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10:28:03

포병부대

대한민국 국군의 명칭별 부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보병부대 수색 부대 특공부대 공수부대 기동부대
특수부대 정찰부대 GOP부대 경비부대 파병부대
포병부대 기갑· 기보부대 공병부대 통신부대 정보부대
군수부대 수송부대 정비부대 탄약부대 화생방부대
방공부대 항공부대 의무부대 방첩부대 군사경찰부대
근무지원부대 행정부대 기행부대 군악부대 산악부대
신병교육부대 예비군부대 훈련부대 군사학교 독립대대
독립중대 보충중대 예비대
}}}}}}}}} ||

1. 개요2. 상세3. 포병부대 목록4. 해외의 포병부대5. 여담6. 관련 문서

1. 개요

포병부대는 포병을 담당하는 부대이다.

2. 상세

포병을 담당하는 부대로, 지상군에 대한 화력지원이 주임무이다.

육군, 해군, 해병대에 포병을 담당하는 부대가 있으며, 소속된 부대나 그 규모에 따라 역할이나 명칭, 편성도 제각각이다.

공군에는 방공포병부대가 있다.

3. 포병부대 목록

3.1. 국방부 직할부대

현재 국방부 직할부대에 속하는 포병부대는 없다.

3.2. 대한민국 육군

2022. 7월 기준
  • 육군미사일전략사령부: 2014년 육군의 유도탄사령부를 확대 개편하여 창설된 부대이다. 사령관은 중장이며, 규모로는 사단보다는 작으나 사령관의 계급을 고려하면 군단급 기능사령부로 볼수 있다.
  • 육군포병학교: 학교장은 소장이다. 예하에 교육여단(여단장 준장) 및 수개의 교육단(단장 대령)이 있으며 사단급으로 볼수 있다.
  • 군단 포병 여단: 군단 예하에 포병여단이 편제되어 군단 화력지원을 담당하고 있다. 여단장은 준장이나, 장성 T/O에 따라 고참 대령이 보임되기도 한다.
  • 사단 포병 여단: 사단 예하에 포병여단이 편제되어 사단 화력지원을 담당하고 있다. 여단장은 대령이다.
  • 포병단: 군단 포병여단 예하에 편제돼 있다. 단장은 대령.
  • 포병 대대: 포병단 및 사단 포병여단 예하, 혹은 군단 포병여단 직속의 제대로서, 일반적으로 떠올려지는 포병부대이다. 대대장은 중령이나, 지역방위사단 및 군단 포병여단 예하 동원포병단(8, 9, 11 등)의 경우 소령이 보임되기도 한다. 크게 자주포, 견인포, 다련장, 대포병레이더 부대로 나뉜다.
  • 보병 여단 포병: 국방개혁 2.0에 의해 각 보병연대들이 여단급으로 격상될 때 그 예하 전투지원중대들 역시 K105A1 자주포와 함께 포병대[1]로 격상되어 보다 신속한 화력지원이 가능해졌다. 대장은 규모에 따라 소~중령이다. 동원사단 보병여단의 포병대의 대장은 대위다. 참고로 사격대라는 편제도 있는데, 로켓/미사일 계열의 편제다. 사실 엄밀히 말하면 전투지원중대가 개편되었다기보단 해체 후에 새로운 부대가 창설되었다고 보는 게 맞는다. 왜냐하면 포병대는 포병대대와 편제가 비슷하게 때문이다.
  • 포대: 보병으로치면 중대이다. 참고로 해병대는 중대라는 용어를 쓰며, '포0중대' 라고 칭한다. 포병대대 예하인 경우가 대부분이나, 포병대/사격대의 예하인 경우도 있다. 과거에 330관측포대(수도포병여단), 338관측포대(8군단 12포병단) 처럼 독립포대이면서 소령 포대장인 부대도 있었는데, 현재는 해체된 상태이다. 자주포 부대는 정식명칭이 곡사포대, 다련장 부대는 사격포대, 대포병레이더 부대는 표적획득포대(과거엔 관측포대)라고 부른다.
  • 본부포대: 보병의 본부중대와 같다. 대대급에서는 통상 중위이나 일부부대는 대위가 편제로 되어있기도 하다. 사단 포병여단이나 단 본부포대장은 대위이다. 군단 포병여단부터는 사단과 동일하게 본부근무대장이라는 명칭을 쓰며, 소령이 편제다.
  • 전포대: 포대 예하 부대이며, 보병으로 치면 소대급으로 볼 수 있다. 다만 보병과 다르게 전포대는 포대에 1개만 편제되어 있으며, 전포대장의 위상은 소대장보다는 부중대장에 가까우며, 관측장교들이 비공식적으로 소대장 역할을 한다. 다만 관즉장교가 없는 부대인 경우엔 부중대장 겸 소대장 역할을 한다. 직접적으로 대포를 운용하는 제대이며, 주로 자주포, 견인포, 다련장 계열에 있는 편제이며, 특히 다련장 부대는 전포대 예하에 소대를 둔다.
  • 사격소대: 다련장 부대의 전포대 예하 부대이며 보병의 분대급 규모임. 통상 포병 소위들이 자주포 부대로 가면 관측장교로 시작하는 반면에, 다련장 부대로 오면 소대장으로 시작한다. K-9도 소대구분하여 운용하기도 하지만, 전술적 측면의 운용이지 실 편제는 아니기에 장교 소대장이 없으며, 선임 포반장이 그 역할을 할 뿐이다. 대포병레이더의 경우엔 전포대가 없으며 지휘체계가 포대-레이더소대-레이더반이다.
  • 포반: 전포대에 6개 반(소대당 3개 반)이 있다. 전포대가 포대에 1개이므로, 6개 포반이 곧 포대의 전투력이다. 대포를 직접 조작하는 최하위 제대이다. 일반 포병부대의 경우 지휘관계가 포대-전포대-포반으로 이어지며 반면에 다련장 부대의 경우에는 포대-전포대-소대-사격반으로 이뤄진다. 대포병레이더의 경우엔 레이더반이다.

