비행기+볼, 로봇+거미, 큐브+웨이브, UFO+거미, 거미+거미, 거미+웨이브로 이루어져 있는 매우 다양한 듀얼이 있다. 드롭파트[410]는 4배속 비행모드와 ufo이지만, 드롭 앞뒤가 전부 까다로운 와중에 오히려 맵에서 가장 쉬운 부분이라는 소리를 듣는다. 후반 보스전으로 넘어가면 한숨 돌릴 만 하긴 한데, 마지막 부분에서 보스가 내뿜는 레이저 기둥 외 장애물들이 갑툭튀하므로 암기와 컨트롤을 요구하게 된다.

2.1의 첫 익스트림 데몬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으며, 그에 걸맞게 디자인이 훌륭하다는 감상이 많았다. 중반부의 투명한 듯한 블럭과 뒷배경인 오로라와의 조합이 2017년은 물론이고 시간이 꽤 지나도 쉽게 찾아보기 힘들기도 했고, 여전히 장관인 후반 보스파이트[411]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TheFenixU라는 유저가 첫클리어를 하고 이후 HaNsUpZ라는 유저가 한국 최초 클리어의 업적을 세웠으며, 그 이후 다른 한국 유저인 Angelbaton가 이 맵을 클리어하였다.
원래 Carnage Mode보다 한 단계 위였지만 갑자기 재평가를 받아 36위에 안착했다.

국내 유저 soulcontrol이 모바일로 클리어했지만 마지막 보스파이트 구간에서 가시에 닿는 모션 때문에 포럼 등록은 되지 않았다. 자신은 포럼의 입장을 존중한다고.

2017년 중 해킹으로 인해 잠시 1위로 상승했었다.

===# Arctic Arena #===
Arctic Arena - Eclipsed and more[412], published by Eclipsed, verified by Sunix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Aquatias와 Orion이 만든 1.9 시절 맵인 Frozen Space의 리메이크로, 브금은 ToE2를 사용했으며 상당히 큰 규모의 대형합작맵이다. 특유의 분위기와 화려한 청색 디자인이 일품이다. 또 극악한 비행기 파트와 칼타이밍등 여러 모드들로 이루어진 맵이다. 14인 각각의고유의 디자인이 들어가 있어 레벨의 구성과 완성도를 높인게 특징. Verifer인 Sunix가 난이도가 애매해 확실하게 블베보다 어렵다고는 말 못한다고 하였지만 바로 위 순위인 23위를 차지했다. 여담으로 공식 노래를 사용한 몇 안되는 익스트림 데몬이다.

최초로 BrianTheBurger가 클리어했다. 그 후 26일 DiamondSplash도 클리어.

한국에서는 게임을 접었던 유명 유저 Seturan이 9월 26일 갑자기 복귀 소식과 함께 클리어 영상을 올렸다

여담으로 Unnerfed버전이 있는데 Combined랑 Sunix가 Yatagarasu보다 어렵다고 했다!

7월 8일경에 디자인을 고치고 너프를 했는데 대폭 너프를 한거라 레가시로 떨어질 정도의 큰 너프를 했다. 그러나 이맵을 깬사람들은 레가시정도는 아니고 그냥 Extended 최하위권에 속한다라는 평을 했다. 그러나 Omicron이 37위에 등재됨에 따라 레가시로 내려갔다.

===# Artificial Ideology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rtificial Ideology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A Bizarre Phantasm #===
A Bizarre Phantasm - TeamN2[413], Verified by GoodSmile
-TeamN2의 2번째 맵. 오랫동안 Bloodbath 아래서 계속 2위를 지켰던 맵이다.
원래는 Cyclic에 의해서 업로드된 맵이지만, GoodSmile이 버그를 수정하고 다시 업로드했다. 여담으로 이 맵의 두번째 웨이브 파트에서 미니 포탈을 스킵할 수 있지만, 난이도에 그렇게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Koreaqwer의 중력반전 포탈이 계속되는 3배속 미니웨이브와 매우 좁은 공간을 빠져나가야 하는 일반웨이브, Miner의 웨이브가 맵 내 컨트롤적 요소로 가장 어려운 구간으로 꼽힌다.

이 맵에는 다른 요소로 어려운 부분이 있는데, 바로 암기력이다. 마지막 부분에 있는 Minus(Yuri) 의 키 미로는 중력반전 웨이브키(Key) 가 3개씩 있는 것 21세트를 지나가야 하는데, 하나라도 잘못 먹으면 97% 에서 죽기 때문에 극도로 떨리는 상황에서의 냉정한 암기를 요구한다. 실제로 GuitarHeroStyles 가 97%에서 죽은적이 있다... 그러니까 왜 눈을 가리고 해[415][416][417]
키 순서는 1을 맨 위로 하면 다음과 같다. 1-2-1-3-2-2-3-1-3-2-1-2-3-2-1-3-1-2-2-1-3

한국인 유저 LIFE가 클리어 하는데 굉장히 고생한 맵이기도 하다. 무려 8개월의 기간동안 플레이를 했고, 4차례나 클리어한 기록이 사라졌었다. 그리고 결국엔 영상을 정상적으로 찍고 클리어. 또다른 국내 유저 Rainstorm 역시 클리어하였다. Cutter와 Koreaqwer, Seturan, Plusxenon, Danger도 클리어에 성공했다 .

현재 클리어자 수는 약 120명이다.

===# The Hell Factory #===
The Hell Factory - TeamN2[418], Verified by Powerbomb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TeamN2의 첫 번째 맵. 이탈리아 유저 Powerbomb에 의해서 업로드되었다.
과거 1.9 시절 어느 날, Reple이라는 한국의 한 유저가 Temporary라는 제목으로 자신이 제작하고 있던 맵의 프리뷰 영상을 올렸다. 이 유저는 이 맵을 만들기 위해 실력 있는 한국인 플레이어와 제작자들을 모아서 'N2'라는 그룹을 만들었다. 그리고 스테이지를 제작한 후 'Hell Factory'라는 제목을 붙이고 Enigma[419]라는 유저에게 업로드를 맡겼다. 하지만 Enigma는 핵을 사용했고, 결국 별을 받지 못했다.

그 후 2.0 업데이트 후 TeamN2는 이 맵에 데코레이션을 추가하고 제목을 'The Hell Factory'로 바꿔서 맵을 업로드할 사람을 찾다가 Powerbomb이라는 유저를 선택하였다.[420][421] Powerbomb는 결국 이 맵을 클리어하고 TeamN2 계정으로 업로드하였다. 그리고 이 맵은 2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오랫동안 다른 극악맵들의 등장으로 49위로 떨어졌다가 재평가를 받아 44위로 올라왔다.

여담으로 Powerbomb이 Verify한 후 기쁨에 겨운 비명을 지르는데 이 비명을 들으려고 영상을 보러 오는 사람도 많다.(...) 오마이갓 오마이갓 끼아아아아 오마이뻐깅갓

Ryan LC의 파트인 53%~54%구간은 Neptune의 Doomsday의 디자인을 사용했으며 버프가 되며 너무 좌우변환포탈이 많은 나머지 십자가 디자인이 망가진다. 이렇게 해서 맵을 잘 안보이게 하는 방법은 1.2때부터 이용돼오던 방법이며, 좌우포탈의 맹점.

2020년 9월 5일날, Disentombed가 110위에 등록되며 레거시에 갔다.

===# ETERNAL #===

===# Universe on fire #===

===# EVENT HORIZON #===

===# Callisto #===

===# Quaoar (ViPriN) #===

===# FLOAT #===

===# Blue Suns Zenith #===

===# Floating Maze #===

===# burn to dust #===

===# Electric Forest #===

===# Annihilation Nation #===
Annihilation Nation by Zylenox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Zylenox의 공장스타일이 돋보이는 맵이다. 익데치고 많이 쉬운 맵. 다만 게임플레이가 별로고 순간난이도가 높아서 많이 플레이되지는 않는다. 디자인 좋고 조금 어려운 버전 Acropolis라고 봐도 될 듯.

고평가라 생각했는지, 2020년 9월 22일 기준으로, 148위에서 153위로 떨어졌다.

===# To The Blue Moon #===

===# Cluttered Confusion #===

===# Sigma Interface #===
Sigma Interface by Platnuu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Delta Interface의 후속작이다. 1분 근처 정도로 짧은 길이를 가지고 있지만, 근데 풀버전이 아니다. 원래라면 풀버전을 만들어야 하지만, Platnuu가 지메를 접는 바람에(...) 이렇게 되었다.

어느날 Sigma Interface가 업데이트 되었는데. 맵속엔 모든 오브젝트가 뼈대로 남아있으며 3칸위로 올라가있는 이상한 업데이트였다. 이에 사람들은 해킹이 아닌가라고 생각을 했지만, Platnuu가 직접 업데이트를 한거다. 그리고 게임 설명엔, unrate Plz라고 적혀있다. 이에 맵은 복구 되었지만, 35% 부분에 버그가 있다.

===# Extinction #===
Extinction - by SlimJim and more[422], published by Chom, verified by Extravago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원래 핵맵으로 올려져 있었다. 그러나 2019년 3월 31일, Kapinapi라는 유저가 할 수 있게끔 바뀌였으며 2019년 4월 16일에 54위로 등재되었다.

2020년 5월 4일날에 너프 업데이트를 했다. 2020년 7월 1일에 116위[423]에서 144위로 떡락했다...

===# Circuit Breaker #===

===# Tenebris #===

===# Esencia #===
Esencia - Zafkiel & more, Verified by Dorami

Zafkiel이 주도한 합작 익스트림 데몬이다.

Omorphia와 같은 1.0 테마 레벨이다. 아무리 1.0테마라 할지라도 엄청난 맵의 퀄리티를 보여준다.
Idols를 주도했던 유저 Zafkiel이 주도한 레벨이라서 그런지 분위기가 Idols와 비슷하다. 베리파이도 Idols를 베리파이한 Dorami가 맡는다.
배경, 오브젝트 색이 이리저리 정신 없이 바뀌고 대체적으로 맵 분위기가 밝아서 우리가 소위 말하는 눈뽕을 당할 수 있다. 게다가 곡 또한 템포가 빨라서 정신없는 것의 극치를 맛볼 수 있다.

2019년 4월 12일 완전히 베리파이되었다!

===# Goldcrest Palace #===

===# Overtime #===

===# WaveBreaker #===
WaveBreaker - by MarEng and more[424], published by Lemons, verified by Golde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oxysm을 만든 Lemons의 합작맵이다.
2018년 4월 2일날, 레이아웃으로 처음 공개하였다. 참고. 그후... 2018년 7월 20일날에 공식 프리뷰가 올라왔다. 참고. 그리고 시간이 흘러... 2019년 7월 22일날 드디어 완성했다! 베리파이어는 Golden이 맡았으며, 2019년 7월 31일날에 베리파이에 성공한다! 그리고 2019년 8월 27일에 98위에 등재되었다.

게임 플레이는 호불호가 갈리나, 대체로 재밌다는 평이 많다.

===# Penultimate Phase #===
'Penultimate Phase - by nwolc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베리파이 된지 1년이 지난뒤 별이 붙었다.

===# Up and Down #===

===# PURE VALE #===

===# Deflective #===

===# Fellow Phobia #===

===# Aftermath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ftermath(Geometry Das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EKO #===

===# Complementary Cruise #===

===# INNARDS #===
Innards - Kaito, Verified by Cinc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저들에게 흔히 알려진 극버프 버전. Blade of Justice 등과 함께 최고난이도 업커밍 데몬 중 너프 베리파이된 예시로 자주 언급되는 맵으로,[425] 대부분의 내용이 이 극버프 버전이 공식 버전으로 여겨졌을 때 작성된 것이다.

- 평화롭고 은은한 분위기였다가 갑자기 분위기가 급변하는 맵.[426] 익스트림 데몬 중 유일하게 창의적이고 개성있는 테마를 썼다는 말을 들을 정도로 디자인 면에서 호평을 받는다.

언너프 Innards는 지금 등장한다 할지라도 Tartarus보다 어려울 것이라는 소리가 나오는 맵이다. 이게 베리파이될 당시 모든 업커밍 데몬중 압도적 1위급 난이도의 맵이었고, 베리파이어인 Cinci는 이 맵이 Erebus보다 어려울 것이라고 했지만, 너프 전의 이 맵은 Erebus는 커녕 Tartarus보다 어려운 맵이다. 즉, 2.1 초기에 Tartarus보다 어려운 맵이 만들어진 것이다.[427]

이 레벨 디자인 특성상 겉으로 보기에는 쉬워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Sea가 이 영상에서 본인도 이 레벨이 그렇게 어려운지는 몰랐는데, EndLevel이 Practice Mode 조차 못 돌릴 정도로 말도 안 되게 어렵다고 말했다고 한다. 심지어 현재는 그 버전에서 더욱 더 버프된 버전이다![428] 극초반의 2칸짜리 넓은 가시부터 타이밍을 극도로 정확히 재야 한다는 특성에서 범상치 않고 그 다음 진행도 전부 극한의 칼타이밍 실력이 아니면 통과가 불가능하다. 분위기가 변해서 속도가 급작스럽게 빨라지는데 그 시점에서 나타나는 웨이브 간격은 충격과 공포를 자랑하는 난이도이며 4배속 1칸비행까지 등장하고 칼타이밍까지 합쳐져 지옥이 무엇인지 보여주며 보스 파이트가 나타난 후에도 막판에 극한의 칼타이밍의 검은 공점이 나타난다. 킬링 파트는 49~64%로 나타나나 모든 영역의 길이 극도로 좁은데다 모든 구간이 칼타이밍으로 도배되어서 킬링 파트가 의미가 없는 수준...

이후 베리파이어인 Cinci가 몇몇 초고수 유저들에게 맵을 복사해 준 듯 한데, Bloodlust급 난이도라는 Sakupen Realm을 베리파이한 MeatiusGaming이 이 맵의 프렉티스 모드를 459어템만에 클리어하고 내가 역대 해 본 맵중 가장 어렵다고 평했다. 댓글에서는 Orochi, Tartarus 보다 2배는 가볍게 더 어렵다라고 하기도 했다.[429] 다만 Meatius의 말에 따르면 운빨을 좀 타는 레벨이라는 듯 하다. 또한 Nwolc는 52어템만에 프랙티스 모드를 클리어 했으며, 48어템으로도 클리어했다! 그 때문에 만약 Cinci가 포기한다면 Nwolc가 베리파이하는게 좋겠다는 의견이 많다.

Cinci는 50%를 간 이후로 한동안 소식이 없다가 Unnerfed 버전을 프랙티스 모드로 90어템에 클리어했다. 그 후 2018년 1월 9일 업데이트가 되었다. 그리고 44%를 갔다.

DollarC의 해당 레벨 노클립 영상의 댓글창에서, 이 레벨의 제작자인 Kaito에 의하면 원래 7성 Harder로 만들 것을 폭풍상향시킨 것이라고 한다.(...)[430] 뭔가 Devil Vortex 때가 생각난다... 그래도 걔는 일단 데몬은 잡고 시작한 거잖아...

Kaito가 원래는 7성 Harder로 만들려고 한 것을 Viprin cc8에 제출하기 위해 Medium Demon 정도의 난이도로 버프시켰고, 이후 Cinci의 손에 들어오면서 Erebus급의 난이도로 버프되었으며, 최종적으로 Kaito에 의해서 여러번 수정 및 버프되면서 지금의 괴물급 난이도가 만들어진 것이다.
또한 맵 자체는 2.0에 만들어졌다가, 2.1 업데이트 이후 거미모드와 새로운 공점, 데코 등이 추가됐다고 한다. Kaito는 이 맵의 연장 구간까지 만들고 있다고 했지만 취소되었다.

구 버전에는 일자비행 구간의 가시에 작은 가시가 들어 있었는데, 지금은 일반 가시로 돌아왔다. 이게 난이도에 큰 영향을 준 이유가, 지메는 일반 가시 판정이 애매해서 가시 끝에 닿아도 아슬아슬하게 사는데, 일반 가시보다 판정이 훨씬 더 엄격한 작은 가시가 위에 박혀 있으면 말 그대로 완벽한 일자비행을 해야만 넘어갈 수 있었다. 다만 현재 버전은 가시 폭을 좁게 해서 난이도를 조정했다.

또한 극악 타이밍이 필요한 마지막 검은 공점 파트가 있는데, 그 공점을 최대한 늦게 치지 않으면 98%의 가시에 박는다.[431] 가시에 박으면 Oof라는 문구가 나타난다.[432] 저걸 저대로 내버려 둘거냐는 질문에 Cinci는 "지금까지는 저 구간을 연습하면서 죽은 적이 없으니 일단은 저대로 두겠다"고 했다.(...) 이봐요... Dorami도 Yandere 98%가 너무 쉬워서 극버프하면서 음흉한 미소를 짓다가(...) 제꾀에 자기가 넘어갔는데...

Cinci는 앞부분의 난이도를 너프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다고 했다. 오히려 일부 구간을 재미로 버프 중이다.[433] 하지만 결국 버프를 또 다시 하게 됐는데, 대표적으로 37%와 63%가 있다. 37%의 코인 루트 가시가 반 칸짜리에서 1칸짜리로 바뀌었으며, 63%는 바로 위 영상 링크에 나온 간격과 버프 이전 간격의 중간 정도로 웨이브 간격을 좁혔다.

무명 크리에이터와 무명 베리파이어의 만남으로 한참이나 빛을 보지 못했던 맵이기도 하다. 2016년부터 Cinci가 베리파이를 시작했고, 무명맵을 유튜브에 올려주는 DollorC가 영상을 올려줬음에도 불구하고 2018년 1월에 Sea가 이 맵에 대한 영상을 올리기 전까지는 유저들이 이 맵의 존재조차 잘 몰랐고, 사람들이 관심을 갖든 말든 방송을 보든 말든 상관없이 Cinci는 생방송으로 묵묵히 베리파이를 진행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Sea의 영상이 나오고 나서 알지도 못했던 무명맵이 다른 유명 극악맵[434]들을 난이도로 누르는 것을 보고 사람들의 관심이 갑자기 이 맵에 쏠리게 된 것이다. 이후 1000명도 넘지 못했던 Cinci의 구독자수는 금세 3000명을 돌파했다. Cinci는 갑작스러운 Innards와 본인에 대한 관심에 당황을 표하기도 했다. 현재는 생방송을 보는 인원이 훨씬 늘어났지만 여전히 과거와 다름없이 생방송으로 묵묵히 베리파이를 진행하고 있다.

2018년 3월 25일자로 이 맵에도 Bloodlust와 비슷한 케이스의 논란이 발생했다. Exen이라는 유저가 Kaito나 Cinci의 허락 없이 맵을 플레이하고 있으며, Cinci에게 "일주일안에 44%를 넘지 못하면 이 맵을 베리파이하겠다"고 협박한 것이다. 지금까지 이 맵은 서버에 올라온 적이 없었는데, 이 맵의 구버젼이 서버에 풀려 Exen이 나서게 된 것이다.
다만 Bloodlust때와의 차이점도 상당히 많이 있다. 우선 Bloodlust의 베리파이어였던 Knobbelboy가 동기를 잃어 1달간 베리파이를 진행하지 않았고, 이에 대해 호불호가 많이 갈렸던 것과는 달리 Innards의 베리파이어인 Cinci는 2016년 말부터 현재까지도 매일같이 생방송으로 맵의 진행 상황을 보여주었다. 또 Exen은 이 맵의 가장 큰 의미나 마찬가지인 난이도를 하향시켰으며, Bloodlust에서 논란을 일으켰던 Crazen과는 달리 Exen은 몇 번이나 해커로 지목을 당한 전과가 있다.[435] 무엇보다도 현 베리파이어인 Cinci는 Knobbelboy보다도 더 많은 시간과 어템을 소모해서 현재의 자리까지 온 것이다.
다행히도 이 상황은 5일 만에 끝나게 되었다. Exen이 먼저 Innards를 그만뒀다는 내용의 영상을 업로드했고, 금세 Cinci도 드라마가 종결되었다는 영상을 올렸다. 완전히 파탄나버린 Crazen과 Knobbelboy의 관계[436]와는 다르게 Cinci와 Exen은 서로의 영상에 서로를 응원하는 댓글을 달았으며, 서로의 댓글을 고정해주는 것으로 훈훈하게 마무리되었다. 하지만 Exen은 이제 커뮤니티의 완전한 배척을 받는다. 해커 전적에 현재도 핵 의심을 받으면서 멋대로 시비 걸고 커뮤니티에 파장을 일으켰기 때문에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일지도?

4월 24일, 60%~98%를 간 후 마지막 가시에서 죽어서 드디어 마지막 가시를 너프했다.[437] 팬들은 Cinci가 너프를 하다니 놀랍다는 반응이다(...) -Wooshi는 가시를 너프시켜서 Bloodbath보다도 어렵지 않은 레벨이 되었다고 했다.-

국내에서는 VoTcHi라는 유저가 오리지날 버전을 클리어했고 버프버전 18%를 갔다.

한동안 성과를 내지 못했는데 최근 올라온 영상에 따르면 Nwolc가 가지고 있는 버전으로 Innards를 롤백하겠다고 한다. 현재 버전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한다. 이후 2018년 11월에 오면서 Cinci가 본격적으로 베리파이를 시작했는데, 베리파이를 진행할 때마다 너프가 조금씩 진행되고 있다. 물론 이전 버전은 불가능에 가까웠던 만큼, 별로 놀랄 일은 아니다.

