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 내용 펼치기 · 접기 ]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탐구 영역 하위 종속 문서로 '일반계'와 '직업계'의 구분을 하지 않으며 '대학수학능력시험/탐구 영역/일반계' 문서를 이전의 토론 합의(조합별 의견을 삭제하기)에 위배됨에 따라 삭제하고 '대학수학능력시험/탐구 영역/직업계'를 '대학수학능력시험/직업탐구 영역'으로 환원함
토론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3-16 공식 자료인 2022학년도 6월모의평가 시행 계획에 따라 탐구 영역 하위 종속 문서로 분류되었던 '대학수학능력시험/탐구 영역/○○○○'의 형식을 기존의 '대학수학능력시험/사회탐구 영역/○○○○' 또는 '대학수학능력시험/과학탐구 영역/○○○○'으로 되돌림
토론 - 본 문서 및 하위 문서에 추후 응시자 수 전망에 대한 내용을 담을 경우 근거 신뢰성 순위 8순위 이상의 근거 자료를 제시해야하고 해당 자료에 대한 주관적인 유추 해석을 금지하기||
대학수학능력시험 관련 편집지침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5px" |
◈ ‘ 편집지침의 대학수학능력시험 관련 문서’ 조항에 따라, 작성자의 소견이나 가치 판단, 추측 서술, 독단적인 난이도 논평이나 총평은 서술하실 수 없습니다. 부득이할 시 설득력 있는 근거를 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 연도별 ‘/의견’( MPOV) 문서에서 수행했던 주관적 논평이나 후기 등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및 선택과목) 문서’나 ‘교과’ 관련 문서 등에 작성하는 행위도 우회 서술로 간주됩니다. | |
◈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는 나무위키 사측 관리자의 조치에 의해 '의견' 문서 생성 및 편집이 제한됩니다. 참고 | }}}}}}}}} |
대학수학능력시험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평가 특성
|
언어(言語) | 수리(數理) | 자료 해석 · 상황 판단 |
지식 및 적격 여부
|
||||||||||||||
영역
|
[A] | ||||||||||||||||||
하위 문서
|
역사 · 등급컷 · 문제점 및 해결 방안 · 논쟁 및 비판 · 기타 · 사건 사고 · 절대평가 전환 논란 | ||||||||||||||||||
기타
|
시간표 · 상대평가 ( 표준화 시험) · 절대평가 · 적성검사 · 자격고사 · 9등급제 · 2015 개정 교육과정 · 킬러 문제 · 수험 생활 조언 · 학습 조언 · A Level과 수능의 비교 · STEP과 수능의 비교 · 교육 관련 문서 틀 |
[A]
수리추론 능력뿐만이 아니라 자료 해석 · 상황 판단 능력도 요구된다.
1. 개요2. 과학탐구 영역의 선택과목3. 문제의 유형4. 과목 선택 기준의 여러 가지 유형
4.1. 학문적인 성향 혹은 호기심
5. 과목 선택에 제한이나 가산점을 거는 학교6. 과학탐구 영역의 교육과정 별 역사7. 사건 사고8. 여담9. 관련 문서10. 둘러보기 틀4.1.1. 단순 교과 수준 · 성적 결과
4.2.
표준점수나
백분위에서의 유불리성4.3.
대학생활,
전공을 고려4.3.1. 대학 진학 후의 연관성
4.4. Ⅰ과목을 이수하지 않고 Ⅱ과목을 이수할 수 있는가?4.5. 과목 선택에 대한 종합적인 결론1. 개요
대학수학능력시험 탐구 영역의 구분 변화 | ||||
수리·탐구 영역(Ⅱ) (2001 수능까지) |
→ |
사회탐구 영역 /
과학탐구 영역 /
직업탐구 영역 (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현행) |
#004A95
/ 보조색: #E8EAF6
)이며,
EBSi 수능 연계 교재에서도 보통 파랑·남색 계열[1](표지색: 남색, 내지색: 하늘색)을 사용한다.2. 과학탐구 영역의 선택과목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18~ 高1) | ||||||
공통 과목
|
선택 과목 | |||||
일반 선택 | 진로 선택 | |||||
※ 고급 물리학, 고급 화학, 고급 생명과학, 고급 지구과학 및 실험 과목은
과학 계열 전문 교과에서 다룬다(해당 둘러보기 틀 참조). ※ 대학수학능력시험 과학탐구 영역 관련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과학탐구 영역에서 다룬다(해당 둘러보기 틀 참조). |
||||||
대학수학능력시험 과학탐구 영역 출제 범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fff,#191919> 2020학년도 | 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이전 교육과정) 문서 참조 바람. | ||||
2021학년도 | 사회탐구 | 생활과 윤리 · 윤리와 사상 · 한국지리 · 세계지리 · 동아시아사 · 세계사 · 정치와 법 · 경제 · 사회·문화 중 최대 택 2 | ||||
과학탐구 | 물리학Ⅰ · 화학Ⅰ · 생명과학Ⅰ · 지구과학Ⅰ · 물리학Ⅱ · 화학Ⅱ · 생명과학Ⅱ · 지구과학Ⅱ 중 최대 택 2 | |||||
2022학년도 ~ | 사회탐구 · 과학탐구 | 생활과 윤리 · 윤리와 사상 · 한국지리 · 세계지리 · 동아시아사 · 세계사 · 경제 · 정치와 법 · 사회·문화 · 물리학Ⅰ · 화학Ⅰ · 생명과학Ⅰ · 지구과학Ⅰ · 물리학Ⅱ · 화학Ⅱ · 생명과학Ⅱ · 지구과학Ⅱ 중 최대 택 2 |
과학탐구 영역 선택 과목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7차 | 물리Ⅰ | 화학Ⅰ | 생물Ⅰ | 지구과학Ⅰ | 물리Ⅱ | 화학Ⅱ | 생물Ⅱ | 지구과학Ⅱ |
'09 개정 | 생명과학Ⅰ | 생명과학Ⅱ | |||||||
'15 개정 | 물리학Ⅰ | 물리학Ⅱ |
[주의!] 과목코드 순서대로 시험을 보게 되는데 순서를 지켜 풀지 않으면 부정행위로 간주되니 조심해야 한다. 응시 도중 다른 과목의 답안을 기입하거나 수정하는 것도 부정행위이므로 조심하자.[2]
과목 | 과목 코드 |
물리학Ⅰ | 20 |
화학Ⅰ | 21 |
생명과학Ⅰ | 22 |
지구과학Ⅰ | 23 |
물리학Ⅱ | 24 |
화학Ⅱ | 25 |
생명과학Ⅱ | 26 |
지구과학Ⅱ | 27 |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선 과학과의 과목 중 8개의 과목(물리학Ⅰ/Ⅱ, 화학Ⅰ/Ⅱ, 생명과학Ⅰ/Ⅱ, 지구과학Ⅰ/Ⅱ)만을 교육과정을 토대로 출제하며, 이것을 과학탐구 과목 선택과목이라고 한다.
그 외에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 융합과학, 생활과 과학, 해양 일반, 고급 물리학/화학/생명과학/지구과학, 물리학/화학/생명과학/지구과학 실험 등도 과학과에 포함되지만 이들은 수능 선택과목이 아니며 내신에서만 평가 척도로 활용된다.[3] 이것이 수험 과목과 교과(학교에서 배울 수 있는 과목)의 결정적인 차이이다. 수능과 내신 외에도 자연계 논술(과학논술), 변리사 시험 1차 자연과학개론에도 출제 기준 자료도 활용된다.
여담으로 지구과학을 입시 과목으로 채택하는 나라는 일본과 대한민국밖에 없다는 특징이 있다. 문서 참조.[4] 또한 천문학을 지구과학에 포함하는 나라 역시 두 나라 뿐이다. 이 때문인지 과거 2009 개정 교육과정 논의 과정에서는 과거 2차 교육과정에서처럼 지구과학Ⅱ를 폐지하고 나머지 3개의 Ⅱ만 남기는 것이 고려되었다.( 기사)
3. 문제의 유형
수능 탐구 영역 선택과목 최대 상한선이 2개 과목으로 축소된 2014학년도를 기점으로 이후 현재 수능 과학탐구 영역은 기존에 출제되던 교과 내용, 자료 해석, 수리추론에 이어 PSAT 상황 판단 영역까지 추가한 상황이다 보니, 지식만으로 수능 과학탐구 영역을 대비하려는 생각은 접어야 한다. 이 시험의 이름에서도 알 수 있다시피 '과학 영역'이 아니라 '과학 탐구 영역'이다. 이 시험은 자신의 지식을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통상적인 과학 시험[5]이 아니라, 온갖 자료를 분석하고 논리 과정을 추론해내는 교과 적성검사이다.[6]3.1. 자격고사형
굉장히 단순한 문항이다. 아래 소개할 문제나 지문 속 조건(논거)을 활용하는 게 관건인 적성검사형과는 다르게 개념만 잘 알면 정말 쉽게 풀 수 있다. 해당 지식이 있는지 없는지만 알면 충분히 맞힐 수 있기 때문에 보통 배점이 3점이 아닌 2점으로 주어지는 경우는 대부분이며, 문항 분포도 1페이지에 포진되어 있다. 즉, 기본적인 독해 능력이 부족해도 맞힐 수 있다는 것이다.그러니 만약 문제가 이 유형에 속해도, 낚시가 있진 않은지 의심해가며 신중하게 풀어내야 한다. 주로 지엽이라고 일컫는 문항이거나 은근슬쩍 개념에 함정을 파놓는 경향이 크므로 자기가 개념을 제대로 알고 있는지 잘 체크해야 한다. 주로 과학탐구 영역의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1페이지와 사회탐구 영역 문항 절반 이상이 이 함정 수법으로 정답률을 갈라버린다.
