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여성정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법원 판례 | <colbgcolor=#FFF,#1F2023> 성인지 감수성 · 어퍼머티브 액션 | |
국회 법률 | 타 법안 내 | 여성 할당제 · 생리휴가 · 부녀자공제 | |
성별 법안 | 양성평등기본법 ( 양성평등기금 · 여성친화도시 · 성인지 교육 · 성인지 예산) · 성별영향평가법 · 여성경제활동법 · 여성과기인법 · 여성기업법 · 여성폭력방지법 · 여성농어업인법 | ||
정부 | 정부 기관 | 여성가족부 (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 한국여성인권진흥원 · 국립여성사박물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 | |
재단 법인 | 한국여성인력개발센터 ·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 · 한국여성경제인협회 · 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 · 한국여성경제진흥원 · 여성새로일하기센터 | ||
채용 정책 | 여성가산점 · 양성평등채용목표제 · 젠더전문가 | ||
지자체 · 민간 |
여성 전용 | 여성아파트 · 제천여성도서관 · 여학생 휴게실 · 여성 쉼터 · 성매매여성 지원금 · 총여학생회 | |
여성 우대 | 지자체 산하 여성정책 연구기관 · 여성안심 숙박업소 · 여성안심귀가 서비스 · 여성안심마을 · 여성안심택배함 · 여성안심보안관 · 여성주차장 · 여성전용칸 |
[clearfix]
1. 개요
홈페이지
공익법인의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따라 여성과학기술단체를 유기적으로 연합하여 여성과학기술인의 발전을 도모하며, 양성평등적인 개념에 입각한 여성과학기술인의 자질 함양과 고용 평등을 통하여 국가 과학기술 역량을 높이는 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 (정관 제 1조).
서울특별시 강남역 한국과학기술회관 1관 405호에 입주해 있다. 바로 옆 404호에 산하였던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가, 2관 6층엔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이 입주해 있다.
과학기술계에 가장 큰 단체인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 KOFST) 단체명 중간에 '여성(W)'이 중간에 붙은 형태다.
2. 역사
2003년 10월 1일, 그랜드인터콘티넨탈호텔( 삼성역의 파르나스타워)에서 회원단체 4개, 여성과학기술인 30명이 모여 창립했다. 초대 회장에 나도선 서울아산병원 교수가 취임했다.2004년 3월 19일, 과학기술부에서 사단법인 설립 허가를 받고, 법원에서 사단법인 등기를 완료했다.
2004년 10월, 회원단체 13개로 증가. 1차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여성과학기술소식' 창간호를 발행했다.
2005년, 회원단체 16개. 제1회 아모레퍼시픽 여성과학자상 시상식을 가졌다.
2006년, 회원단체 21개. 이혜숙 회장( 이화여자대학교 수학과 교수) 취임, 제1회 한영 여성과학자 포럼(2006~2009) 개최.
2008년, 김지영 회장( 경희대학교 유전공학과 교수) 취임, 한중일 여성과학자 리더스포럼 개최.
2010년, 회원단체 29개. 전길자 회장( 이화여자대학교 화학과 교수) 취임. 회장의 배우자가 열린우리당의 국회의원이었던 변재일이어서 정치권에 소리를 낼 수 있었다. '2010~2011 여성과학기술인 소리내기', '2010 여성단체 연대 대토론회' 등 개최.
2011년, 최순자 회장( 인하대학교 공대 교수, 후에 인하대학교 총장) 취임. 국회의원-여기자-여성과기인 공동포럼, 아시아 여성 에코 과학기술 포럼 개최(2011, 2013).
2012년, 회원단체 37개. 김명자 회장(1999~2003 국민의 정부의 환경부장관) 취임.
2014년, 회원단체 46개. 백희영 회장(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2011~2012 이명박 정부 2대 여성가족부장관) 취임. 2014~ 2015년 '젠더혁신 국내 사례연구' 연구과제를 수행했다.
2016년, 회원단체 56개, 회원 61,000명. 박세문 회장(세계여성원자력전문인회 회장) 취임. 정책연구소와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GISTeR)를 분리했다. 백희영 전 회장이 젠더혁신센터 소장에 부임했다.