베리파이어인 Cinci는 지금까지 20만이 넘는 어템이 들었다고 했다. 유저 간의 실력 차가 있겠지만 Bloodlust가 약 12만 어템을 소비해서 클리어됐다는 사실이 이 맵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말해준다.

이후 2019년 3월 13일, 결국 Cinci가 Innards의 베리파이를 포기했다. 다음 공식 베리파이어는 미정.[438][원문] 하지만 이는 본인이 베리파이하던 극버프 버전을 포기하겠다는 말이였고, 이후 3월 18일 Kaito의 공식 버전을 베리파이하는 데 성공했다. 난이도는 최강급 데몬으로 불렸던 과거 극버프 버전보다야 쉽지만 여전히 어려운 편으로 Cinci는 하드 데몬, 공식 버전 첫 클리어자인 Wooshi는 인세인 ~ 익스트림 데몬, 노별포럼은 현 포럼 기준 대략 8~90위 정도로 보고 있다. 그리고 실제로 익스트림 데몬으로 랭크됨으로써 Cinci가 깨던 버전이 얼마나 어려웠는지를 입증하게 되었다. 비록 과거의 명성은 조금 사라졌을 수도 있겠지만 본인을 2년 가까이 괴롭힌 맵을 끝내 베리파이한 만큼 Cinci 입장에서는 기분이 남다를 것이다. 공식 버전이 베리파이된 만큼, 극버프 버전은 일부 유저들의 도전용으로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극버프 버전은 아직까지도 깨지지 않고 있으며, 이제 1위를 하기는 어렵지만[440] 여전히 극악한 맵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나마 최근에는 과거 불가능한 맵들을 베리파이하는 열풍이 생겨서 도전자가 간간히 나오고 있고, 특히 불가능한 맵의 대명사로 불리던 Silent Clubstep이 베리파이된 후 초고수 유저들의 다음 타겟으로 정해졌는지 극버프 버전에 도전하는 유저들이 대폭 늘었지만, Tartarus급의 난이도이기 때문에 아직 깨지지 않고 있다.

Temical이 모바일로 97% 기록을 세웠다.

23년 1월 31일, 드디어 언너프 이너드가 베리파이 되었다. 난이도는 Firework보다 어렵다고 한다. 그러나 이 맵과 레이트된 Kaito 버전의 난이도 차가 너무 크기에 Cinci는 이 맵을 업데이트하지 않고 Kaito의 버전 그대로 놔두겠다고 하였다. 업데이트되었다면 베리파이 시점 기준으로는 무조건 10위 이내에 들어가며, 심지어 2024년에 와서도 10위 이내를 논해볼 수 있는 난이도이다.


이 레벨에 쓰인 곡은 Dark Travel에 쓰인 곡으로 유명한 곡이다. 곡 제목은 1f1n1ty + LOrbSheddy - PSMD Dark Matter Suite Remix이다.[441]

===# Karma #===

===# NeRUaL #===

===# Gridlocked #===
Gridlocked - Team Umbra[442], Verified by wormfodder(50226022)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이 사람 아니다.-
- Spacial Rend를 제작한 Team Umbra의 그 후속작이자 마지막 맵이다.
Spacial Rend를 베리파이한 DiamondSplash가 베리파이한다고 했으나 Failure444가 베리파이하게 되었으며 여러번 스트리밍 했다.

이후 11월 9일 wormfodder에 의해 베리파이 되었다.

===# Snowfall Storm #===

===# cytokinesis #===

===# Plasma Pulse III #===
Plasma Pulse III - xSmoKes & Giro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Giron의 Plasma Pulse와 Plasma Pulse II를 잇는 레벨. 다른 요소들도 물론 어렵지만 특히 극악의 볼과 로봇, 그리고 큐브 구간이 이 레벨의 난이도를 상승시키는 주 원인이다. 이 모드들은 상상을 뛰어넘는 타이밍을 자랑한다. 영상에는 Insane Demon이라고 써있지만 처음 등장했을 당시 5위를 함으로서 명백한 Extreme Demon이라고 판결났다.[443] 물론 여러 데몬들이 많이 등장한 현재는 43위.

국내에선 Handsupz라는 유저가 97%를 먹고 한국최초로 클리어했다. 그뒤 Seturan도 클리어했으며, 이후 Dorami가 12월 6일 1405어템만에 클리어하였다.[444]
그리고 2018년 2월 18일 vbnfgh231라는 국내 유저가 세계최초 모바일로 이 맵을 깨는 데 성공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6O3A0-5g8Kg&list=PLLPG-R9oBaz6FMI56cJDVy_EXIZ1RIp2k&index=1 이후 audio extraction을 꺾고 hilo의 Celestial force 모바일 클리어 기록이 올려지기 전까지 모바일 포럼에서 1위를 차지하였다.

===# Novalis #===
Novalis - GrylleX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GrylleX의 가장 어려운 데몬맵. 맵의 대부분이 비대칭 듀얼로 이루어져 있다. 문제는 이 듀얼들이 하나같이 미친 난이도를 자랑한다는 점. 비대칭 듀얼만 놓고 본다면 Cadrega City와 Celestial Force가 나오지 않았을 시점에 가장 어려운 비대칭 듀얼 맵으로 불렸을 만큼 그 명성이 자자하다. 비대칭 듀얼을 제외하고도 웨이브 모드가 꽤나 어려운 난이도를 자랑한다. 특이하게도 유저코인을 맵 내에서 열쇠를 준 다음 맵 끝에서 몰아준다. 그러나 이 열쇠루트도 절대 쉬운게 아니라서 주의할 필요가 있다.

2017년 10월 17일, 한국 유저 Angelbaton이 최초로 클리어하였다.

===# Solstice #===

===# EMPTINESS #===

===# Pitfall Caverns #===

===# Tesseract Force #===

===# Digital Disarray #===
Digital Disarray - by Licen, Vlacc and Giron, verified and published by Giro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Manic Machine #===

===# N0 #===
N0 - by Metalface221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Metalface221의 가장 어려운 데몬이자, 그의 역작으로 평가받는 솔로 맵.[445]
꾸준히 발전하던 Metalface221의 크리에이팅 실력이 정점을 찍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게임플레이와 디자인 양면으로 매우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제작자 자신도 역작이라고 평가했고 대부분의 유저들이 동의할 정도.

좋다고 평가받는 퀄리티나 곡의 분위기와 별개로 Metalface221의 솔로 맵 답게 난이도가 매우 어렵고 구성도 쉴새없이 지나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2020년 5월 후반쯤, N0의 제작자인 Metalface221가 해킹을 당하여 맵이 비워졌다. 후에 원상복구 되었다.

===# No Ember #===

===# QDYNAMIX #===

===# Triple Six #===
Triple Six - by Zylenox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Zylenox의 지옥 테마 레벨이다. 게임플레이 속에서 암기와 번쩍거리는 요소가 있다.
이름의 유래는 악마의 숫자라고 불리워지는 666이다.

===# We Are Not The Same (2P) #===

===# Eternal Dreams #===

===# APEX #===

===# Agen Wida #===

===# Disentombed #===
by YakobNugget and more[446], published by YakobNugget, verified by Golde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Unearthed의 후속작.

===# Welcome To GD News #===

===# ChopStep #===

===# Cat Planet #===

===# Maybe Possibly Thing #===
Maybe Possibly Thing - iNubble, verified by YakobNugget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uper Probably Level의 리메이크맵. SPL과 마찬가지로 디자인과 난이도가 따로 노는 맵이지만 SPL에 비해 디자인과 게임플레이가 좋다고 평가받는다. 암기맵인 만큼 외워야 할 구간도 많고 칼타이밍 요소도 있다. 이 맵만의 특이점은 맵 중간중간 여러 밈들이 때려박혀 있다는 것.

또한 2022년 만우절에는 지오메트리 대쉬 한국포럼에서 장난으로 2위로 내려간 바 있다.

===# Niflheim #===
Niflheim - Vismuth, Verified by Koreaqwe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국내 크리에이터 Vismuth[447]가 만든 익스트림 데몬. WOOGI1411과 함께 만들었던 Endorphin이라는 레벨의 자신의 파트를 연상시키는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디자인면에서 상당한 호평을 받기도 한다.
초반에 등장하는 볼 모드가 까다로운 편이고 그 이후에 나오는 일반/소형 웨이브 및 소형/일반 UFO, 일반 큐브 모드, 잠깐 나오는 비대칭 듀얼[448] 이 많이 어렵다. 여러 모드가 휙휙 지나가는 드롭은 말할 것도 없고 마지막 큐브에서도 안타깝게 죽는 사람이 나온다.

Verifier는 닉네임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한국인이다. 한국유저 Cutter가 베리파이어인 Koreaqwer 다음으로 클리어하였다. MaChine17이라는 국내유저가 모바일로 클리어하였다.

Bloodlust에 의하여 Extended로 추락했었으나, 재평가로 다시 50위권에 입성했다. 그 후 Asmodeus 입성으로 다시 Extend.

===# Panasonic #===
Panasonic - ItsAdvyStyles & more[449]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GuitarHeroStyles가 주최한 콜라보맵. 참고로 정규 Sonic 시리즈는 아니다. 재미있게도 SubSonic과 같은 날에 업로드되었다. 이후 Insane, Extreme을 넘나들다가, 8/17를 기준으로 Extreme Demon 상태이다. 상당히 난이도가 저평가되었다는 말이 많은 맵이다. 클리어자에 따라서는 Retention보다도 어렵다는 사람이 있다.

여담으로 맵을 클리어하기 전 타이틀과 크레딧 롤이 TV 화면에서 나오는 걸로 보아 빼도박도 못하게 이거 패러디. 그러다 난이도 급추락으로 Legacy로 왔다.[450] 결국 다시 올라오며 몇 단계를 더 뛰어넘어 Hypersonic을 넘어 Cosmic Calamity 위로 안착.

원래 이맵은 하이퍼소닉보다 어렵다는 반응이 대다수였고 실제로도 맵 중간중간 자잘한 칼타로 굉장히 골치 아픈 데몬 중 하나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이맵이 심각하게 저평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포럼 61등이 되며 자신이 저평가되었다는 것을 증명했다.

===# Novasphere #===

===# U235 #===

===# A2Marbl #===
A2Marbl by Epsilonic and more[451], published by Golden, verified by Kapinapi, re-verified by Golden Pennutoh와 Makaron, Burrito, Marwec 이 넷이 레이아웃을, 나머지가 데코를 한 ATMarbl의 후속작으로, 원래 Golden이 베리파이를 맡았다가 포기 후 Kapinapi에게 넘어가 베리파이되고, 이후 버그픽스를 Golden이 재베파했다.

===# limitless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481516 56321709 1분 42초 72074 2019.07.01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10.87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18.108
limitless by Konsi, verified by Syndrome GMD
Thanks to Vapen and Darwin for moral support, verified by Syndrome, I did not spend much time on it, but I hope this lvl will up in history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100%가 필요합니다.
5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5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60% 이상이 필요합니다.
5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4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ItzBuvettu 100% Youtube
Lumbo :/[!] 100% Youtube
PlasmaLust[!] 100% Youtube
jbmoon[!] 100% Youtube
Marius333 100% Youtube
Kainite[!] 100% Youtube
BlueRigel[?] 64% Youtube
}}}}}} ||

2019년 10월 1일에 제작자 Konsi의 계정이 해킹당하고 동시에 이 맵까지 해킹당해 꽁맵이 되어버려서 잠시 레거시 제일 밑 순위로 떨어졌으나
이후 복구되고 다시 116위로 제 자리를 찾았다.

10월 8일에 해외 유명 고수 nSwish가 해킹이 아닌 방법으로 비밀길을 찾았다. 그런데 그 과정이 상당히 복잡한데, 14% 웨이브 상태에서 정말 아슬아슬한 간격으로 큐브 포탈을 타지 않고 17%에 위치해 있는 볼 포탈과 그 직후 위치해있는 소형 포탈[458] 그리고 21-22%에서 밑으로 빠져나가면 그대로 끝까지 깰 수 있다. 어째 비밀길 타는게 그냥 깨는 거랑 난이도가 비슷하다

===# The Antimatter #===
The Antimatter by by Bianox and more[459], published by Bianox, verified by SrGuilleste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KINGSLAYER #===

===# AUX cord #===

===# Marathon #===
Marathon - WeoWeoTeo and Hinds, Verified by Luqualize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맵에서 나오는 1~26까지의 숫자는 26마일인 마라톤의 마일을 나타낸 것이라고 한다.(1마일은 약 1.6km이다)
그냥 암기만 제대로 익히면 쉬운 데몬이 되기에 모바일이랑 60hz 클리어자가 많다.

===# Libertas #===
Libertas - by WOOGI1411, Koreaqwer and SunSet, verified by Seturan, published by WOOGI1411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업데이트로 인하여 레거시로 떨어져 Blade of Justice가 다시 Extended로 올라갔다.[460]

===# Mirage #===
Mirage - by Zanna83 and more[461], published by Golden, verified by Technical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Golden이 주최하고 Technical이 베리파이한 익스트림 데몬.

베리파이를 한 Technical은 이상한 파트도 있지만[462] Sminx와 Volt의 파트같이 재미있는 부분도 있었고, 모든 파트의 스타일이 각각 다르며 같은 색깔에 묶여있지 않음에도 디자인이 어우러지는 것을 고평가했다. 예상 순위를 149위로 적어두었는데 그 탓인지 등재된지 얼마 안되어 바로 Legacy 데몬으로 떨어졌다.

===# TORNADO #===

===# Shape of the Sun #===

===# FUTURE DEMON MACHINE #===

===# Audio Extraction #===
Audio Extraction - Published by GoodSmile, Created by more[463]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Team TouchArcade의 2번째 합작맵이다.[464] 8월 7일에 Verify됐지만, 10월 말이 되어서야 데몬이 되었다. 원래 Audio Excursion의 뒤를 잇는 맵을 만들려고 했지만, 2.0이 되기 전까지 작업이 되지 않았다. 여담으로 잘 보면 Goodsmile의 듀얼 웨이브 파트가 무척 흥미롭다.[465]
High Detail Version : # 제목을 잘 보면 EXTREME LEMON이라 되어있다.[466] 2.1 패치로 58%파트의 겹공점이 거의 불가능해졌다.[467] 그러나 DiamondSplash 라는 유저가 2.1에 들어와서 불가능하다는 이 겹공점을 최초로 성공시켰다. 그 이후 plusxenon이라는 한국 유저도 겹공점을 성공시켰다.
그리고 업데이트로 겹공점 버그를 패치시켰다.

국내에서는 Rainstorm이 최초로 클리어했다.
또 국내 모바일 유저 Soulcontrol이 버프한 버전을 마침내 깼다! 클리어영상

재평가와 Factory Realm X로 인해 52위로 떨어졌다.

===# Codependence (2P) #===

===# Eon #===

===# Mecha Mayhem #===

===# Elite Z Rebirth #===
Elite Z Rebirth - Published by Krazyman50, Original by Play 4075365, Designed by AirSwipe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과거에 불가능한 맵이젠 가능함이라 여겨졌던 Play 4075365의 Elite Z를 디자인을 다시 해서 Krazyman에게 업로드된 맵.
초반부터 Michigun의 챌린지 수준의 넓은 3단가시부터 시작해 극악한 장애물들이 많이 나온다. 디자인이 그렇게 좋지 못한데도 불구하고 데몬에다가 Featured도 받아서 롭탑의 Krazyman 편애 논란이 다시 생겨났다.
처음 나왔을 당시에는 ICE Carbon Diablo X보다도 순위가 낮았으나 여러차례 재평가로 인해 많은 맵들을 제쳤다.

게임플레이와 디자인이 별로여서 인기가 없어서인지 클리어자가 Twet[468] 외 9명뿐이다. [469]
드디어 한국인 클리어자가 나왔다!

===# nowdead #===

===# Endurance #===

===# Twisted Tranquility #===
Twisted Tranquility - Flukester & more[470], Verified by BoldStep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Flukester와 그 외 많은 사람들이 참여한 9인 대형 합작맵. 처음 올라왔을 때는 Extreme Demon이 되었으나, Flukester가 이 맵을 핵을 안 쓰고 업로드하였다는 증거가 부족해서 RobTop이 이 맵의 별을 박탈시켰다. 그 후 Flukester가 Boldstep에게 부탁해 그가 베리파이했다.[471] 2.1맵답게 부드러운, 화려한 데일리맵 수준의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배경의 빈약함 등으로 인해 잘 만들었지만, 덜 만든듯한 맵이라고 평 받기도 한다.
초반부터 점프링 타이밍이 어렵고 웨이브와 비행기 등으로 여러 모드로 계속 바뀌며 다 저마다의 극악한 난이도를 가지고 있고 중반 암전구간이 많이 어렵다고 평가된다. 57~61%의 아이콘+45도 대시링(이른바 제트팩) 게임 플레이가 상당히 흥미롭다.[472]
또 아웃트로를 제외하면 가장 마지막 부분인 88%부근의 타이밍이 엄청나게 헷갈린다![473][474] 이곳에서 한 번 이상 죽지 않고 클리어하는게 거의 불가능할 정도. Kainite가 88%에서 한번도 죽지않고 깬 몇 안 되는 케이스.

2017년 7월 26일, 한국 유저 Angelbaton이 88%(아웃트로 제외시 99%)를 먹었다. 그리고 5일 뒤인 2017년 7월 31일, Angelbaton이 한국의 첫 번째 클리어자가 되었다! 앞서 서술한 88%를 13번 먹었다.
그후, 8월26일 한국유저 xiko가 한국의 두번째 클리어자가 되었다.
그 후 10월 12일 한국유저 jbmoon도 클리어. 영상 88%를 10번 먹었다고 한다.[475]

그리고... 2018년 1월 19일, 한국 유저 Rainstorm이 진짜 99%를 달성했다!!!![476]
그리고 같은 날에 클리어했다.

현재 한국에서 3명이 99%를 먹었었다. 한 명은 앞서 서술한 Rainstorm, 한국 2번째로는 크바, 3번째로는 최근 달성한 Tipp7[477]이다.

이후 예고 없이 갑자기 버프가 되어 업데이트 되었다! 베리파이는 Crazen이 담당했으며, 게임플레이까지 조금씩 바꾸어버리고 간격도 좁혀 매우 어렵게 만들었으나...

이에 대해 상당히 비판이 많은 편이다. 특히 익스트림 데몬 입문으로 이 맵을 클리어 시도를 하고 있는 유저들이 많았는데 그 유저들을 걷어 차는 행위라며 지탄하고 있다. 더군다나 이 버프가 평범하지가 않은게, 한순간에 Bloodbath 이상으로 버프를 먹였기에 많은 유저들에게 불만을 사고있다. [추가] 더 심각한 것은, 이 합작의 주최자인 Flukester는 이 버프를 정식 버프라고 칭한데다가, 현재 Demon List 팀과의 모든 대화를 일절 거부하고 있어서 굉장한 논란이 일고있다.

이후 많은 비난을 받아서인지 Flukester는 TT를 복구하겠다고 했지만 오랬동안 복구가 되지 않았다.

결국에는 2019년 4월 3일 다시 BoldStep이 베리파이했던 버전으로 복구되었다.

===# BROWNOIX #===

===# Unearthed #===
Unearthed - YakobNugget and more, published by YakobNugget, verified by npesta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미국 크리에이터 YakobNugget이 주최한 합작이다. 인지도에 비해 규모가 매우 큰 합작이다.

===# Crystal Crusher (2P) #===

===# Grill Kill #===
Grill Kill by RoiMousti, verified by Kapinap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디자인은 화려하나, 게임플레이가 상당히 좋지 않다...

===# Synergy #===

===# Betelgeuse #===

===# laranja azul rosa #===

===# Concaved Memories #===
Concaved Memories - published by CairoX, Created by HelpegasuS and more[479], Verified by rWoosh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Lucid Nightmares의 후속작으로, 전작을 제작한 CairoX와 DonutTV가 참여하고 베리파이도 전작과 같은 rWooshi가 했다.
물론 최악의 겜플 중 하나에 꼽힌 전작과는 달리 최고의 익데 중 하나로 불리고 있다.
같은 Lucid Nightmares의 후속작인 Lucid Chaos하고는 이 맵과 무관하다.

===# Wind Storm #===

===# TREMORS #===

===# Torsion #===

===# Apparition #===

===# Ninobytte #===

===# sunburn #===

===# GEODE #===

===# Elliptic Curve #===
Elliptic Curve by Mulpan and KireiMirai, verified by Dorami, published by Mulpa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Mulpan과 KireiMirai, 두 한국인의 합작으로, Dorami가 1일 만에 베리파이한 맵이다.

===# Swirling Serenity #===

===# Halberd #===

===# Acrozis #===

===# Dismay #===

===# YeeSangHaeYo #===

===# Heat Wave #===
Heat Wave - By HadiGD & Nico99 & more[480], published by Nico99, verified by Doram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HadiGD라는 유저가 주최하고 Nico99이 퍼블리시한 대형 합작맵이다. 전체적으로 빠른 템포의 게임플레이를 갖고있고,
중간중간마다 나오는 재미있는 게임플레이는 플레이하는 유저들을 즐겁게 만든다.