학문적 깊이가 매우 심층적일수록 오히려 간단한 물음에만 체크하고 넘어가는 자격고사식 문제가 출제된다. 물리학Ⅱ의 현대물리학이나 지난 교육과정 화학Ⅱ의 엔트로피 파트가 그러하다. 이런 부분은 원래 수학을 써야 하지만 교과 연계 특성상 그럴 수 없기 때문. 가령 수능 화학1 문제에서 양자역학 문제가 나온다고 하면 수능 화학Ⅰ을 모르는 사람한테는 헉 소리 나오겠지만, 정작 수능 화학Ⅰ 준비생들은 기본 점수로 취급하는 파트이다.
수능 탐구영역 선택과목 최대 상한선이 4개 과목이었던 2011학년도 수능까지는 이러한 자격고사 유형의 비중이 80~90%에 육박했으나[7][8] 수능 탐구영역 선택과목 최대 상한선이 2개 과목으로 축소된 2014학년도부터 이전에 비해 경쟁도 그만큼 치열해지고 응시자 수준도 높아져 그 비중은 이제 20~30% 수준을 밑돈다.
요약하자면, 맞히기 쉬운, 순식간에 풀고 넘어가야 하는 암기형 문항들이라고 할 수 있다.
3.2. 적성검사형
수능의 특징을 잘 모르는 학생들은 위의 '자격고사형' 문제만 맞히고 다른 건 다 틀려버리는 대참사가 일어나기도 한다. 보통 '개념완성'을 표방하는 강의만 듣고 이후 커리큘럼에 준비가 되지 않은 중하위권 고교용 내신에 익숙한 학생이라면[9] 이 부분을 시간 내로 맞히기 힘들다.크게 논리(언어추론, 수리추론)형과 분석(자료해석, 상황판단)형으로 나뉜다. 특히 수리추론과 자료해석이 중요하다. 논리추론형이든 자료분석형이든 논거를 찾는 연습을 잘했느냐가 관건이다. 문제 속 논거를 찾고 그것으로 답을 찾아내는 것이 주요 문항이다. 언어추론만을 순수하게 평가하는 것은 국어 영역의 비문학 파트(또는 PSAT 언어 논리, LEET 추리 논증)가 되겠다. 다른 점이 있다면 과학탐구 영역은 논거 찾기는 물론 기본적인 교과 내용 지식이 짙게 접목된다는 것이다. 그냥 내용적 지식만으로 답이 갈리는 건 위에서 말했듯이 자격고사형 유형이다.
3.2.1. 분석(자료해석)
표, 차트, 여러 데이터 값이 주어졌을 때, 경우의 수를 좁혀 알맞는 논거나 힌트를 찾아내서 푸는 유형이다.지식 특화형 단원 내용과 자주 엮이는 유형이다. 한 마디로 암기할 게 많거나 지식적 뉘앙스가 짙은 단원은 문제 수준을 높이는 데 한계가 생겨버리므로 그 암기만능주의를 방지하기 위해 쓰는 출제 방식이 이 자료 해석이다. 물론 자료 해석 파트도 과목, 단원에 따라 수준도 다르다. 대표적으로 화학Ⅰ의 양자론은 기출문제로 연습을 조금만 하면 쉽게 풀어낼 수 있으며, 생명과학Ⅰ의 방어작용 또한 개념을 완벽히 이해하면 지문은 길더라도 쉽게 풀 수 있다.
비수능생들 입장에서 본 교양 이론 같이 대중화된 느낌을 주는 내용들이라면 거의 여기에 포함된다고 보면 된다. 물리학의 양자역학, 상대성 이론, 화학의 양자화학, 유기화학, 생명과학의 생리학, 생태학, 지구과학의 지질학, 고생물학 같은 것을 말한다(일부 제외). 내용을 잘 설명할 줄 알면, 뭔가 있어 보이는 느낌을 주기 때문에, 그런 사람들이 문제까지 잘 맞힐 거라는 편견을 준다. 하지만 오히려 그런 사람들일수록 이 자료 해석 유형의 존재를 망각하고 시험을 망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생명과학에서 '흥분 전도' 같은 내용은 개념 자체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가르치는 수준으로는) 쉬운 내용이지만, 수능에서는 그래프, 그림, 막전위 수치 표, 전도 속도 등을 엮어가며 주기 때문에, 그 '쉽다'라는 게 무의미해진다. 이는 학습자가 흥분 전도에 대한 개념 이해력이 부족하기보단 표나 자료 등을 눈치껏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하고 정리하는 능력에 뒤떨어지거나 익숙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결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가 바로 생명과학에 대한 지식이 베테랑 급이라고 정평난 현직 의사들을 대상으로 생명과학Ⅱ 시험을 치르게 하였으나 대부분이 반타작은커녕 50점 만점에 5~10점을 맞은 것. ( '현직 의사에게 2020 수능을 풀게 하였다.' 영상 참조)[참고][11][12] 짧은 시간 내 자료해석능력이나 문제 풀이 센스 등이 약하다면, 아무리 본인이 과학고등학교, 영재학교 학생이거나 올림피아드 수상자라 할지라도 1등급은 고사하고 3등급조차 장담할 수 없다.
따라서 자료 해석 유형에 특화되는 연습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자료 해석 유형으로 도배를 시켜놓은 대표적인 선택 과목이 앞서 언급한 생명과학Ⅱ다. 응시자 표본 수준이 점점 상승함에 따라 평가원에선 점점 복잡하고 어려운 퍼즐 유형을 출제하고 있다.[13]
수능 내외로 불만을 많이 갖는 유형이지만 이러한 자료해석 능력은 업무 습득 효율과 학업 효율 혹은 지능과 직결된다.[14][15] 그래서 대기업 GSAT 같은 걸 괜히 시행하는 게 아니다. 잔 업무에서도 차트 해석에 대해 빠르게 감을 못잡거나 불필요한 정보를 제 때 걸러내지 못하면 단순직이 아닌 이상 어느 직장에 들어가도 적응하기 힘들다. 대학교 4학년 취업 시즌 가서 고생하지 말고 미리 수험생 때 이 센스를 터득하는 것도 장기적으로 크나큰 '수'가 될 수 있다. 수능을 못 보면 자격증 시험은 잘 볼 수 있을진 몰라도 각종 고시, PSAT, 공무원 시험 등에서는 크게 고전한다는 말이 괜히 있는 게 아니다. 하지만 현재 수능 과학탐구 영역은 도가 지나칠 정도로 자료 해석 수준을 급상승시키는 식으로 변별력을 확보하고 있는 실정이다.[16] 그런데 이러한 출제로 인해 오히려 대학 공부와 괴리되는 결과를 낳아버렸다.
3.2.2. 논리(수리추론)
일반적인 초, 중, 고등학교 수준( 수학[17], 수학Ⅰ[18], 수학Ⅱ / 미적분[19], 확률과 통계[20], 기하[21])의 수학 수준의 기초적인 연산을 묻는다. 단순한 연산 위주의 수학이라고 해서 얕보면 안 된다. 눈치가 없거나 빠르고 정확한 연산 연습이 안 되어있다면 상당히 약할 수 있다. 대개 단독으로 출제될 경우 매우 어렵게 나오며 3~4페이지에 등장한다.비례 관계(분수 관계)를 묻는 게 과학탐구 8개 과목 공통이지만, 이 경우엔 수리 추론 단독으로 나오는 경우는 많지 않고 자료 해석 문항과 함께 ㄱ, ㄴ, ㄷ의 선지로 엮는 경우가 많다. 단독 수리 추론의 단골 유형은 각 과학탐구 선택과목마다 다 다르다. 아래 나열된 내용은 시험 문제에서 쓰는 스킬이지 교과서, 개념서 등에 등장하는 내용 위주가 아니다.
다만, 물리학Ⅱ의 경우에는 삼각함수 및 합성함수의 미분,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등 고급 수학적 표기가 수능 연계교재인 수능특강에 직접 등장한다.[22] 다른 과학탐구 7개 과목 교과서에서는 억지로라도 수학적 서술을 피하려는 모습을 보이지만, 수리적 추론을 요구하는 물리학Ⅱ에서는 어쩔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특히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만 해도 미적분을 모르면 개념을 이해할 수가 없는 내용들(단진동, RLC회로)이 교과 전반에 분포하고 있어 물2 응시생의 미적분 공부는 사실상 필수였지만[23]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오면서 유도하면서 미적분을 쓰는 내용들이 거의 모두 사라졌기 때문에[24]현재는 출제될 여지가 없다.[25]
<colbgcolor=#293893> 과목 | 내용 |
물리학 |
변수 대입(Ⅰ/Ⅱ), 변수 정리(Ⅰ/Ⅱ), 상수간의 곱셈과 나눗셈(Ⅰ/Ⅱ), 분수의 계산(Ⅰ/Ⅱ),
제곱근(Ⅰ/Ⅱ), 다항함수의 미분법(Ⅰ/Ⅱ[26]), 일차방정식(Ⅰ/Ⅱ), 연립방정식(Ⅱ), 이차방정식(Ⅱ[A]), 인수분해(Ⅱ[A]), 삼각형의 넓이(Ⅰ/Ⅱ[B]), 피타고라스의 정리(Ⅰ/Ⅱ), 삼각비(Ⅰ/Ⅱ[B]), 삼각함수(Ⅱ[B]), 삼각함수의 덧셈정리(Ⅱ[32][33]), 삼각함수의 미분(Ⅱ[34]), 합성함수의 미분(Ⅱ[35][36]), 삼각함수의 근사(Ⅱ[37]), 벡터합성(Ⅱ[B][39]) |
화학 |
변수 대입(Ⅰ/Ⅱ), 변수 정리(Ⅰ/Ⅱ), 상수간의 곱셈과 나눗셈(Ⅰ/Ⅱ), 분수의 계산(Ⅰ/Ⅱ),
제곱근(Ⅰ/Ⅱ),
곱셈공식(Ⅰ[40]/Ⅱ), 일차방정식(Ⅰ/Ⅱ), 연립방정식(Ⅰ/Ⅱ), 이차방정식(Ⅱ), 삼차방정식(Ⅱ[41]), 인수분해(Ⅱ), 지수(Ⅰ/Ⅱ[D]), 지수함수(Ⅱ[D]), 로그(Ⅰ[C]/Ⅱ[C]), 상용로그(Ⅰ[C]/Ⅱ[C]), 로그함수(Ⅱ) |
생명과학 | 분수의 계산(Ⅰ/Ⅱ), 확률(Ⅰ/Ⅱ), 경우의 수(Ⅰ/Ⅱ), 연립방정식(Ⅱ[48]), 이차방정식(Ⅱ[E]), 곱셈공식(Ⅱ[E]), 인수분해(Ⅱ[E]) |
지구과학 |
변수 대입(Ⅰ/Ⅱ), 변수 정리(Ⅰ/Ⅱ), 상수간의 곱셈과 나눗셈(Ⅰ/Ⅱ),
제곱근(Ⅰ/Ⅱ), 벡터합성(Ⅱ[52]), 3차원 공간추론(Ⅱ[53]), 삼각비(Ⅰ/Ⅱ), 삼각함수(Ⅱ), 지수(Ⅰ/Ⅱ), 지수함수(Ⅰ[54]/Ⅱ), 로그(Ⅰ[F]/Ⅱ[F]), 상용로그(Ⅰ[F]/Ⅱ[F]), 로그함수(Ⅱ) |
보시다시피 과학탐구 1과목 중 두 개를 선택해서 보는 대부분의 입장에선 교과 내용에서 복잡한 미분법이나 적분법 같은 고2, 고3 수학을 절대 쓰지 않는다.[59] 설상 쓰더라도 지수와 로그, 상용로그 등 간단한 개념이다. 이건 한국교육과정 출제 방침상 수학 수준을 고1 수학인 수학과 고2 수학인 수학Ⅰ에 맥시멈으로 두는 게 불문율이기 때문이다.[60][61] 그러므로 고2 수학까지만 잘하면 대부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반대로 하위 학년 수학이 부족했던 사람은 대거 나가떨어지는 파트이다.
