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22:37:38

이극배

<colcolor=#f0ad73>
조선 영의정
태조 ~ 연산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판문하부사
홍영통, 안종원, 권중화, 심덕부, 이화, 이거이, 조준, 김사형
초대

이서
제2대

이거이
제3대

성석린
제4·5대

조준
제6대

성석린
제7대

이화
제8대

하륜
제9대

이서
제10대

하륜
제11대

성석린
제12대

하륜
제13대

성석린
제14대

남재
제15대

류정현
제16대

한상경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17대

심온
제18대

류정현
제19대

이직
제20대

황희
제21대

하연
}}}
제21대

하연
제22대

황보인
제22대

황보인
제23대

이유
제24대

정인지
제25대

정창손
제26대

강맹경
제27대

정창손
제28대

신숙주
제29대

구치관
제30대

한명회
제31대

황수신
제32대

심회
제33대

최항
제34대

조석문
제35대

이준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6대

박원형
제37대

한명회
제38대

홍윤성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9대

윤자운
제40대

신숙주
제41대

정창손
제42대

윤필상
제43대

이극배
제44대

노사신
제45대

신승선
제46대

한치형
제47대

성준
제48대

류순
}}}
}}}}}}}}}
이극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태조 ~ 연산군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문하좌시중 문하좌시중 → 문하좌정승
초대