익데 치고 많이 쉬운 편인데다 게임플레이도 좋아서 첫익데 추천맵으로 자주 꼽힌다. 게임플레이, 디자인 모두 굉장히 호평받지만 유일한 단점은 모든 익스트림 데몬을 통틀어서 파트별 난이도 편차가 가장 큰 축에 든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후살맵으로, 50% 이전까지는 사실상 인세인 데몬 수준이지만, 50%부터 등장하는 Nico99의 파트부터 끝까지 익스트림 데몬 수준의 순간난이도를 보여준다. 특히나 어려운 파트로 지적받는 부분은 Nico99의 큐브 칼타&듀얼과 MrLorenzo의 극악한 비행기구간인데, 특히 비행기구간은 중력변환&기울어진 1칸 비행에다가 웨이브로 비행기 포탈에 들어가는 컨트롤을 세밀하게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하위권 익데라고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이 맵의 난이도 대부분을 차지하는 매우 어려운 구간이다. 오죽하면 여기서는 최소 한번쯤 죽고 클리어할 수밖에 없다는 말이 들릴정도. 그래도 앞부분 순간난이도가 인세인 데몬 수준이라, 인세인 데몬 수준의 게임플레이를 손쉽게 깰수 있는 고인물들에게 있어서 쉬운 맵으로 실력별 난이도 편차가 매우 크다.

또한 Incipient와 Es Dilar Nos 못지않게 한국에서 꽤나 인기가 많은 맵인데, 한번 팠다 하면 깨는 유저들이 엄청 나오기도 하고, 겜플 자체가 재미있다 보니 인기가 많다.
별은 시간이 많이 지난 이후에 붙었고 포럼에도 그 이후에 입성했다. 그렇게 순위는 계속 떨어지는 중.
참고로 별이 붙었을 당시에는 이 맵 포함 에픽 익스트림 데몬이 고작 4~5개 정도(...)였다.

===# To the Exosphere #===

===# Welcome to your mind #===

===# Enlightened memories #===

===# 4Elements #===

===# VIRTUE #===

===# TRIANGULAR #===

===# cloudscape #===

===# Falling Maze #===

===# The Hell Dignity #===
The Hell Dignity - Published by Stormfly, Created by Sohn0924 & more[481]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극악한 칼타이밍을 가지고 있는 맵이다. 원래 오리지널 The Hell Dignity는 포럼에서 한참 윗순위인 전작 The Hell World보다도 어렵지만 Stormfly가 칼타이밍과 비행을 대부분 삭제, 너프해 The Hell Zone보다도 쉽다고 평가받고있다. 하지만 이건 Stormfly가 The Hell Dignity를 극하향시킨 게 아니라 The Hell Zone과 The Hell World를 미친 듯이 극상향시킨 것이다.[482] The Hell World도 버프를 왕창 먹였다가 좀 너프시킨 것이 현재 버전이다.
현재 클리어자는 8명[483] 이다.

===# Evangelion #===

===# gardening map #===

===# Heartbeat #===
Heartbeat - Published by Krazyman50, Designed by AncientAnubis & AirSwipe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처음 올려서 리스트에 오를 당시는 18위로 저평가되었으나,[484] 어느 순간 14위로 상승하였다. 그러나 다른 극악맵들의 등장으로 아무 난이도 재평가도 없이 서서히 순위가 하락해 50위로 떨어졌다가 Quantum Processing의 등장으로 Extended 51위로 내려왔다..(...)
Anubis와 AirSwipe이 디자인해줬다. 여담으로 비밀길같이 생긴 길이 있으나, 이 길은 따라서 가면 99%에서 죽는 낚시 비밀길이다. 영상.
중반 비행기 구간이나 초중반과 후반 로봇 모드 등도 상당히 어렵지만 가장 어려운 부분은 중반의 웨이브 연타 부분과 초반 칼타이밍 부분. 중반 연타는 클릭이 딸리면 순식간에 죽어버리고, 초반 공점 칼타이밍은 워낙 타이밍이 지저분해 플레이하기 짜증나서 이 맵을 플레이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여담으로 한 유저거 144Hz로 이 맵을 플레이했을 때 99%가 불가능하다고 했었으나.... Krazyman50이 아니라고 영상을 올렸다. 최후반 마지막 공점 파트. 60hz에서는 무난하나 144hz에서는 타이밍이 워낙 극악하여 144hz 한정 통곡의 벽이다. 그래서 클리어하는 플레이어들은 주로 60hz 유저이거나 144hz 플레이어들이 60hz로 바꿔서 클리어. 물론 60hz 플레이어라고 그곳에서 안 죽는 건 아니다. 다만 Riot의 경우는 복사본에서 마지막 점프를 너프시켜 클리어했다.

===# Neon Mixtape Tour #===

===# Totem #===

===# Ch1ll Puddy #===

===# FirePower #===

===# Skrrah #===
Skrrah by Reunomi and more[485], published by VirtualCrack, verified by Rainstorm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엄청난 싱크를 가진 Extreme Demon. 시원시원해 보이는 게임플레이과는 다르게 게임플레이가 상당히 안좋다고 한다(...) 그래도 재미 자체는 있다.
주로 후반에 난이도가 몰려있다.

===# Chub Chub #===

===# Time Pulse #===

===# Metalic Destruction #===

===# Myocardia #===

===# Daydream #===

===# Warning #===

===# INFLAMMABLE INFUSION #===

===# Reflective #===

===# Fexty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exty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SL8O #===

===# Fingerdash v3 #===

===# NecropoliX #===

===# La Llorona #===

===# Recrystallize #===

===# Aureole #===

===# Xeriscape #===

===# CholeriX #===

===# Malware II #===

===# Vociferous #===

===# Lonely Lights #===

===# Artificial Dream #===
Artificial Dream by iIiViRuZiI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퀄리티 좋은 익스트림 데몬을 많이 올렸으나 번번이 묻히던 ViRuZ의 첫번째 별맵이다. 상당히 속도감있는 플레이를 보여주며, 듀얼의 비중이 꽤 있는 편이다. 디자인과 겜플에서 호평을 받으며 선곡에서도 칭찬을 받는 맵. 여담으로 ViRuZ는 이 맵을 베리파이하면서 이 맵이 Very Hard ~ Insane Demon이 될거라 예상했지만, 익스트림 데몬을 받았을 뿐더러 포럼 중간쯤에 위치하게 되었다. ViRuZ에게 Extended는 하데 ~ 인데인가 봅니다.

현재 Digital Atmosphere라는 후속작이 제작중이다.

===# Yggdrasil #===

===# To The Stars II #===

===# Hopping Over Puddles #===

===# Sides Of My Mind (2P) #===

===# Aurorae #===

===# Tron #===

===# Graphite World #===

===# Out of Chaos #===

===# Glide #===
Glide by crohn44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unset Sandstorm으로도 유명한 crohn44의 개인맵이며 디자인과 게임플레이가 특이한 편이다.

===# Armageddon #===

===# BEELINE (2P) #===

===# Disastrous Downpour #===

===# Breakout Redux #===
Breakout Redux - Mindcap, TheTactiq & more[486], Verified by Waivve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Breakout이 2.1로 돌아왔다!

Stalemate Redux를 만든 TheTactiq의 새로운 Redux맵이다.
원작 Breakout을 제작한 Nwolc도 참여했으며 콘테스트를 열어 Majkomar가 우승해 파트를 가져갔다.
베리파이는 Mirq와 Waivve가 공동으로 맡으며 Waivve가 84%를 갔다.

2018년 8월 17일 Waivve가 베리파이했다! 난이도는 Zaphkiel과 비슷하다고 했다. 하지만 초고수 유저 Rainstorm은 절대 그 정도 난이도가 아니라며, 25위권이 적당하다는 평을 내렸다. 그렇게 38위에 안착했다.

8월 11일 노벨보이의 트위치 생방송에서 베리파이 되었다! 총 18408어템을 들였다.

===# headlock #===

===# Vexatious #===

===# iridium #===

===# Hydraulic Overdrive #===
Hydraulic Overdrive - Xyriak, Verified by Brad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상당한 퀄리티의 보스파이트 맵

- Edicts 등과 스타일이 비슷한 크리에이터 Xyriak의 단독맵. Brad에게 베리파이되었다. 맵의 중간의 나오는 보스의 퀄리티도 멋지지만 무엇보다 보스가 움직이는 것을 표현한 이펙트는 역대 보스파이트 맵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퀄리티를 만들어냈다. 그 외에 블럭 디자인도 매우 좋은 편.

===# Impasse #===

===# sarthix #===

===# EX #===

===# Ballistic Funk #===

===# Cupid #===

===# Mjolnir #===

===# 4ucked Up #===

===# Reaper Lair #===

===# Red World Rebirth #===
Red World Rebirth - Published by Riot, Original by saRy & NePtunE, Designed by Hinds, Findexi & Vipri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1.9까지 가장 어렵다는 맵 중 하나였던 한국 유저 saRy와 Neptune의 콜라보 맵인 Red World를 2.0 버전으로 재디자인한 맵. 원본인 Red World가 1.9 패치로 불가능한 맵이 되었기 때문에 그 부분을 수정하고, 나비모드와 비행의 간격을 줄임으로써 전체적인 난이도가 극상향되었다. 초반부터 극악한 비행기 패턴이 많고, 특히 63%~67% 부분은 저속 1칸비행이다. 그 후 나비모드는 답이 없을 정도로 어렵다.[487] 나비모드를 지나면 바로 꺾인 1칸비행이 계속되는데, 이 부분이 매우 어렵다. 가뜩이나 최후반부라서, 죽으면 깊은 빡침을 느끼나, 많은 유저들이 여기서 한 번은 죽었다. 익데중에서 가장 사악한 소고기다. 쩝쩝

여담으로 SrGuillester가 자신의 디자인 버젼을 클리어하려고 했으나, 이 맵이 나온 후 취소하고 Red World 원본을 클리어했다.
현재 클리어한 사람은 TrusTa 외 50명.

===# Violently X #===
by CastriX and Dorami, verified and published by Doram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Dumbest Girl Alive #===

===# Cromulent #===
Cromulent by Pleoslim and more, published by RelayX, verified by Doram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엔딩까지 합치면 6분이상이 넘어가는 익데다.

===# Exotic Energy #===

===# Pumped Up Kicks #===
Pumped Up Kicks by Quiken and more[488], published by Quiken, verified by GuitarHeroStyles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SorryForPartyRocking #===

===# Draco Meteor #===

===# Frightful Melody #===

===# Gaming #===

===# Another Phase #===

===# Frenzy #===

===# Psychotic #===

===# Heart Attack #===

===# Volume #===
by Metalface221 and more, verified and published by Metalface221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길이는 그렇게 길지 않지만 공점타이밍이 미쳐돌아간다. 길이보다 순간난이도로 승부하는 레벨. 잔가시들이 많아서 프랙으로 돌리다가 죽으면 그 순간 엉망진창이 된다. 특히 50% ~ 64% 웨이브 파트의 난이도가 압도적이다.

여담으로 50% 부분부터 노래가 매우 좋은 편이다. 대부분이 이 부분의 음악이 가장 좋다고 평가하고 있다.

===# Shukufuku #===

===# I NEVER DREAM #===

===# loop #===

===# Zenith #===

===# Pound Town #===

===# wtf #===

===# AcropoliX #===
AcropoliX by SoulsTRK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Zobros의 과거에 매우 어려운 맵으로 유명했던 'Acropolis'를 더 어렵게 만든 맵이다. 칼타이밍 그 자체인 로봇모드, 비행과 UFO, 볼 모드 등이 포인트. 포럼데몬인 Hatred처럼 엄청난 칼타이밍을 자랑하는 맵이다.
난이도가 대폭 상향되었고, 2.0 때 만든 맵이라서 무브 오브젝트 등 2.0 오브젝트들이 등장한다. 특히 후반의 웨이브가 극상향되었는데, Acropolis와 달리 중력 포탈과 미니 포탈이 등장한다. 그래서 이곳에서 죽는 사람들이 많다. 가장 어려운 부분은 극초반 큐브와 웨이브이다. 옛날에 Legacy Demon쪽으로 갔었지만, 재평가로 인해 다시 포럼으로 올라갔고 Cadrega City가 나오며 다시 떨어졌다.
맵은 2.0 초기에 나왔지만 현재 클리어자는 BlassCFB외 21명[489]등등으로 상당히 클리어자가 적은 맵이다.

그리고 별이 붙은지 거의 2년만에 익스트림 데몬으로 승격하였다!!

===# Matilda the Machine #===
Matilda the Machine by Jeyzo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Jeyzor의 비대칭 듀얼 Machine 시리즈의 끝판왕.[490] 2.1의 거미모드, 닿아도 안 죽는 웨이브 블럭을 이용해 비대칭이 더욱 어려워졌다. 그리고 78%부터 시작되는 로봇과의 보스전도 브금과 매우 어울린다. 지메의 전설격인 Jeyzor의 듀얼맵 시리즈의 3번째이지만 어려워서 그런지 인기가 없다.

===# me when machine gang (2P) #===

===# SUBVERSIVE #===
SUBVERSIVE by Disp and more[491], verified and published by Snowr33de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업로드된지 1년 1개월이란 시간이 흘러간 후 포럼에 올라온 비운의 맵

- 러시아 크리에이터들의 합작맵으로, Snowr33de에게 Verify된 맵. 상당히 긴 길이와 엄청난 난이도를 자랑한다. 2.0때 만들어진 맵인데도 왠만한 2.1 데몬맵 저리가라 할 정도로 모든 파트의 퀄리티가 높은 데다가 유명 유튜버인 SoulsTRK가 영상을 올렸는데도 데몬이 되지 않아 한때 비운의 맵의 대명사로 꼽혔던 맵이다. RespectVG(1:45~2:00)와 Namtar(2:15~2:30)의 파트가 가장 호평을 듣는 파트이다. Krazyman이 스트림 방송에서 RobTop에게 The Hell World, The Hell Zone과 동시에 이 맵에도 별을 붙이라고 부탁하였으나, 게임플레이가 별로라는 이유로 별을 붙이는 것을 거절했으나 이 맵이 처음 나온지 9달이 넘어서 3월말에 드디어 별이 붙었다. 포럼에 올라온 것은 거의 4달만이다. 국내에서는 HaNsUpZ가 60hz로 한국최초로 클리어했다. 원래 가장 어려운 인세인 데몬 중 하나였으나 익스트림 데몬으로 승격되었다.위 영상에서 1분 24초쯤에 배가 한 바퀴 돌아간다[492]

2021년 5월 24일날에 갑자기 극버프가 되었다! 그러나 다음날에 롤백이 된듯 하다.

여담이지만, 24% 볼 파트에서 볼에서 미니 큐브로 넘어갈 때 안 넘어가지고 그대로 죽어버리는 버그가 있다! [493][494] 하지만 미니 큐브에서 듀얼 큐브로 바뀐 뒤에 홀드를 하지 않고 때었다가 다시 누르면 24%에서 무사히 지나갈 수 있다.

그리고 이 맵을 해석하면 전복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495]

2.2 업데이트 이후로 10% 부분이 거의 불가능해졌으나 업데이트를 통해 가능하도록 바뀌었다. [496]

===# Tech Manifestation #===
Tech Manifestation by Pleoslim and MakFeed, verified by Dolphy, published by Pleoslim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PAINFUL PLAYLAND #===

===# Wacky McWhackface v2 #===

===# cerebral hemorrhage #===

===# TROLLMACHINE #===

===# Lotus #===

===# TUAPEKA #===

===# gloss #===

===# Once Again #===

===# Redemption Arc #===

===# Napalm #===

===# Party Rock Anthem #===

===# HURRICANE #===

===# Generic Glow Level #===

===# CYCLONE #===
CYCLONE by HelpegasuS and more[497], published by Bianox, verified by Zeroya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Thunder Alphabet #===

===# Gentlemens Clique (2P) #===

===# BYE #===

===# On1y Cub3 #===

===# any percent #===

===# The Ultimate Phase #===
The Ultimate Phase - Published by Andromeda, Created by Andromeda and more[498]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2015년 8월에 Andromeda가 Verify한 15인 맵. 1.9를 대표하는 초고난이도 맵 중 하나로, 1.9시절에 나온 흔치 않은 익데이며 당시 Bloodbath 다음가는 2인자 맵으로 자주 거론되는 맵이었다. Andromeda는 스피드핵을 사용해 업로드를 한 사실을 인정했으나. 2016년 06월 21일에 다시 정상적으로 클리어했다. 하지만 베리파이 한것이 아닌 클리어여서 아직 Hacked가 남아 있다. Zobros, Andromeda 파트를 하향시키면서 Cyrillic이 핵으로 Verify를 해줬기 때문이다.

지금은 익데 최하위 맵 중 하나이지만, 이게 1.9 당시에 나왔음을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물론 당시 익데라는 분류가 없었지만, 이 맵은 역사상 3번째의 익데이며, 패치로 가능해져서 익데로 최근 레이팅된 Red World를 제외하면 사실상 당시 나온 2번째 익데였다. 당시에는 전체 세 손가락안에 반드시 드는 대단한 맵이었으며, Bloodbath, Cataclysm[499] 다음가는 맵이었다. ICDX보다도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고 지금의 Firework가 가지는 위상과 거의 동등했다 봐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메가콜라보' 개념을 더욱 퍼뜨린 익데 중 하나로 꼽힌다.

그러나 다른 극악 데몬 맵들의 등장과, 몇 계단을 내려가는 재평가로 순위가 계속 떨어지고 떨어져서 2.0 초중반부에는 10위권 정도로 평가받았고, AA나 SW처럼 지금에 와서도 극악하다는 말이 나오는 맵들이 베리파이되며 순위가 빠르게 내려가다 결국 1.9 지메 3대장 데몬중 하나였던 이 데몬이 Stalemate Redux의 등장으로 이곳으로 추락했다. 지금은 익데 최하위 중 하나로 꼽힌다.

MaJackO의 미니 비행 파트가 가장 어렵다고 평가받고, Cyclic의 순간 가속되는 좁은 웨이브 파트에서 굉장히 많은 소고기를 유발한다.
과거 한 번 하향을 먹었다가 2.1 버전에 들어와서 Andromeda의 파트가 버프되고 MaJackO의 파트를 제외한 모든 파트가 너프 전 파트로 돌아오는 상향을 먹었다. 하향 전과 후 Zobros 파트의 난이도 차이가 극명하며, Loogiah 파트의 난이도도 꽤 차이가 나는 편. 하지만 여전히 최하위 익데 위치에서는 벗어나지 못했다.
주요 한국인 클리어자는 LIFE, GD chara, Cutter, Hanavi[500], Sungsu Kim, y75가 있다. SuperSNSD도 클리어했지만 영상이 날아갔다고 한다. 전세계 클리어자는 상당히 많다.

===# Broken Signal #===

===# reverence #===

===# Uplink #===

===# ZOOOOOOOOOOOOOOOOOOM #===

===# RTX ON #===

===# SMASH #===

===# Empanadas Fugaces #===

===# The Tears Beneath #===

===# stand in the snow #===

===# Evil Depths #===

===# BLACKLIGHTS #===

===# Zettabyte #===
Zettabyte by Jenkins GD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Cyberstorm #===

===# White Noise #===

===# pulsation #===

===# Semicolon 3 #===

===# NIGHTLIGHTS #===

===# Quadratic Function #===

===# Deception Dive #===
Deception Dive - Rustam & more[501], Verified by Berke423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본래 이 맵은 2.1 극초기에 Zenthicalpha, Rustam, Mazl이 시작했던 맵이다. 그때 Rustam, Zober, Zenthicalpha가 세 구간을 만들었으나 맵 개발이 지연되어 버렸고 Zenthicalpha가 접자 Rustam과 Mazl이 이어받아 크리에이터들로 하여금 나머지 구간들을 채우도록 했다. [502]후반의 4배속과 중반의 까다로운 구간들로 이루어진 이 맵의 난이도는 아주 극악하다. 후반으로 갈수록 빨라지며 다양한 모드와 상당한 맵 길이로 난이도는 더 상승된다. 후반의 4배속 웨이브와 볼 모드 등이 정말 어렵고, 그중에서도 Krampux의 파트가 가장 어렵다고 평가된다. 초반은 다른 익스트림 데몬보다 쉬운 편이고 심지어 7~8성 난이도밖에 안되는 구간도 있는만큼, 오래 플레이하다 보면 후반에서 자꾸 죽고 초반이 매우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다.

여담으로 이맵은 처음 나왔을 때부터 꽤나 오래 인세인 데몬 상태였다. 그리고 포럼에 올라온지 약 1주일 뒤에 몇 시간동안 익스트림으로 승격됐다가 다시 내려갔다. 그리고는 다시 익스트림 데몬으로 올라온 상태이다.

국내에서는 Seturan이 최초로 클리어했다.
[SD] Danger가 12번이나 클리어하였다.
신원미상이 한국 모바일 최초로 클리어하였다.
traceGD가 무려 76k를 들여 한국 모바일 2번째로 클리어하였다.

===# GANGIMARI #===

===# KUB #===

===# Sky tech #===
Sky tech by Licentious and Giron, verified and published by Giro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꽤나 어려운 인세인 데몬이었고, 2019년 1월 뜬끔없이 맵의 모든 오브젝트가 사라진 적이 있었다. 하지만 곧이어 다시 업데이트되었고, 하드데몬으로 내려갔다가 인세인데몬으로 복귀되었다.[503]
2019년 2월 11일 기준 포럼 99위였다. 하지만 결국 Legacy로 떨어졌다.

