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주요 역사적 사건 | |
<colbgcolor=#ccc,#333><colcolor=black,white> 김일성 시대 |
해방 (1945) ·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설치 (1945) ·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 설립 (1946) · 북조선인민위원회 설립 (1947) · 제1기 북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1948)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1948) · 북·남조선로동당 합당 (1949) · 6.25 전쟁 (1950~1953) · 박헌영-리승엽 간첩 사건 (1953~1955) · 8월 종파사건 (1956) · 중국 인민지원군 철수 (1958) · 재일교포 북송 (1959~1984) · 조소동맹조약 (1961) · 조중동맹조약 (1961) · 갑산파 숙청 사건 (1967) · 1.21 사태 (1968)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1968)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 7.4 남북 공동 성명 (1972) · 사회주의헌법 제정 (1972)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976) ·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1983) ·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1987) · 제13차 평양세계학생축전 (1989) · 남북기본합의서 (1991) · 남북 유엔 동시 가입 (1991) · 북일수교협상 (1991~1992) · 제1차 북핵 위기 (1993~1994) · 서울불바다 발언 사건 (1994) · 김일성 사망 (1994) | |
김정일 시대 |
남북정상회담 무산 (1994) · 고난의 행군 (1994~2000) · 북미 제네바 합의 (1994) ·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 심화조 사건 (1997~2000) · 제1연평해전 (1999) · 남북정상회담 (2000) · 조미 코뮤니케 (2000) · 제2연평해전 (2002) · 새로운 경제관리개선조치 (2002) · 북일정상회담 (2002~2004) · 6자회담 (2003~2009) · 제1차 핵실험 (2006) · 남북정상회담 (2007) · 제2차 핵실험 (2009) · 화폐개혁 (2009) · 천안함 피격 사건 (2010) · 연평도 포격전 (2010) · 김정일 사망 (2011) | |
김정은 시대 |
제3차 핵실험 (2013) · 장성택 처형 사건 (2013) · 5.30 조치 (2014) · 제4차 핵실험 (2016) · 제5차 핵실험 (2016) · 김정남 피살 사건 (2017) · 제6차 핵실험 (2017) · 김성일 사건 (2017) · 남북정상회담 ( 평양공동선언) (2018) · 북미정상회담 ( 2018, 2019) ·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2020) · 반체제 정당 조직 적발 사건 (2021) · 코로나 대유행 (2022) · 연평도 해역 포격 사건 (2024) · 지린성 북한 노동자 폭동 사건 (2024) · 반체제 세력 출현 사건 (2024) · 오물 풍선 살포 사건 (2024)ㆍ 2024년 북러정상회담 (2024)ㆍ 북한 외교관 연쇄 탈북 사건 (2024)ㆍ 주러시아 북한 관전무관 폭사 사건 (2024)ㆍ 평양 무인기 대북전단 살포 사건 (2024)ㆍ 북한의 경의선·동해선 남북 연결도로·철도 폭파 사건 (2024)ㆍ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2024) | |
역사왜곡* | ||
항일무장투쟁 | 타도제국주의동맹 (1926) · 카륜회의 (1930) · 명월구회의 (1931) · 조선인민혁명군 (1932) · 민생단 사건 (1932~1936) · 남호두회의 (1936) · 미혼진회의 (1936) · 동강회의 (1936) · 조국광복회 (1936) | |
6.25 전쟁 | 전쟁 발발 책임 · 승패 인식 | |
백두혈통 우상화 |
김응우 ( 제너럴 셔먼호 사건) · 김형직 · 강반석 · 김정숙 · 김정일 출생지 왜곡 | |
관련 서적 | 미제와 일제의 조선침략 죄행 · 백두혈통 우상화 교과서 · 세기와 더불어 · 조선력사 | |
* 괄호 안의 연도는 북한의 주장에 근거한 연도이며, 실제 역사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단체 및 사건이거나 실제와는 다른 연도일 수 있음. | ||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북한 관련 뉴스 | ||||
2023년 | → | 2024년 | → | 2025년 |
문서가 분리된 2024년에 발생한 북한 관련 사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7px -1px -11px"
|
||||
1.5.~7. | 2024년 연평도 해역 포격 사건 | |||
1.14.~ | 2024년 북한 미사일 도발 | |||