2018년, 회원단체 63개, 회원 74,000명. 유명희 회장(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취임.
2020년, 회원단체 69개, 회원 76,000명. 정희선 회장( 충남대학교 분석과학기술대학원 교수) 취임.
2021년,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가 별도 법인으로 분리 독립했다. 소장은 이혜숙 전 여성과총 회장이 취임했다.
2022년, 회원단체 78개, 회원 80,000명. 오명숙 회장 취임.
3. 조직
2023년 1월 기준 회장 1인, 부회장 10인을 포함한 이사 60인, 감사 2인, 위원회 16개, 사무국 6인, 정책연구소로 이루어져 있다. 정책연구소 (KOFWST Research Institute for Science Policy(KRISP))는 2016년 1월 만들어져, 정책보고서, 이슈브리프 등을 발간하며 심포지움, 포럼, 토론회를 개최한다. 2016년 산하에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를 두었으나 이는 2021년 별도 법인으로 분리되었다.2023년 1월 기준 시행사업들은 다음과 같다.
- 단체융합 - 국제협력(학술대회, 리더스포럼), 단체지원(51개 단체), 중장기정책로드맵, 연차대회
- 과학소통 - 여성리더스포럼, 과학커뮤니케이션, 여성과학자 안전관리, 청년기자단
- 교육양성 - 여성과기인 리더십과정, 출판(뉴스레터, 여성과총, 단행본 등), 우수 여성과학자 및 미래인재상 포상
- 사회공헌 - 여성과기인, 소외계층 청소년
4. 회원단체
2023년 1월 기준 다음과 같다.정회원
가정과삶의질학회, 광주전남여성과학기술인네트워크, 글로벌여성ICT네트워크, 대구경북여성과학기술인회, 대한가정학회, 대한건축사협회 여성위원회, 대한금속·재료학회여성위원회, 대한기계학회 여성위원회, 대한약사회 여약사회, 대한여성건축사회, 대한여성치과의사회, 대한여한의사회, 대한의용생체공학회 포용위원회, 대한전기학회여성과학기술위원회,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대한토목학회여성기술위원회, 대한화학회 여성위원회, 대한환경공학회 여성과학위원회, 동아시아식생활학회, 동아시아여성과학기술인회, 복식문화학회, 여성생명과학기술포럼, 유망여성과학기술인네트워크, 지속가능과학회, 충북여성과학기술인회, 한국가정과교육학회, 한국간호과학회, 한국건설관리학회 여성위원회, 한국공업화학회 여성인재육성위원회, 한국과학커뮤니케이터협회, 한국급식외식위생학회, 한국기술사회 여성위원회, 한국막학회 여성위원회, 한국멀티미디어학회 여성IT위원회, 한국물리학회 여성위원회, 한국바이오칩학회여성위원회, 한국생체재료학회여성위원회,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세라믹학회여성세라미스트부회, 한국수자원학회 여성위원회, 한국시니어여성과학자협의회, 한국식생활문화학회, 한국식품과학회 여성위원회, 한국식품조리과학회, 한국여성건설인협회, 한국여성건축가협회, 한국여성발명협회, 한국여성수리과학회, 한국여성원자력전문인협회, 한국여성정보인협회, 한국여성지식재산인회, 한국여성해양포럼, 한국여자의사회, 한국영양학회, 한국의류산업학회, 한국의류학회, 한국임상영양학회, 한국자동차공학회여성위원회, 한국전기화학회 여성위원회, 한국정보과학회 여성위원회, 한국정보보호학회 여성위원회 한국정보처리학회 여성위원회, 한국정보통신학회여성ICT위원회, 한국지반공학회 여성위원회, 한국통계학회 여성위원회, 한국통신학회 여성위원회, 한국화학공학회 여성위원회, 한국환경정책학회여성위원회, IT여성기업인협회
협력회원
재미여성과학기술자협회(KWiSE), 유럽한국여성과학기술자협회(EKWSEA), 재아태한인여성과학자협회(KOWSEAP), 캐나다한인과학기술자협회 여성위원회(AKCSE-WiSE), 난문화협동조합, 소비자와함께, 한국과학사학회
준회원
한국유변학회 모두성장위원회, 한국천문학회 여성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