배극렴
제2대

조준
문하좌정승
제2대

조준
제3대

심덕부
제4대

성석린
제5대

민제
문하좌정승 문하좌정승 → 좌정승 좌정승
제6대

이거이
제7대

김사형
제8대

하륜
제9대

조준
좌정승 판의정부사 → 좌의정
제10대

하륜
제11대

성석린
제12대

하륜
제13대

남재
좌의정
제14대

하륜
제15대

류정현
제16대

박은
제16대

박은
제17대

이원
제18대

류정현
제19대

이직
제20대

황희
제21대

맹사성
제22대

최윤덕
제23대

허조
제24대

신개
제25대

하연
제26대

황보인
제26대

황보인
제27대

남지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27대

남지
제28대

김종서
제29대

정인지
}}}
제30대

한확
제31대

이사철
제32대

정창손
제33대

강맹경
제34대

신숙주
제35대

권람
제36대

한명회
제37대

구치관
제38대

황수신
제39대

심회
제40대

최항
제41대

조석문
제42대

홍달손
제43대

박원형
제43대

박원형
제44대

김질
제45대

홍윤성
제46대

윤자운
제46대

윤자운
제47대

김국광
제48대

최항
제49대

한명회
제50대

조석문
제51대

심회
제52대

윤필상
제53대

홍응
제54대

노사신
제55대

신승선
제56대

정괄
제57대

어세겸
제58대

한치형
제59대

성준
제60대

이극균
제61대

류순
제62대

허침
제63대

박숭질
제64대

신수근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문하우시중 문하우시중 → 문하우정승
초대

조준
제2대

김사형
문하우정승
제2대

김사형
제3대

성석린
제4대

민제
제5대

하륜
문하우정승 우정승
제5대

하륜
제6대

이서
제7대

이무
제8대

성석린
우정승
제9대

이서
제10대

조영무
제11대

이무
제12대

이서
우정승 판의정부사 → 우의정 우의정
제13대

조영무
제14대

남재
제15대

이직
제16대

류량
우의정
제17대

남재
제18대

박은
제19대

한상경
제20대

이원
제20대

이원
제21대

정탁
제22대

류관
제23대

조연
제24대

황희
제25대

맹사성
제26대

권진
제27대

최윤덕
제28대

노한
제29대

허조
제30대

신개
제31대

하연
제32대

황보인
제33대

남지
제33대

남지
제34대

김종서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4대

김종서
제35대

정분
제36대

한확
}}}
제37대

이사철
제38대

정창손
제39대

강맹경
제40대

신숙주
제41대

권람
제42대

한명회
제43대

구치관
제44대

황수신
제45대

박원형
제46대

황수신
제47대

최항
제48대

홍윤성
제49대

강순
제50대

김질
제50대

김질
제51대

윤사분
제52대

윤자운
제53대

김국광
제53대

김국광
제54대

한백륜
제55대

성봉조
제56대

김질
제57대

윤사흔
제58대

윤자운
제59대

윤필상
제60대

홍응
제61대

이극배
제62대

노사신
제63대

허종
제64대

윤호
제65대

신승선
제66대

정괄
제67대

어세겸
제68대

정문형
제69대

한치형
제70대

성준
제71대

이극균
제72대

류순
제73대

허침
제74대

박숭질
제75대

강귀손
제76대

신수근
제77대

김수동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좌익공신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455년 9월 5일 세조에 의해 책록
수충위사동덕좌익공신 (1등)
권람 신숙주 윤사로 이곤
한명회1 한확 이증2
수충경절좌익공신 (2등)
강맹경 권반 양정3 윤암
이계린 이계전 이사철 전균
정인지1 정창손1, 4 최항 홍달손
윤형5
추충좌익공신 (3등)
구치관 권공 권자신6, 7 박강
박원형 성삼문6, 8 원효연 윤사윤
윤자운 이극감9 이극배 이예장
이징석 이휘6 정수충 조득림
조석문 조효문 최유 한계미
한종손 황수신 황효원 홍윤성10
김질11
1 1504년 갑자사화로 인한 제명, 1506년 중종 때 복권
2 1458년 6월 29일 세조에 의해 책록
3 1466년 연회에서 세조에게 양위를 종용한 혐의로 인한 제명
4 1456년 7월 3일 세조에 의해 3등에서 2등으로 책록
5 1455년 10월 22일 세조에 의해 책록
6 1456년 단종 복위 운동으로 인한 제명
7 1699년 숙종 때 복권
8 1691년 숙종 때 복권
9 1504년 아들 이세좌와의 연좌로 인한 제명
10 1455년 11월 12일 세조에 의해 책록
11 1456년 7월 3일 세조에 의해 책록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좌리공신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471년 3월 2일 성종에 의해 책록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 (1등)
권감 김국광 신숙주 윤자운
정현조 조석문 최항 한명회1
홍윤성
순성명량경제좌리공신 (2등)
김질 송문림 심회 윤사흔
이정 이침 정인지1 정창손1
한계미 한계희 한백륜 구치관
순성명량좌리공신 (3등)
강곤 김겸광 강희맹 노사신
박중선 서거정 성봉조 신승선
양성지 윤계겸 이극배 이극증
이숭원 임원준 정효상 한계순
한치형1 홍응
순성좌리공신 (4등)
구문신 김교 김길통 김수녕
김수온 김순명 류수 류지
박거겸 선형 신정2 신준
심한 어유소 오백창 우공
윤필상1 이극돈3 이석형 이수남
이숙기 이승소 이철견 이현
이훈 정난종 정숭조 한보
한의 한치례 한치의 한치인
함우치 허종 황효원
1 1504년 갑자사화로 인한 제명, 1506년 중종 때 복권
2 1482년 성종의 인신을 위조해 남의 재산을 탈취한 혐의로 인한 제명
3 1504년 조카 이세좌와의 연좌로 인한 제명, 1511년 중종 때 복권
}}}}}}}}}
<colbgcolor=#b82642><colcolor=#f0ad73>
조선 영의정
광릉부원군(廣陵府院君) 익평공(翼平公)
이극배
李克培
출생 1422년( 세종 4)
사망 1495년 7월 2일[1] (향년 72 ~ 73세)
(음력 연산군 1년 6월 2일)
재임기간 제43대 영의정
1493년 12월 23일[2] ~ 1495년 4월 23일[3]
(음력 성종 24년 11월 6일 ~ 연산군 1년 3월 20일)
봉호 광릉부원군(廣陵府院君)
시호 익평(翼平)
본관 광주 이씨
겸보(謙甫)
우봉(牛峰)
부모 부친 - 이인손
모친 - 노신(盧信)의 딸
부인 최유종(崔有悰)의 딸
자녀 장남 - 이세충(李世忠)
차남 - 이세필(李世弼, ? ~ 1488)
3남 - 이세광(李世匡)
4남 - 이세주(李世柱)
장녀 - 홍효손(洪孝孫)의 처
차녀 - 남정(南禎)의 처
3녀 - 정해(鄭澥)의 처

