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6 10:40:12

자기 쌍극자 모멘트

전자기학
Electromagnetism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기초 개념
<colbgcolor=#009><colcolor=#fff> 관련 수학 이론 [math(boldsymbol{nabla})] · 디랙 델타 함수 · 연속 방정식 · 분리 벡터
전기 · 자기 개념 전자기력( 자기력) · 전자기 유도( 패러데이 법칙) · 맥스웰 방정식 · 전자기파 · 포인팅 벡터 · 전자기학의 경계치 문제 · 전자기파 방사
정전기학 전하 · 전기장 · 전기 변위장 · 전기 퍼텐셜 · 가우스 법칙 · 전기 쌍극자 모멘트 · 유전율 · 대전현상 · 정전용량 · 시정수 · 정전기 방전
정자기학 자성 · 자기장 · 자기장 세기 · 자기 퍼텐셜 · 자기 쌍극자 모멘트 · 로런츠 힘 · 홀 효과 · 비오-사바르 법칙 · 앙페르 법칙 · 투자율
구현체 자석( 전자석 · 영구 자석) · 발전기 · 전동기
회로이론 · 전자회로 개념 회로 기호도 · 전류 · 전압 · 전기 저항( 비저항 · 도전율) · 전력( 전력량) · 직류 · 교류 · 키르히호프의 법칙 · 중첩의 원리 · 삼상
소자 수동소자: 직류회로( 휘트스톤 브리지) · RLC회로( 커패시터 · 인덕터 · 레지스터), 변압기
능동소자: 전원 · 다이오드 · 트랜지스터 · 연산 증폭기
응용 및 심화개념
관련 학문 상대론적 전자기학 · 양자 전기역학 · 응집물질물리학 · 고체물리학 · 전자공학 · 전기공학 · 제어공학 · 물리화학 · 광학 · 컴퓨터 과학( 컴퓨터공학)
토픽 이론 광자 · 게이지 장( 역장 · 장이론) · 물질파( 광전효과) · 다중극 전개 · 맥스웰 변형 텐서
음향 앰프( 파워앰프 · 프리앰프 · 인티앰프 · 진공관 앰프) · 데시벨 · 네퍼
반 데르 발스 힘( 분산력) · 복사 · 전도( 전도체 · 열전 효과) · 초전도체 · 네른스트 식
광학 굴절( 굴절률 · 페르마의 원리) · 스넬의 법칙 · 산란 · 회절 · 전반사 · 수차( 색수차) · 편광 · 뉴턴 원무늬 · 분광학 · 스펙트럼 · 렌즈( 얇은 렌즈 방정식 · 두꺼운 렌즈) · 프리즘 · 거울( 구면 거울 방정식) · 행렬광학 · ( 색의 종류 · RGB)
전산 논리 연산 · 논리 회로 · 오토마타( 프로그래밍 언어) · 임베디드 · 컴퓨터 그래픽스( 랜더링) · 폴리곤 · 헥스코드
생물 생체신호( 생체전기 · BCI) · 신경계( 막전위 · 활동전위 · 능동수송) · 신호전달 · 자극(생리학)( 베버의 법칙 · 역치)
기타 방사선 · 반도체 · 전기음성도 · 와전류 · 방전 · 자극 · 표피효과 · 동축 케이블 · 진폭 변조 · 주파수 변조 · 메타물질
관련 문서
물리학 관련 정보 · 틀:전기전자공학 · 전기·전자 관련 정보 · 틀:이론 컴퓨터 과학 · 틀:컴퓨터공학 }}}}}}}}}

1. 개요2. 자기 퍼텐셜 다중극 전개3. 자기 쌍극자의 물리량
3.1. 퍼텐셜과 자기장3.2. 힘과 돌림힘, 에너지
4. 자화 밀도5. 관련 문서

1. 개요

magnetic dipole moment · 모멘트

자기장 속에서 토크의 크기를 결정짓는 물리량을 자기 쌍극자 모멘트라 한다. 여기서 자기 쌍극자란 'N극과 S극을 갖는 작은 물체'를 말한다. 쉽게 말해 극히 작은 막대자석이라 생각하면 된다.

전류 고리 또한 자기장을 생성하므로 이에 해당하는 자기 쌍극자 모멘트를 생각해볼 수 있다.

전류 [math(I)]가 흐르는 전류 고리에 대해 자기 쌍극자 모멘트 [math(\bf m)]의 크기 [math(m)]은 다음과 같이 전류 [math(I)]와 고리의 면적 [math(A)]을 곱한 값이며, 방향은 오른손 법칙을 따른다.