===# Dance Til Dawn #===

===# Hydratic #===

===# Uprise #===

===# ILOVECYAN #===

===# Awakening Horus #===
Awakening Horus by Xingtik and Juhou, verified by Luqualizer, published by Juhou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신인 크리에이터이자[504] 크리에이터 포인트가 하나도 없는 유저 Juhou의 개인맵. 크리에이터 포인트가 전혀 없는 유저가 만들었다고 하기에 믿기지 않는 퀄리티를 자랑한다. 베리파이어인 Luqualizer는 Juhou가 극히 재능있는 크리에이터라고 칭찬했고, Fluffy Ninja 등의 유저는 이 맵을 2.1 최고의 맵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난이도는 최초 클리어자 Wooshi999의 경우 Insane Demon에서 Extreme Demon이라고 한다. Wooshi나 Freaklin 등의 유저들도 97%에서 1번 이상은 죽은만큼 97%가 마의 구간인 듯하다. 그 외에도 후반 10%의 난이도가 매우 끔찍하다는 반응도 있다.
별을 오랫동안 받지 못했는데, 이에 대해서 Juhou는 RobTop이 뭔가 자신에게 별을 안 붙여주는 이유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고, 대다수의 유저들이 롭탑을 비판했지만 2월 초, 결국 별이 붙고 포럼에도 등재되었다!
2월 13일 jbmoon이라는 유저가 한국최초로 이 맵을 클리어하였다.
최근 익스트림 데몬이 됐다!

===# Carbon #===

===# Mandragora #===

===# Backlights #===

===# Retention #===
Retention by WOOGI1411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한국인 크리에이터 유저 Woogi의 가장 어려운 데몬맵. 초반부터 어려운 컨트롤을 자랑하고 특히 중반부 로봇+UFO, 볼+웨이브, 로봇+큐브, 로봇+볼, 큐브+비행기 등의 비대칭 듀얼모든 모드들로 비대칭듀얼 만들기세과 암기 부분이 이 맵의 난이도를 말해준다. 원래는 더 어려웠으나 깰 시간이 없어 하향한 후 업로드했다고 한다.
하향 전 버전: https://www.youtube.com/watch?v=MtpryvI8jME 하향 전 버전을 보면 듀얼 모드가 훨씬 맵이 복잡하고 그 외에도 비행기,로봇 등의 간격이 좁은 것을 볼 수 있다. 이 버전을 한국인 유저 Xeon이 클리어하였다. 그의 말에 따르면 이 버전은 Niflhiem보다도 어렵다고 한다.
클리어자 수는 235명. 우리나라 유저도 많다.
레이팅은 인세인 데몬이었는데, 익스트림 데몬으로 올라와야 한다는 사람이 꽤 있었다. 그리고 익스트림 데몬으로 결국 승격되었다...가 다시 인세인 데몬으로 내려갔다...가 또 다시 익스트림 데몬으로 올라갔다.

Glowy의 포럼 등재로 포럼에서 내려왔다가 51위 이후로 포럼이 연장되면서 부활했다.

여담으로 144hz 플레이어들이 고생한 레벨들 중 하나. 레벨 중후반에서 버그 때문에 죽는 일이 몇 번 있다고. 아성 자체는 Krazyman50의 Heartbeat와는 비교도 안 될 정도이긴 하지만[505] 그래도 은근히 이런 면에서 두드러지는 레벨들 중 하나.
전체적으로 좁은 비행보다는 타이밍을 좀더 요구하는 포럼데몬이기 때문에, 모바일 유저들에게 인기가 많은 데몬이기도 하다. Soulcontrol, Tiguru, Teamless, Lebi, SarTiZ, Geometry dash park 라는 국내 유저 6인이 폰으로 클리어한 바 있다. 또 Poongsangae 라는 유저는 폰으로 92%를 먹었다....가 결국 클리어에 성공했다. 많이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LunarSIMG라는 국내 유저도 폰으로 클리어하였다.
또한 한국인들에게는 쭈텐션이라고도 불리는데, 이유는 Woogi의 별명이 '쭈개' 이기 때문.-쭈___________개-

===# ABSURDIA #===

===# OXI #===

===# FISH FISH GODMODE #===

===# PLUS ULTRA #===

===# Vacant #===

===# Last Station #===

===# Lights Out #===

===# night party #===
Night Party by RLOL and more[506], verified and published by RLOL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Rlol이 지메를 접으며 마지막으로 주최한 28인 메가콜라보이자 수많은 유명 크리에이터들이 참가한 콜라보맵이며, Rlol의 마지막 맵이다.
28인이 합작하여 만든 만큼 한 명 한 명의 파트가 매우 빠르게 지나간다. 한 파트가 4~6초 남짓 할 정도.

===# Diligence #===

===# Dark Rivalry #===

===# doradura #===

===# Falling Up #===
Falling Up - Krazyman50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유명 크리에이터 Krazyman50을 대표하는 맵 중 하나이다. 굉장히 오랜 기간동안 인세인 데몬이었지만, 인세인 데몬치고 손에 꼽을 정도로 어려워서[507] 익스트림 데몬으로 격상되었다. 물론 익스트림 데몬들 중에서 매우 쉬운 맵 중 하나로 꼽힌다.

이 맵으로 인해 Hinkik - Time Leaper Hinkik[508]의 모든 곡들의 열풍이 돌기 시작했고, 이 브금으로 맵이 양산되었다. 이 때문인지 Krazyman은 그 후로 맵을 업로드하기 전에는 브금을 공개하지 않기로 했지만 Black Blizzard의 노래가 그만 공개되어 버렸다. 이후 Creo도 매우 유명해졌다.

Cyanox라는 유저가 99%에서 죽은 적이 있다.

초반 큐브모드는 타이밍에 맞추어 공점을 밟아야 하는데 이게 꽤 까다롭다. 후 하이라이트의 비행모드에서 1자비행이 계속 나오니 조심하자. 그 뒤에도 좁은 일반-소형 웨이브 구간과 마지막 듀얼, 특히 비대칭 듀얼 비행모드로 한 곳을 지나가야 하는 부분의 타이밍이 어려우므로 각별히 조심해서 지나가자.
여담으로 Etzer라는 유저가 이 브금을 부르는 영상이 있는데, 정말 기이하고 괴상한 비명을 지르며 부르는 게 포인트. 듣기. 목 나갈듯 하여튼 그가 부른 이 브금이 매우 유명해져서 이 입브금을 스피커로 틀고 밖에 돌아다니는걸 찍은 영상도 있다(...). . 민폐 Etzer은 그 외에도 Yatagarasu, 8o 등 각종 맵을 입브금으로 괴상하게 소화했다.

===# Cosmic Cluster #===

===# Witching Hour #===

===# Faith #===

===# Rayovac #===

===# Vermilion #===

===# Instant Execution #===
Instant Execution by TheGamerPiggy and more[509], published by Plexidit, verified by HequinoX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Polish Alphabet #===
Polish Alphabet by Ezel142 and more[510], published by Anime Animator, verified by BlazeD77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The Flawless #===
The Flawless - by atheoz and more[511], published by IIIRyanIII, verified by ButterFish1413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TrusTa에 의해 Verify된 합작맵. 처음 등록된 당시엔 Cataclysm보다 순위가 낮았으나[512] 여러차례 재평가로 인해 많은 맵들을 제쳤다 다른 맵들의 등장으로 떨어지고 하면서 결국 205위로 떨어져 자연스레 레거시로 강등되었다. The Hell Factory와 Yatagarasu에 영감을 받은 듯하다. 30여 명이 클리어하였다.[513]
초반에 매우 어려운 소형 웨이브 구간으로부터 시작해 대부분 비행기 모드가 반복된다. 그런데 이 비행기 구간들이 Bloodbath의 Crack 파트 정도로 매우 어렵다. 그래서 스트레이트 비행기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쥐약인 맵. 노래가 더 사악하다.

가장 어려운 인세인 데몬이었으나, 다시 Extreme Demon으로 돌아왔다.

여담으로 흔치 않게 코인 3개가 모두 맵 끝에 공짜로 주는 맵이다.[514]

2020년 12월 4일 버그랑 데코를 고치고, 코인 루트를 추가했다.

===# Vignette #===

===# Beyond the summit #===

===# Our Fountain #===

===# Stellaluna #===

===# The Lost Existence #===
The Lost Existence by JonathanGD, verified by Luqualize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재미있는 게임플레이를 지닌 데몬맵. Luqualizer가 베리파이했고, 노래가 들쑥날쑥한다 그리고 노래처럼 맵의 분위기와 장르도 여러 가지이다. 인세인 데몬으로 레이팅되었다가 익스트림 데몬으로 승격됐다.

===# UltraSans #===
UltraSans by PlebKingdom, verified by KrmaL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 시절 레벨 UltraSonic에 샌즈 아트만 추가한듯한 레벨이다.

===# Allegiance #===
Allegiance by nikroplays, verified by EndLevel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Dedication이란 레벨의 후속작으로 제작된 NikroPlays의 개인 맵이다. 인기있는 2.0 데몬맵 중 하나로 뛰어난 게임플레이와 디자인, 적절한 난이도로 인하여 대표적인 첫익데 추천맵으로 꼽힌다.

사용된 곡은 The Living Tombstone의 I Got No Time이다.

이 맵은 원래 너무 어려워서 너프되었는데, 너프되기 전 버전은 Yatagarasu보다도 어렵다고 한다. 그러나 너프를 BOJ 이상으로 먹으면서 Uprise 아래까지 추락하였다.[515] 그 버전은 비행부분과 웨이브 부분의 화면이 대부분 가려진 상태로 진행된다. 극악한 1칸웨이브의 타이밍과 결합에 미친 난이도를 보여주고 드롭파트후에 나오는 로봇모드가 한칸비행으로 바뀌며 나비모드도 Yatagarasu에서 Hinds의 나비모드만큼 어렵다.

여담으로 Rlol이 Verify한 후 몇 달 동안 별을 못받다가 Surv가 영상을 올린 바로 다음 날 데몬을 먹었다. 그것은 Surv가 지오메트리 대시의 Mod[516]중에 하나이기 때문이다. 별을 받은 후 NikroPlays가 목소리가 없는 버젼으로 노래를 바꿨다가 EndLevel이 노래에 목소리가 나오는 버전으로 다시 Verify했다.
난이도 재평가로 Cataclysm을 이겼었으나 2.1 업데이트 후 공점 판정범위가 넓어져 6% 부근이 하향되었고, 이에 따라 순위가 Cataclysm 밑인 47위로 내려왔었는데 어느새 Cataclysm이 50위권 밖으로 떨어져있다.. 현재는 다른 데몬맵들의 등장으로 119위.
2.1 하향버전 : https://youtu.be/NTY6IUPwICQ

국내에서 HaNsUpZ가 최초로 클리어했고 LIFE, rainstorm이 클리어, 그리고 또다른 한국유저 Yoshinodash와 Kurai Yonaka와 Xylitol이 60hz로 클리어하였다.
세계 최초로 StilIuetto가 모바일로 클리어했고, 국내 모바일 유저 Soulcontrol은 로우디테일 버전을 버프해 클리어했다.
2018년 3월 21일에 무명 유저 latent도 클리어했다. https://youtu.be/pgDbBHuZ31s
2024년 5월 31일 또 다른 무명 유저 Wowwed가 120hz로 7일만에 클리어하였다.[517] 영상 이로써 한국 포럼 기준 한국인 모바일 Allegiance 클리어자가 9명이 됐다.

현재는 Renevant라는 후속작이 제작되었고 별도 받았다.

===# Alcatraz #===

===# Voided #===

===# Ferrum Frenzy #===

===# Aksion #===

===# Hypersonic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Geometry Dash/온라인 레벨/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Hypersonic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GLISTEN #===

===# Crowd Control #===

===# court circuit #===

===# Just DANCE #===
Just DANCE - Texic and more, verified by Kapinapi, published by Texic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11월 16일에 Furious Flame의 핵업뎃으로, 레거시로 추락해 다시 익스텐드로 갔지만...2020년 11월 17일에 원상복구가 되어 다시 레거시로 떨어졌다. 그다음 2020년 12월 4일에 Inflective가 레거시로 떨어져 다시 익스텐드로 올라갔지만(...) Glacial Torrent가 141위로 등재되어 다시 레거시로 떨어졌다.(...) 주식 지메대 버전

2020년 12월 9일경, 이맵에 밸런스 패치를 했는데, 대부분의 파트가 너프가 되었다. 물론 버프한 파트가 있지만, 그마저도 미미한 버프이기에 사실상 너프다.[518]

2020년 11월 20일경, 1tzBee라는 유저가 60hz로 클리어했다.[519]

===# Incipient #===
Incipient by Jenkins GD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무명 크리에이터 Jenkins GD의 단독맵으로 노래 중간중간마다 가사가 오브젝트로 나오는 맵이다. 계속 뒤에서 용암이 따라오고 오브젝트들도 좁게 배치되어있어 플레이어로 하여금 압박감을 주게 하는 게임플레이가 특징이다. 퀄리티도 꽤나 특이해서 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나온지 한참이 되어서야 포럼에 등록되었다. 한동안 인세인 데몬이었다가 결국 익스트림 데몬으로 승격되었다.
그 중에서도 좋아요 개수로 최하위권에 위치해있다.(더이상 아니다.) 이 맵을 아는 유저들은 디자인과 게임플레이 등을 호평하며 왜이렇게 유명하지 않은지 의아해하기도 했다. ViPriN의 8번째 무명 크리에이터 콘테스트 4위를 하기도 했다.[520]

난이도에 대해 의견이 살짝 갈리는 데몬인데, 사람에 따라 초반이 후반보다 어렵다거나, 익스트림 데몬에 올라갈 정도는 아니라는 등의 의견이 있다. 물론 그걸 감안하더라도 인세인 데몬에선 최상위권 정도는 먹고 들어가는 편.

현재 클리어자는 Pablohh가 최초로 클리어하고 그 후 한국 유명 플레이어 Dorami 두번째로 클리어했다.[521] 그리고 며칠 뒤, 노력파 유저 Angelbaton도 클리어했다.[522]
2018년 5월 3일에는 무명 유저 Latent가 813어템만에 클리어하였다. https://youtu.be/nT78L6d0qn4
2023년 10월 8일에는 PiaNoMen이 144hz 모바일로 클리어하였다. https://youtu.be/KOvixUB5TOg?si=IfXLmnsgv3GJRgwD
여담으로 한국인 클리어자가 아주 많은 데몬 중 하나다. 2018년 5월에는 한국인 클리어자가 무려 13명이 나올 정도.

재미있는 게임플레이와 호평받는 디자인 등으로 현재까지도 Heat Wave와 더불어서 한국인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익데 원탑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 Light Travel #===

===# CICADA3302 #===

===# Explosion #===

===# Miscellaneous Memory #===

===# Clock tower #===

===# phantasmagoria #===

===# Disruption #===

===# aether (Zeptoz) #===

===# Daybreak #===

===# Robi #===

===# Castling #===

===# The Ultimate Demon #===

===# MELTDOWN #===

===# Hidden in the Sand #===

===# robotchief exposal #===

===# niflhel #===

===# verisimilitude #===

===# Unknown Civilization #===

===# Booh #===

===# Cataclysm #===

===# IDOL19 #===

===# Cosmorush 21 #===

===# Wintertime #===

===# Boreas #===

===# TerrorCore #===

===# Shimmering Chamber #===

===# Marlboro reds #===

===# Proteus #===

===# FinKor #===

===# Reunite #===

===# Ancient Travel #===

===# Dark Odyssey #===

===# it back #===

===# Place #===

===# Dreamer #===

===# Brimtanic Paradise #===

===# 8o X #===
8o X - F3lixsram & Yakimaru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1.9 최고의 맵중 하나라는 평가를 받는 인세인데몬 8o의 리메이크 맵이다. 하지만 게임플레이가 평범해 호불호가 꽤 갈리기도 하다. 현재 Discard 외 31명 클리어.

===# Obscura #===

===# Penombre #===

===# Forbidden Isle #===

===# STRATUS #===

===# Torgue #===

===# Snowdrift #===

===# Doop #===

===# Lost Love #===

===# Dismal Duststorm #===

===# Helios #===

===# Anya III #===

===# Azurite (Sillow) #===

===# Paralysis #===

===# Overlord #===

===# Falsch #===

===# Hades #===

===# Decay #===

===# XxXxXxXxXxX #===

===# Reanimate #===

===# Duplication #===

===# Tesseract #===

===# Raindance #===
Raindance by Anime Animator and more[523], published by Milos482, verified by Kapinap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Make It Drop #===

===# Air Tech #===

===# JeonGi #===

===# 9blue #===

===# Me Lin A #===

===# Shotgun #===

===# memories III #===

===# Komodo #===

===# Bang Gang (2P) #===

===# Based Gang (2P) #===

===# Artificial Climb #===

===# Sephtis #===

===# Freedom16 #===

===# Flappy Dynamix II #===

===# Ion #===

===# High Heat #===

===# Ogue #===

===# Phantasmagoria #===

===# Cerebral Torment #===

===# niwa #===

===# troll level #===

===# Red World #===

===# Realtered #===

===# Virtual Collapse #===

===# Twitch Denan #===

===# Horros (2P) #===

===# Acu #===

===# Insaction #===
Insaction - Published by ByBoy 11, Created by Axdrel and more[524], Verified by IIDustikI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Misty Mountains #===

===# TANTRUM #===

===# Neon Guts #===

===# Final Epilogue #===
Final Epilogue - Pennutoh, Verified by Failure444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Pennutoh가 제작하고 Failure444가 베리파이한 맵이다. 다양한 맵들을 한데 모아둔 디자인이 특징이다. Bryan의 Obscurum을 생각하면 편하다. 다른게 있다면, Final Epilogue는 본인의 맵을 모은게 아닌 그 스타일들을 모아둔데 반해 Obscurum은 진짜로 맵을 모아두었다는 정도.

===# Precipitance #===

===# SIGSEGV #===

===# Delirium Tremens #===

===# Mystic Bounds #===

3. Legacy List

리스트에 존재하다가 Insane Demon 이하로 하락한 레벨들이다.

===# Hate War #===
Hate War - Published by Stormfly, Original by saRy, Designed by S1l3nce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saRy의 옛날 자작맵이었던 Hate War를 디자인 등을 상향시켜서 다시 베리파이한 맵이지만 게임플레이가 상당한 혹평을 받는다. 데몬이 된지 초기 때는 이게 왜 Featured인지 묻는 댓글이 상당했을 정도. 디자인도 그렇고 노래 싱크도 안 맞는단 댓글이 많았다. 물론 이건 원작의 게임플레이가 그런것이다. Stormfly에 의하면 난이도는 하향되었다고 한다. 어느날 갑자기 익스트림 데몬으로 승격됐다.
UFO 모드의 공점 점프력이 상향된 현재로써는 클리어가 불가능한줄 알았지만 사실상 가능한 맵이다.