1. 개요2. 생애3. 가족과 후손4. 대중매체5. 묘역

[clearfix]

1. 개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성종 시기의 마지막 영의정이다.

2. 생애

세조의 변덕으로 4일간 우의정을 지낸 것으로 유명한 이인손의 장남으로, 1422년( 세종 4년)에 태어났다. 무오사화와 관련하여 유명한 이극돈의 형이다.

정사에서 처음 등장한 것은 《세종실록》 1442년(세종 24년) 8월 12일 기사이다. 그 무렵 유생들의 사고로 인해 성균관의 학관과 교관들이 의금부에 갇혔는데, 이 때 유학(幼學)으로 이름이 언급되었다.

26세이던[A] 1447년(세종 29년)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같은 해에 문과 급제했다. 사헌부 감찰로 관직 생활을 시작했고 #, 이후 병조의 좌랑이 되었으며 # 정랑으로 승진한 후에는 삼남 지방의 수령과 만호들 중 불법을 저지른 사람들을 탄핵시켰다. #

1455년(세조 원년) 세조가 왕이 된 직후에는 즉위에 공이 있다하여 3등 추충좌익공신으로 봉해졌다. # 그뒤 판통례문사와 예조 참의를 지냈고 # #, 1457년(세조 3년)에는 공조 참의와 경상도관찰사를 같이 맡았다. # 1년 뒤에는 첨지중추원사도 겸했다. 3

1459년(세조 5년)에는 '광릉군(廣陵君)'에 봉해졌으며 # 얼마 뒤, 병조 참판 직을 제수받아 한성으로 복귀했다. # 그뒤 지금의 서울특별시장 격인 한성부윤 직과 경창부윤을 거쳐 # # 예조 참판으로 일했다. # 그 사이에 성절사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반대로 명나라에서 사신이 올 경우 영접을 하기도 했다. # #

1460년(세조 6년)에는 당시 함길도 도체찰사였던 신숙주와 함께 야인 토벌에 공을 세웠다. # 그 뒤 경기도 관찰사를 거쳐 # 이조, 형조, 예조 판서를 각각 지낸 후 # # # 평안도 관찰사로 부임했다. # 재직 중 아버지 이인손의 상을 당했고 #, 상이 끝난 후 충청도 전라도에 방어진을 설치하기 좋은 곳을 가리기 위해 순찰사로 파견갔다. # 돌아온 후 사복장을 거쳐 병조판서를 역임했다. # #, 병조판서 재직 중에 이시애의 난이 일어나자 이를 토벌하러 함길도로 간 평안도 절도사 한계미 대신 임시로 그 직을 맡았다가 곧 정식으로 절도사를 거쳐 관찰사까지 지냈다. # #

예종 즉위 후에는 의정부 우참찬으로 제수받고 # 곧 다시 병조판서로 복귀했다. #

성종 시기에도 계속 관직 생활을 이어나갔다. 의정부 좌참찬과 동지사를 지내고 전라도로 내려가 기근에 허덕이는 백성들을 구휼했다. 병조판서를 다시 역임했으며, 왜구의 침략을 대비하자는 한명회의 건의로 하삼도( 충청도 · 전라도 · 경상도)로 내려가 # 군열을 순찰했다. # 1479년(성종 10년)에는 광릉부원군으로 봉해졌고 #, 이후 영중추부사로서 호조판서를 겸했으며 # #, 나중에 우의정을 거쳐 성종이 죽기 1년 전인 1493년(성종 24년)에는 영의정 직까지 맡아 성종 시기 최후의 영의정으로 기록되었다. #