[math(m=IA)]


파일:자기모멘트_전류고리.png

전자기학을 배우기 전의 학부 수준 이하에서는 사각 전류 고리를 일정한 자기장 영역에 넣었을 때 받는 돌림힘을 구하면서 자기 모멘트를 정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자기 퍼텐셜 다중극 전개

임의의 폐곡선에 선형 전류 [math(I)]가 시계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고려해보자.[1]

파일:나무_자기쌍극자.png

폐곡선에 흐르는 선형 전류이므로 점 [math(\rm P)]에서의 자기 퍼텐셜은 아래와 같이 나온다.

[math(\displaystyle {\bf A}({\bf r}) = \frac{\mu_0 I}{4\pi} \oint \frac1{\xi} \,{\rm d}{\bf l'}
)]

이때 [math({\bf \xi} = {\bf r} -{\bf r'})]임을 이용하면

[math(\displaystyle
\xi^{-1} = (r^2 +(r')^2 -2rr' \cos{\theta})^{-1/2}
)]

이다. 이때 [math(r \gg r')]이라면 우변을 다음과 같이 르장드르 다항식의 생성함수 꼴로 전개할 수 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r^2 +(r')^2 -2rr' \cos{\theta})^{-1/2} &= \frac1{r} \sum_{n=0}^\infty \biggl( \frac{r'}r \biggr)^{\!\!n} P_n(\cos \theta) \\
&= \sum_{n=0}^\infty \frac{{(r')}^n}{r^{n+1}} P_n(\cos \theta)
\end{aligned} )]
이상에서 자기 퍼텐셜

[math(\displaystyle
{\bf A}({\bf r}) = \frac{\mu_0 I}{4\pi} \oint \Biggl[ \sum_{n=0}^\infty \frac{{(r')}^n}{r^{n+1}} P_n(\cos \theta) \Biggr] {\rm d}{\bf l'}
)]

로 전개된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bf A}({\bf r}) = \frac{\mu_0 I}{4\pi} \left[ \frac1r \oint {\rm d}{\bf l'} +\frac1{r^2} \oint r'\cos{\theta} \,{\rm d}{\bf l'} +\frac1{r^3} \oint {(r')}^2 \left( \frac32 \cos^2{\theta} -\frac12 \right) \!{\rm d}{\bf l'} +\cdots \right]
\end{aligned} )]
가 된다. 이때, 첫째 항부터 차례로 홀극항, 쌍극자항, 사극자항, [math(\cdots)], [math(2^{n-1})]극자항이라 부른다.


한편, 자기홀극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1항은 없어지며[2] 자기 쌍극자를 논의해야 하므로 이제부터는 제2항만 논의한다. 제2항은 그림을 참고하면 아래와 같이 바꿀 수 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bf A}({\bf r}) = \frac{\mu_0 I}{4\pi} \frac1{r^2} \oint r'\cos{\theta} \,{\rm d}{\bf l'} = \frac{\mu_0 I}{4\pi} \frac1{r^2} \oint (\mathbf{\hat r} \boldsymbol{\cdot} {\bf r'}) \,{\rm d}{\bf l'}
\end{aligned} )]
위 식에 스토크스 정리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bf A}({\bf r}) = \frac{\mu_0 I}{4\pi} \frac1{r^2} \oint (\mathbf{\hat r} \boldsymbol{\cdot} {\bf r'}) \,{\rm d}{\bf l'} = \frac{\mu_0}{4\pi} \frac{I}{r^2} \biggl( I \iint {\rm d}{\bf a} \biggr) \!\times \mathbf{\hat r}
\end{aligned} )]
여기서 [math({\rm d}{\bf a})]는 미소 벡터 넓이이다.

위에서 나온

[math(\displaystyle
I \iint {\rm d}{\bf a} = I{\bf a} = {\bf m}
)]

을 자기 쌍극자 모멘트라 정의한다. 이때, 벡터 넓이의 방향은 오른손 법칙을 따른다.

위의 경우는 가장 간단한 선형 전류에 대한 논의였고, 일반적인 전류밀도 [math({\bf J}({\bf r'}))]을 가지는 계에 대한 자기 쌍극자 모멘트는

[math(\displaystyle
{\bf m} = \frac12 \int {\bf r'} \times {\bf J}({\bf r'}) \,{\rm d}V'
)]

가 된다. 다만, 선형 전류인 경우에 비해 증명하기가 꽤 까다로우므로 증명은 생략한다.

