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3 13:25:47

프랑스-리투아니아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벨기에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코르시카 깃발.svg
코르시카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아프리카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누벨칼레도니
파일:프랑스 원형.png
다자관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영프독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미국·영국·프랑스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미국·캐나다·프랑스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프랑스-나치 독일 관계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독일 국기.svg
프랑스-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청나라 국기.svg
프랑스-청나라 관계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프랑스 국장.svg Politique étrangère de la France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유럽 · 아메리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다자관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발트 3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러시아·폴란드·리투아니아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폴란드·우크라이나·발트 3국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호주·발트 3국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미국·발트 3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루블린 삼각동맹
}}}}}}}}} ||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프랑스 리투아니아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근세2.2. 20세기2.3. 21세기
3. 대사관4. 교통 교류5. 관련 문서

1. 개요

프랑스 리투아니아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2. 역사적 관계

2.1. 근세

1573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서 프랑스인 헨리크 발레지를 국왕으로 선출하면서 헨리크 발레지가 리투아니아 대공직을 역임했던 적이 있었다. 그러나 폴란드-리투아니아 세임은 헨리크 발레지를 바지사장 수준으로 최대한 권리를 제한하였고 여기에 싫증이 난 발레지는 프랑스 왕위를 이어받은 후 폴란드-리투아니아 국왕 자리를 넘겨주었다.

2.2. 20세기

제1차 세계 대전 리투아니아가 리투아니아 제1공화국으로 독립하자, 리투아니아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전쟁으로 인한 빌뉴스 관련 영토 분쟁 문제 및 독일과 클라이페다 일대 관련 국경 분쟁 문제 등으로 프랑스 측에 지속적인 외교적 지원을 요청했던 바 있다. 그러나 리투아니아 측에서 프랑스에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하는 가운데 프랑스는 계속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었다. 관련 논문 체코와 리투아니아 관련한 프랑스의 소극적인 태도는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게 되었다.

1992년 5월 프랑스의 미테랑 대통령이 리투아니아를 방문하는데, 이는 냉전 이후 서방 지도자가 리투아니아를 직접 방문한 최초의 사례이다.

2.3. 21세기

소련 해체 이후 리투아니아는 나토 유럽연합에 가입하였다. 프랑스는 나토와 유럽연합의 주요 멤버 중 하나이다. 리투아니아와 프랑스 사이는 솅겐 조약을 통해 이동이 자유로운 편이다.

2007년부터 프랑스는 발트해 연안 국가의 NATO 항공 치안 임무에 참여하고 있다.

3. 대사관

빌뉴스에 주 리투아니아 프랑스 대사관, 파리에 주 프랑스 리투아니아 대사관이 존재한다.

4. 교통 교류

프랑스의 국적사인 에어 프랑스 파리 샤를드골 국제공항 빌뉴스 국제공항을 잇는 직항 노선을 운영 중이다.

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