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징명칭(독수리)이 같은 부대에 대한 내용은 독수리부대 문서 참고하십시오.
2024년 11월 25일 해당 부대의 관리태만으로 인한 실족사에 대한 내용은 김도현 일병 사망 사건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지상작전사령부 | ||
화력여단 · 정보통신여단 · 특수기동지원여단 · 지상정보여단 | |||
수도포병여단 | |||
I | 제1포병여단 · 제2기갑여단 · 제30기갑여단 · 제1공병여단 · 제1군수지원여단 | ||
II | 제2포병여단 · 제3기갑여단 · 제2공병여단 · 제2군수지원여단 | ||
III | 제3포병여단 · 제20기갑여단 · 제3공병여단 · 제3군수지원여단 · 제1산악여단 · 제23경비여단 · 제102기갑여단 | ||
V | 제5포병여단 · 제1기갑여단 · 제5기갑여단 · 제5공병여단 · 제5군수지원여단 | ||
VII | 제7포병여단 · 제7공병여단 | ||
육군본부 직할부대 | |||
수방사 | 제1방공여단 | ||
항공사 | 제1전투항공여단 · 제2전투항공여단 · 항공정비여단 | ||
특전사 | 제1공수특전여단 · 제3공수특전여단 · 제7공수특전여단 · 제9공수특전여단 · 제11공수특전여단 · 제13특수임무여단 | ||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제1기갑여단 | 제2기갑여단 | 제3기갑여단 | 제5기갑여단 | |
제30기갑여단 | 제102기갑여단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f8f058 제20기갑여단 第20機甲旅團 20th Armored Brigade}}} |
||||||
대담하게 기동하고 거침없이 공격하라! | ||||||
<colbgcolor=#2b4581><colcolor=#fff> 창설일 |
<colbgcolor=#fff,#191919>
1946년
2월 15일(제4보병연대) 1948년(제20보병연대) 2004년 12월 1일(제20기계화보병여단) 2019년 11월 29일(제20기갑여단) |
|||||
상징명칭 | 독수리부대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
상급부대 | 제3군단 | |||||
규모 | 여단 | |||||
역할 | 제3군단 기갑 지원 | |||||
여단장 | 준장 강병무 (육사 49기)[1] | |||||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 |||||
[include(틀:지도,장소=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송정리 14
, 너비=100%, 높이=100%)] |
[clearfix]
1. 개요
제11기계화보병사단과 해체된 (구)제20기계화보병사단이 통합하는 과정에서 11사단 예하의 제20 기계화보병 여단이 독립, 3군단으로 이관되어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의 여섯 번째 독립 기갑여단으로, 한동안 기갑여단이 없었던 육군 제3군단의 전력을 보강하기 위해 창설되었다.2. 상세
|
11사단 예하 제20기계화보병여단 시절의 부대마크 |
제8기동사단과 제26기계화보병사단 통합 당시, (구)제26기계화보병사단 예하 73여단이 유일하게 살아남아 제8기동사단에 배속되면서 불무리 사단의 이름을 이어받아 불무리여단으로 불리고 있는 사례가 있기 때문에 20사단의 상징물도 이전될 것이라는 추측이 있었으나 이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처럼 (구)제20기계화보병사단의 부대마크를 계승하지 않은 것에 아쉬움을 표하는 이들도 있는데 대부분 20사단의 역사가 사장된 걸 아쉬워 하는 측면이 크다. 다만 역사적으로도 제20기갑여단의 모체인 제20보병연대가 20사단보다도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기존 부대명을 유지하는 것이 더 타당하며, 실제로 제20기갑여단의 입장에서도 부대의 역사와 전통이 명백히 존재하는 상황에서 소속 사단 조차도 아닌 타 사단의 역사를 강조하며 제20기갑여단의 뿌리가 되는 제20연대의 역사가 무시되는 것은 결코 좋은 현상이 아닌 만큼, (구)제20기계화보병사단을 언급하며 20여단의 상징에 왈가왈부 하는 것은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구)제20기계화보병사단에서 살아남아 11사단으로 배속이전된 61여단이 결전의 이름을 이어받음으로써 이 문제는 해결되었다.(여단 직할 예하부대는 대부분 20사단 직할부대에서 배속 변경되었다 예:정보중대,정보통신, 기갑수색중대등)
상징명칭은 11사단 예하부대 시절부터 "독수리 여단"이며 현재도 유지 중이다.
제20기갑여단의 모체 제20연대의 역사는 건군기인 1946년 2월 15일 전남에서 창설된 조선경비대 제4연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여수·순천 10.19 사건에 말려들어 20연대로 개칭,재편되고 6.25 전쟁 발발 직후인 1950년 8월 제9, 13연대와 함께 신설 11사단에 배속되어 오랜 역사를 거친 끝에 2019년 독립여단으로 재탄생하기에 이른다.