정형화된 풀이를 벗어나 흔히 '스킬'이라고 하는 것들에는 내분점, 외분점, 산술기하평균부등식 등도 쓰이긴 한다.[62] 이런 건 출제자가 의도한 건 아니고 입시 커뮤니티 학생들이나 학원에서 퍼진 연구법이다. 특히 대학 수준의 풀이를 동원하여 푸는 입시 커뮤니티 학생들도 많다. 그러나 이런 것에 압도되어 겁먹을 필요는 없다. 그렇게 심층 수학 개념을 추가로 공부할 바에 차라리 주어진 걸 하는 게 더 시간 절약이다.[63] 오히려 딴 거 하다가 수험을 망치는 후기가 이따금 올라온다.
물리학의 역학 파트[64], 화학의 양적 관계, 중화 반응, 화학 평형, 반응 속도, 생명과학의 유전 파트, 유전적 평형 파트(하디 바인베르크 법칙), 지구과학의 유체지구 파트와 천문 파트에서 빈번하게 등장한다. 어떤 느낌인지 파악하기 힘들다면 그냥 화학Ⅱ 문제지를 보고 오면 된다. '수학 다형'[65][66]이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매년 문제지를 수리 추론으로 도배해놓는다.
4. 과목 선택 기준의 여러 가지 유형
선택 과목에 대한 선택의 기준은 학생마다 다르다.[67] 입시 관련 언론사나 유튜브에서 나오는 '수능 과탐 고르는 방법'[68]이라고 소개되는 내용들은 보통 수험생들이 다 아는 내용이기도 하고, 성적 결과에 따라서만 정보를 전달할 뿐이지 해소책은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자신에게 맞는 유형의 착오가 뭔지 잘 점검해보고 골라야 할 것이다.4.1. 학문적인 성향 혹은 호기심
인터스텔라 같은 SF 영화를 보고 물리학이나 지구과학[69]을 하고 싶다든가, 실험실에서 흰 가운을 갖고 여러 포션을 섞고 탐구하는 일을 하고 싶어서 화학이나 생명과학을 하고 싶다든가 등을 일컫는다. 하지만 문제 유형 파트에서도 언급했다시피 이 유형에 강하게 해당된다면 반드시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 수능 과학탐구 영역은 그냥 교과적성시험에 불과하지, 당신에게 면접형으로 그 내용을 잘 설명할 수 있는지에 대해선 궁금해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먼저 본인의 적성이 자료해석형인지 수리추론형인지, 자격고사형인지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물리학Ⅰ: 수리추론형(논리적 사고) >>> 자격고사형 > 자료해석형
- 화학Ⅰ: 자료해석형 > 수리추론형(논리적 사고) > 자격고사형
- 생명과학Ⅰ: 자료해석형 > 자격고사형 > 수리추론형(논리적 사고)
- 지구과학Ⅰ: 자료해석형 > 자격고사형 = 수리추론형(논리적 사고)
- 물리학Ⅱ: 수리추론형(논리적 사고) >>> 자격고사형 = 자료해석형
- 화학Ⅱ: 수리추론형(논리적 사고) >> 자료해석형 = 자격고사형
- 생명과학Ⅱ: 자료해석형 > 수리추론형(논리적 사고) > 자격고사형
-
지구과학Ⅱ: 수리추론형(논리적 사고) > 자료해석형 > 자격고사형
(해당 트렌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처음으로 적용된 2021학년도 6월 평가원 모의평가부터 2022학년도 수능까지를 기준으로 리뉴얼한 것이다.)
상기한 각 과목에 나오는 적성검사 유형들의 비중을 잘 고려해보고, 각 유형에 특화되어 있는 부분이 있는 기준으로 고르도록 한다.
자료해석엔 쥐약이지만 변수나 관계식 정리, 추상적 사고(논리적 사고)에 강하면 물리학을 선택하고, 수리적 능력이 부족하지만 어떠한 자료 해석 추론 영역이 나와도 다 맞힐 수 있을 정도로 긴 지문 속에 주어진 복잡한 상황과 수많은 정보를 파악하고 정확히 활용하는 능력이 뛰어나다면 생명과학을 택하면 된다.
또 수치를 이용한 계산 추론이나 그래프, 표, 미지수를 활용하는 등 수리적 계산에 자신있다면 화학을 고르면 된다. 마지막으로 대수에는 약하지만 벡터와 공간도형과 같은 공간기하에 강하면서[70] 자료해석의 덫에 실족사하지 않을 자신이 있다면 지구과학을 선택하면 된다.[71]
심지어 이 비중들은 Ⅰ과 Ⅱ 간에서도 차이가 난다. 화학을 좋아하지만 자료 해석에 약한 학생들[72]은 화학Ⅰ보다 화학Ⅱ에 뛰어들어 의외로 고득점을 쟁취하는 경우도 있다.[73] 또한 지구과학Ⅰ이 만만하다고 지구과학Ⅱ도 만만하다 생각하고 덤벼들다 에크만 수송과 전향력, 천구좌표계, 케플러에 썰리고 5등급으로 주저앉는 자들이 부지기수다. 지구과학Ⅱ는 사실상 지구과학이라는 껍데기를 쓴 물리 과목이며, 몇년 전부터는 서울대 지망생들(특히 공대 지망생)의 사랑을 받게 되어 수능 시험 문제도 물리 문제로 도배되어 있는 수준이다. 또 생명과학Ⅰ과 생명과학Ⅱ는 암기량과 개념의 깊이에서 큰 차이가 있고, 겹치는 내용이 사실상 없으며 킬러인 자료해석 유형의 스타일도 꽤 다르다.[74]
4.1.1. 단순 교과 수준 · 성적 결과
수능 탐구 영역 선택과목 최대 상한선이 2개 과목으로 축소된 이후 현재 수능 과학탐구 영역에서는 그 내용이 쉽든 어렵든 소재만 활용할 뿐 1~9등급을 나누어야만 하는 30분 타임어택이어서 크게 의미는 없다. 교과 내용이 가벼워졌어도 킬러 유형에서 더욱 어렵게 출제해버리면 끝이다. 실제 2009 개정 교육과정 마지막 시험이었던 2020 수능에서도 그 지구과학Ⅰ으로도 1등급 컷을 42점으로 급락시킨 악랄한 전례도 있다.[75]본인이 현재 고등학교 2학년 이과 재학생인데 수능 과학탐구 영역의 선택과목 중에서 어떤 과목을 상대적으로 더 어려워 하는지 잘 모르는 경우에는, 본인 점수가 정직하게 찍힌 고2 9월 교육청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표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76]
이 비교 지표는 내신 성적 결과보다는 전국연합학력평가(모의고사) 성적 기준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고2 교육청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 영역 문제는 고3 교육청 전국연합학력평가나 고3 6월 및 9월 평가원 모의평가, 수능에 비해 자료해석의 깊이나 계산의 복잡성, 묻고 있는 개념의 깊이 등 여러 측면에서 터무니없이 쉽게 나온다. 그래서 고1, 고2는 교육청 모의고사 보단 사설 모의고사 혹은 평가원 모의고사를 풀어보는 게 제일 수능과 근접하다. [77]
물론 2학년 학평이 아무런 의미가 없냐 하면 또 그건 아닌데, 수능과 비슷한 환경에서 그 문제를. 풀 수 있을지 본다는 시각에선 의미있을수도 있다.
