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8년부터 1902년까지 중화전이었던 건물에 대한 내용은 덕수궁 즉조당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5 |
|
|||||||||||||||||||
|
|
|
||||||||||||||||||
|
|
|
||||||||||||||||||
|
|
|
|
양이재 |
|
|||||||||||||||
|
|
|
||||||||||||||||||
┏ | ━ | ┓ | ||||||||||||||||||
┃ | 돈덕전 | ┗ | ━ | 생양문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관헌 |
|
|
|
||||||||||||
|
|
|
┃ | 석조전 | 준명당 |
즉조당 명례궁터 |
석어당 |
|
|
┃ | ||||||||||
중명전 |
|
석조전 서관 |
정원 | 중화전 | 덕홍전 | 함녕전 |
|
|
|
|
|
┃ | ||||||||
|
ㅣ |
|
광명문 |
|
|
|
||||||||||||||
|
|
|
중화문 |
|
|
금천교 | 대한문 | |||||||||||||
┗ | ━ |
|
━ | ━ | ㅡ |
|
━ | ━ | ━ | ━ | ━ | ━ | ┛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덕수궁 중화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대한민국의 보물 | ||||||||||||||||||||||||||||||
818호 | ← | 819호 | → | 820호 | |||||||||||||||||||||||||||
창경궁 통명전 | 덕수궁 중화전 및 중화문 | 덕수궁 함녕전 |
대한민국 보물 제819호 | |
덕수궁의 중화전 및
중화문[1] 德壽宮의 中和殿 및 中和門 |
|
소재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정동) |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궁궐 |
수량 | 2동[2] |
지정연도 | 1985년 1월 8일 |
제작시기 | 대한제국, 1902년 창건, 1906년 중건 |
|
|
<colbgcolor=#e3ba62> 중화전[3] |
|
YTN 공식 유튜브의 소개 영상[4] |
[clearfix]
1. 개요
덕수궁의 정전이다. 중요한 국가 의식을 거행하거나 조회를 열던 곳이다.조선의 5대 궁 정전 중 유일하게 20세기에 창건했으며 처음부터 조선 왕궁의 정전이 아닌 대한제국 황궁의 정전으로 세운 건물이다.
'중화(中和)' 뜻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바른 성정'으로, 《 중용(中庸)》에서 유래한 말이다.
2. 역사
원래 임진왜란 당시 임시 행궁이었던 경운궁은 인조 연간 이후 즉조당과 석어당 및 주변 별당만이 존재한 작은 궁이었다. 그러다 건양 1년(1896)) 아관파천으로 러시아 공사관에 몸을 의탁했던 고종은 1년 뒤 건양 2년(1897) 환궁(還宮)하면서 기존의 경복궁, 창덕궁이 아닌 근처의 경운궁을 선택했다. 하지만 몇백 년을 버려진 곳을 임금의 거처로 삼으려니 대공사가 필요했다. 따라서 명목상으로는 '중건'이라 했지만 사실상 새 궁궐 하나를 창건하는 것과 다름없었다.그래서 한동안은 기존에 있던 즉조당을 태극전, 중화전으로 부르면서 정전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즉조당은 너무 좁았으므로 규모 있는 정전이 필요했다. 그래서 제국 선포 이후 5년이 지난 ( 광무 6년(1902))에야 정식 정전으로 지은 건물이 중화전이다.
|
|
<colbgcolor=#e3ba62> 중층 중화전 | <colbgcolor=#e3ba62> 즉조당을 중화전으로 사용하던 당시 현판.[5] |
|
|
《중화전도》 | 《중화전영건도감의궤 속 중층 중화전》 |
|
|
<colbgcolor=#e3ba62> 대화재 이후 경운궁 중건과정을 담은 기록인《경운궁영건도감의궤》에 실린 중화전. 단층이다.[7] | <colbgcolor=#e3ba62> 중화전 복구 공사 |
이 곳에서 일어난 중요 행사는 1907년( 광무 11년) 1월에 치러진, 당시 황태자였던 순종 - 순정효황후의 결혼식과 1907년 7월에 열린 고종이 순종에게 양위하는 의식[8] 등이 있다.
일제강점기인 1919년에 고종이 승하한 이후, 일제는 1933년에 덕수궁을 공원화하면서 중화전 뜰의 박석을 걷고 잔디와 꽃을 심는 등 훼손했다. 8.15 광복 이후인 1980년대 말에 문화재관리국에서 복원하여 오늘에 이른다.
3. 정문
자세한 내용은 덕수궁 중화문 문서 참고하십시오.4. 구조
- 정면 5칸(61.4척), 측면 4칸(58척), 총 20칸이다. 2단으로 쌓은 넓은 월대 위에 높직한 주춧돌을 놓고 그 위에 둥근 기둥을 세웠다. 건물 내 · 외부 사이의 기둥 사이에는 분합문을 달아 언제나 여닫을 수 있게 했다.
<colbgcolor=#e3ba62> 중화전 내부[10] |
<colbgcolor=#e3ba62> 중화전 답도에 새겨진 용 | <colbgcolor=#e3ba62> 중화전 천정의 용 |
<colbgcolor=#e3ba62> 중화전 행각 흔적 |
5. 여담
- 광복 이후 6.25 전쟁을 겪으면서 서울 시내에 마땅한 공간이 없었기 때문인지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중화전 뜰에서 정부행사나 공연 등이 자주 열렸었다. 특히 1961년 5.16 군사정변 당시에는 정변에 동원된 제1공수특전여단이 이 곳에 주둔해서 "반혁명인사"로 분류된 인사들을 이곳에 가두었고 이후에는 전국적으로 잡아들인 깡패들을 이 곳에서 굴렸다.(...)
6. 대중 매체에서
대한제국 시기를 다룬 작품 자체가 별로 없고, 있어도 다른 궁궐에서 촬영을 하기 때문에 사극에 등장한 적은 없었다.2016년에 개봉한 영화 〈 덕혜옹주〉에서 단층의 중화전이 나온다.
2018년 7월에 tvN에서 방영하는 드라마 〈 미스터 션샤인〉의 배경이 20세기 초반의 대한제국이기 때문에 중화전이 나온다. 하지만 실내는 거의 실제 중화전이 아닌 부안에 있는 세트장의 모습으로 나온 것이 함정.
[1]
건물과 문을 포함한 권역의 정식 등재명칭.
[2]
중화문 포함. 문화재청의 공식 기준 참조.
[3]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4]
중화전만 개별적으로 소개하는 영상이 없어 부득이 덕수궁 전체를 다룬 영상으로 대체한다.
[5]
왜 이 현판이
즉조당에 걸렸는지는
이 포스팅을 참고.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다. 한 때
인터넷 상에서 중층 당시 중화전에 걸었던 현판으로 잘못 알려져 있었다. 참고로 중층 중화전 현판은 경운궁 대화재 당시 같이 불 타 없어졌다.
[6]
지붕이 두 겹으로 밖에서는 2층처럼 보이나 실제 내부는 단층으로 천장이 높은 구조이다.
경복궁 근정전이나
창덕궁 인정전을 연상하면 된다.
[7]
사진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
[8]
단, 이 때는 고종과 순종이 모두 불참했기에
내관들이 대리했다.(...) 결국 정식 즉위식은 동년 8월 27일
돈덕전에서 행했다.
[9]
소의 혀란 뜻으로, 한식 목구조 공포에서 보 방향으로 첨차에 직교하여 거는, 끝을 소의 혀 모양으로 장식하여 오려낸 부재를 말한다.
[10]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11]
唐家. 옥좌 위에 다는 집 모양의 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