3. 예하부대
제20기갑여단은 예하 2개 전차대대와 1개 기계화보병대대, 1개 포병대대 그리고 공병대와 방공대 등의 직할대로 편제되어 있다.3.1. 여단 직할대[2]
3.2. 제37전차대대 번개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제1전차대대 | 제3전차대대 | 제5전차대대 | 제6전차대대 | 제7전차대대 | 제8전차대대 | |
제9전차대대 | 제11전차대대 | 제12전차대대 | 제15전차대대 | 제16전차대대 | 제17전차대대 | |
제18전차대대 | 제19전차대대 | 제21전차대대 | 제22전차대대 | 제26전차대대 | 제28전차대대 | |
제29전차대대 | 제32전차대대 | 제33전차대대 | 제35전차대대 | 제36전차대대 | 제37전차대대 | |
제38전차대대 | 제39전차대대 | 제51전차대대 | 제52전차대대 | 제53전차대대 | 제55전차대대 | |
제56전차대대 | 제57전차대대 | 제58전차대대 | 제59전차대대 | 제80전차대대 | 제81전차대대 | |
제83전차대대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독립대대 |
1988년 창설.
위병소로 들어올 때부터 물레방아가 돌아가는게 보이고, 조경이 잘 되어 있어 처음 입영하는 이들에겐 군 부대가 아닌, 공원을 보는 느낌이 든다.
또한, 신막사이기 때문에 시설도 좋으나 막사가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체력측정을 볼 때 위병소에서 막사로 이어지는 오르막길이 엄청난 고비이다.
장비를 세워놓는 곳이 시멘트 바닥이라 먼지가 날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K1E1 전차를 주력으로 굴리고 있다.
동기제는 위로 2개월, 아래로 2개월 동기제로 유지되어 오다가 2020년 초반 상반기, 하반기로 구성된 6개월 동기제로 바뀌었다. 그리고 다시 2020년 11월부터 위로 2개월, 아래로 2개월 동기제로 바뀌었다.
병사, 간부의 취미활동을 적극 장려, 지원하고 있어 편의시설이 잘 갖춰져 있고(특히 도서관), 이에 따라 2021년 육군 동아리 우수 부대로 선정됐다.
현재까지도 여단 선봉 대대의 타이틀을 유지 중이다.
3.3. 제59전차대대 마루
K1전차를 운용 중이다. 부대가 개편되면서 기존 36전차대대 대신 배치되었다.11사단이 보병사단이었던 시절, 사단 직할 전차대대였으나 기계화사단화되면서 제13기계화보병여단으로 배속되었고, 11·20사단이 통합되기 전, 20기보여단으로 36전차와 맞교환되었다.
11사단에 잔류하는 13여단 소속이었음에도 굳이 20여단 36전차와 교대된 이후는 36전차에 있었던 차량호 때문이라는 후문. 매봉산 훈련장 관리는 지속적으로 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11사단 56전차대대에서 관리중이다.
11사단 소속 중에는 구 막사를 사용하는 대대였고 부대 위치도 홍천 터미널과 버스로 30~40분 거리로 불편하기 때문에 병사 사이에서 별명은 11사단 유배지였다. 거기에 매봉산 훈련장 관리소대 순번이 되는 날엔 꼼짝없이 한 달간 훈련장에 갇혀있어야 되는.... 그래도 시설은 좀 더 나았다고.
막사에서 심심치 않게 쥐가 나오며 시설이 낙후돼있어 전입을 오고나서 막사 상태를 보고 충격을 받는 용사, 간부들이 굉장히 많다.
21년도 11월부터 연병장의 컨테이너로 막사이전을 실시했다. 구막사는 건물을 허물고 다시 건축하는게 아닌 (신축이 아닌…)리모델링으로 알려져있다. 22년 11월 완공예정.
2021년 4월 18일 수송부 차량무사고 5000일을 달성하였다. #
3.4. 제130기계화보병대대 현무
K200A1 운용. 기계화보병대대로 여단본부와 붙어있고 위병소도 개별로 있으나 현재 130기보의 위병소는 폐쇄된 상태이며 훈련, 행사 등의 경우 개방한다.[9]사격장이 부대 뒤쪽 걸어서 30분도 안 걸리는 위치에 있다보니 개인화기 사격을 상당히 자주한다. 2012년도 중반에 신막사로 증축하였다.
홍천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적은 기보대대중 하나로써 전의 상급부대였던 11사단이나 2군단의 훈련시에도 기보대대가 필요가 있을시 자주 끌려가 훈련이 아주 많다.
3.5. 제53포병대대 백룡
20기갑여단이 독립하면서 같이 편제된 포병대대. 현재 신막사를 기준으로 많은 시설들이 개편되어 훌륭한 편이다.간부숙소의 경우 리모델링을 통하여 2010년대까지와 다르게 더이상 녹물이 나오지 않으나 보일러는 여전히 말썽이다. 위치가 시내라고는 하지만 실제로는 홍천강 너머에 있기 때문에 도보로 번화가나 터미널에 가기에는 약간 시간이 걸리는 편이다.
