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15 11:23:41

북한-시리아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시아 · 아프리카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만주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오키나와현 현기.svg
오키나와현
파일:일본 원형 국기.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유럽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아메리카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남북러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북중러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 아프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유럽 · 아메리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다자관계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리비아·이집트·시리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이라크·시리아·쿠르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튀르키예·시리아·이라크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이란·이라크·시리아
}}}}}}}}}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북한 시리아
1. 개요2. 역사적 관계, 상호 교류3. 대사관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북한 시리아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팔레스타인과 더불어 북한과 단독 수교국 중 하나이며 시리아와 이웃한 아랍 국가들인 이라크와 요르단, 레바논 등이 한국과 수교를 맺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현재 UN 회원국 중 유일한 북한 단독 수교국이다.

2. 역사적 관계, 상호 교류

북한과는 1966년에 수교한 이래 양국 간 우호 친선 노선을 지향해왔다. 대한민국은 시리아와 외교 관계를 맺기 위해 오래 전부터 노력해왔으나, 시리아는 북한과의 관계를 의식하여 수교를 거부하고 있다. 또한 중동전쟁 당시 시리아가 이스라엘과 교전 중이었는데 이에 북한이 군사적 지원을 시리아와 이집트에 적극적으로 하게 된 것을 계기로 북한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였다.

1991년 6월 17일, 시리아가 사우디의 원조금으로 북한 미사일을 구입했다. #

조선인민군이 시리아 정부를 돕기 위해 시리아 내전에 참전했다. '철마-1’과 ‘철마-7'이라는 부대가 파병되었다고 한다. #

월스트리트 저널은 2018년 9월 15일에 북한이 제재에도 불구하고 무기를 수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 보도 며칠 전인 2018년 9월 9일 북한 정권 수립 70주년 기념식에도 힐랄 알 힐랄 바트당 지역부비서를 단장으로 한 대표단이 참석하고 최룡해가 이를 영접하는 등 양국 간의 친선을 드러냈다.

2020년 11월 16일에 북한이 아사드 정권의 반군 공격을 정의의 투쟁이라고 치켜세웠다. #

김정은 바샤르 알아사드 축전을 여러번 주고받는 등 우호적 외교관계를 지속적으로 과시하고 있다.

2022년 6월 17일에 북한과 시리아는 미디어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


시리아 정부군 세력이 군사학교의 드론테러를 당하자 , 북한은 해당 테러를 비난했다.

3. 대사관

북한은 다마스쿠스에, 시리아는 평양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4.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 ( 이전 역사)
문서의 r48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