3.2.1. 포병여단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수도포병여단 로고.png 파일:1포병여단마크.png 파일:제2포병여단 마크.png 파일:3포병여단 로고.png
제1포병여단 제2포병여단 제3포병여단
파일:제5포병여단 마크.png 파일:제7포병여단 마크.png 파일:화력여단로고.png
제5포병여단 제7포병여단 화력여단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사단 포병여단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수도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수도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제1보병사단
포병여단
제3보병사단
포병여단
제5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제6사단 포병여단.png 파일:제7사단 포병여단 로고.png 파일:산하진포병 마크.png 파일:백마포병여단.png
제6보병사단
포병여단
제7보병사단
포병여단
제8기동사단
포병여단
제9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제11기동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승리포병.png 파일:제17보병사단 포병여단 마크.png
제11기동사단
포병여단
제12보병사단
포병여단
제15보병사단
포병여단
제17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백두포병 마크.png 파일:제2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png 파일: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png
제21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2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제60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73 포병.jpg
제60보병사단
포병여단
제66보병사단
포병여단
제72보병사단
포병여단
제73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제7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75보병사단
포병여단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3.2.2. 포병여단(연대급)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수도포병여단 로고.png 파일:1포병여단마크.png 파일:제2포병여단 마크.png 파일:3포병여단 로고.png
제1포병여단 제2포병여단 제3포병여단
파일:제5포병여단 마크.png 파일:제7포병여단 마크.png 파일:화력여단로고.png
제5포병여단 제7포병여단 화력여단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사단 포병여단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수도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수도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제1보병사단
포병여단
제3보병사단
포병여단
제5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제6사단 포병여단.png 파일:제7사단 포병여단 로고.png 파일:산하진포병 마크.png 파일:백마포병여단.png
제6보병사단
포병여단
제7보병사단
포병여단
제8기동사단
포병여단
제9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제11기동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승리포병.png 파일:제17보병사단 포병여단 마크.png
제11기동사단
포병여단
제12보병사단
포병여단
제15보병사단
포병여단
제17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백두포병 마크.png 파일:제2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png 파일: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png
제21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2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제60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73 포병.jpg
제60보병사단
포병여단
제66보병사단
포병여단
제72보병사단
포병여단
제73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제7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75보병사단
포병여단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3.2.3. 포병단(연대급)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5포병여단 마크.png 파일:2포병단 로고.png 파일:제3포병단 마크.png 파일:제5포병단 로고.png
제1포병단 제2포병단 제3포병단 제5포병단
파일:7포병단 로고.png 파일:제5포병여단 마크.png 파일:제9포병단 로고.png
제7포병단 제8포병단 제9포병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단 · | 해체된 독립단
}}}}}}}}} ||

3.2.4. 포병대대

미사일 운용 부대에 대해서는 작성하지 말것(대외비)

3.2.5. 포병대


국방개혁 2.0에 의해 2020년 12월부로 상비사단과 지역방위사단들의 보병연대들이 여단급으로 격상되었고, 이에 여단본부(구 연대본부) 예하 전투지원중대들이 포병대로 각각 증편되었다.[5] 아래 부대들은 K105A1 자주포를 운용한다.

3.2.6. 사격대

포병대와 동일하게 지휘관은 소령이다.[6] 군단 예하 포병여단의 M270 MLRS와 사단 예하 포병여단의 K-239 천무 편제에 쓰인다.
  • 2000포병대대 1사격대
  • 2000포병대대 2사격대
  • 5000포병대대 1사격대
  • 5000포병대대 2사격대
  • 5000포병대대 3사격대

3.3. 대한민국 해군

3.3.1. 대한민국 해병대

3.4. 대한민국 공군

4. 해외의 포병부대

5. 여담

6. 관련 문서



[1] 중대와 대대 사이의 편제로, 유사시 대대로 증편 가능하다고 한다. [2] 10~18포병대대와 50포병대대는 육군최초창설 포병대대이다. [3] 소속은 1군단이지만, 1군단(2사격대)과 수도군단(1사격대) 지역을 담당한다. [4] 소속은 5군단이지만, 5군단(1사격대, 2사격대), 2군단(3사격대) 지역을 담당한다. [5] 엄밀히 따지면 전투지원중대가 변했다기 보단, 기존 견인포 대대를 해체하면서 재편하면서 전투지원중대를 대체한것이다. [6] 가끔 중령(진)이 사격대장으로 오는 경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