2021년 1월, 신막사 입주를 완료했다. 5월, 새로운 위병소도 완공되어 병사들의 근무여건이 크게 개선됐다. 이로써 백룡부대는 여단 내 최신식 시설을 갖춘 부대가 되었다.
K55A1을 주력으로 굴리며 포술 분야에 있어 사격, 훈련 등 전반적으로 우수한 편이다.
22년 최정예 300전투원 53포병대대 2포대[10] |
본격적으로 2021년부터 최정예 300전투원에 포술팀 분야로 출전하여 군단 우승을 이뤄냈으며 2022년에는 최정예 300전투원을 달성하는 쾌거를 이뤄냈다. 현재 2023년에는 3포대가 군단 우승을 이뤄냈으며 최종 대회를 앞두고 있다.
4. 출신인물
4.1. 여단장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여단장. |
역대 제20기갑여단장 |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초대 | 최장식 | 소장 | 학군 30기[11] | 現 육군훈련소장 | |
2대 | 우재현 | 대령 | 前 여단장 | ||
3대 | 안창호 | 준장 | 前 여단장 | ||
4대 | 강병무 | 준장 | 現 여단장 |
4.2. 장교/부사관
- 이진우: 現 수도방위사령관. 중령시절 11사단 예하 제130기계화보병대대(현무대대)장 역임.
4.3. 병
5. 훈련
6. 사건 사고
6.1. 내란
-
여수·순천 10.19 사건
국방경비대 제4보병연대 당시의 20연대의 일부 인사들이 14연대의 좌익들이 일으킨 반란에 가담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제4연대는 20연대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대대적인 숙군을 받았다.
6.2. 전쟁 범죄
-
고창 11사단 사건
1951년, 전라북도 고창군 일대에서 11사단이 빨치산 토벌을 목적으로 벌인 초토화 작전. 가해 주체는 20연대 2대대 6중대와 8중대다. 3번에 걸쳐 벌어졌으며 희생자는 대략 550명이다. #
-
함평 11사단 사건
1951년, 전라남도 함평군 일대에서 11사단이 빨치산 토벌을 명목으로 벌인 초토화 작전. 가해 주체는 역시 20연대이며, 희생자는 대략 225~524명이다. #
-
담양 11사단 사건
1950년 10월부터 전라남도 담양군 일대에서 11사단의 빨치산 토벌 과정에서 벌어진 민간인 학살. 가해 주체는 20연대와 9연대이며 희생자는 대략 94명이다. 담양 외에도 화순, 영광, 남원 및 장성 일대에서도 학살이 벌어졌다. #
6.3. 기타
-
김도현 일병 사망 사건
2024년 11월 25일 제53포병대대 소속 통신병 김도현 일병이 간부 및 선임의 가혹행위 성격을 띈 군장 떠넘기기에 따른 실족 사고를 당하고, 지휘관들의 은폐 시도 등이 겹치며 제때 의료적 처치를 받지 못하며 사망한 사건이다.
7. 기타
7.1. 근무환경
3군단 한정으로 국군홍천병원과 함께 가장 후방에 위치해있어 3군단 한정으로는 가장 좋다. 홍천 시가지도 크지 않지만 있을 건 다 있는 수준이며, 대부분의 부대도 신막사이기 때문에 병영생활을 하는 데도 별 지장이 없다.7.2. 여단가
공작산의 붉은해를 가로지르는 무한궤도 포구소리 용맹한 독수리여단 내 나라 내 겨레를 지키기 위해 투혼의 가슴안고 힘차게 비상한다 천지를 울리는 우렁찬 함성소리 언제나 승리하는 우리는 독수리용사 너와나 하나되어 용맹함을 떨치며 오늘도 적진으로 우리는 전진한다 |
8. 여담
[1]
임기제 진급
[2]
창설 당시 여단직할대 대부분은 20기계화보병사단의 직할대 2중대 및 대급 부대 모체를 배속변경 창설 하였다.
[3]
20사단 기갑수색대대 2중대. 방공대, 정보중대, 화생방중대와 같은 건물 3층에 중대가 있다.
[4]
2020년 5월까진 타 군단 부대의 주둔지를 빌려 임시숙영시설을 설치해 약 6개월간 타부대에 더부살이하였지만, 신축 건물이 다 지어져 2020년 5월에 신축 건물로 이사를 했으며 전투근무지원대대와 더부살이하고 있다.
[5]
20사단 정보대대 1개 중대 출신.
[6]
20사단 정찰대.
[7]
2020년에 신 막사를 건축했다.
[8]
20사단 방공대대 3중대 출신.
[9]
과거에는 몰래 나갔다 들어오기 위해서 여단위병소로 넘어가는 간부들도 있었다. 위병소 자체가 여단쪽이 넓어서 장갑차가 훈련을 나가도 여단 쪽 위병소로 출입한다.
[10]
<장교> 배X근 차X혁 <부사관> 강X석 고X훈 <용사> 최X훈 우X하 곽X호 유X민 김X하 김X환 채X웅 송X근 정X철 김X수 최X우
[11]
영남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