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17 21:14:08

정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 정부에 대한 내용은 대한민국 정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정부(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종류3. 개별 문서가 있는 현존하는 정부4.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대한민국정부기.svg
대한민국 정부상징
모든 국가는 그에 걸맞은 정부를 가진다.
Every nation gets the government it deserves.
조제프 드 메스트르(Joseph de Maistre)
/ Government

정부는 법률적(넓은 의미)으로는 ' 입법, 사법, 행정의 삼권을 아우르는 통치 기구를 지칭하는 말'이고 행정적(좁은 의미)으로는 ' 삼권분립에 의하여, 행정을 맡아보는 국가기관'이다.

실제로 평상시에 정부를 일컬을 때 주된 지칭이 되는 부문은 행정부, 그 중에서도 각 장관들의 모임 내각이다. ' 대통령 이름 + 정부'라는 형식으로 각 정권의 성격을 규정짓는 것만 보아도 자명하다.[1][2]

대한민국에서는 조선의 ' 조정(朝廷)' 이후 자국의 수뇌부를 나타내는 대명사로 정착되었다.

전근대의 조정과 현대의 정부의 차이가 뭐냐면 헌법이 없고 삼권분립 같은 권력분립이 없는 국가에 있는 것이 조정이고 헌법이 있고 삼권분립 같은 권력분립이 있는 국가에 있는 것이 정부라고 보면 된다.

2. 종류

  • 중앙정부(中央政府)
  • 지방정부(地方政府)
  • 연방정부(聯邦政府)

3. 개별 문서가 있는 현존하는 정부

4.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참고로 대통령 이름 + 정부 식으로 대통령 개인의 성향에 따라 정권의 성격이 드러난 것은 이명박 정부 때부터 시작된 것으로 한국사에서 역사가 오래 되지 않았다. 이승만부터 전두환까지의 정권은 보통 1~ 5공화국이라고 부르며, 그 이후 노태우를 제외한 대통령들은 ' 문민정부', '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와 같은 식으로 각 정권의 성격을 나타냈다.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는 대외적 명칭을 '대통령 이름 + 정부'로 확정했으며, 실제로 슬로건이 있기는 하나 국민들이 모르는 경우도 많다. 이에 각 언론에서는 이름 + 정부 형식이 압도적으로 많이 쓰인다. [2] 성격이 다소 다르지만 일본은 아예 대놓고 "총리의 이름+내각"이 정식 명칭이다. 다만 대한민국의 대통령과 다르게 연임이 가능하므로 연임 회수가 총리의 이름에 추가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