연산군이 즉위한 지 6달 뒤인 1495년(연산군 1년) 6월에 향년 7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A]

3. 가족과 후손

세조의 변덕으로 4일 간(...) 우의정을 지낸 것으로 유명한 이인손의 장남이다. 이극배의 할아버지는 청백리이자 참의를 지냈던 탄천 이지직이고, 이극배의 증조할아버지는 광주 이씨의 중흥조라 할 수 있는 둔촌 이집이다. 나머지 형제 넷도 고관 대작이 되었고, 이극배의 조카와 사촌 형제들도 모두 참판과 참의를 지냈다. 그의 광주 이씨 가문은 조선 전기 때 "팔극"이라 불렸을 정도로 상당한 이름을 날렸다.

남동생이 4명이며, 그중 셋째 동생이 무오사화와 관련하여 유명한 이극돈이다. 광해군 시대의 주요 인물이었던 이이첨은 이극돈의 5대손이며, 막내 남동생인 이극균의 5대손이 이덕형이다. 아랫 동생 이극감의 아들은 이세좌인데, 바로 폐비 윤씨에게 사약을 배달한 장본인이라 하여 갑자사화 때 화를 입은 그 사람 맞다. 이세좌의 손자는 영의정까지 오른 이준경이다. 이들은 갑자사화 때 어린 아이라서 죽지는 않고 귀양을 갔다. 훗날 이준경은 명종 말과 선조 초기에 대표적인 원로 신하가 된다. 즉, 이극배의 집안은 조선 초 · 중기의 정치사를 얘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명문가라고 할 수 있다.

부인은 경주 최씨로, 좌필선 최유종의 딸이다. 슬하에 4남 3녀를 두었다.

4. 대중매체

5. 묘역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88호[7] 90호 91호
상설고문진보대전 광주 이씨 광릉부원군파 묘역 양호거사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0호
광주 이씨 광릉부원군파 묘역
廣州 李氏 廣陵府院君派 墓域
소재지 <colbgcolor=#fff,#191919>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 산 12-1, 12-4
시대 조선 시대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기타
수량 / 면적 분묘 12基, 석물 41基, 토지 2,279.8㎡
지정연도 1993년 4월 10일
관리자
(관리단체)
광주 이씨 광릉부원군파 종회
파일:광주이씨광릉부원군파묘역.jpg
<colbgcolor=#b82642> 광주 이씨 광릉부원군파 묘역[8]
[clearfix]
현재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에 이극배 및 자손들의 묘역이 있다. 이극배의 묘는 쌍분이다.

묘 앞에는 묘비, 상석, 장명등이 각각 1기, 문 · 무인석이 1쌍 씩 있다. 묘의 동쪽에는 그의 일생을 기록한 신도비가 있다. 이극배 사후 1년 뒤인 1496년( 연산군 2년)에 세운 것으로, 예조판서였던 신종호가 글을 지었다. 네모난 받침돌 위에 비문을 올리고 그 위에 구름 모양을 조각한 지붕돌을 세운 형태이다. 그리고 신도비를 보호하기 위해 비각을 세웠다.


[1] 율리우스력 6월 23일 [2] 율리우스력 12월 14일 [3] 율리우스력 4월 14일 [A] 당시 나이 셈법인 세는나이 기준. [A] [6] 야인시대〉의 구마적 역으로 유명한 1966년 생 배우와는 동명이인. [7] 89호 보타사 마애좌상은 2014년 7월 2일에 해제되고, 보물 1828호로 승격했다. [8]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 ( 이전 역사)
문서의 r71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