수능에서 과학탐구 영역을 1등급 맞을 수준의 학생이면 보통 고2 교육청 전국연합학력평가는 10분 이내로 풀 수 있을 정도이다.[78] 그래도 교육청 전국연합학력평가는 수능이나 모의평가의 형식이나 경향성을 반영하는 데 반해, 내신은 학교마다 차이는 있지만 보통은 시험 문제 유형이나 구조 자체가 통상적인 과학 시험에 훨씬 더 가까워 수능 과학탐구 영역의 경향성과는 거리가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내신 성적은 지필고사 외에 수행평가 같은 비교과가 합산된 성적이기 때문에 더욱 상황이 다르다. 이것도 학교 마다 다르지만 어떤 학교가 물리학Ⅰ의 내신 등급 중 60%를 수행 평가에, 40%를 지필 평가로 점수를 매긴다면 더더욱 수능과 거리가 있나. 물론 '난 물리, 화학 내신은 1등급인데 생명과학, 지구과학은 4등급이야' 이런 식으로 극단적으로 갈려서 본인의 과목 자체에 대한 흥미나 지식 정도를 쉽게 파악 가능하다면 또 모를까. 본인이 현재 고등학교 이과 재학생일 경우 제일 좋은 방법은 내신대비 기간과 고2 여름방학 기간때 본인이 고2때 내신으로 선택한 과학탐구 영역의 선택과목과 관련된 수능 및 6,9월 평가원 모의평가 기출문제를 풀어보면서 미리 내신대비도 할 겸 수능 과학탐구 영역의 각 선택과목의 수능식 스타일을 익혀보는 것이다. 이렇게 감각을 쌓아놓으면 이후 수능 대비에도 도움이 된다.
4.2. 표준점수나 백분위에서의 유불리성
비록 큰 틀에서 보면 같은 탐구 영역이기는 하지만 전통적으로 문과 정시에서 사회탐구 영역의 반영 비율이 국어 영역이나 수학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낮은 것에 비해 이과 정시에서 과학탐구 영역을 반영하는 비율은 수학 영역에 필적할 정도이며 국어 영역보다도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경우가 있다. 특히 2018 수능 이후 영어 영역이 절대평가화되면서 과학탐구 영역의 중요성은 더 커졌다. 일단 이전 교육과정 기준으로 보았을 때는 생명과학Ⅰ과 지구과학Ⅰ이 표준점수 따기 유리하였고, 중하위권 학생들이 상위권으로 올라가는 데 상대적으로 적은 수고가 들었던 것은 사실이다. 다만, 생명과학Ⅰ은 2~3등급까지 수월할 진 몰라도 과목의 특성 상 준킬러~킬러 문항이 많은 과목인지라 중위권들이 2~3등급으로 (수시의) 수능최저등급만 노리기에 적합한 과목이라는 것이지 정시에서 무조건 이득을 볼 수 있는 과목은 아니다. 오히려 이런 점이라면 물리학Ⅰ이 어렵다는 인식과는 다르게 의외로 더 정직하게 나오는 편. 따라서 1~2등급을 노리고 싶고 그에 따른 실력이 된다면 생명과학Ⅰ 대신 물리학Ⅰ에 도전하는 것을 고려해보는 것도 좋다.시험이 어렵게 나오다가 쉽게 나오는 경우도 간과할 수 없다.[79] 이런 경우에는 표준점수, 만점 백분위가 급락하는 사례가 발생한다. 특히 이런 점에선 투과목은 중위권이 거의 없고 수능에서는 하위권도 많이 사라지기 때문에[80] 공부를 열심히 한 응시자들 기준으로는 오히려 시험이 어렵게 나오기를 바라야 할 정도이다. 이유는 그 과목으로 인해 다른 과목간의 상대 점수 피해가 발생해버리기 때문이다.[81] 특히 Ⅱ과목을 필수로 지정해버린 서울대, 카이스트 지망생들은 이런 문제에 예민해 한다.
반대로 시험이 늘 평이하게 나왔다가 갑자기 어려워지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수능은 오답 감점제가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중하위권-하위권은 찍기 싸움으로 희비가 갈려 변별이 제대로 안 되며, 최상위권만 높은 표준점수를 독식하게 된다. 상위권, 최상위권 학생들이 생명과학Ⅰ을 선택하는 이유도 시험이 언제나 어렵게 출제되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선택과목제는 어느 하나가 유리하거나 안정하다고 말할 수 없는 복불복 시스템이다.[82] 결과를 갖고 파악하는 것이 옳지, 앞날을 예측하는 점쟁이가 아닌 이상 유불리는 확단하기 어렵다. 참고로 2020학년도 수능에서는 2019학년도 수능때까지만 하더라도 안정적인 과목으로 여겨졌던 지구과학Ⅰ까지 뒷통수를 치게 됨으로써 이제는 과학탐구 8개 과목 모두 이 논쟁에서 자유로울 수 없게 되었다.
4.3. 대학생활, 전공을 고려
(어차피 확통 미적 기하 이 세 과목 다 대학 가서 언젠가는 다 씁니다.) 그래도 대학 가서 (미적분을 대학에서 많이 쓴다니까) 조금이라도 더 도움 될려고 미적분 했는데
그럼 너 과학 선택은 분명히 지구과학이랑 생명과학 했지? 이거 대학 가서 쓸 거 같아요? 안 써요![83][84]
전혀 의미가 없어. 너네 이거 해봤자 어차피 대학가서 쓸 일이 대부분은 없거든? 모든 베이스는 물리랑 화학이야. 근데 어차피 이 두 과목 학생들이 어렵다고 해서 잘 안 하니까 대학 가서 도움 되는 게 아니고 내가 잘 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전략적으로 이렇게 선택했으면 수학도 마찬가지지. 이 세 개 중에 니가 잘할 수 있을 것 같은걸 하는거지. 일단 대학을 먼저 가시고요.
현우진 #
현우진 #
일단 대학을 가는 것이 우선이긴 하지만, 그 이후까지 고려하면 좀 더 자기가 진학하고자하는 학과 특성에 맞게 학업을 투자하는 것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특히 다른 단과대학이면 몰라도 공과대학 진학할 학생이라면 물리학Ⅰ 또는 물리학Ⅱ에 응시할 것을 추천한다.[85] 공대에서는 물리가 필요 없는 컴퓨터학과여도 다른학과와 형평성을 맞추기위해 물리수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학과 특성상 수학이 많이 쓰이는데, 수학과 물리는 많은 면에서 비슷하므로 공부하기도 비교적 쉽다. 하지만 별도로 독립되어있는 정보대로 진학할경우 대부분 물리가 필요 없다.
대부분의 공과대학에서는 학년을 거듭할수록 세부 학문에 들어가는데, 이때 물리학 관련 지식이나 메커니즘을 응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굳이 공과대학에 한정 짓지 아니하더라도 자연과학대학, 소수 의과대학, 정보대학에서도 1학년 때 일반물리학을 교양 필수로 걸어놓는 학교가 대다수이므로 결코 과장된 말이 아니다. 특히 물리학은 위에서 언급한 '자격고사형'으로 대학에서 공부하다간 그대로 학점이 털리는 참사가 발생하므로, 고등학교 때 바로 잡는 게 훨씬 나을 수도 있다. 그 이유는 공대에서 요구하는 사고력은 수능 물리학 기준 킬러 유형의 메커니즘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86]
고등학교 때 수능 물리학을 공부함을 통해 물리학적 사고력과 통찰력, 안목을 기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공대와 물상과학에서 다루는 학문의 기초와 기본은 물리학이다.
4.3.1. 대학 진학 후의 연관성
대학교 각 학과의 전공 커리큘럼과도 상관이 있다. 입학 전 준비해두는 게 도움이 될 것이다. 아래는 간략히 표로 정리해둔 것이다.물리학[★] | 물리학과, 물리교육과, 기계공학과( 농업기계공학과, 항공우주공학과 포함), 전자공학과, 전기공학과, 토목공학과( 농업토목공학과 포함), 건축학과, 건축공학과, 해군사관학교, 공군사관학교 | |||
+ 화학 | 화학과, 화학교육과, 재료공학과, 화학공학과, 원자력공학과 (중요도: 화학>=물리학[88]) | |||
+ 생명과학 | 식품공학과, 산림가공학과, 생명공학, 조경학과, 방사선학과, 의공학과 (중요도: 생명과학 > 화학 > 물리학) | |||
+ 지구과학[89] | 지질학과, 대기과학과, 해양학과, 자원공학과, 조선공학과, 지구과학교육과 (중요도: 지구과학 > 물리학 = 화학) | |||
+ 지구과학 | 천문학과 (중요도: 물리학 > 지구과학[90]) | |||
화학 + 생명과학 | 생명과학과( 생화학과, 분자생물학과, 미생물학과, 농생물학과 포함), 생물교육과, 농화학과, 작물원예학과, 축산학과, 산림자원학과, 농업교육과, 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 수의대, 간호학과, 치기공과, 치위생과, 임상병리학과, 응급구조학과, 한약학과, 식품영양학과 (중요도: 생명과학 > 화학) | |||
4영역 전부 얕게 연관있음 (기초 수준) |
환경공학, 도시공학, 공통 과학교육과 (중학교, 고등학교 수준만 익혀도 4학년 내내 무리 없음) | |||
4영역 전부 연관없음 | 산업공학과, 컴퓨터공학과[91], 교통공학과, 수학과, 통계학과, 수학교육과, 인문사회계에서 더 많이 뽑지만 자연계도 지원 가능한 모집단위[92] |
4.4. Ⅰ과목을 이수하지 않고 Ⅱ과목을 이수할 수 있는가?
매년 과목 선택 시즌만 되면 적지 않게 나오는 질문인데, 결론은 과목마다 다르다.사탐의 경우라면 생활과 윤리를 이수하지 않고도 윤리와 사상을 이수할 수 있다는 점.
하지만, 과탐은 다르다.
- 물리학 계열은 당신이 Ⅰ과목을 이수하지 않고 물리Ⅱ를 하고자 한다면 당장 물Ⅰ부터 하고 오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2015 개정 교육과정 들어 좀 부담이 줄어들긴 했다지만 그래도 물리학은 기초가 탄탄히 되어 있지 않으면 진입장벽이 매우 높은 학문이다. 1단원 역학은 무조건 전부 다 이수해야 하고 2단원은 점전하, p-n 접합 다이오드, 전자기유도를 3단원은 파동 빼고는 별 필요 없다. 다만 고전역학 파트에서 돌림힘과 포물선 운동, 원운동은 1차원 운동에 대한 학습이 기본적으로 되어있다는 가정하에 논의를 시작한다.[93]
-
화학 계열은 화학Ⅰ에서 아래와 같은 기초적인 내용 정도만 듣고 와도 좋다.