1.10.~15. | 지린성 북한 노동자 폭동 사건 | |||
1.16.[a] | 단천시 여객열차 전복 사고 보도 | |||
1.26.[b] | 2021년 북한 내 반체제 정당 조직 적발 사건 보도 | |||
3.4.[c] | 법원 전산망 해킹 사건 보도 | |||
5.24. | 2024년 북한 내 반체제 세력 출현 사건 보도 | |||
5.28.~ | 2024년 북한 대남 오물 풍선 살포 사건 | |||
6.18. | 2024년 북러정상회담 | |||
7.16. | 북한 외교관 연쇄 탈북 사건 보도 | |||
7.24.~29. | 2024년 압록강 유역 대홍수 | |||
9.13. | 2024년 북한 핵시설 공개 사건 | |||
10.3.~ | 2024년 평양 무인기 대북전단 살포 사건 | |||
10.4. | 주러시아 북한 관전무관 폭사 사건 | |||
10.15. | 북한의 경의선·동해선 남북 연결도로·철도 폭파 사건 | |||
10.17.[d] | 2024년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 |||
11.21. | 국방발전-2024 | |||
11.21.[e] | 북한 업비트 해킹 사건 보도 | |||
[a]사고 발생 일자는 2023년 12월 26일 [b]사건 발생은 2022년 경 [c]사건 발생은 2021~2023년 경 [d]1차 파병 시기는 10.8.~13. [e]사건 발생은 2019년 10월 |
}}}}}}}}} |
북한의
사건·사고 주러시아 북한 관전무관 폭사 사건 |
|
<colbgcolor=#bc002d,#222222><colcolor=white> 다른 이름 | 파견 북한장교 사망 사고 |
발생일자 | 2024년 10월 4일 |
발생장소 |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 러시아 점령지 |
당사자 |
관련 기관 러시아 국방부 북한 국방성 도네츠크주 정부 우크라이나 국방부 |
사상자 북한군 장교 6명 사망(추정) 북한군 병사 3명 부상(추정) |
[clearfix]
1. 개요
대 러시아 외교에 사활을 걸고 있는 북한 김정은과 조선로동당이 러시아와의 외교적인 긴밀성을 강화하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전훈을 습득하기 위하여 보낸 북한군 관전무관[1] 중 일부가 사망했다고 우크라이나가 주장한 사건.2. 상세
10월 4일 우크라이나 언론[2]은 우크라이나 군대가 러시아 점령지인 도네츠크 주를 향하여 미사일 공격을 가하는 와중에 그곳에 관전무관으로 주둔하고 있던 북한군 장교 6명이 사망했다고 보도했다.[3]우크라이나 정부에서 밝힌 자료에 따르면 북한군 소속 장교들은 러시아군의 훈련 시범을 참관하러 우크라이나 동부로 들어왔다고 했는데 전쟁 중인 타국의 점령지에 장교를 보내는 경우는 전쟁을 관전하러 온 관전무관인 경우가 보통이므로 이번에 사살된 북한군 장교들은 관전무관 자격으로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우크라이나군이 북한군 장교단을 조준하여 러시아군 진영을 폭격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최근 북한이 곡물을 대가로 러시아에 무기를 대량으로 수출했는데 이것이 우크라이나 군대를 상당히 자극해 왔으므로 고의적인 폭격이었을 확률도 배제할 수는 없다. 애초에 러시아가 북한의 우크라이나 전쟁 파병에 관한 떡밥을 계속 풀고 있기 때문에[4] 경고 차원에서 북한군 관전무관을 사살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5]
김용현 국방부 장관은 8일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우크라이나에서 있었던 북한군 장교와 병사의 사상자 발생은 여러 가지 관련 정황을 봤을 때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6명의 유해는 북한으로 송환하다가 서방측의 감시에 관측될까봐 러시아의 무연고 공동묘지에 매장되었다고 한다. 김정은이 유해 송환에 적극적이지 않다고 한다. #
3. 관련 문서
[1]
전쟁 당사자가 아닌 나라라도 전쟁에서만 배울 수 있는 전훈을 연구하고 새로운 교리를 만들기 위해서 장교나 군사전문가를 전쟁 중인 나라로 파견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참전무관은 참전무관을 받는 쪽의 내부사정을 알게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참전무관을 보내는 쪽과 받는 쪽의 신뢰가 대단히 중요하며 참전무관을 주고받는 행위 자체가 전쟁 상대국의 입장에서는 상당히 불쾌한 일이 된다.
[2]
키이우 포스트에서 공개.
[3]
러시아군 사망자를 발표하는 와중에 함께 발표되었으며 사망자는 총 20명이었다.
[4]
북한군의 공병대나 포병대가 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전할 것이라는 유언비어는 계속해서 나왔다. 병력 부족이 심각한 우크라이나로서는 대단히 심각하게 여길 만한 소식이다.
[5]
애초에 참전을 협의하기 위해 들어온 장교단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참전하려면 러시아군과 지휘체계를 맞춰야 하기 때문이다.
[6]
해당 장교들이 북한의 참전을 협의하기 위해 들어왔을 가능성도 제기되는 상황이므로 관련이 있다고 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