===# dismay #===

===# Buff This #===

===# KETAMINE #===

===# Devils Disco #===

===# CHALLUNGA FINALE #===

===# Reverie #===

===# Swarm #===

===# Gunslinga Corridor #===

===# ICE Carbon Diablo X #===

===# IWannaKillTheKamilia #===

===# Pictured as Perfect #===

===# Frizzantino Vibes #===

===# Thanatophobia #===

===# Virtual Stigmata #===

4. 순위 미정

4.1. 클래식 모드

4.1.1. HAPPY PILLS (?)

4.1.2. DREAMING (?)

4.1.3. Destruction 19 (Top 75)

4.1.4. PixelSonic (Top 1000)

4.1.5. Ykds1479ymdppr (Top 150)

4.1.6. Pentakill (Top 1000)

4.1.7. Devils Disco (Top 1000)

4.1.8. Disintegrate (Top 700)

4.2. 플랫포머 모드

4.2.1. The Tower XXII (Top 1000)

4.2.2. The Abyss (Top 600)

4.2.3. Terminal Heaven (Top 800)

4.2.4. 22 Trials of PAIN (Top 800)

4.2.5. Robot King (Top 1000)

4.2.6. Storm Front (Top 900)

4.2.7. Tower of Infinity (Top 1000)

4.2.8. Dungeon Treasures (Top 1000)

4.2.9. Bouncy Ball (Top 900)

4.2.10. Entrenched (Top 1000)

4.2.11. FRUSTRATION (Top 800)

4.2.12. Ice Climbers (Top 1000)

4.2.13. Free Solo (Top 500)

4.2.14. HYPER GRAVITRON (Top 700)

4.2.15. Jetpack Trials (Top 600)

4.2.16. Beatpulse (Top 900)

5. 관련 문서


{{{#!folding 【 각주 펼치기·접기 】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9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9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코스모스를 러시아어로 적은 것. [2] Vernam, spk, synd, Vinty, sauzzeth, Bli, Konsi, kivvvi, deadlox, cuaer [3] 너프를 꽤나 크게 받은편이라 아쉽다는 의견이 있지만, 원본 레이아웃은 난이도가 웨이브쪽에 지나치게 치중되어 평가가 좋지 않은 것도 있고, 너프를 한 덕분의 맵의 재미 및 난이도 밸런스가 개선되어 호평하는 의견도 있다. [4] 이 부분만 나인서클류 디자인이 아니다. 이 토끼는 Ну, погоди!(누 파가디!)라는 러시아 애니메이션에서 나오는 등장인물인 Робот-Заяц(로봇 토끼)를 모티브로 한것으로 보인다. [5] 베리파이당시 Trick이 빠르게 프로그레스를 냈기 때문에, 현재는 Slaughterhouse보다 쉽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6] Saul Goodman의 클리어 영상에서 LIMBO보다 어려우며, KOCMOC과 arcturus보다는 쉽다고 하였다. 즉 이 맵이 LIMBO보다 어렵다는 것. [7] 묘하게 COMBUSTION과 정반대로, 그쪽은 Zoink가 Firework급이라고 주장하였으나 포럼이 무려 20위, 즉 Tartarus와 난이도 차이가 크지 않은 순위에 랭크하였다. [8] 1번째는 Sinister Silence. [9] Pocke, Wespdx, Isane, Max, Iris, Polli, Enixy, Cersia, Skele, Platnuu, Loltad, Killa, Yonaka, Smokes, Tygresek, Juhou, Licen, Lieb, PokeChatt, River, Alkali, Antares, Zipixbox, GrenadeOfTacos, Parallax, End [10] 원래는 Phobos의 비공식 후속작이었으나, 공식 후속작이었던 Skele의 Deimos의 제작이 중단되면서 공식 후속작이 되었다. 현재는 Skele의 Deimos도 비공식 후속작으로 제작중. [11] Sakupen Circles와 arcturus의 간극은 매우 크다. arcturus는 Tartarus와 난이도 개인차가 갈리는 반면 Aod와 사써는 Tartarus급 맵들과 난이도를 섞지 않는 Firework급 맵과도 난이도 격차가 나기에 arcturus보다는 두 단계 이상 어려운 맵으로 평가받는다. [12] UDL에서도 11위, 레이팅된 맵 중 딱 Firework 바로 아래 순위로 예상했는데 이보다도 낮은 순위이다. 참고로 Firework 바로 아래 순위는 KOCMOC인데, KOCMOC은 대부분 Firework급으로 간주하며 준 Tartarus급(...)이라고 주장한 베리파이어 Zoink를 제외하면 대부분 Tartarus보다 윗티어로 놓는다. 물론 이는 Zoink가 본인이 베리파이한 맵들을 지나치게 저평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감안해야 한다. [13] 대체로 MINUSdry까지를 Firework급 맵으로 보고 LIMBO부터는 Firework랑 동급으로 두는 유저가 거의 없다. 심하게는 한참 밑의 The Golden까지 두루뭉술하게 비슷한 티어로 묶는다. [14] Doggie는 Slaughterhouse급, Zoink Tartarus급, Trick Firework급으로 잡았다. 초고수들 사이에서 개인차가 발생하면 보통 Zoink가 맵을 저평가했다는 결론이 나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에는 약 5천밖에 되지 않는 어템 수로 매우 빨리 클리어해 버렸기 때문에 포럼도 Zoink의 평가가 더 신빙성 있다는 쪽으로 최초 순위를 산정했다. [15] 이쪽은 Zoink가 깨는데 10000어템 언저리를 사용했다. [16] 괴물 오브젝트 두 마리가 가로막고 있으며 0.5배 축소된 모습이다. [17] 파일:사울굿맨 사클텝 듀얼.png [18] 엔딩 아트 마지막 클릭에서 죽었다. 심박수가 순간 158까지 올라간 상태에서 98% 소고기를 먹고도 예상했던 일이라며 별다른 동요를 보이지 않는 담담한 리액션으로 화제가 되었다. [19] 참고로 이때는 Solar Flare가 Tartarus 아래에 있던 시절이었다. [20] WATER 글자에서 T에서 E로 점프하는 구간 [21] 영상이 업로드된 건 4월 2일이지만 4월 1일 밤 10시 30분경에 클리어했다. [22] Duelo Maestro도 각각의 구간 자체는 Easy Demon도 받기 어려운 수준으로 쉽지만 2 Player 레벨이라는 점에서 Extreme Demon으로 상향되어야 하는 맵으로 자주 언급된다. [23] 2018년에 최초로 공개된 레이아웃 영상의 설명창에서도 2명이서 플레이할 것을 상정하고 만들어 혼자서는 불가능한 맵이라고 언급하였다. 그래도 미래에 어떤 사람들이 나올지 모른다며 가능성 자체는 열어 두었지만 SrGuillester를 비롯한 대부분의 유저들은 단지 농담이라고 생각했는데, 이 게임의 유저층이 5년 사이에 급속도로 상향평준화되면서 결국 이를 혼자서 클리어하는 유저가 나와 버렸다. [24] conski는 2 Player 맵의 솔로 클리어에 특출난 실력을 보이는 유저로, 이 레벨이 그가 처음으로 클리어한 Main, Extended List 내의 익스트림 데몬이다. [25] 2017년 1월 14일에 47위로 등재되어 17일에 재평가로 최고 37위까지 올라가 봤다. [26] 공교롭게도 Codependence가 11위로 떨어지고 얼마 안돼서, Trick이 Top 10 클리어 영상을 올렸다. [27] 때문에 Kapinapi와 ViralDI의 클리어 당시에는 포럼에 등재되지 않았다가, Pukklez의 솔로 클리어 시점부터 포럼 순위 논의가 시작되었다. [28] 이때 Zoink가 행복해하는 트윗을 올렸다(...). 예의에 어긋난 행동이긴 하지만 Zoink가 얼마나 고생하는지 다들 알기에 대부분 봐주거나 이해해주는 상황이었다. [29] 이 결정으로 인해 Zoink는 트위터에서 또 얼마나 더 뺑이쳐야 하느냐며 한탄하는 트윗을 올렸다. [30] Multition, Bang Gang 솔로 클리어 등 뛰어난 2P 실력을 갖추고 있다. [31] 이때문에 난이도 대비 쉬워보이기도 한다. [32] 물론 실제로 그 난이도였다면 순위가 20위권이 이니었을 것이다. [33] Cursed -> RicoLP -> LordVadercraft [34] 마지막 클릭에서 죽었다. [35] 저 당시 4위는 Firework, 8위는 Tartarus였다. Tartarus보다 근소하게 어렵다고 하였다. [36] 이 맵은 비슷한 수준의 맵들 중 압도적으로 프레임 퍼펙트 수가 많다. 무려 약 40개나 있을 정도. 참고로 Tartarus는 20개 정도이기는 하지만, 그 맵들은 비행기가 어려운 반면 이 맵은 칼타이밍 맵이라 실제 난이도 차이는 별로 크지 않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37] 레벨 마지막에 나오는 얼굴이 이사람이다. [38] 1위는 길이가 무려 55분인 Eon. [39] Jo2000, Gusearth, weoweoteo, Kruso, Lieb, Fury0313, Nicki1202, Avery(Cirtrax), TheJosiahTurner, Alter, Cookieszs, Logik, Megantwoo, Jeyzor, PhantomX, Toxic, AlrexX, IronDofus435, Thomartin, Wod, Dasher3000, TheTrueEclipse, Jaredkawaii, Smokes, Norcda Childa, Dzeser, Tygrysek, PG1004, Dorami, Blitzmister, Inactive, Mazl, Rob Buck, GDSkele, Platnuu, iliRyanili , Ninetales, vArctic99, Obsidium, Allan, Kazia, Surv, Dehznik, Ozix, Ilrell, FozaeKitty, KFAOpitar, Wolfstar, Megaman9, Brittank88, VERSU5, Loogiah, WhitePythor, Adiale, Nahuel2998, ErisethSP!, AirForce, Findexi, TDChris02, SuperSNSD, Disp, Koolboom, Lassiboii, Chromatik, iBlade, Yozyo, Oskux, FlaksY, Metsho [번역] 크리에이팅 시대로부터 투영된 흩어진 기억의 몽타주. Timo에 의해 베리파이. 2.2 수정은 Vikings가 하였다. [41] 인겜 파트를 보면 Cirtrax로 표기되어있다. [42] 망각(忘却)을 의미한다. ? [43] 다만 이건 그쪽이 저평가되었음도 감안해야 한다. [44] 이로써 모바일 하디스트는 Aerial Gleam에서 Oblivion이 되었다. [45] 듀얼도 최상위권에서 많이 쓰이는 비대칭이 아닌 대칭이다. 이 부분도 Windy Landscape에서 영감을 받은듯. [46] 이러한 분위기에서 확실하게 벗어나 있다고 할 수 있는 데몬은 SWI나 Zodiac, Lotus Flower, Cosmic Cyclone, RUST, poocubed, kyouki, codependence 정도이다. [47] Shukketsu는 일본어로 출혈(出血)을 의미한다. [] [49] 챌린지는 예외. [50] EndLevel이 커뮤니티에 QnA를 하겠다고 했을때, 어떤 유저가 한 질문의 답이다. 현재는 그 게시물을 지워서 볼수 없다. [51] 단순히 깜빡이는 웨이브 디자인을 나써류라 칭한다면 나써와 동시에 나온 Scarlet Surge나 웨이브가 존재하기도 전에 나온 Wave Wave도 나써류라 봐야한다. [52] Riot→Lime→Rainstorm→Alphanetic→Slithium→Prolix→Chattative→Doggie [53] 당시 Rainstorm은 10위권 안쪽의 난이도라고 언급했다. [54] 이하 Alphanetic [55] 참고로 Promethean도 짧은 길이의 Endlevel 익데이다. 다만 그 맵은 비행기 위주 맵인 반면 이 맵은 웨이브 맵이다. [56] Zoink가 8위라고 고평가한 것이 영향을 준 듯 하다. [57] 맵의 난이도 분배 및 재미도를 높이기 위한 조치라고 했으며, 언너프 버전을 이미 클리어한 세 명에게는 양해를 구했다고 한다. [58] 다만 Jeller와 BeMixZ는 Kenos보다 어렵다고 하는 등 개인차가 꽤 심한 듯 하다. [59] Crimson Planet 등의 맵들을 모바일로 깬 유저이다. [60] 심지어 어템이 5만~7만으로 모바일에 높은 순위대 레벨에 쓴 어템치고는 적은축에 속한다. [61] 이 맵을 클리어함으로써 모바일 Hardest는 Crimson Planet에서 Aerial Gleam이 되었다. [62] 경사면 버그를 이용한 것으로, 이 버그를 사용한 대표적인 맵이 Neliswave이다. 따라해보고 싶다면 이 영상을 참고. [63] Soulsand, Yonaka, Wapon77, 1374, Rainspade, Keias, molds(layout), Dister K, Mado, Interchange, Sikatsuka, Soulwind, R3ul(layout), Cleangame, Mintjelly, Nisha, Estia, Ticky, Kireimirai, Lime0037, Gaudium, Estachi, 3niv, TheCdPre, Camel, Redblock, Temp, Dubu, Trolla, Quitora(layout), GaLcHi, Syqual, NaimNaro(ending) [64] Ruined Journey, The Celestial Haze, Fabrication, Dark Flare, Esfera [65] 이외에도 메이플스토리의 테마를 차용한 데몬으로는 Trueffet이 있다. [66] Zodiac 등과 비슷한 난이도이다. [67] 하지만 Edge of destiny 의 등재로 3번째로 어려운 애픽맵이 되었다 [68] 영상 설명창을 보면 그동안 정말 마음고생이 심했음을 알수 있다. [69] 비대칭 듀얼의 경우 컨트롤보다는 암기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해 일정 수준 이상의 난이도를 만들기 어렵다. 그러나 이 맵은 비행기-볼 듀얼에서는 끔찍한 비행 간격과 볼 타이밍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하므로 난이도가 흉악하며 비행기-비행기 듀얼에서는 무려 양쪽 비행기의 관성을 계산해야 하기에 오랫동안 인게임 최악의 비대칭 듀얼 자리를 놓치지 않고 있다. 그나마 Kyouki, Silent Clubstep, Abyss of Darkness 정도가 이 맵의 순간난이도에 비견되는 흉악한 비대칭 듀얼을 보여주나 Silent Clubstep의 비대칭 듀얼 파트는 정말 극악하지만[525]매우 짧고, AoD의 파트도 어렵기는 하지만 짧은데다 웨이브 실력이 좋다는 가정 하에 대체로 웨이브에만 집중하면 원활히 클리어 가능하다. 그나마 비대칭 듀얼의 순간난이도나 길이에서 이 맵과 비견되는 맵은 Kyouki 정도가 끝인데, 그 맵은 무려 3위라는 순위에서 알 수 있듯 다른 파트의 난이도가 매우 극악하다. [70] Trick은 Top 50 챌린지로 평가하였으며, 실제로 그 정도 순위의 챌린지들과 동급이다. 물론 Flutterwonder 등 상위권 챌린지보다는 아득히 쉽지만, 그 맵들과 달리 뒤에 추가 파트가 있어서 결코 만만한 맵은 아니다. [71] 베리파이 [72] Nightning, Zendayo, reshiria, Valentlne, Pennutoh, pocke, DogGoesWolf, KrmaL, ryli06, talia, SleyGD, krisking, gamingmaster310, Dysbelief, IIKugelBlitZII, S3rios [73] 공식 후속작은 ItsHybrid가 주최한 동명의 맵이다. Varium에 의해 베리파이되어 똑같이 익스트림 데몬으로 레이팅되었으며 난이도는 이 맵보다는 쉽다. [74] Hinds, Vlacc, GrenadeofTacos, Kiba, Moosh, Giron, goob, Licen, FrostBurn, ewop, Deadlox, Lieb, Skrypto, silver, neoraptor, TheZinkYT, Blitzer, Awedsy, 64x, Starbom [75] 큐브는 점프하는 구간만 잘 맞추면 되지만, 로봇은 점프하고 떼는 것도 타이밍을 맞춰야 한다. [76] 근데 Absolute Garbage는 네덜란드 유저 bli의 고퀄 위클리 맵이다... [77] Vermillion, spcreat, Theorical, Awedsy, Cersia, Viprin, maxfs, ewop, Loogiah, zDeadlox, Pokechatt, weoweoteo, artos, RealVet [78] 주된 패턴은 아예 다른 맵 드랍 파트에 연결되거나, 무서운 장면에 대신 등장하는 것. [!] 공식포럼과 한국포럼 모두 등재되어 있음. [80] Exen, Kentakiman, Buragoz, Hantein, Maelstorm, DiamondBlade, Pineapple Cat [81] 비슷한 난이도인 Aronia는 당시 23위였다. [82] 레벨 마지막에 나오는 얼굴이 이사람이다. [83] 차이점이 있다면, Celestial Force에선 나오지 않는 후반부를 사용했다는 것. [84] 학교를 이틀동안 쉬게 되어서 그 틈에 제작했다고 한다. [85] 1374, SyQual, TheCdPre, ZenthicAlpha, lnex, iEstia, Flosia, Mintjelly [86] 무려 68%에서 플루크 하였다! [87] 현재 Glide는 레거시에 등재된 상태이다. [88] 2023년 8월에 LuigiDB가 바로 베리파이어를 맡을 수 있었지만 그 당시 Zodiac을 파느라 바빴고 그 직후 커뮤니티를 쉬었던지라 거부하였다. [89] 곡의 BGA를 구현하려 한듯하다. [90] 무려 1단계인 Stereo Madness보다 적다. stereo madness는 약 1400옵젝이다. [91] TyakyoFyai, Aqualime, Vornickon, AlexOris, FlashWings576, DimaCrut, Sleynt, Quicklen [92] Kyhros, KWMS, Grax, gdsauzzeth, DawuU, Pipenashho, para, LIEB, Giron, PokeChatt, Zeostar, ZeroSR, deadlox, victorinoxX, Zeptoz, Linus02, Woom, Ilnm, Zipi [93] VladAAA, Revv, OnlyTrying, bellox, VicDash78, ​jokys, BrutalSword, gooseunderscore, OliXor [94] [95] 영상 설명란의 "Words cant stop me"(말로는 날 막을 수 없다)가 압권. [96] 인터넷 상에선 JanDroid 또는 Inertia로 불렸다. [97] Requiem은 Killbot의 공격에서 탈출하여 결국 Killbot을 삭제한 유저의 고통을 나타낸 것이다. [98] 드롭 파트 이후 나오는 대사: DON'T, DON'T REPEAT MY MISTAKES. IT WASN'T WORTH IT. PROMISE ME. YOU WON'T FORGET ME. 해석하면, 절대로, 절대로 나의 실수를 반복하지마. 가치따위 없는 짓이야. 나랑 약속해. 날 절대 잊지 않겠다고. [99] 하지만 조잡하긴 해도 PTSD를 연상케 하는 디자인이 맵의 스토리상 더 어울린다고 평가받는다. 외국의 관련 유튜브 영상을 보면 맵에 쓰인 곡, 디자인, 게임 플레이, 스토리의 조화가 완벽하다는 칭찬을 많이 볼 수 있다. [100] 클리어 직전,DONT OBEY THE VIRUS 글귀가 나온 후 바로 다음 파트 [101] 업데이트 2021.06.03 [102] Chuckgamer1, hawkyre, Kusa, blastblock, StarkytheSalad, Moosh, Amidon, senk, Konsi, Acnologia, steverman, Realvet, loltad, YoonsrDynamix, Molds, para, DemonDasher, InterChange, Morin, Sequex, Davphla [103] Gaidenhertuny, Pokechatt, Surge, and Snikz [104] Rainstorm, iEstia, TheCdPre, ZelLink [105] FunnyGame, Cyclic, Wabbit, Nikrodox, Fastbear, Iris, Pla [106] Linear, Alrexx, CDMusic [107] 보스가 공격하는 척은 하지만 실제로는 공격을 하지 않는다. [] [109] Crazen이 페도필리아로 밝혀진 이후 영상이 내려가 최초 클리어자인 Hikari의 영상으로 대체. [] [111] DiamondSplash는 심지어 맵의 일부 구간이 너무 쉬워 버프시키겠다는 말까지 했다! [112] 스트림에서 더 많은 진전을 보이기는 했었다. [113] Edicts, TeslaX, Loogiah, Giron, Surv, Willy5000, DWshin [114] 이들 중 Giron과 Surv의 파트는 레이아웃이 그대로 재활용되어 Molten Gear에 쓰였다. [115] 애초에 Fusion 시리즈를 주관하던 Manix가 지메를 접었으니 바꾸는 게 당연하다고 볼 수 있다... [116] 로그인, 회원가입 없이 투표 가능하다. 투표 초반엔 Element Z가 압도적이었으나 현재는 Corruption Z가 유력하다. 하지만 Xender Game의 파트가 공개되면서 Molten Gear로 확정. [117] 이후 Xcy-7의 파트는 Manix가 재개최한 Fusion Z에 재사용되었다. [118] 극상향된 2017년 3월 버전. [119] 그리고 그는 해커란 것이 확인사살되었다. [120] 완성된 게임플레이 [121] 마지막 엔딩아트를 보면 Molten Gear 가운데에 Z 라는 이니셜이 있는데, 추정컨대 사람들이 본래 이 합작의 시초가 Fusion Z 였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달라는 것을 알리기 위한 Knobbelboy의 의미있는 생각으로 보인다. [122] 여담이지만 하루 전인 6월 12일에는 Ocular Miracle이 베리파이되었다! [123] 여담으로 이 과정에서 Yatagarasu가 Extended로 떨어졌다. [124] Abyss of Darkness, Aerial Gleam, Shardscapes, Jesse Pinkman이 메인 상위권에 차례대로 배정되어 76위까지 떨어진 것. [125] 해당 합작은 Molten Gear의 HelpegasuS 파트에서부터 노래 오프셋을 맞춰서 노래 끝까지 전부 제작했는데, 이 맵도 그렇고 둘다 길이가 3분이 넘어간다. 참고로 길이는 Subversive가 더 길다. Molten Gear 출시 이후 Manix가 재개최한 Fusion Z는 원곡을 통째로 사용한다. [126] KireiMirai, SyQual, K4nt, LTemp, Xeon, Yonaka, Sikatsuka, Isane, Quitora, Zeta, Rainspade, Molds, BeCruX, iEstia, Ticky, Uriun [127] 6월 1일에서 6월 4일 사이 [128] StarkytheSalad, YoonsrDynamix, Morin, [129] 영상이 삭제되어 최초 클리어자인 Rycilx의 영상으로 교체. [] [131] 영상이 삭제되어 최초 클리어자인 Xanii의 영상으로 교체. [132] Isane, Theorical, unnn, TheLasaga, henry500, Awedsy, artos, burgz, zylsia, Hsam, arca, Temp [!] 공식포럼과 한국포럼 모두 등재되어 있음. [134] 때문에 Icedcave의 영상에서는 Akira Kurisu가 아닌 Nobody로 표기되었다. [135] 모든 클리어자가 마지막 웨이브에서 최소 한번 이상은 죽고 클리어했다. [136] 다만 Brumik은 전반부의 재미는 높게 평가했으나 후반 웨이브에서 무려 7번이나 죽는 바람에 클리어를 추천하지 않았으며 Jeller도 불호를 표했다. [137] 업데이트 2021.07.09 [138] Aerial Gleam의 전 베리파이어 [139] Shibireta, Wasureta, Fragile, Sutareta, Nusumareta, Sekoreta, Kenureta 등등. 