1단원. 화학의 첫걸음 - 화학식량와 몰, 화학 반응식, 몰 농도, 용액의 농도
4단원. 역동적인 화학반응 - 중화 반응의 양적 관계와 산 염기, 산화 및 환원, 물의 자동 이온화와 물의 이온화 상수(pH, pOH)
다만, 기출문제 풀이는 할 필요가 없는데, 화학Ⅰ은 이러한 기초적인 내용을 무진장 꼬아서 퍼즐 문제를 낸다면, 화학Ⅱ는 이러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실제 대학에서 할 법한 복잡한 계산과 추론을 시키기 때문에 두 과목의 성격이 크게 다르기 때문이다. 다른 부분은 화Ⅱ 올라와서 새로 학습해도 크게 문제가 없다. - 생명과학 계열은 생명과학Ⅰ 학습이 전혀 필요하지 않다. 애초에 생Ⅰ, 생Ⅱ는 일반생물학을 두 부분으로 떼어서 그나마 쉽고 익숙한 부분을 생Ⅰ, 그렇지 않은 부분 중 고등학교에서 다루기 적합한 내용들을 생Ⅱ에 넣은 구성이기 때문에 겹치는 파트가 거의 없다.[94] 그리고 생명과학Ⅰ의 내용이 일부 나온다 하더라도, 그건 중학교 과학에도 있는 개념이거나 문제 풀이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이다. 때문에 만일 생명과학Ⅱ를 이수할 학생이라면 생Ⅰ은 거들떠도 보지 않고 생Ⅱ를 공부해도 좋다. 참고로 생Ⅰ 보다는 차라리 화학Ⅰ, 화학Ⅱ[95]가 생명과학Ⅱ와 더 연관 있다.
- 지구과학 계열은 역시나 거의 필요하지 않지만, 지구과학Ⅱ가 본격적인 지구과학에 대한 논의를 하는 교과라면 지구과학Ⅰ은 그 기초입문서 비슷한 느낌이기에 지Ⅱ를 듣는 데 지Ⅰ을 하지 않으면 특히 천문 파트에서 진입장벽이 생길 수 있다. 특히, 지Ⅱ의 적도좌표계, 지평좌표계와 행성의 운동 등은 지Ⅰ을 이수하고 왔더라도 머리가 깨지는 파트인만큼, 이들의 기초가 되는 H-R도와 별의 진화 과정 등은 미리 이수하고 오는 것을 추천한다. 이외에 고체지구의 경우 지Ⅰ, 지Ⅱ 모두 암기만 열심히 하면 되는 파트이기에 지Ⅰ을 하지 않았더라도 Ⅱ 와서 열심히 외우면 되고, 대기해양 파트의 경우 지Ⅰ은 사회(...)교과 처럼 가르치는데 비해 지Ⅱ는 훨씬 정량적 접근을 지향하므로 성격도 맞지 않고 내용도 거의 겹치지 않는다. 참고로 지Ⅰ 만큼 기하, 물리학Ⅰ, 물리학Ⅱ[96][97][98]도 지구과학Ⅱ와 연관 있다. 지구과학Ⅱ 자체가 물화생에 못 미치는 분량을 채우기 위해 지나치게 심화된 내용까지 끌어온, 대부분의 학과에서 하등 쓸모 없는 억지 교과이니 당연한 것이긴 하다.
이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물리학Ⅱ: 물리학Ⅰ 웬만해선 필수 이수 권장, 최소 1단원은 완벽히 이해하고 오는 것 필수.
- 화학Ⅱ: 화학Ⅰ의 1단원, 4단원 이수 권장, 3단원은 이수하고 오면 좋지만 하지 않아도 크게 상관 없음, 2단원은 거의 필요하지 않음.
- 생명과학Ⅱ: 생명과학Ⅰ의 학습 필요하지 않음
- 지구과학Ⅱ: 지구과학Ⅰ의 5,6단원 이수 권장[99], 1,2단원은 이수하고 오면 좋지만 하지 않아도 크게 상관 없음.
4.5. 과목 선택에 대한 종합적인 결론
수능 과학탐구 영역은 경제를 제외한 나머지 사회탐구 8개 과목과 다르게 개념에 대한 완벽한 이해 및 암기와 어느정도의 자료해석 능력만으로는 2등급 이상의 고득점이 불가능하다. 즉, 개념만 철저히 공부하고 문제풀이 스킬과 타임어택에 대한 상당한 훈련을 하지 않은채 문제만 풀면 실제 수능에서 3등급 이상을 맞기 어려우며, 3등급 이상은 일부 문제풀이에만 익숙해져 오개념을 가지게 된 수험생들을 제외하면 개념-기본 문풀 능력을 완벽히 갖춘 것은 물론 문제풀이 스킬과 타임어택에 대한 훈련을 많이 한 수험생들이다. 쉽게 말해 3등급까지는 시간만 무한히 주면 킬러 문제를 제외한 모든 문제를 다 풀고 킬러 문제까지 건드릴 수 있는 것이다.[100][101] 수능 과학탐구 8개 과목 전부 어렵게 낸다고 하면 한도 끝도 없이 어렵게 낼 수 있으며,[102] 2014학년도 수능을 기점으로 해서 점차 과학탐구 영역의 수준은 전반적으로 정체되거나 상승하고 있다. 또한 사회탐구 영역에 비해 수능 문제의 전반적인 난이도와 응시자 표본 평균 수준이 상당히 높다.대체로 이과만 보기 때문에 응시자 표본 평균 수준이 굉장히 높고 특히 화학Ⅰ, 과학탐구 투과목들의 경우 더욱 심각하다. 특히 가나형 폐지 이후 과탐 표본은 가형 수학에 필적할 정도로 극악해지고 있다. 또한, 수능 사회탐구 영역 중에서 악명높은 킬러 유형인 정치와 법의 선거 문제와 사회 문화의 표 문제조차도 수능 과학탐구 Ⅰ과목의 킬러 유형인 물리학Ⅰ의 역학적 에너지 보존, 전기, 화학Ⅰ의 양적관계, 중화반응, 생명과학Ⅰ의 흥분의 전도, 유전 파트 등과 난이도 차이가 매우 크다. 이러한 표본과 난이도차로 인해, 비교적 공부량에 의하여 점수를 국어 영역, 수학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올리기 쉬운 과목들임에도 불구하고 평소에 국어영역, 수학영역, 영어영역에서 안정적으로 1등급을 달성한 수험생이 과학탐구 영역에서만 2~4등급(예를 들어 11134)이 뜨는 경우가 있을 정도다. 더욱이 수능 과학탐구 영역의 실질적 문제 난이도는 킬러 문항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수능 국어영역과 수능 수학영역보다 낮지만 타임어택으로 학생들을 변별해서 국어, 수학 대비 많은 공부량으로 점수를 올리기 쉽다는 점을 감안하면 기존 문과들까지 표본에 있는 국어 영역, 수학 영역과 달리 이과만 있는 과학탐구 영역은 표본이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수학 영역 가형 시절에는 과학탐구 영역과 비슷했지만 지금은 수학 영역이 통합되어서 가형 4등급이 실질적으로 3등급 초중반 정도로 격상되었기 때문에 공통에서 1등급을 맞아도 과학탐구 영역에서 안정적으로 1등급을 맞는 것이 상당히 어려운 상황이다. 과탐들 중에서 1등급이 그나마 쉬운 물Ⅰ조차도 1등급을 맞는 것이 쉽지 않으며, 화Ⅰ, 2과목은 1등급을 맞는 것이 수능수학 만점-1개에 틀리는 것에 필적할 정도로 매우 어렵다. 게다가 화Ⅰ처럼 상위권이 많은 과목은 1등급 맞을 실력자도 실수 몇 개를 하면 4등급 이하로 떨어지기 십상이다.
현재 수능 과학탐구 영역은 어떻게든 과목당 20문제를 30분 내에 최대한 많이 풀기 위해서 적어도 탐구 두 개를 합쳐 최소한 국어 영역에 필적할 정도의[103]공부량을 소화해야 하며,[104] 특히 수능 과학탐구 투과목의 경우 그 이상의 공부량을 해야 하기 때문에 만약 본인이 중학교 3학년~ 예비고1일 경우 선행학습이 권장된다.[105]
매년마다 난이도/등급컷이 상당히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불안정하기 때문에 '수능 과학탐구 영역에서 이번 년도에 이 과목은 정말 쉽게 나올 것이니 점수를 잘 얻을 수 있다!'라는 소리는 웬만해서 믿지 않는 것이 좋다. 사회탐구 영역에서 현재까지도 생활과 윤리 + 사회 문화 조합이 국민과목 조합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과학탐구 영역은 2020학년도 수능을 기점으로 국민과목 조합이란 개념은 이제 사실상 사라졌다. 한때 수능 과학탐구 영역에서 국민 과목으로 취급받았던 화학Ⅰ + 생명과학Ⅰ 조합[106]도 2014학년도 수능부터 매우 어려워지게 되었고, 2022년 현재 오히려 수능 과학탐구 Ⅰ+Ⅰ 조합 중 가장 어려운 조합이 되었다.
참고로 지구과학Ⅰ은 2013학년도 수능 이전만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화학Ⅰ, 생물Ⅰ보다 응시자 수가 적었다. 그러나 2013학년도 수능을 기점으로 이후 응시자 수가 늘어나기 시작했는데 당시 2014학년도 수능에서 이전까지 생명과학Ⅰ와 함께 국민 과탐 취급을 받았던 화학Ⅰ이 이전과 달리 아이큐 테스트라 불릴정도로 상황 판단 능력을 요구하기 시작하면서 이때부터 과목의 본질에서 벗어날 정도로 급격히 까다로워졌다. 이 덕분에 지구과학Ⅰ의 응시자 수가 더욱 증가했고 결국 2017학년도 9월 평가원 모의평가에서는 기어이 응시자 수에서 화학Ⅰ을 제치고 지구과학Ⅰ이 생명과학Ⅰ과 함께 새로운 국민 과탐 조합으로 주목받게 된다. 그러나 지구과학Ⅰ 역시 2018학년도 6월 평가원 모의평가부터 이전보다 더욱 어려워지게 되었고 마침내 2020학년도에는 6월 평가원 모의평가, 9월 평가원 모의평가, 수능 전부 7차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이래 가장 어렵다고 평가받기에 이른다.
