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특급형 전동차 | |
대한민국 한국철도공사 220000호대 전동차 | 대한민국 한국철도공사 150000호대 전동차[1] |
일본 JR 동일본 E261계 전동차 | 일본 JR 서일본 273계 전동차 |
2. 특급형 전동차 목록
고속철도 차량도 이 문서에 포함된다.퇴역 차량 |
|
철도기술 실험 열차 | @ |
보수용 열차 | # |
2.1. 최고 200km/h 미만
일반철도의 최고급 열차로 운행되는 경우가 많다.2.1.1. 대한민국
2.1.2. 대만
2.1.3. 일본
자세한 내용은 특급형 전동차/일본 문서 참고하십시오.2.1.4. 중국
2.1.5. 그 외 국가
- 우크라이나 철도 HRCS2 전동차(우크라이나)
- 지멘스 데시로 HC(독일)
2.2. 최고 200~300km/h
여기부터는 고속열차 범주에도 들어간다.2.2.1. 대한민국
2.2.2. 일본
-
신칸센 0계 전동차 -
신칸센 100계 전동차 -
신칸센 200계 전동차 -
신칸센 300계 전동차 -
신칸센 400계 전동차 - 신칸센 700계 전동차[3]
- 신칸센 800계 전동차
-
신칸센 E1계 전동차 - 신칸센 E2계 전동차
- 신칸센 E3계 전동차
-
신칸센 E4계 전동차 - 신칸센 E7계 전동차
- 닥터옐로우#
-
신칸센 1000형 전동차@ -
신칸센 951형 전동차@ -
신칸센 961형 전동차@ -
신칸센 962형 전동차@
2.2.3. 독일
2.2.4. 스페인
2.2.5. 러시아
2.2.6. 중국
2.2.7. 영국
2.2.8. 스웨덴
- SJ 2000
- SJ 3000( 봄바디어 레지나)
- 알스톰 아벨리아 스트림[6]
2.2.9. 미국
2.2.10. 그 외 국가
2.3. 최고 300km/h 이상
300km/h 이상으로 영업 운전을 하려면 특급형 전동차는 사실상 필수이다. 실제로 과거 프랑스에서 TGV 001이라는 가스터빈 열차로 시속 300킬로미터를 넘은 적이 있으나, 연비 문제 때문에 실용화되지 않았다.2.3.1. 대한민국
2.3.2. 일본
-
신칸센 500계 전동차[12] -
신칸센 500계 전동차 900번대@ - 신칸센 N700계 전동차
- 신칸센 N700S계 전동차
- 신칸센 E5계 전동차
- 신칸센 E6계 전동차
- 신칸센 E8계 전동차
-
신칸센 955형 전동차@ -
FASTECH 360@ - 신칸센 E956형 전동차@
-
스타 21@
2.3.3. 프랑스
2.3.4. 이탈리아
2.3.5. 스페인
2.3.6. 영국
2.3.7. 중국
2.3.8. 국제 공동
2.3.9. 그 외 국가
[1]
최고속도가 200km/h를 넘기 때문에
고속열차의 범주에도 포함된다. 한국철도공사 기준에서는 준고속철도차량 범주에 포함되었다.
[2]
오스트리아의
Railjet은
객차형 고속열차이다. 또한 독일의
ICE Ex-Metropolitan과
ICE L도 양 끝단에 동력차가 장착되는 PP식이 아니라 Railjet과 유사한, 한 쪽에만 동력차가 장착되며 반대쪽 끝은 무동력 운전객차가 장착된 형태이다.
[3]
16량 편성은 현재 퇴역하고 없으며, 남은 건 레일스타용 7000번대 8량 편성 뿐이다.
[4]
차량 자체는
지멘스 벨라로 기반이라 시속 300km/h 이상으로 주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고속선의 부재로 인해 시속 200~220km/h 정도로 감속해서 운행 중이다.
[5]
중~단거리 등급인 CRH6 시리즈 중 유일한 200km/h급 고속철도 차량이다.
[6]
2026년에 도입 예정.
[7]
설계 최고 시속은 350km/h이지만, 고속선의 부재로 실제로는 260km/h가 한계이다.
[8]
원래 이탈리아의
피아트에서 개발했으나, 프랑스의
알스톰이 판권을 구입했다.
[9]
Renfe S-130 도입
[10]
펜돌리노 도입
[11]
펜돌리노 도입
[12]
차량 자체는 퇴역하지 않고 남아 있으나 8량으로 단축하면서 300km/h 이상 주행이 불가능해졌다.
[13]
원래 최고 속도는 시속 270km/h였으나, 개조를 통해 증속했다.
[14]
레 프레체에서 운행 중.
[15]
신칸센 700계 전동차 도입
[16]
지멘스 벨라로 도입
[17]
TGV 듀플렉스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