이외에도 수없이 많다. [140] 레타류 이전 뇌절의 상징이였던 나써류와 비교하는 유저들도 있는데, 그래도 디자인 자체까지 판박이였던 나써류보다는 낫다는 시선과, 둘 다 똑같은 뇌절이라고 비난하는 시선으로 갈리는 편. [141] Olympic, StubbyPinata, G4lvatron, SoulSand, Spadekilla17, Ticky, ChaosXStream, K4ruta(Designed by Systile), Keias, Zhander(Designed by Mulpan), Quitora, Sogogi, Lioleo [142] 2번째 맵은 폐기된걸로 보인다. [143] 그러나 Galatic Fragility에서 마지막 파트를 맡았던 Dorami는 합작에 미참여했다. 이유는 불명이나 현재 베리파이어로 참여했다. [144] 업데이트 2021.09.01 [145] xoanon, nPyro, Dirinoc, iBrah78, Kyuu, Vinty, Zetalock, Jayy, AirSavage, Kakemancool, NASHII, BySelling, Netaren, Sauzzeth, CuaeR, Dilw0nk, Cxlifvrnia, Bentai, kyhros, Realvet, Deadlox, Doop, River [146] 대부분의 포럼 데몬의 기준은 50% 근처나 그 이상 가야 등록이 가능하다. 한국 포럼에서는 26% 이상 가면 등록할 수 있다. [147] Black Blizzard를 Invisible 버전으로 클리어한 유저이다. [!] 공식포럼과 한국포럼 모두 등재되어 있음. [!] 공식포럼과 한국포럼 모두 등재되어 있음. [!] 공식포럼과 한국포럼 모두 등재되어 있음. [!] 공식포럼과 한국포럼 모두 등재되어 있음. [152] Genericqueso, xNocturne, Shocksidian, Juhou, Ryder, Gs Craig, Drak, Eclipsed, Nico99, Pennutoh, Eggnog, TH04, Straw, Sminx, Lieb, Bianox, Voltex, Logic, [153] KuraiYonaka, DarkEvan, Sikatsuka, DENM, SoulWinD, [?] [?] [?] [?] [158] Keias의 1.9시절 닉네임이 Lightning인 것에서 유래했다. 일명 번개합작. [159] 현재 합작파트 중 최강이라 불리는 Yatagarasu의 Michigun과 Hinds 파트, DD의 TheDevon과 Etzer 파트보다도 훨씬 어렵다는 의견이 많고, Luciela는 역대 데몬 파트 Top10보다 어렵다고 했다. [160] 원래는 위가 소형 큐브, 아래가 배로 변한다. [161] 현 40위권이다. 다만 The Yandere는 저 당시 저평가되었음을 감안해야 한다. [162] 저 의견이 나올 당시 11위는 Yatagarasu였다. [163] 다만 '과대평가'라는 의견은 거의 없다. [?] [165] Laminer, Dalfa, R3XX3R, T4sty, Fiuxis, Riky2610, Tagger, XShadowWizardX, Angryboy, Vexion, MaxiKD, HelpegasuS, Dublollo, Sirius [166] Cursed는 참고로 이 맵을 1000어템 이내에 깼다(...) [167] 아니 당연히 1000이내로 깼으니까 지루할 수 밖에 없는거 아닌가... [] [!] 공식포럼과 한국포럼 모두 등재되어 있음. [!] [!] [!] [!] [!] [!] [!] [?] 한국포럼에는 등재되어 있으나 공식포럼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음. 한국포럼과 공식포럼의 등재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 [?] [?] [?] [?] [183] 여담으로 Hilo가 예전에 85%를 먹은 적이 있는데, 이 전에 Xeon이 Hoshikido의 파트, 즉 85% 부근에서 죽지 말라고 한 적이 있다.예언 적중 [184] 다만 aronia는 cadrega city처럼 듀얼이 맵 난이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아닌 굉장히 어려운 타이밍을 가지고 있는 맵이다. 그리고 spectrum cyclone은 웨이브와 비행기가 가장 어렵다고 일컬어지는 부분임을 감안하면 가장 듀얼 비중이 큰 맵은 여전히 이 맵이다. [185] Surjaco, Handexx, Shebam, Rall, Septa, Crowley, Titoalper, Boii, nCylix, Spezix [186] 페이크만 조심하면 쉽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이 레벨이 익데인 거에는 이유가 있다. 페이크를 감안하고 보더라도 근근히 칼타가 들어가 있고 복잡한 컨트롤도 포함되어서 굳이 페이크가 없다 하더라도 어지간한 최하위 익스트림 데몬보다 몇 수 위로 평가받을 레벨인데, 페이크도 떡칠해놓고 이펙트도 복잡하게 해 놓았으니 보이는 것보다 훨씬 까다롭다는 평가 그 이상일수밖에 없다. [187] 처음 등재됐었을 때 순위는 60위였고 아직까지도 Extended List에 있으나 그 당시 9위였던 Zaphkiel은 현재 레거시다. [] [!] 공식포럼과 한국포럼 모두 등재되어 있음. [190] 마우스,키보드 고문 맵 [191] 1분 20초부터. 임팩트와 별개로 난이도는 특출나게 어려운 수준은 아니라고 한다. Topi는 아예 한 손으로 연타 부분을 통과하는 기행을 보여주기도 했다. [192] 디자인은 그의 맵인 Excessive Compliment과 비슷하다. [193] 잘 들어보면 노래 속에 CL 멘붕이 일부 샘플링 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194] 여담으로 작곡가(리믹서)가 한국인이다. [195] 이때까지만 해도 Jeller는 키보드 유저였으나, 현재는 마우스로 종목변경을 한 상태다. [196] 여기서 MrSpaghetti가 살짝 너프를 하여서 아쉽게도 Zaphkiel보단 쉬워졌다. [197] 참고로 역으로 해도 잘 맞는다. 아예 비트가 같다고 해도 될 정도인 데다가, 모르는 사람에게 들려줬을 때 같은 노래라고 해도 될 정도. [198] 여기엔 이유가 있는데, 사실 이맵에 쓰인 노래(Catalyze)의 작곡가인 Kolkian이 말하길 이 노래가 전작의 노래인 Zaphkiel의 공식 후속작 격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라고... [199] 쉽게 생각해보자면, 우리가 과학시간에 배우는 카탈레이스와 같다고 할 수 있다. [200] CairoX, Endlevel, Deadlox OG, HelpegasuS, Dorami, Moosh, iNubble, Jaowan, SleyGD, TriplasH, creoa [201] Sikatsuka, Molds, Ticky, Apostolus, Mapo, Temp, Dreaming, 3niv, SyQual, Rainstorm, Sepalum, gvyjjjh, Gau, JJin, An Gyung, Uriun [202] 단순 비행 실력뿐만 아니라, 점프링과 중력반전 및 높낮이 조절 등의 컨트롤 요소들도 받쳐줘야 한다. [203] 공간이 넓어 보이지만 3배속이기 때문에 정확한 컨트롤을 요구한다. [204] 특히 마지막에 등장하는 0.5칸 소형 비행에는 베리파이어인 Mix991도 두번이나 죽었다. [205] Onnikonna, Pawe, Borto, [!] 공식포럼과 한국포럼 모두 등재되어 있음. [!] [!] [?] [210] 참고로 Geometry Dash에서는 FREEDOM DiVE가 막혀있어 피아노 버전으로 업로드 되어있고, 내부 파일 데이터에서 FREEDOM DiVE 원곡으로 수정해 사용해야 한다. [211] 현재는 삭제된 상태. [212] 특히 Verifier인 Golden은 디스코드에서 이 영상을 보고 분노했다.go fuck yourself [213] Freedom Dive때는 호스트인 SrGuillester도 싫어하지 않았으므로 이 맵과는 반응이 확실히 다르다. Freedom Dive는 무개념 시청자들의 잘못이 크나 이것은 본인 잘못이 매우 크다. [214] 심지어 당시 Tipp7은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후원까지 받으면서 플레이를 했고, 유튜브에 영상을 올려 수익까지 창출했기 때문에 국내 커뮤니티에서도 빈축을 샀다. [215] Tex, Lemons, YakobNugget, Mew, Usermatt18, Zober, JacobROso, DreamEater, Skitten, MrLorenzo, AbstractDark, Vlacc, uneskladobae, ChaSe, Frotzn, ItzMezzo, Pennutoh, FillipsMen, LuisLuigi, Mazl [216] 인게임용 버전이 아닌 뉴그에 올라온 버전을 사용하였다. [217] This is Time machine 라고 말할 때 나온다. [218] Woogi1411의 Retention에서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219] 사실 업데이트 이전에도 클리어 영상은 존재하지 않았다. [220] 그가 클리어한 레벨 중 압도적으로 어템이 높다. 2순위는 Atanatos로 13577어템이다. [221] Pjgguy, Mazzedy, PTM, Th3hung, Macrosis, Sharks, Urmongei, Peter, Ylenol, MrGray, Usagi, Maxie, Nexorous, Kittom, Hyperlink, Neoz, Kientong, Hyperblastz, Rafe, Rokioto, Ati, DangNghi, Caustix, MikanNeko [] [223] crazen의 아동성범죄자의 행적이 드러나여 영상 교체. [] [!] 공식포럼과 한국포럼 모두 등재되어 있음. [!] [!] [228] 소형화때 0.5칸은 기본이고 일반크기로 1칸보다도 작은 틈을 통과해야 하는 등 정말 극악하다. [229] Zaphkiel보다 들어간 어템수가 많은데, 그 이유로는 93% 등 소고기를 많이 먹었기 때문인 듯. [230] Darwin, Nottus, f3lixsram, Tartofrez, Rapace & MiyolArthur, Yakimaru, Adiale(Designed by Yakimaru), MagicXdash, Sharks, Vrymer, Thomartin, Aquatias [231] 2.0 때 활동했던 팀으로, Rlol, Darwin, NoctaFly 등이 속해있다. [232] Darwin 파트의 첫 삼단가시를 넘다가 죽으면 이름이 바뀌는 형식이다. [233] Viper, Sauzzeth, RedlixHD, ARWooly, Arax, Hugus, [234] CrePusCule, DEMN, Motu, Keias, Krampux, Mulpan, Soulwinds, Technolitz, Latimvz, Quitora, Magical47, Dister K, Ranar, Swjo, Kurai Yonaka, creatordemon, Soulsand, Zernis, Cloud72 [235] 이미 출시 당시주터 극버프를 예고했는데, 그 정도가 지나쳐 게임플레이에서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래도 예고를 했었다는 점 때문인지 Twisted Tranquility가 뜬금없는 버프 논란으로 욕을 먹자 이미 극버프를 예고했었던 이 맵이 1승을 챙겼다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236] 여담으로 Angelbaton은 이 맵이 포럼에 올라오기 몇달 전 72%를 먹고 접었다가, 포럼에 맵이 올라간 후 복귀하여 2일만에 이 맵을 격파했다. [237] Digital Descent와 더불어 포럼 기록이 사라진 몇 안되는 경우. [238] 그러나 2020년 9월 10일 이후로, Cold Sweat, Omicron, The Ruture등등...메인리스트에 등재되어 다시 메인리스트를 올클리어 해야한다(...). [] [240] Havok, Lumpy, Eggnog, flashmick72, Genericqueso, nwolc, Lqah, Tricks33 [241] 하지만 60hz로 베리파이했다. [242] 시각적으로는 맵이 빨라서 크게 느껴지진 않지만 꽤나 많이 하향을 당한 편이다. [243] 정식 클리어 영상이라고 판단하기 애매한게, 스피드핵과 컷을 절묘하게 편집해서 올린 Footage 영상에 가까웠기 때문. [244] PC, 모바일, 완전투명 버전까지 모두 합치면 대략 178,000어템을 사용했다고 한다. [245] Antares, Fexus, noice, Cersia, Crystal PG, DarkGhostX, Logiking, Brittank [246] para, Metalface221, Smokes, syna, goob, Endlevel, Enixy, silver, ewop [247] LmAnubis(Designed by Onnikonna), Riot & Zhander(Designed by Ale), Zobros(Designed by Voltex & Nyamlock), Surv(Designed by OSIRIS GD), Sunix(Designed by Juhou), Mactanow(Designed by JoshenJol), KrmaL(Designed by Arctica), TrusTa(Designed by Goose), Knobbelboy(Designed by FerdeFunky), Koolboom(Designed by Desticy), Ilrell(Designed by KWMS), GaidenHertuny(Designed by ExpyNormal), Samifying(Designed by Tongii), Dash Orb(Designed by Arctica(again)), SrGuillester(Designed by Enely), CuLuC, Xaro(Designed by Mumalaengi), TamaN(Designed by Mzero), Michigun(Designed by Inex), cynvic, Firs07 [248] LmAnubis, Riot, Zobros, Sunix, OSIRIS GD, KrmaL, TrusTa, Knobbelboy, Fredefunky, SrGuillester, Michigun [249] 얼마나 고퀄이면, 대부분의 유저들의 컴퓨터를 맛탱이 가게 만들어 3분할을 당해버렸으며, 이것들이 따로 레이팅 될 정도이다. [250] 사실 이전에도 Anubis가 두번째 프리뷰를 공개했을 때 영상 제목에부터 이미 Cyberpunk가 쓰여있던것을 보면 아마 맵의 테마를 작정하고 만들었을지 싶다. [251] Onnikonna, Lipz, Skidel, Salamander, YakobNugget, Altin, Juhou, Voltex, Nico99, Epsilonic, [252] 99%에서 무려 7번이나 죽었다고 한다. 16755+의 어템을 사용하였다. [253] 심지어 영상 설명란에 Easy but annoying이라 적었다. [254] 사실 일자비행만 잘한다면 Glowy는 쉬운 익스트림 데몬이 된다. 거의 모든 구간들이 일자비행 형태인데, 여기에 수많은 글로우들을 박아놓아서 시야를 방해하는 방식이다. Sunix의 일자비행 내공은 물론 실력 자체도 말할 필요가 없을 정도이니 저 정도 어탬 먹는 것도 이상하지 않다. [255] 그런데 이게 저평가일 수도 있는 게, 1700번 정도 죽고 클리어 한 거나 Blade of Justice를 3시간만에 클리어 한거나 비슷하다. [256] Rimz, Kastinq, Mango, Lynessa, Zesqur, Groovy, Kneon, R3ul, Chico, Fluo, HyoJung, Xerotone, Siu, Gradientxxd, Isane, Uriun, Mintjelly, Kar98k, PLo, DunTs, Drag747, Amii, Almondy [257] Wolvyy, Slayer, YraX, JustXSoos [258] Gameplay by ORte, Dusk, Lagnugg, Convie, Hyp3rLink, RyzleSalt, Designed by Desumari, Konsi, Acno, Itami, SirZaiss, Apollone, Enzore, Isane, Lilium11, Nahuel2998, 00Zero, Sylvenox, OfficialFreck, Voltex, Grand Omega, Buragoz, Kiba, Crouley, Space Art by REQ, Ending Art by Glory [259] 게임플레이는 고치지 않는다. [260] 전술한 Crazen의 아동성범죄자 행적으로 인해 그의 기록을 말소하려는 행동이다. [261] FerdeFunky, Scrumpy, Cirtrax & Sequex, KWMS & Sequex, Nashii & Koolboom, Helpegasus & Vlacc, Manix648 & YakobNugget, EnZore & Nryu, Eggnog, Ryder, Goose, Licen & Giron, ZeroSR & Marwec [] [263] Yoshikawa, ViralDl, Isane, Vitinhoo, Buragoz, Unigeny, GH Iris, Vismuth, Lime, Killa, Yoonsr, ItsHybrid, Voltex, BlasterRobotz, Kllnex, Morin, HJfod [264] Xec, Voltex, Speed, [265] Endlevel이 핵을 썼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Roimousti가 ziroikabi에 영상 제목에 대문짝만하게 '''not VERIFIED BY ENDLEVEL"라고 써놓았다. [266] FPS Bypass 사용. [267] 여기는 아예 가시 위쪽을 아슬아슬하게 뚫고 지나갈 정도로 히트박스를 가지고 장난을 친 부분이다. 다시 말하자면 조금이라도 타이밍이 어긋나면 바로 죽는다! [268] 그는 이 맵이 Bloodbath보다 확실히 어렵고, Sakupen Hell과 비슷하다고 했다. [269] 그는 "Hatred보다 짜증나면 문제 있는 맵"이라고 했다. [270] 참고로 예전 프리뷰 영상에서는, 23%, 43% 부근에도 언더테일의 짜증나는 강아지가 있었다. [271] 뒤에 점프를 2번 더 해야 되긴 한다. [272] 여담으로 이때 Start Pos로 영상을 짜집기하는게 가능했던 때여서(현재는 왼쪽 위에 작고 반투명하게 "Testmode"라고 적혀 있다.) 베리파이하고 나서 스타트 포스를 사용하고 클리어하는 글자들을 보여줘 영상을 짜집기했단 의혹도 있었지만, 생방송에서 갔던 것이며 SrGuillester는 중간에 영상이 끊겼다 해명하였다. [273] 그마저도 비대칭 듀얼에 칼타이밍마저 다수 포함되어 있다. [274] 베리파이 과정에서 BrianTheBurger도 97%를 기록한 바 있다. [275] 공교롭게도 예전 베리파이어였다. [276] DoomsDay랑 같은사례. 공식포럼 기준으로 300위로(...) 떨어졌다. [277] iMasu, Zero, Delta, Kllnex, Surge, Hko, PokeChatt, Zafkiel, Bionic, CesDroid, Scott, Para, Rexter, iSparki, ZedAurum, Crystal, GaidenHertuny, ISanEGFW, Erick101 [278] Pennutoh 역시 TCTeam 소속이다. [279] 그 전에 93%도 갔었는데, 그때 Knobbelboy가 98%에서 죽지 말라고 했다...Knobbelboy의 저주 [280] Pennutoh의 맵들은 싱크가 좋기 때문에 노멀 모드가 쉽다. [281] 수많은 유저들이 이 맵의 프랙티스 모드를 돌려보고 적어도 Cadrega City보다 어렵다는 평을 냈으나 이 맵을 파는 유저들에 따르면 이 맵은 컨트롤 실력보다는 많은 내공을 통해 익힌 감각으로 깨야 하는 맵이며, 프랙티스로 하는 것 보다 노멀모드로 하는 게 훨씬 쉽고 개인차까지 나는 맵이라고 한다. 깨는 사람들 중 인세인 데몬수준이라는 사람과 Subsonic보다 어렵다는 사람들 모두가 존재하나 프랙티스로 돌렸을 때 ATMarbl이나 Cadrega City보다 많은 어템이 나온다는 것은 모두가 인정한다. 그러나 노멀 모드로는 저 두 맵보다 쉽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282] El3ctr0, Avati, ViralDl, SyQual, Realvet, Connected, Temp [!] 공식포럼과 한국포럼 모두 등재되어 있음. [!] [285] BuTiTi는 7성임에도 Easy Demon급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고, BuTiTi II는 지금은 Insane Demon이지만 오랫동안 Hard Demon에 머물러 있었다. [286] BuTiTi가 2분, BuTiTi II가 4분. [287] 사실 BuTiTi 시리즈의 특징은 기묘한 로봇 모드, 길고 빠른 듀얼 모드, 긴 길이, 경사면, 다채로운 색깔, 불렙, 등 나열하자면 끝도 없다. 전술했듯이 가장 대표적인 이미지가 저 둘일 뿐. [288] 이 때문인지 Nexus GD는 LDM를 키고 하면 맵이 10배나 쉬워진다고 언급했다. [289] 여담으로 BuTiTi는 마지막 3단 가시에서 죽을 시 " Every level needs a triple"이란 문구가 나타나고, BuTiTi II는 화면이 회색조로 바뀌며 To Be Continued 밈이 나타난다. [290] 여기서 죽으면 영어가 뜨는데 대충 번역하면 "ULDM은 메인화면의 LDM 을 켜면 활성화됩니다."정도가 되겠다. [291] Davphla, HelpegasuS, MrSpaghetti, [292] 보통 인게임 최고의 익스트림 데몬을 논할 때 우선적으로 언급되는 맵은 Artificial Ascent, Ouroboros, Artifice, Endless Dream 정도이다. 이 맵들은 디자인과 게임플레이 모두 호평받는 대표적인 명작들로 평가받는다. [293] 실제로 비슷한 문제점을 거의 동시기에 만들어진 또다른 명작 Woodkid도 가지고 있다. 다만 Woodkid도 역시나 이 맵처럼 저작권 이슈가 걸렸으나, 제작자 Jakerz가 저작권 이슈를 무시해버린 덕에 현재 레이팅되지 않고 있으며, 커뮤니티 대부분의 유저들이 레이팅을 결사반대하는 만큼 앞으로도 레이팅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94] God Eater라는 이름과 아트 일부분이 동명게임의 저작권 침해로 인해 삭제되었다. [295] Geo, GDSean, Majkomar, XultroniX, Uneskladovae, MaskZ, Isane, Sequex, Kllnex, Duffz, Nyzerlux, Acnologia, Gr, Omega, Zipixbox, Cryst4l [296] GigamiX의 버전 [297] Etzer 때의 정적인 배경에서 벗어나서 적극적으로 배경에 애니메이션을 도입한 것이 이때다. 다만 지옥 컨셉의 후반부가 평범한 컨셉으로 변하는 등 호불호가 갈리기도 했다. [298] Elphet, Digex, PeanutButter, FrancaDash, [299] 그래서 Extended로 떨어졌던 Rate Demon은 간신히 구제되어 잠깐이나마 메인리스트 끝자락에 걸쳐있기도 했다. [300] PokeChatt, FarDreamer, Zafkiel, PeroXide01, Kiba, Ryumazaki, Surge, icotchy, para, Konsi, Bionic, ViralDl, CesDroid, Brittank88, Isane, xyLteK, Adelx, AutumnLotus, Crystal PG, Hko, GaidenHertuny, C Paola, Vapen [301] Zobros의 데몬 맵. 얘는 테마는 Clubstep과 유사하나 곡은 DJ Nate - Robotic Nightmares를 사용했다. [302] 중반 나비모드만 잠깐 나온다. [303] Skullkid, Zenith, Thomartin, [304] 3위가 Zodiac인 현재 시점이 아닌, Spacial Rend가 3위였던 시점이다. 2022년 기준으로는 50~60위권대(...) [305] 위에 있는 원본 레이아웃을 보면 대부분의 비행 모드의 간격이 훨씬 좁았다는 것을 알 수 일다. 