수능 탐구영역 선택과목 상한선을 2개 과목으로 축소함에 따라 수능 과학탐구 영역의 문제 풀이 장벽이 더 높아지기 시작하였고, 완전히 두 개의 과목을 정복해 황제가 된 고인물들이 8개 과목 전체에 포진하기 시작했다. 이렇기 때문에 처음 수능 과학탐구 8개 과목 중에서 2개 과목을 선택할 때, 단순한 호기심이나 난이도/출제 경향/등급컷 혹은 응시자 수 여부나 표준점수및 백분위 유불리 등으로 선택과목을 선택할 것이 아니라, 자신이 목표로 하는 대학 및 학과[107][108][109][110], 본인이 수능 과학탐구 영역의 각 과목에서 요구하는 능력에 적성이 맞는지 여부 등을 기준으로 고려해서 선택해야 한다.[111][112][113][114]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본인이 선택한 과목에 대해 '나도 반드시 고인물 황제가 되어 무조건 이 두 개의 과목을 씹어 먹겠다.' 라는 마인드를 가지고 공부를 해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불안정한 난이도/등급컷에서 나가떨어지기 십상이다.
물론, 고등학교에서 선택하는 선택과목하고 대학교에서 수강을 희망하는 과가 다르다면 반드시 입학 전에 최소한 그 과와 관련된 Ⅰ, Ⅱ과목을 공부해야 하며 이 과정을 마치고 시간이 남는 경우에는 더 나아가서 대학교 수준의 원론적인 내용(일반물리학 등)도 예습하면 괜찮다.
5. 과목 선택에 제한이나 가산점을 거는 학교
- [2020년까지]
- * 2픽으로 줄어든 2013년 입시부터
서울대와
한국과학기술원 서로 다른 분야의 I + II 또는 II + II 조합만 허용한다.
- 연세대학교(서울),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의예과), 울산대학교(의예과), 광주과학기술원은 서로 다른 분야의 과학탐구 2과목을 선택해야 한다. 다만, II 필수는 아니다.
- Ⅱ과목에 대해 광주과학기술원은 가산점 10%,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은 5%[115], 한양대학교(서울)은 3%, 서울과학기술대학교는 Ⅱ과목 취득 순표점의 3%를 가산으로 부여한다.
- 한국교원대의 경우 물리/화학/생물/지구과학교육과에 지원하고, 그 학과에 해당하는 동일계 I+II를 응시하면 백분위 10%, 수학/기술/환경/컴퓨터교육과의 경우 과학탐구 응시시 과목별로 백분위 10% 가산 부여한다.
- 의치대에도 가산점을 부여한 대학들이 있는데, 단국대(천안) 의/치/약 한정 Ⅱ백분위의 5% 가산, 동국대(경주) 의대 한정 Ⅱ순표점의 5% 가산, 동아대 의대 한정 화II or 생II 응시 시 표준점수에 3점을 가산한다.
- 2021년부터 약대가 다시 복귀하면서 가산점이나 제한을 거는 대학이 증가하였다.
- [2021년부터]
- * 2021년 입시에서
고려대(서울)[116],
이화여대[117],
중앙대[118],
서강대[119],
성균관대[120]가 현재
연세대학교처럼 서로 같은 분야의 I + II 분야에 응시하면 지원 자격이 박탈된다. 단, 서울대와 카이스트의 지원 조건인 서로 다른 분야의 I + II 조합은 여전히 가능하다. 다만, 각주에 나와 있듯이 모집계열과 수시/정시에 따라 대학별로 동일계 제한의 여부가 달라지므로 지원시 확인이 필요하다.
참고
- 가톨릭관동대의 경우 21년부터 의학과 인문정시와 자연정시를 통합하며[121] 수학과 탐구의 과목제한을 전면 폐지하였다. 대신, 간호대와 공통사항으로 과학탐구 두 과목 선택 시 두 과목 평균 백분위의 5% 가산, 의대 한정으로 두 과목 중 화II 또는 생II가 있을 경우 두 과목 평균 백분위의 7% 가산이다. 그러면서 간호대에 있었던 수학(가)형 백분위 10% 가산은 폐지되었다.
- 강원대학교의 경우 20년부터 의예과 수시, 21년부터 의예과와 수의예과의 수시 최저학력기준에 한해 동일계열 I + II 응시를 제한하였다.
- 경상대학교의 경우 21년부터 약대 한정으로 지구과학 I / II 응시자를 받지 않는다고 공지했다. 단, 입학처 확인 결과 수시최저는 21년부터 일괄적으로 1과목만 적용되는 것으로 변경되며 지구과학이 아닌 다른 과학탐구 1과목으로 3합 6을 맞출 수 있으면 최저를 맞춘 것으로 인정된다... 라고 했는데, 정식 모집요강에선 그 내용이 수정되어 빠져있었다. 의대 한정 II 필수는 1년이라도 유지했는데 파장을 예상한 듯. 이와 동시에 자연계열 정시에서 I + I을 볼 경우 2과목 평균 표준점수의 5% 가산, I + II or II + II를 볼 경우 2과목 평균 표준점수의 10%를 가산한다. [122]
- 2021년부터 울산과학기술원의 정시 선발이 시작된다며 모집요강이 기습 발표되었는데, Ⅱ필수 응시를 해야하는데도 Ⅱ에 10% 가산을 부여하였다.
- 2021년부터 동아대 II 가산이 폐지된다.
- [2023년부터]
- * 2023년부터 II 필수가 걸려있는 3개 대학에서 필수가 폐지된다. (서울대, 한국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원) 단, 동일계 금지는 유지된다.
- 서울대의 경우 특정학과 [123]에서 물리I/II, 화학I/II 중 1개 필수제한이 걸리며, II 1개 선택시 3점 (탐구 표준점수 3.75점), 2개 선택시 5점 (탐구 표준점수 6점)의 가산점을 준다. 단, 이 가산점은 1차에 적용되기에 정시종합 보정을 걸면 실질적으로 아무 의미가 없다.
- 대전, 울산과학기술원 공통으로 II를 응시하면 백분위-표준점수 5%를 가산점으로 준다.
6. 과학탐구 영역의 교육과정 별 역사
6.1. 5차, 6차 교육과정
- 5차 교육과정과 6차 교육과정에서는 수리탐구 영역(Ⅱ)이라는 이름 하에 과학탐구와 사회탐구를 한 영역 하에서 필수로 치러졌다.
[5차 교육과정]
과목 | 소개 |
과학Ⅰ | 현재의 생명과학Ⅰ ~ 생명과학Ⅱ 사이의 위치에 있는 생물학 과목과 현재의 지구과학Ⅰ ~ 지구과학Ⅱ 사이의 위치에 있는 지구과학 과목을 합친 구성[124] |
과학Ⅱ | 현재의 물리학Ⅰ ~ 물리학Ⅱ 사이의 위치에 있는 물리학 과목과 현재의 화학Ⅰ ~ 화학Ⅱ 사이의 위치에 있는 화학 과목을 합친 구성[125] |
물리 | 현재의 물리학Ⅱ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과목 |
화학 | 현재의 화학Ⅰ과 화학Ⅱ를 합친 내용과 비슷한 위치에 있는 과목 |
※ 이외에도 자연계열 전용 과목으로 생물, 지구과학 과목이 있었지만, 수능에는 출제되지 않았다.[126]
* 공통 문제 : 과학Ⅰ + 과학Ⅱ
* 계열별 문제(자연계 전용) : 물리 + 화학
* 5차 교육과정 (1993년 수능) : 공통 문제 24문항만 응시.
* 5차 교육과정 (1994, 1995년 수능) : 공통 문제 24문항 24점 + 계열별 문제 (자연계) 12문항 12점
* 5차 교육과정 (1996, 1997년 수능) : 공통 문제 32문항 48점 + 계열별 문제 (자연계) 16문항 24점
5차 교육과정의 과학탐구 영역의 범위는 커다란 스케일을 자랑했다. 계열에 의한 선택을 제외하면 선택과목 제도가 없어서 전 과목이 모두 필수였으며, 특히 물리와 화학의 미칠 듯한 범위와 수준은
수리탐구 영역(Ⅰ)에 버금간다는 평가까지 있었으며 이 당시만 해도 물리 과목에서 정량적인 접근을 지향했기 때문에[127] 자비 없는 계산 문제가 속출했다. 그야말로 대학의 일반과학 시리즈의 예비코스라고 할 수 있었다. 이 때 과학과목의 어려움은 문과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서 인문계열 수험생들도 빛과 물질의 이중성을 배웠고, 반응속도와 평형이동의 법칙이 무엇인지 알고 있었으며, 교차와 연관 등 유전의 법칙에 대하여 공부하고, 태양의 연주운동 및 행성의 운동을 이해했던 시절이었다. 덕분에 문과생 대부분을 아예
물포자, 화포자로 만들어 버렸다. 게다가 이 때는 통합 과목 문제들이 나오던 시절이었고 이런 문제는 관련 과목 중 어느 한 쪽 것만 알고는 풀 수 없으므로 실질적으로는 훨씬 더 어렵게 느껴졌다.* 공통 문제 : 과학Ⅰ + 과학Ⅱ
* 계열별 문제(자연계 전용) : 물리 + 화학
* 5차 교육과정 (1993년 수능) : 공통 문제 24문항만 응시.
