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1 15:26:50

북한-우크라이나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시아 · 아프리카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만주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오키나와현 현기.svg
오키나와현
파일:일본 원형 국기.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유럽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아메리카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남북러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북중러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체첸 공화국 국기.svg
체첸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파일:몰도바 국기.svg
아메리카 · 아프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러시아·벨라루스·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러시아·폴란드·우크라이나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폴란드·우크라이나·발트 3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폴란드·벨라루스·우크라이나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몰도바 국기.svg
우크라이나·루마니아·몰도바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루블린 삼각동맹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연합
}}}}}}}}} ||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북한 우크라이나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2.2. 21세기
2.2.1. 2010년대2.2.2. 2020년대
2.2.2.1. 우크라이나의 북한 로켓 개발 지원 의혹 2.2.2.2. 러시아 침공 이후 열리는 북러 정상회담 관련
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북한 우크라이나의 관계를 설명하는 문서이다.

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1991년 소련 해체로 우크라이나가 독립한 이후 북한은 우크라이나를 승인하였고, 1992년 수교하여 외교관계를 맺었다. 그러나 1998년 공관을 철수시켰다.

2.2. 21세기

2.2.1. 2010년대

2014년 3월 15일, 김용재 주러시아 북한 대사는 우크라이나에서 벌어지고 있는 사건들은 서방세계가 국제법 원칙을 무시한 증거라고 주장했다. #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당시 북한은 크림반도를 러시아의 영토로 승인하자 우크라이나는 외교적 보복조치로 모든 무비자협정을 파기하고 북한인들을 추방하는 조치를 내렸다.

2016년 바실 마르마조우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는 "우리는 북한에 대한 국제 제재를 지지하고 있다"며 우크라이나가 핵무기를 자진으로 포기한 것이 북한에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2.2.2. 2020년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전후로 북한은 우크라이나 정부를 "끼예브정권"으로 격하해서 부르며[1] 우크라이나는 미국의 괴뢰 국가, 네오 나치 정권이라고 주장하는 등 러시아의 입장을 열심히 따라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당대 국가수반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에 대해서도 '젤렌스끼도당', '젤렌스끼괴뢰정권'으로 비하하는데, 미국, 대한민국 등을 비하할때 쓰는 '도당'이라는 표현을 거리낌없이 쓰고 있다.

2022년 7월 13일, 북한이 우크라이나 내 괴뢰국가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을 승인하였고, 우크라이나는 이에 대응하여 단교를 선언했다. # 북한 외무성은 '정당한 주권행사'이며 우크라이나는 이에 시비할 자격이 없다고 반발했다. #

2022년 9월 16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화상 연설 허용에 대한 유엔 표결에 북한이 반대했다. #

2022년 11월 6일. 북한은 우크라이나가 이른바 '더티밤'(dirty bombs)을 생산하고 있다는 러시아 측의 주장을 두둔하며 미국이 러시아 견제를 위해 우크라이나를 감싸고 있다고 비난했다. #

2023년 7월 28일, 파이낸셜타임스는 우크라이나가 노획한 북한산 로켓을 이용해 러시아를 공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

2023년 9월 북한 김정은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를 방문하여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북러 정상회담을 하게 되는 것이 밝혀지면서 특히 침략자인 러시아와 푸틴에 대한 증오가 깊은 우크라이나로서는 당분간 북한에 대한 적개심을 유지할 것으로 보여진다. 이미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 루간스크 인민 공화국을 공식 승인하여 수교한데 이어서 침략자이자 살인마로 새겨진 푸틴과 김정은이 침공 이후 북러 정상회담을 하게 됨에 따라 우크라이나로서는 대북 적대 노선을 당분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이전에 대한민국 윤석열 대통령이 수도 키이우를 방문하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과도 만나서 한 우크라이나 정상회담도 하였던 적이 있어서 한 해 한국과 우크라이나, 북한과 러시아간의 대조적인 정상회담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우크라이나의 적' 명단을 공개하는 웹사이트에 올랐다. #

우크라이나에 떨어진 러시아의 미사일 잔해를 분석한 결과 북한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2024년 1월 11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북한이 러시아에 100만발이 넘는 포탄을 공급했다고 주장했다. #
2.2.2.1. 우크라이나의 북한 로켓 개발 지원 의혹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논란 문서
2.1.2.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90년대~2000년대 초에 북한에 몰래 ICBM 및 잠수함 관련 기술과 인력 등을 제공한 바 있다는 주장도 있으나, S/2013/337 보고서에서는 북한의 ICBM 부품 밀수에 관여한 우크라이나인 2명에 대해 제재를 해야 한다는 내용은 있지만, 그것 외에는 유엔 및 미국 정부 차원의 보고서에서는 찾을 수 없다.

우크라이나가 정부차원에서 북한에게 기술을 넘겨준 것이 아니라, 벨라루스 주재 북한 무역대표부 직원 2명이 우크라이나 로켓 제작 업체인 유즈마쉬의 기술자들을 포섭하여 기술을 빼돌리는 것을 시도했다. 우크라이나는 해당 북한인들에게 간첩 혐의로 징역 8년을 선고했다. # ##

우크라이나 정부는 북한의 ICBM 개발에 우크라이나 기술이 연루되었다는 보도와 관련해서 사실관계를 조사한 결과 기술 유출은 없었다고 밝혔다. #

우크라이나 우주청 장관 대행은 2001년까지 우크라이나 공장에서 생산되어 러시아로 공급된 로켓엔진을 러시아가 북한에 공급했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은 거론했다. 즉, 우크라이나 정부가 직접 연계된 사항은 없다. #
2.2.2.2. 러시아 침공 이후 열리는 북러 정상회담 관련
2022년 러시아의 침공 이후 2023년 9월 북한 김정은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로 기차를 타고 방러하여 북러정상회담을 가졌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이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본국을 무력으로 침공하고 인명을 살상한 푸틴에 대놓고 응원의 메시지를 보내며 러시아에 밀착하는 행보를 보이는 김정은에 대한 적대감도 따라서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미 두 나라는 1년 전에 국교를 단절하였고 북한도 친러 성향이 갈수록 두드러지면서 두 나라의 사이는 앞으로 멀어질 것으로 보인다.

2019년에도 김정은이 방러하여 푸틴과 정상회담을 한 적이 있지만 그 당시는 우크라이나 침공이 일어나기 3년 전 일이라 우크라이나 정부와는 크게 무관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이번의 경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전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라, 1년 전에 이미 친러 괴뢰정권인 도네츠크와 루간스크 인민 공화국과 수교한 북한이 또다시 러시아와 밀착관계를 보이니 북한에 대한 적개심도 강해질 수 밖에 없다. 역사상 유례없는 독재정권을 유지중인 북한의 특성상 그 정치 노선이 쉽게 바뀔 일도 없어 보이므로 당분간 두 나라 관계가 정상화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3. 관련 문서



[1]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정부를 부르는 키예프 정권(Киевский режим)과 일맥상통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