이외에도 비인간적인 간격의 소형 웨이브가 큐브로, 후반의 4배속 일반 웨이브가 로봇으로 바뀐 것을 볼 수 있다. [306] Andr1x, NyamLock, Artumanka, guleshelt, Crouley, Voltex, Uneskladovae, Filaret, Kritoss, Desumari, Kentik, Kirzok, ImBecKonos, Vampur, Lagnugg, Apollone, Fenrrig, Gorgon, Tolstyh, Buragoz, Flores, Dirinoc, Deron, Fjscope, Konsi, Charmi, Itami, Ishikil, Enixy, Markocr, Creerghost, Orte, TraXit, Ka1ns [307] MiniWheatDuo, Gizbro, Brittank88, Sequex, TheGalaxyCat, SaturnV7, AlrexX, Syn, Awedsy, DigitalZero, Delrasshial, LuX, CDMusic, Zincate, starry, eXomin, Crispybag, Marcel, DashyBois, TheYeasoN, Holy, v0ltGD, LekuGD, Heso, Bedrock, Pyrox, Bigmac, M3mber, PaintingOrange, Walghani, EDoosh, Nexorous, Ezys5, ArFace, MegalynX, Rebix, Daycore, LockedDBZ, Nelluque, Stevokorikom Noobiestskill [308] 베리파이 영상이 삭제되어 베리파이가 되기도 전에 클리어한 JakeN2436의 영상으로 대체 [309] 구 Swithi [310] 그래서 드롭 직전에 Rainbow, Mujigae라고 서 있는걸 볼 수 있다. [311] Straw, Escetity, Lipz, SirZaiss, Belonzik, Nickalopogas, GDSkele, Voltex, Grenado, SnarkZ, Majkomar, Mactanow, Splash [312] 그전 베리파이어는 Crazen이다. 아시다시피 Crazen은 아동성범죄자 행적으로 영상이 내려갔다. [] [314] Knobbelboy의 아이콘을 사용하는 이유도 이 밈을 위해서라고 한다. [315] Th04, Majkomar, Nwolc, Helpegasus, YakobNugget [316] Layout by Sohn0924, Designed by Zelda, 1234, AirSwipe, Koreaqwer, Dudex, Stormfly, Tesla, S1l3nce(Low Detail 제작), Zhander(엔딩 로고) [317] 프랙티스 모드로 맵을 거의 끝까지 간 후, 클리어 직전에 프랙티스 모드를 풀면 맵이 클리어되는 버그. 이 버그는 1.3 버전에서 바로 해결되었다. [318] 1.2때 만들어진 맵을 리메이크한 거니 당연히 공식 브금이 사용된다. [319] 영상은 비공개된 상태이다. [320] 다만 다른 The Hell Origin과 The Hell Dignity가 더 오래 걸렸을 수도 있다. [321] 여담으로 이사람은 구 Geometry Dash World (GW) 극초기 회원이었다. [322] Sequex, ORte, Vantablack, Pixizkiel, Ettery, Gianv, Tent, Nell, Revel, Hyperlink, Ryzlesalt, Duffz, R3ul, Rockwizard5, Asu, Fluo, Wapon77, ibrah, Convie, Highjump, Kneon, Xzer, Infxrnal, Farafar, Koolboom, Sakual, Kirzok, Fufafac, Esencia, Rittle, Lime0037, Nidro, Galaxycat, ZWK, Underpipse, Connected, Naimnaro, SyQual, Astrofox, LekuJX, Destez, Uriun, Galchi, Manta, KrazyGFX, Pukoru, Vadex, Kllnex, Xempir, Soluble, Sikatsuka, Vismuth, Toasted, Isane, Shaun07, Kadex, Epsilonic, Syn, Grand Omega, Rilliss77, Reshiram, Yonaka, Elvii, Pluff, Skrypto, iEstia, El3cTr0, Zellink, Shawdow, Chaeyon, Belonzik [323] 2020년 12월 12일 기준 [324] 그 당시 공동 주최자로 Clarin이 있었지만 다시 Wapon의 개인 주최로 바뀌었다. [325] 2020년 들어 등장한 이런 류의 합작들은 합작 전체의 완성도가 높더라도 기억에 남길 만한 강렬한 임팩트나 개성이 부족하다는 부정적인 평가도 간혹 나오는 반면 Adrenaline은 그것들 또한 어느 정도 챙기고 있다. [326] 전자는 드롭을 마음에 들어하는 사람도 있어 개인차의 영역이고, 후자는 Wapon77이 댓글로 수정되었음을 알렸다. [327] 일각에서는 이에 대해 Ocular Miracle 순한 맛이라는 비유를 하기도 한다. [] [329] 가장 인지도가 높은 합작 맴버인 Reunomi는 너무 오래 전에 파트를 하나 올리는 것으로 끝났고, 여러 유명 익데 합작에 자주 참여했고 나름 인지도 있는 익데인 Factory Realm X을 제작한 HelpegasuS나 마찬가지로 유명 익데 합작에 자주 참여한 Isane 정도의 멤버도 그다지 유명하지는 않다. 베리파이를 한 jbmoon 역시 국내 커뮤니티를 제외하면 인지도가 높지는 않다. [330] 초반에 잠깐 쉬운 큐브가 나오는게 끝이다. [331] WormFodder, Moosh, alkali, Technical, Sean, npesta, Spectex, GunnerBones, Zeroya, Gizbro, GaidenHertuny, Vantablack, Gabs, Zipixbox, NogZ, Lipz, EyeOfTheStorm, Surge, Kiba, ItsHybrid, Realvet, Sequex, Isane, GDSkele, SlimJim, Walroose, Eridani, Geo, iEstia, CrankytheHuman [332] Layout by Sohn0924, Designed by 1234, Koreaqwer, Ryan LC, Cyclic [333] 이 세 유저의 버전은 난이도에서 미세하게 차이가 있다. [334] 마지막 드래곤 아트 제작 [335] Jacob은 자기가 공식 Verifier도 아닌데 맵을 업로드해버린 반면에 swithi는 공식 Verifier인 Mince를 위해 스테이지를 클리어해도 업로드하지 않는 신사적인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 swithi에게 별이 붙었으면 좋겠다고 하였다. [336] Athanatos, Blade of Justice보다도 높은 티어에 있기 때문. [337] 86%에서 2번, 87%에서 1번, 88%에서 3번, 89%에서 2번. 89% 영상. [338] BIGMAC77, 00Zero, Jowinator19, Joltic [!] 공식포럼과 한국포럼 모두 등재되어 있음. [340] MoonSpark, BallisticGmer, LumiNexa, GDLev, rafer, Xyriak, ItzTropica, Destroyer6401, Pyndra, 99Percent, Nekasik [341] 91% 영상의 설명을 보면 OBS Studio가 영상 녹화를 버그로 못했다며 그런 현상이 몇 번 있다 했다. [342] 그런데 DD보다도 어렵다고 했다! [343] Rainstorm, Scrumpy, Killa, MaJackO, ISanE, Voltex, mbed, Ferox242, Kllnex, Fragox, RoiMousti, PokeChatt, Majkomar, Minus, Vismuth, HelpegasuS, Gabs, EndLevel, TurtleBro, Hadeon, Morin, Pablohh, MindCap, Molds [344] 코어류 디자인의 시초로 평가받는 유저이며, 애초에 코어류라는 이름부터가 이 사람의 맵 시리즈인 코어 시리즈에서 따온 것이다. [345] jdfr03, Dysfunctional Popo, MrSleepy, ZielGD, EndLevel, Megaman9, Hexhammer, CreatorForce, Krazyman50, Cypher, Igno, JonathanGD, Zendayo [346] 이 유저가 이렇게 말한 이유는 모든 구간이 매우 어렵기 때문인듯 하다.단순히 순위로도 Bloodbath Sakupen Hell위에 있으며 후술할 좁은 로봇과 어려운 웨이브 등으로 난이도가 하늘을 치솟는다. [347] 심지어 눌렀다 떼야하는 곳이 잦아서 매우 어렵다. [348] 지금까지 나온 맵중에서도 처음 등장한 타이밍이라 고전하는 사람들이 있다. 또한 마지막 구간이라서 죽으면 매우 짜증나는 편. [349] 여담으로 혼자서만 버그를 4개 찾았다. #1 #2 #3 #4 Sunix가 어이 털려서 뿜는 소리를 들을 수가 있다(...) 정확히는 레벨 버그라기보다는 게임 자체의 버그, 144hz 버그이긴 하다. [350] Layout by Sohn0924, Designed by Tsukifuto, Azuler, Zhander, MrPPs, Xaro, Alex PG, Vindik, Zimnior12, Ternamit [원문] So unless i have uploaded a verification video in the upcoming 12 hours, rip one of the worst levels ever to be made in this game [352] Zone은 모두가 한국인이고 World는 Koreaqwer, 1234, Zelda, Dignity는 Ticky가 한국인이다. [353] Uneskladovae, Bianox, Desticy, Shocksidian, Ryder, EyeOfTheStorm [354] Sohn0924, Stormfly, Vindik, Zimnior12, Xyanide, Lucasyecla99, Splash, RedAppleFour, iMasu, FirsGD [355] 원래 DanZmen은 익데를 만들 생각이 없었으나, 모든 난이도에서 에픽을 얻고 싶다는 소망에 따라 만들게 되었다고 한다. [356] 하지만 TanTrum이 DanZmen의 두번째 익데가 되았다.인데를 만들려 했으나 살짝 너무 어렵게 만들어서 익데로 올라갔다는 게 정설 [357] Findexi, Nasgubb, Dudex, Kips, GDSpeed, Lassiboy, Juhou, Lemons [358] VeXioN, AngryBoy, Ownbit, Cyberic, KrzGuzmanSB [359] Luqualizer 뿐만이 아니라 다른 많은 클리어자들도 이 맵에 대한 평가가 나쁜 편이다. 맵 전체적인 난이도 밸런스가 매우 안 맞기 때문이다. [] [361] Convie, KrazyGFX, Zuku, Yuko, Zetalock [362] Isane, PotatoBaby, GunnerBones, Tob, Duffz, Verbet, Reunomi, Zafkiel, Unigeny, Enixy, Lieb, Majkomar, HelpegasuS, Spectex, FlaksY [363] CFteamgd, CreaterExtract, She3rlucks, WaffI3x, Vesimelon, Laph7, Captain, ZenThrix24 [] [365] F5night, Knobbelboy, MrKena, DarkStyle, MrSpaghetti, Mezzo, Arcania, Isanegfw, Rapace, Nosi, J i, Lujian, Yakimaru, Tartofrez, GiamMix, Dauphla, V3xer, Refruch(엔딩) [366] Blade Art by Knobbelboy [367] 배경에 오브잭트가 많이 소모되는 바람에 저사양 컴퓨터에서 LDM을 강제하는 문제의 파트가 되기도 한다. [368] 현 시점에서는 Yatagarasu보다 BoJ가 더 쉽지만, 언너프 버전을 비교하면 BoJ가 압도적으로 어렵다. [369] 참고로 이 때 Trusta가 Yatagarasu를 베리파이한지 얼마 안 됐었다. [370] 여담으로 이 맵을 다루는 동안 RicoLP의 구독자 수가 몇 배로 뻥튀기되었다. [371] 이후 이는 Wooshi가 3시간 안에 클리어하지 못한 익데는 10위 이내가 될 것이라는 일종의 밈이 되었고, 이후 Wooshi 본인도 8o X 영상에 이를 써먹었다. [372] SubSonic 클리어 영상에서 LIFE는 AA를 클리어하겠다고 했지만, Xeon이 국내에서 먼저 AA를 클리어했고, BoJ가 새로 나와 BOJ를 클리어하기로 마음을 바꾼 것 같다. [373] 현 버전과 언너프 버젼의 난이도 차이가 엄청나기 때문에 사실상 업데이트는 힘들다. 언너프 버전은 Crimson Planet보다 어렵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기 때문. [374] 참고로 그 버그라는 게, 최후반 웨이브->아이콘으로 넘어가는 구간에서 웨이브 위치가 약간 어긋나 있으면 아이콘으로 변할 때 웨이브 구간의 천장에 박아서 사망(...) [375] Kains, Artumanka, guleshelt, silver, Andr1x, Maitnary [376] Yuko, Cydz, Rainar, Arax, kylerocket06, Duke, Zentraa, Orange, Zetalock, nCylix, Gradientxxd, River, Hypno [377] Drift, Failure444, Leo32601, Pennutoh, Bianox, Cosmicsabre, Tex02, SlimJim, [378] 그러나 본래 Endlevel은 맵 풀 버전 공개 당시까지 자신의 파트를 갖고 있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하차한 이후 그 파트는 Failure444가 맡게 되었다.-난이도 떡상 만악의 근원- [379] Vapen, Onnikonna, Zalspr, Straw, Nar, ManoMagician, Speir, Zina, Yakobnugget, Aquatias, Endlevel [] [381] Tartofrez, Nottus, f3lixsram, iSparki, Bransilver, Nexander, Vrymer [!] 공식포럼과 한국포럼 모두 등재되어 있음. [!] [!] [!] [?] 한국포럼에는 등재되어 있으나 공식포럼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음. 한국포럼과 공식포럼의 등재 기준이 다르거나 300hz가 넘어 한국포럼에만 등재되어 있는 기록이기 때문이다. [?] [388] MiniWheatDuo, Failed Username, DashinKing111, FiryTheGoat, Audile, TeamLess, ToastLord, Sparky_01, Yankes, SaturnV7, Lemuune, Stilluetto, Cannonlaw, pineto, Nell, CarlosArt16, Elvii, Glames, Pulsar, Zenith2A, Gotchi, Acrylix, AcaTwo, Paint, Cr3ator ims, Matteddy, Kirlian, Voltex, AZuLer4, teraxek, Fruitsnack, Gizbro, NecroToxinGaming, NightXStalker, Zoff [389] Byboy11, BitZel, Rock3ro, Blasting Ant, Fragox, Teddy Creator, Axdrel, JaxtilanX, Polli, Astrofox, Zafkiel, Alfred, Male20, NeoGamer, Minimax, AlexTG, Oasiz, xSergid1g, GuitarHeroStyles [390] Moe Machine, DavJT, MistFix, IZhar, Nikce, DaCe, Gran Polli, Sandal, Zelftix [391] Enlex, Failure444, InsanE, Metalface221, Noice, Zanna83, YacobNugget, Poccottini, Corkscrew, Nico99, Nemphis, TurtleBro, Osiris, Psynapse, Altin, pennutoh [392] Pennutoh의 레이아웃 [393] freedom08 베리파이어 [394] ATMarbl이 129위로 떨어진후 그당시 Bloodbath의 순위는 128위. [395] 34명 [396] Geonox, Buragoz, TrueDee Fabian, ByBoy 11, DangerKat, FurixGD, DanielDLC, ZadoxxZ, Alfred, MaxyLAND [397] Failure444, GunnerBones, Skulzi, Havok, WormFodder, recillia, TGI, Endlevel, Mixer [398] BoldStep의 영상으로 대체 [399] 현재 둘 다 포럼 순위권에 벗어나 Crimson Clutter와 Catastrophic 모두 Legacy Demon으로 옮겨졌다. [400] 구버젼은 Crimson Clutter의 아래라고 평가받았으며, 극상향을 먹인 후 Cataclysm 과 도토리 키 재기 난이도라고 평가받았다. 그러다가, 재평가로 인해 무려 Cataclysm보다 22단계 올라왔다. 레거시로 떨어진 현재는 Cataclysm과 순위 차이가 아득하게 많이 나는 상황. [401] Layout by Herdys, Designed by Fufafac, Seiun, GeometryTom, Hoshikido, Oasiz, Fardreamer, Zedaurum, Bermard, XuranoX, ZafkielGD, Diriswan97, Fardreamer(again), Auntex, Axdrel, ZenthiSuper, Killnex, Sr Gaton, Yuno, Goyuki, HKO [402] 의외로 싱크가 잘맞는다. [403] Texic, Picaaaa, Sting871, Electro543, Df0rDie, Endevvor, Mojitoz, ViralDl, Netaren, Leynar, Hir0shi, Vex01, N3moProd, Alkatreize [404] 이름이 Sneezing Cats(재채기하는 고양이)(...) [405] 2개가 서로 붙어있는데, 연타로 2개 다 눌러서 비행해야 한다! [406] 파란공점을 연타해서 1칸비행을 해야한다! [407] 워낙 쉽다보니 4배속으로 클리어하는 사람도 있고 7번 연속으로 반복하는 챌린지도 깨는 사람도 있다... [408] 모바일은 미묘한 차이 때문에 컨트롤이 까다롭다. [409] Yuko, Hypno, Moosh, Skrypto, Levin, Zanna83, XLSpiral, ItsMeJhemyson, Wesp, MatthewMW, Infinistyle, xoanon, Undying, Siv, BlazeD77, IvanPercie [410] 노래의 하이라이트 부분. [411] 여기서 나오는 보스는 별의 커비 64의 진 최종 보스 이다. [412] Eclipsed, ZkadliX, AlexPG, Terron, BananaMuffin, Bennxt, Nahuel2998, Marwec, Vindik, Tsukifuto, TrueLogic, SlimJim, Splash, TeslaX [413] Hermes, Motu, COSINE, Reple, Ryan LC, Luneth, Koreaqwer, RedDragon, WOOGI1411, ZenthicAlpha, Miner, Zelda, Yuri [414] N2팀 영상으로 교체 [415] 사실 Guitar은 저기서 눈을 손으로 가리고 했다. 하나 빼고 다 맞췄다는 점에서 웨이브 컨트롤 실력 하나는 대단하나, 결국은.. [416] 사실 한 열쇠를 간발의 차이로 못 먹은 것이다. [417] 그러나 Guitar는 다음에 Minus(Yuri)의 미로 구간에 도착했을 때도 눈을 가렸고, 클리어했다. [418] Reple, Cosine, Luneth, Zelda, Ryan LC, WOOGI1411, Miner, Hermes, Koreaqwer [419] 현재는 닉변을 했고, 세계 별랭킹 3위까지 했던 Satum이다. [420] Powerbomb은 1.9때 4번째로 Cataclysm 격파에 성공한 고수이다. [421] 원래는 Koreaqwer라는 N2 팀 소속 한국인 유저가 깨려 했으나, 84% 부근에서 너무 많이 죽어서 포기했다. 시간이 많이 흘러 현재는 클리어했다. [422] SlimJim, sqrl, JacobRoso, Nickrx15, Zap101, ZBM, Creatorflex, MrLorenzo, Straw, Lqah, WHErwin, Nico99, Jbeast, Balloon [423] 2020년 7월 1일 기준 [424] MarEng, Quacduc, Osiris, Lemons, DanZmeN, Chlorines, Angryboy, MrKoolTrix, Bransilver, Dorami [425] 다만 시기 자체가 이게 훨씬 이후인 만큼 언너프 Innards가 더 어렵다. 언너프 Blade of Justice의 경우 대체로 Tartarus 정도급의 평가를 받는데 이 맵의 경우 Firework급으로 평가된다. [426] 처음에는 가볍게 여러 블록들이 헤드폰 끼고 플레이어를 지켜보는 잔잔한 분위기를 이어가다가물론 난이도는 쉽지 않지만 30%대쯤 와서 점점 분위기가 빨간색으로 변해가더니 깨진 블록, 수많은 눈알, 피를 흘리는 블록들이 마구 튀어나와서 공포 분위기를 조성한다. 8%구간에 나타난 몬스터가 84%에 보스로 등장한다. [427] 2.1 초기에 만들어진 Tartarus보다 어려운 맵은 Cimmerian Shade 정도가 있는데, 그 맵도 만들어진 지 6년이 지난 2023년에 와서야 베리파이되었으며 전반적으로 Firework급으로 평가받는다. 참고로 Cimmerian Shade는 최초 등장 당시 불가능 판정이었으며, 이 맵도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평가를 받았다. [428] 실력파 유저 Luqualizer는 아예 영상 댓글에 "Looks like a f**king Silent Level" 이라고 했다. [429] 다만, 실제로는 Tartarus보다 어렵기는 하지만 아주 큰 차이는 없을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 현재는 언너프 Innards를 깬 일부 유저들이 이 맵을 Firework보다도 어렵다고 하는 경우도 생기고 있다. [430] Innards 극초기 프리뷰. [431] 최후반에 짧은 오토 구간을 지나고 나면 빨간 발판 때문에 엄청난 속도로 튀어오르는데, 이 때 검은 공점을 쳐야 한다. 검은 공점 위로는 가시가, 검은 공점을 타고 내려가는 쪽에는 매우 폭이 넓은 가시 2개가 있다. 이 구간을 통과할 때 검은 공점을 너무 빨리 치면 바닥의 가시에, 너무 늦게 치면 천장의 가시에 박는다. [432] DollarC의 노클립 영상에서 볼 수 있다. [433] 후에 다시 원래대로 돌려놓았다. 저걸 유지시킬 거냐고 물어보는 유저의 댓글에 답글로 "저걸 유지시키느니 마지막 부분에 4단가시를 20개 넣겠다(...)"라고 했다... [434] SWI, Orochi 등등 [435] Crazen도 핵 전적이 있긴 했지만 자백했다. [436] Crazen은 Knobbelboy가 Bloodlust를 베리파이한 이후에도 커뮤니티 내에서 Knobbelboy의 본명 등을 가지고 다른 사람들과 함께 놀렸고, 이 때문에 Knobbelboy의 10만 구독자 기념 얼굴 공개가 취소되기도 했다. [437] 정확히는 1/15칸 정도. [438] (의역이 포함되어 있음) 뭐.. 드디어 찾아왔네요. 이렇게 끝내는 것이 아쉽기는 해도, 시간문제일 뿐이였어요. 저는 솔직히, 제가 최선을 다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저는 이나드를 깰 실력도 없고, 이나드를 깨기 위한 어떠한 노력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제가 여러분 들을 실망시킨 것에 대해 스스로 화가 나기는 하지만, 저는 언젠간 이나드 베리파이를 포기할 것이라고 점점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먼저 저를 지지해주셔서 감사하고, 저를 지지해주어서 미안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저는 이때까지 꽤 많은 시간을 투자했고, 저를 인내심 있고 힘내게 해준 것은 여러분이라는 것에 대해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베리파이를 포기하는 것에 대해서 스스로에게 가장 화가 났습니다. 