* 5차 교육과정 (1994, 1995년 수능) : 공통 문제 24문항 24점 + 계열별 문제 (자연계) 12문항 12점
* 5차 교육과정 (1996, 1997년 수능) : 공통 문제 32문항 48점 + 계열별 문제 (자연계) 16문항 24점
[6차 교육과정]
과목 | 소개 |
공통과학 | 고등학교 1학년 과정에 속해있었으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탐구Ⅰ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의 물리학, 화학, 생물학, 지구과학의 각 25%씩 분할하여 구성한 과목 |
물리Ⅱ | 현재의 물리Ⅰ ~ 물리Ⅱ 사이의 위치에 있는 물리학 과목 |
화학Ⅱ | 현재의 화학Ⅰ ~ 화학Ⅱ 사이의 위치에 있는 화학 과목 |
생물Ⅱ | 현재의 생명과학Ⅰ ~ 생명과학Ⅱ 사이의 위치에 있는 생물학 과목 |
지구과학Ⅱ | 현재의 지구과학Ⅰ ~ 지구과학Ⅱ 사이의 위치에 있는 지구과학 과목 |
※ 이외에도 인문계열 전용 과목으로 물리Ⅰ, 화학Ⅰ, 생물Ⅰ, 지구과학Ⅰ 과목이 있었지만, 수능에는 출제되지 않았다.
- 공통 문제 : 공통 과학
- 계열별 문제(자연계 전용) : 물리/화학/생물/지구과학Ⅱ 4개 과목 중 1개 과목 선택
- 6차 교육과정 (1998~2003년 수능): 공통 문제 32문항 48점 + 계열별 문제(자연계) 16문항 24점.
6차 교육과정으로 넘어 오면서 범위가 대폭 축소되며 선택과목 제도가 생겼다. 문과는 공통과학이라는 한 과목만 공부하면 됐는데, 5차 교육과정에서 문과의 필수 과목이었던 과학Ⅰ, 과학Ⅱ에 비해 수준이 매우 낮았다. 자연계열 학생들 역시 자기가 선택하는 한 과목을 제외하면 나머지 과목은 마음 편하게 인문계열 학생들과 비슷한 수준으로 공부할 수 있었고, 일반적인 학교에서는 과학탐구 Ⅱ과목을 대체로 2~3개 가르쳤기 때문에 공통과학을 더 쉽게 풀 수 있었다. 그리고 자기가 선택한 과학탐구 Ⅱ과목의 공통과학 부분은 사실상 거저먹기. 당시 표준점수는 대체로 물리Ⅱ가 가장 높았고 생물Ⅱ가 가장 낮은 수준이었으나 별 차이는 없었으므로 말 그대로 아주 약간이다.[128]
6.2. 7차/2007 교육과정
-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경우 과학에 적용되지 않았기에 7차 교육과정에 통합 서술한다.
- [7차/2007 교육과정]
- * 한 과목당 20문항 50점이며 30분동안 응시한다.
- 7차 교육과정A (2004~2010년) : 물리Ⅰ/Ⅱ, 화학Ⅰ/Ⅱ, 생물Ⅰ/Ⅱ, 지구과학Ⅰ/Ⅱ 8개 과목 중 최대 4개 과목 선택, Ⅱ과목은 최대 2개 과목까지 응시 가능
- 7차 교육과정B (2011~2012년) : 8개 과목 중 최대 3개 과목 선택
- 7차 교육과정부터는 인문계열은 사회탐구 영역으로 분리되어 과학탐구 영역에 응시하지 않아도 되고, 자연계열 역시 사회 관련 과목을 응시하지 않아도 되었다. 학생들에게 선택권을 준다는 차원에서, 이런 7차 교육과정의 변화의 취지는 이해되는 측면도 있지만, 자연계열 학생들에게는 선택 과목의 편중이 생길 수 있고, 인문계열 학생들에겐 수능을 위해 과학을 따로 공부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 만들어졌기에, 인문계열 학생들의 자연에 대한 이해도가 심하게 떨어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있는 상황이다. 물론 인문계열 학생들도 고1 때 과학을 배우고, 고2~고3 땐 과학 과목 중 2개 과목 가량을 배우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에서 수능에 반영되지 않은 과목은 아무래도 우선 순위에서 밀려나기 마련이었다. 이 때문에 7차 교육과정 이후의 수능 과목 체제가 편식 교육, 절름발이 교육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나마도 이후에 탐구 선택 과목 최대 상한선을 더 줄여버리면서 이 문제는 해결되긴 커녕 더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중이다.
- 대체로 과학탐구 Ⅰ과목 3개 + 과학탐구 Ⅱ과목 1개를 골라서 시험을 치는 게 일반적이었다.[129] 과학탐구 Ⅱ과목 없이 과학탐구 Ⅰ과목 4개만 응시하기도 했으며[130], 간혹 과학탐구 Ⅱ과목 두 개를 응시하는 경우도 가뭄에 콩 나듯 있었다. 당시 과학탐구 영역은 보통 상위 3개 과목만 반영되었으므로[131] 신청은 4개 과목 전부 하되 자신이 없는 과목은 비교적 신경을 덜 쓰고 주력 과목에 올인하는 전략이 가능했다.[132]
- 2011년부터는 수능 탐구영역 선택과목 상한선이 3개로 축소되었으며, Ⅱ과목 선택 제한이 해제되었다.
- 다만 입시에서는 연고대를 비롯한 대부분의 대학이 "과학탐구 영역 3개 과목을 응시하되, 좋은 성적 2개 과목만 반영"하는 식으로 실질적으로는 상위 2개 과목만 반영하는 까닭으로, 7차 교육과정처럼 1개 과목은 그냥 버리는 셈 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133] 물론, 3과목 모두 반영하는 일부 의대, 일부 교대와 셋 다 다른 과목으로 Ⅰ+Ⅰ+Ⅱ 조합으로 해야만 지원이 가능했던 서울대는 예외.
- [응시자 수, 비율 변화]
-
출처(바로 다운되니 주의)
연도 과탐 응시자 수 물리Ⅰ 화학Ⅰ 생물Ⅰ 지구과학Ⅰ 2004-6월 178463 113644(63.68%) 162938(91.3%) 155039(86.87%) 84515(47.36%) 2004-수능 195182 110285(56.50%) 177455(90.9%) 170728(87.47%) 98874(50.66%) 2005-수능 198186 114674(57.86%) 185733(93.7%) 173059(87.32%) 110703(55.86%) 2006-수능 197480 113907(57.68%) 183571(92.96%) 178635(90.46%) 114645(58.05%) 2007-수능 190381 109682(57.61%) 172598(90.66%) 170911(89.77%) 116416(61.15%) 2008-수능 186423 109333(58.65%) 165367(88.7%) 167305(89.74%) 116624(62.56%) 2009-9월 201939 112753(55.83%) 171283(84.82%) 180050(89.16%) 134736(66.72%) 2009-수능 210360 119086(56.61%) 181015(86.05%) 189282(89.98%) 139845(66.48%) 2010-9월 217203 113768(52.38%) 169988(78.26%) 183132(84.31%) 142383(65.55%) 2010-수능 227264 121564(53.49%) 182809(80.44%) 196289(86.37%) 150292(66.13%) 2011-6월 226874 86946 (38.32%) 147079(64.83%) 156213(66.85%) 119780(52.8%) 2011-수능 237589 89002(37.46%) 155577(65.48%) 169331(71.27%) 134194(56.48%) 2012-수능 237185 83404(35.16%) 149712(63.12%) 165728(69.87%) 134702(56.79%) 연도 과탐 응시자 수 물리Ⅱ 화학Ⅱ 생물Ⅱ 지구과학Ⅱ 2004-6월 178463 26766(15%) 82573(46.27%) 57660(32.31%) 14531(8.14%) 2004-수능 195182 25469(13.05%) 79823(40.9%) 65595(33.61%) 17328(8.88%) 2005-수능 198186 21281(10.74%) 81886(41.32%) 65523(33.06%) 16149(8.15%) 2006-수능 197480 18333(9.28%) 75765(38.36%) 69102(35%) 14984(7.59%) 2007-수능 190381 19597(10.3%) 64923(34.1%) 75386(39.6%) 14976(7.87%) 2008-수능 186423 19071(10.23%) 58471(31.36%) 76602(41.1%) 16725(8.97%) 2009-9월 201939 20141(9.97%) 53593(26.54%) 85433(42.31%) 22861(11.32%) 2009-수능 210360 21409(10.18%) 59175(28.13%) 91391(43.44%) 23611(11.22%) 2010-9월 217203 23602(10.87%) 49486(22.78%) 83463(38.43%) 28608(13.17%) 2010-수능 227264 25228(11.1%) 56232(24.74%) 92918(40.88%) 30498(13.42%) 2011-6월 226874 20461(9.02%) 39523(17.42%) 72802(32.09%) 23275(10.26%) 2011-수능 237589 19080(8.03%) 36238(15.25%) 72263(30.42%) 25016(10.53%) 2012-수능 237185 21517(9.07%) 32076(13.52%) 68827(29.02%) 27964(11.79%) - 과학탐구 응시자/전체 응시자 : 2010년 수능 34.8%, 2011-6월 35.1%, 2011-수능 36.6%, 2012-수능 39.2%
- 7차 초기에는 95% 이상, 7차 후기에는 80% 가량이 과학탐구 4과목을 모두 응시하였다.
- 이 시기의 과학탐구 선호도는 7차 초기에는 화I ≒ 생I > 물I ≒ 지I >> 화II ≒ 생II > 물II ≒ 지II였으나, 7차 말기에는 생I ≒ 화I > 지I >> 물I > 생II >> 화II > 지II ≥ 물II로 바뀌었다. 가장 선택자수가 많았던 조합은 화학Ⅰ+생물Ⅰ 고정에 물리Ⅰ+화학Ⅱ(또는 생물Ⅱ) 조합과 지구과학Ⅰ+생물Ⅱ 조합 두 가지였다.
6.3. 2009 개정 교육과정
- 2013~2019년까지 적용되었다. 한 과목당 20문항, 50점이며 30분동안 응시한다.