3. 자기 쌍극자의 물리량

3.1. 퍼텐셜과 자기장

위의 논의에서 자기 쌍극자에 의한 자기 퍼텐셜은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bf A}({\bf r}) = \frac{\mu_0}{4\pi} \frac1{r^2} \left( I \iint {\rm d}{\bf a} \right) \!\times \mathbf{\hat r} = \frac{\mu_0}{4\pi} \frac{{\bf m} \times \mathbf{\hat r}}{r^2}
\end{aligned} )]
이 됨을 알 수 있고, 자기 퍼텐셜과 자기장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전기 쌍극자가 만드는 전기장과 유사하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bf B} = \boldsymbol{\nabla} \times {\bf A} \quad \to \quad {\bf B} = \frac{\mu_0}{4\pi r^3} [ 3({\bf m} \boldsymbol{\cdot} \mathbf{\hat r}) \mathbf{\hat r} -{\bf m} ]
\end{aligned} )]
증명은 다음과 같다.
[증명]
-------
원점에 놓여 있는 [math(\mathbf{\hat z})] 방향의 자기 쌍극자 [math({\bf m} = m\mathbf{\hat z})]를 고려해보자. 위의 논의에서, 자기 퍼텐셜은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bf A} = \frac{\mu_0}{4\pi} \frac{{\bf m} \times \mathbf{\hat r}}{r^2}
\end{aligned} )]

구면 좌표계에서는 [math(\mathbf{\hat z} = \cos{\theta} \,\mathbf{\hat r} -\sin{\theta} \,\hat{\boldsymbol{\theta}})]이므로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bf A} = \frac{\mu_0}{4\pi} \frac{m \sin{\theta}}{r^2} \hat{\boldsymbol{\phi}}
\end{aligned} )]

이다. 이때, 자기장 [math(\bf B)]는 자기 퍼텐셜 [math(\bf A)]의 회전 [math(\boldsymbol{\nabla} \times {\bf A})]로 주어지므로, 위 식에 회전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bf B} = \frac{\mu_0 m}{4\pi} \frac{2\cos{\theta} \,\mathbf{\hat r} +\sin{\theta} \,\hat{\boldsymbol{\phi}} }{r^3}
\end{aligned} )]

이때, 위 식을 다시 쓰면 다음과 같고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bf B} = \frac{\mu_0 m}{4\pi} \frac{3\cos{\theta} \,\mathbf{\hat r} -(\cos{\theta} \,\mathbf{\hat r} -\sin{\theta} \,\hat{\boldsymbol{\phi}})}{r^3}
\end{aligned} )]

다음 사실을 고려하면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hat z} &= \cos{\theta} \,\mathbf{\hat r} -\sin{\theta} \,\hat{\boldsymbol{\theta}} \\
{\bf m} &= m\mathbf{\hat z} \\
m \cos{\theta} &= {\bf m} \boldsymbol{\cdot} \mathbf{\hat r}
\end{aligned} )]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는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bf B} = \frac{\mu_0}{4\pi r^3} [ 3({\bf m} \boldsymbol{\cdot} \mathbf{\hat r}) \mathbf{\hat r} -{\bf m} ]
\end{aligned} )]
자기 쌍극자가 형성하는 자기력선은 아래와 같다. 전류 고리가 극히 작아진 것이라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파일:나무_자기쌍극자_자기력선.png

3.2. 힘과 돌림힘, 에너지

자기 쌍극자가 자기장 내에서 받는 힘은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math(
{\bf F} = \boldsymbol{\nabla} ({\bf m} \boldsymbol{\cdot} {\bf B})
)]

자기 쌍극자 모멘트가 일정한 자기장 [math( {\bf B} )] 속에 놓이면, 돌림힘을 받게 되며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math(
\boldsymbol{\tau} = {\bf m} \times {\bf B}
)]

자기 쌍극자 모멘트가 일정한 자기장 [math({\bf B})] 속에 놓였을 때 가지는 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math(
U = -{\bf m} \boldsymbol{\cdot} {\bf B}
)]

4. 자화 밀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자기장 세기 문서
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관련 문서



[1] 여기서는 선형 전류에 대해서만 논의하고, 일반적인 전류밀도를 갖는 경우는 학부~대학원 수준이므로 결론만 도출하도록 하겠다. [2] 폐곡선에 대한 선적분이므로(즉, 값이 0이므로) 첫째 항은 어떤 이유라도 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