예전에 이야기해주려고 했던 사실인데, 지난 1년동안, 이나드는 저에게 정말 어렵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이나드를 하기 싫을 정도로요. 하지만, 베리파이를 포기하게 전에 마지막으로 한번만 더 해보기로 결심했습니다. 제 실력은 제가 게임을 할 때의 컨디션에 따라 정말 많이 달라지는데, 최근에 컨디션이 정말 좋았어요. 특히 녹화 중에 50~82를 달성했을 때 말이에요. 하지만, 이나드를 자주 하게 되면서 컨디션이 악화되었고, 이 때문에 지금이 이나드를 포기해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이나드는 저에게 정말 많은 것을 가르쳐줬고, 비록 이나드를 포기하는 것에 대해 화가 나있기는 하지만, 적어도 저는 이나드를 통해 뭔가 배웠다는 것과 제가 이전에는 전혀 몰랐던 상황에 대한 시선을 주었다는 것이 행복합니다. 이제 아마 익데를 플레이하지는 않을 것 같아요. 무언가 저를 엄청 흥미롭게 하는게 있지 않다면요. 아마 자주는 아닐거에요. 저는 현재 크리에 관심이 많은 상태입니다. 하지만 매번 지메를 킬때마다 지메를 해야만 한다는 의무감이 들어요. 개인적으로, 무언가를 하도록 강요당했을 때 그것에 집중하기가 굉장히 어렵거든요. 이나드는 옛날부터 하기가 싫었어요. 항상 해야 한다고는 느꼈지만, 이나드를 하게 만드는 동기는 사실상 없었던거죠. 이제 이게 끝나고 제가 정말 하고싶은 일을 하고 싶네요. 이나드를 해야한다는 느낌 없이요. 여러분들이 제 결정을 이해해줬으면 좋겠어요. 다른 모든 이나드 영상은 영상 설명란에 있어요. Original cut 영상을 포함한 모든 영상을 올릴거에요. 꽤 옛날 영상인데다가 더 이상 베리파이를 한 생각이 없기 때문이죠. 여러분들이 이나드를 해보거나 베리파이를 도전하도록 해드릴게요. 이건 제가 플레이하던 가장 최신 버전이에요. 모든 준비는 다 되어있어요. 그냥 제일 처음의 텔레포트 포탈을 지우고 맵 마지막에 Verified by Cinci 를 Verified by "닉네임" 으로 수정하기만 하면 돼요. 곧 베리파이될거라고 기대는 하지 않을게요. 그냥 원하신다면, 재미로 플레이하세요. 비번은 Kaito 에요. 이나드를 베리파이 하는 동안 친구이자 저를 지지해준 친구를 기억하기 위해서이죠. 솔직히 알맞는 사과를 할 수 없을 것 같아요. 저는 이나드로부터 많은 것을 배웠고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거에요. ID는 54496752 입니다. 행운을 빌어요. [원문] Well guys, it's finally come. Although it's unfortunate that it has ended this way, it was only becoming a matter of time. I can honestly say I gave this my best effort and have already accepted that as of now, I don not have the skill to beat this, nor the dedication to even try to gain the skill anymore. Although I'm upset that I let some of you down, I'm sure that it was becoming more and more apparent that this was eventually going to happen. I would like to first that everyone that has come to support me, while at the same time apologizing for not fullfilling what you were all supporting me for. I has been quite the ride and I do appreciate all of you that have been super patient and supportive, and it is to you that I am the most upset about not being able to come through with it. I was planning on giving this away for awhile now. Throughout the past year it has been VERY hard for me to play it, let alone even want to. Before I did give up, I decided one last time to just try again. My playing relies heavily on the mood I am in, and recently I was in a really good mood about it. This is when I hit 50~82 on recording. However, that mood started to get bitter once again after I started to play it more often. Due to this I decided that now is the time to just call it off for good. This level has taught me so many things that although I am upset with a lot of my decisions around it, I am happy to at least have learned from them and it gave me an insight into certain situations that I previously would have had zero clue of. I am probably done playing extreme demons for now, unless something really gets me interested in any of them again. If I do they will be few and far in between. I have been very interested in learning how to create, but every time I opened GD I just felt obligated to play this. Personally, when I feel forced to play something, I don't really get into it. Innards lost what i meant to me a long time ago, so it just became a hassle that I always felt like I needed to do but never gained the motivation to really do so. Hopefully now that this is finally over I can work on things that I really want to do, without having that feeling of needing to play Innards constantly there. I hope that you all con accept my decision here. All of my other Innards videos will be linked in the description here. I've unlisted every single one of them including the original cut one, since that one is pretty outdated regardless and I'm not planning on verifying it any longer. I am allowing anyone to play this level or attempt to verify it. This is the most current version of the level that I have been playing. It's all set and ready to go. Just remove the teleportation portal at the start and change the name that it's verified by at the end of the level. I don't expect it to be verified any time soon. It may never be since it is already starting to get so aged. This way, at least people can just play for fun if they want. The password is Kaito, in remembrance of an amazing friend and a huge supporter of me throughout this entire ordeal. It is to him that I honestly cannot apologize enough for. I have learned a ton from this and nothing like this will happen again. The Id of the level is 54496752. Good luck. [440] 2022년 기준으로 3대장 데몬으로 평가받는 Slaughterhouse, Sakupen Circles, Firework보다는 쉽다고 평가받는다. 또한 이들을 넘는 Abyss of Darkness보다도 한두단계 아래급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Tartarus를 필두로 한 탑 10 후반 맵들보다는 근소하게 어렵다는 말이 많다. [441] 이 곡 자체가 분위기가 급변하는 곡이다. [442] Lazuli, Spadekilla, ZBM, Straw, Tex02, JacobRoso, Uneskladovae, Logic, SlimJim, Splash, wherwin, Failure444, Bianox, Eclipsed, YakobNugget, Vapen [443] 유튜버들 사이에서는 보통 'Heartbeat'까지 Extreme Demon으로 친다. [444] 그는 70%에서 죽지 않았더니 운 좋게 클리어하였다고 한다. [445] 제작자인 Metalface221은 이게 마지막 솔로 맵이 될수도 있다는 말을 남겼다. [446] YakobNugget, Reunomi, iNubble, Syberian, Hyenaedon, Endlevel, MaxiKD, Sequex, HelpegasuS, Acnologia, artherr, Xaren, Zafkiel, CreatorSruj, DUBU, Duffz, CairoX, ItsHybrid, Kiba, BySelling, Arcania, Uneskladovae, Isane, Klonex, EyeOfTheStorm, ItzMezzo, GiaMMix, Scrumpy, TheShoot, Geo [447] Forbidden Sector 제작자인 Aurumble의 부계정 [448] 레벨 중에서도 어렵다고 평가된다. [449] ChiefFlurry(+JustPark), GuitarHeroStyles, iAres, Elayad, Fillipsmen, StarshipGD, Andy10Nob, Rock3ro, Zafkiel, BitZel, Lucas, Woogi1411, AlexTheGood, NeoGamer, JamesGrosso [450] 마지막 삼단가시가 버프되었는데 핵으로 베리파이(업데이트)되어 떨어진 것이다. [451] Epsilonic, Ryder, Liebz, Lipz, Eggnog, Sminx, JaoDay, Nico99, Franx6, Masu, Zafkiel, Temp, Voltex, PokeChatt, HelpegasuS, Mezzo, Golden, Pennutoh, Makaron, Burrito, Marwec [452] 버그픽스 이전 버전이다. [!] 공식포럼과 한국포럼 모두 등재되어 있음. [!] [!] [!] [?] [458] 이론적으로는 소형 포탈을 타도 통과가 되나, 속도가 상당히 빠른 탓에 이 포탈을 타면 사실상 비밀길을 타는데 실패한다. [459] Bianox, Dynix, TeslaX, Seedot, Alecast, Frotzn, DWShin [460] 한번에 105위에서 151위로 급락했다. [461] Zanna83, HelpegasuS, Tear Rai, Sminx, V9lt, Temp, UltraCharge, Patchimator, Golden, Yoshikawa [462] Helpegasus와 Temp의 파트를 예시로 들었다. [463] T17, GoodSmile, Star77, Cryomancer, Logik, P14, CubeCreator, Bio21, AbstractDark, Agent [464] 1번째는 Audio Excursion이며 인세인 데몬이었다가 하드 데몬으로 내려왔다. [465] 무려 같은 방향의 웨이브가 존재한다! 그래서 그런지 그 부분의 레이아웃은 쉬워 보이나 두 개 다 부딪히지 않으려면 꽤나 극악한 구간이 되어버린다. 판정이 4칸인 웨이브를 한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466] 이건 원래 GoodSmile 특유의 데몬 평가 방식(?)으로, 별로인 데몬들은 통칭 "Random Demon"으로 뭉뚱그리고, 제대로 된 어려운 데몬들은 자신의 "Extreme Cocktail" 항목에 추가하면서 임의의 과일명을 붙인다.(...) Cataclysm을 Extreme Orange라고 부르질 않나... Ice Carbon Diablo X는 졸지에 Extreme Durian(...)이 되고 말았다 [467] 그러나 다른 길이 있다. 겹공점을 칼타이밍에 맞춰 연타하면 블럭에 걸치게 되는데, 여기서 점프하고 파란 공점을 밟으면 진행이 된다. 영상 [468] 현재 tewfy [469] Slypp, Jacob Firestone, MetaManZ, npesta, Wapon77, Rubric, BrianTheBurger, Th31 & Metalface221 [470] Flukester, Jghost217, Zink Zeta, Killua, Venom, CreatorDino, Jude, Gachristian1, Kenny [471] 이때 아주 약간의 버프가 된 채로 베리파이되었다. [472] 이 게임플레이는 후속작인 Infinite Iniquity의 마지막 파트에서 재활용되었다. 파트 제작자는 똑같이 CreatorDino. [473] 직접 해보면 알겠지만, 타이밍을 잡는 데에 도움이 되는 장애물 등이 없는 거의 텅 빈 공중일 뿐더러, 마지막 부분이라 그 당황스러움은 더더욱 커진다. 게다가 직접 해보면 알겠지만 은근히 칼타이밍도 요구한다. 지속적인 연습으로 감을 쌓아놓는게 답. [474] 한 가지 팁이 있다면, 배모드 포탈을 타고 그대로 있다가, 중력반전 포탈과 배 모드 포탈의 중간쯤 되는 지점에서 꾹 누르고 있으면 된다. 다만 웨이브 궤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운이 꽤 요구되는 편. [475] 여담으로 이 유저가 다음으로 도전한 Incipient에서 88%를 5번 먹음으로써 자타공인 88요정(...)이 되었다. [476] 마지막 중력포탈을 타지 않고 그대로 큐브포탈을 타서 아래로 내려갔다. [477] 그는 이 미친 맵을 60~100 플루크를 성공할 수 있었으나 중력반전 직전에 샷건을 쳤다가 점프가 되어서(...) 99%를 먹었다. [추가] 다른 버프데이트 익데들인 Fabrication, Torrential Storm의 예를 들어보자. Fabrication 같은 경우에는 극버프이긴 하지만 이전부터 버프데이트를 예고했었고, Torrential Storm은 예고는 없었지만 맵이 인기가 없고, 클리어유저도 거의 없었던데다가, 그리 심한 버프도 아니었다. 그러나, 이 맵의 업데이트는 그런 거 없다. 애초에 이전에 버프를 진행한다고 말했던 적도 없고, 그렇게 자기 혼자 초극버프를 해버렸기 때문이다. [479] CairoX, iNubble, DonutTV [480] Nico99, MrLorenzo, HadiGD, Goose, Enzore, NightXStalker, SSRav3n [481] Layout by Sohn0924, Designed by Tsukifuto, Stormfly, Ticky, Zhander, Xaro, NitroN, S1l3nce [482] The Hell Zone의 경우 Cyclic 시절부터 버프되어 있긴 했다. [483] Luqualizer, XGen26, D3m0nDash3r, Kevtom, Wooshi999, Sunix, TGI, AlexTheDerp [484] 현재 약 열 단계 밑의 The Ultimate Phase보다도 아래였다. [485] Reunomi, Kurokawa, VirtualCrack, Enzore, rRaddy, TheRealnbsier [486] Th04, Majkomar, Nwolc, Helpegasus, YakobNugget [487] 여담으로 이 부분을 디자인한 Hinds는 후에 Yatagarasu에 엄청나게 극악한 나비모드를 만들었다. [488] Quiken, YakobNugget, Tex02, ShowtimeVonParty, Alfred, Amidon, JonathanGD, xStar7, Mazl, Axils, Witby, GuitarHeroStyles, FrancaDash, Rocketeer, CastriX, Pikappa, MrPPs, Xylph, Pix3lest [489] BlassCFB, Aviila RX2X, MaxiS9, Slypp, Skullo, GD Kapinapi, SoulsTRK, TheJaco9, Epsilonic, AmStr0ng PWR, SrGuillester, Mullsy, TheRealZephal, Pablohh, TastyToast, Sungsu Kim, MetaManZ, TomPP & Luqualize, Tipp7, EVW [490] For Matilda 시리즈의 세번째 맵이기도 한다. 맵의 설명창에 For Matilda 시리즈 3과 Machine 시리즈 3을 합쳤다고 적혀있다. [491] Disp, Disappear, UltimateGuy, Vird, [email protected], Sightorld, XCore, RespectVG, MUFF1N, Namtar, Snowr33de, ChaSe [492] 2.0때 찍은 거라서 그렇다. 2.0은 배모드로 바뀔 때 가끔씩 배가 한 바퀴 정도 도는 버그가 있었다. 물론 플레이에 지장은 없다. 이후 2.1버전때 수정되었다. [493] 제작자의 맵 설명을 보면 '24% bug fixed" 라고 써져 있는데 아직도 버그가 걸리고 있다... [494] 심지어, 제작자가 11달 전 댓글 이후 활동이 없어서 고쳐질 가능성이... [495] 파괴적인이라는 뜻도 있다. [496] 그러나 24% 버그는 아직도 있는 것을 보아 그냥 고치는 방법을 모르는 듯 하다. [497] HelpegasuS, kDarko, Sequex, Zero, Enlex, Voltex, Bianox, Jenkins GD, Zipixbox, Sxap, Arceus4 [498] Andromeda, Usermatt, Creepy Dash, GuitarHeroStyles, Viprin, GironDavid, Tygrysek, Woogi1411, Zobros, Findexi, Crack, Loogiah, MaJackO, Cyclic, ZenthicAlpha [499] 지금 Cataclysm보다는 쉽지만 1.9 Cataclysm보다는 어렵다는 것이 중론이다. 즉 1.9 당시에는 레이팅 된 맵 한정 전체 2위였다. [500] 최초 한국인 클리어자이다. [501] Rustam, Zober, ZenthicAlpha, Amoramc, Platnuu, Sharks, Berke423, Lucasyecla99, Ryder, Mazl, Krampux, Disp [502] 맵을 보면 초반의 3~5번째 파트와 그 이후의 파트의 퀄리티가 눈에 띄게 차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503] 2024년 4월 현재는 익스트림 데몬이다. [504] 그러나 그는 이미 Carnage Mode라는 유명 포럼 합작맵에 참여한 전적이 있기에 완전한 신인이라 보기는 어렵다. [505] 이쪽은 144hz 클리어자가 거의 없는 반면에 Retention은 그래도 버그 고친 복사본으로 깨거나, 버그가 나오거나 말거나 그냥 144hz로 깨는 사람들도 있다. 버그가 나올 확률이 비교적 적다고 한다. [506] RLOL, Jakerz, PotatoPlayer, LazerBlitz, Samifying, f3lixsram, Dudex, Stubbypinata, Tronzeki, Nahuel2998, Skitten, iZinaDash, Ilrell, Bianox, Loogiah, Twoots, SirHadoken, knobbelboy, Darwin, ThorMode, RapidBlaze, Funnygame, TiTi26, Drift, SlimJim, YunHaSeu14, Thomartin, Rustam [507] Riot 버전 Cataclysm보다 어렵다는 평가가 많다. [508] Explorers의 작곡가가 맞다. [509] TheGamerPiggy, Geocrafterz, cTRL, Doodloo, Mactanow, Arclight, Aqueous, Yendis, Plexidit, TheRealIgno, omegaGMD, Albertalberto, Hunter5202, Erm4ck, CheeseSlayer, RpgRaketti [510] Ezel142, ViralDl, Ylliee, MichciachGD, Texic, Supris, RicoMeister, Zgredek Władca Kredek, Anime Animator, Lazyer, blazer2 [511] atheoz, xevenfurious, raptorz, reverier, megaspeed, codly, crispy creepz, IIIRyanIII [512] 당시 Cataclysm 15위, The Flawless 19위 [513] 여담으로 SrGuillester가 클리어하기 전전 시도에서 99%를 먹었었다... 정확히 마지막 가시에서 죽은 것이다. [514] 보통 이런 경우는 롭탑이 레이팅을 하지 않거나 은색코인을 붙이지 않는다. The Hell Factory, Wcropolix 등등...그러나 2020년 12월 4일 업데이트 이후로 코인 루트가 생겨 이젠 공짜로 주지 않는다. [515] 너프 이전, 이후 비교 영상. 보면 알 듯 정말 심각할 정도로 너프를 먹였다. 그 중에서도 암전 이전 웨이브는 다방면적으로 너프를 했는데, 시야 방해 제거는 물론, 가시까지 제거하면서 난이도가 급하락했다! 이후 나비모드의 경우도 1칸 간격에서 2~3칸으로 늘리는 등의 대대적이 너프가 있었다. [516] 롭탑을 대신해 별을 책정하는 걸 도와주는 사람 [517] 오후 11시 56분에 깨서 매우 아슬아슬하게 7일차에 성공했다 한다. [518] 한국포럼에서 너프 후의 순위가 너프 전의 순위보다 약 35위 가량 낮아진것으로 보아, 너프가 심각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19] 60hz로는 세계최초이다. [520] 여담으로 JonathanGD도 이 CC에 참가해서 3위에 등극했는데, 그 맵이 바로 Dark Travel이었다. [521] 영상 제목에도 Crazy Insane Demon이라 작성했고, 클리어한 후 반응을 보면 정말 어려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22] 여담으로 97%부근에서 죽은 적이 있는데 그 구간은 타이밍 대충 잡고 유에프오를 3번 클릭하면 되는 구간이었다. 그 타이밍을 잘못 잡아 죽은게 아닌 그냥 말 그대로 클릭도 못 해보고 뚝 떨어져 죽었다. [523] Anime Animator, RicoMeister, ZWK, Milos482, Mobi, BlastFurnace, LaysMan, Prisma, Corrox, Craf, ViralDL [524] Laser10, Diplow, Zafkiel7, ByBoy 11, Chi, Enboy, M3llo, Dro3, Azos11, Chuchitodomin, NVATIUM, Aqours, JaxtilanX, xanN, ZadoxxZ, icotchy, DanielDLC, Abdula, TheBoringBoy, Zyplex, Lucalry, Mapex, DangerKat, Gathitho, IPersuit, Trudee Fabian, Blasting Ant, ItzStrill, Slip Goast, llJoanll,Stam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