- 물리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물리Ⅱ, 화학Ⅱ,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Ⅱ 8개 과목 중에서 최대 2개 과목 선택.
- 이전과 달리 수능 탐구영역 선택 과목 최대 상한선이 3개 과목에서 2개 과목으로 축소되었다.
- 2009 개정 교육과정 세대의 학생들부터 '생물' 과목이 '생명과학'으로 개칭되었다. 7차 교육과정에 비해 인간생물학의 비중이 절반 가량으로 축소되었고 유전학의 비중이 늘어났다. (교차가 이때부터 빠졌고, 연관이 이때부터 들어왔다.)
6.3.1. 응시자 수, 비율 추이
- [응시자 수 변화]
- || 연도 || 과탐 응시자 수 ||
물리Ⅰ ||
화학Ⅰ ||
생명과학Ⅰ ||
지구과학Ⅰ ||
2013-수능 235946 52692 136761 137375 78836 2014-수능 230377 52032 135360 139814 84144 2015-수능 230729 50377 123126 142978 103518 2016-수능 243857 56396 119758 147170 133292 2017-수능 244733 57797 99657 149773 156206 2018-6월 240249 58172 88830 141189 147983 2018-9월 240415 58326 86366 147277 158774 2018-수능 242128 58151 87122 151137 164899 2019-수능 212390 54792 73663 128033 148540 연도 과탐 응시자 수 물리Ⅱ 화학Ⅱ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Ⅱ 2013-수능 235946 5758 10200 39676 10442 2014-수능 230377 3953 5453 30933 8898 2015-수능 230729 3479 3936 23405 10443 2016-수능 243857 2902 3603 14283 10084 2017-수능 244733 2839 3340 9140 10424 2018-6월 240249 5900 7132 16704 13022 2018-9월 240415 4734 4554 9975 9500 2018-수능 242128 2925 3153 8493 8083 2019-수능 212390 2738 2934 7190 6656
- [응시자 비율 변화]
- || 응시자 순위 ||||
2014학년도 ||||
2015학년도 ||||
2016학년도 ||||
2017학년도 ||||
2018학년도 ||||
2019학년도 ||||
2020학년도 ||
1위 58.2% 생명과학Ⅰ 60.7% 생명과학Ⅰ 61.8% 생명과학Ⅰ 60.4% 생명과학Ⅰ 63.8% 지구과학Ⅰ 68.1% 지구과학Ⅰ 70.0% 지구과학Ⅰ 2위 58.0% 화학Ⅰ 57.9% 화학Ⅰ 52.8% 화학Ⅰ 54.7% 지구과학Ⅰ 61.2% 생명과학Ⅰ 62.4% 생명과학Ⅰ 60.3% 생명과학Ⅰ 3위 33.4% 지구과학Ⅰ 37.0% 지구과학Ⅰ 45.0% 지구과학Ⅰ 49.1% 화학Ⅰ 40.7% 화학Ⅰ 36.0% 화학Ⅰ 34.7% 화학Ⅰ 4위 22.3% 물리Ⅰ 22.5% 물리Ⅰ 21.9% 물리Ⅰ 23.1% 물리Ⅰ 23.6% 물리Ⅰ 24.0% 물리Ⅰ 25.8% 물리Ⅰ 5위 16.8% 생명과학Ⅱ 13.5% 생명과학Ⅱ 10.3% 생명과학Ⅱ 5.9% 생명과학Ⅱ 4.3% 지구과학Ⅱ 3.5% 생명과학Ⅱ 3.4% 생명과학Ⅱ 6위 4.4% 지구과학Ⅱ 4.0% 지구과학Ⅱ 4.6% 지구과학Ⅱ 4.1% 지구과학Ⅱ 3.7% 생명과학Ⅱ 3.3% 지구과학Ⅱ 3.1% 지구과학Ⅱ 7위 4.3% 화학Ⅱ 2.5% 화학Ⅱ 1.8% 화학Ⅱ 1.5% 화학Ⅱ 1.4% 화학Ⅱ 1.3% 화학Ⅱ 1.4% 화학Ⅱ 8위 2.4% 물리Ⅱ 1.9% 물리Ⅱ 1.7% 물리Ⅱ 1.2% 물리Ⅱ 1.2% 물리Ⅱ 1.2% 물리Ⅱ 1.3% 물리Ⅱ
- 경제를 제외하면[137] 어느 정도 응시자 수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는 사회탐구 영역 과목과는 달리, 과학탐구 Ⅱ과목에 비해 과학탐구 Ⅰ과목이 압도적으로 높은 선택률을 보이고 있다. 각 과목 별로 보자면, 2018학년도 수능 기준 과학탐구 Ⅰ과목과 과학탐구 Ⅱ과목 모두 각각 지구과학-생명과학-화학-물리 순으로 응시자 수가 많다.[138]
- 2015~2017년 수능으로 가면서 점점 응시자 비율이 상승하던 지구과학Ⅰ은 생명과학Ⅰ을 꺾고 1위에 올랐고, 반면에 화학Ⅰ 응시자 비율은 상당히 감소했다. 생명과학Ⅰ의 응시자 비율은 큰 변동이 없다. 이는 화학I에서 이탈한 응시자의 상당수가 지구과학I으로 흡수되었음을 의미하며, 국민 과탐 조합이 화학Ⅰ + 생명과학Ⅰ 조합에서 생명과학Ⅰ + 지구과학Ⅰ 조합으로 바뀐 것이다.
- 한편으로 수능 과학탐구 Ⅱ 과목 응시자 수가 급감한 것도 주목할 만하다. 2013년 수능에서 Ⅱ 과목을 응시한 비율은 총 200% 중(선택과목 2개) 27.9%였다. 그러나 2014년에는 21.9%, 2015년에는 18.4%, 2016년에는 12.7%, 2017년에는 10.6%까지 떨어지더니, 2018년 9.3%, 2019년 9.2%로 한 자리수 응시율을 기록하고 있다.
- 현재 주요 대학 중 과학탐구 Ⅱ 과목 응시를 정시전형 필수 조건으로 둔 학교는 서울대학교와 한국과학기술원 뿐인데, 한국과학기술원은 정시 전형으로 선발하는 인원이 매우 적다. 그래서 서울대학교 정시 전형을 고려 중인 학생이 주로 수능에서 Ⅱ과목을 응시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Ⅱ 과목 응시자의 수준이 올라가게 된다. 평가원은 수능이 상대평가 시험인 만큼 변별을 위해 시험을 점점 어렵게 출제하게 되는데, 그러면 또 본인의 성적으로 서울대학교를 고려하고 있지 않은 학생들은 어려운 Ⅱ과목을 응시하지 않게 된다.
- 이로 인해 수능 과학탐구 Ⅱ 과목 응시자의 수준이 또 다시 올라가는 악순환이 일어나면서 현재의 한 자리수 응시율이 기록되고 있다. 과학탐구 Ⅱ과목을 떠나지 않도록 과학탐구 Ⅱ과목에 대한 중하위권~중상위권 학생들을 위한 구제 정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과거 7차 교육과정 시절의 국사와 같은 현상이 지금은 자연계에서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이에 2023학년도 수능부터 더욱 많은 대학들이 수능 과학탐구 Ⅰ+Ⅱ 조합을 필수화시킨다'''는 의견이 논의되고 있었지만 어느 대학도 손해를 보는 건 싫어하는 건 마찬가지에 백지화되었다. 심지어 2021년부터 경상대 약대 한정으로 지Ⅰ, 지Ⅱ 응시자는 아예 정시 원서를 못넣게 하겠다고 공고했다가 6개월 전에 취소했다.
- 결국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서울대에서 II 필수를 폐지하였다. 대신, 특정학과[139]에 물리I/II or 화학I/II 중 1개 이상을 필수응시 하도록 바꿨다. (사실상 생Ⅰ+지Ⅰ 저격용이자, 지Ⅱ 저격용)
-
기존에 과학탐구 Ⅱ과목의 괴랄한 수준과 표본으로 인해 아무리 공부를 해도 서울대 갈 만큼 성적이 안 나오고 게다가 서울대에 떨어지면 타 대학에서 불리한 환경이 조성되어 안전하게 과학탐구 Ⅰ과목 2개를 선택하고 서울대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 서울대학교가 계속해서 손해를 보자 서울대가 수능 과학탐구 Ⅱ과목 필수 응시를 포기한 것. 그래서인지 Ⅰ+Ⅰ에는 가산이 없고, Ⅰ+Ⅱ에는 3점, Ⅱ+Ⅱ에는 5점의 가산점을 부여한다. (각각 서울대식 탐구표준점수 3.75점, 6점)
정시종합부터 취소할 것이지 - 결국 서울대의 이같은 결정에 수능 과학탐구 Ⅱ과목은 과거 상대평가 시절 아랍어와 같이 로또의 시대로 들어가게 되었다. 아랍어 로또가 결국 2022 수능부터 외국어/한문을 절대평가로 바꿨듯이 로또가 계속되면 수능 과학탐구 Ⅱ과목 절대평가화나 수능 과학탐구 1과목과의 교과 합치기 등의 논의가 일어날 듯하다. 사실 2021 수능부터 과학탐구 Ⅱ과목은 기하와 함께 수능 출제를 제외하기로 했으나 이공계의 강력한 반발에 수능 출제가 계속된 것이긴 하지만. 과학탐구 Ⅱ과목 선택자에 대한 대책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논의되고 있다.
- 예를 들어 인서울~경기도권 대학에서 수능 과학탐구 Ⅱ과목을 응시했을 때 (1,2등급은 변화없음) 3등급이면 2등급으로, 4등급이면 3등급으로 쳐 준다거나 응시자 수가 적은 과학탐구 Ⅱ과목의 경우 7등급제나 5등급제를 시행하는 대안이 있다.[140]
- 많은 대학에서 필수화시키거나 과학탐구 Ⅱ과목은 절대평가 전환이나 과학탐구 Ⅰ과목과 과학탐구 Ⅱ과목 간 밸런스를 대규모 조정해야 할 것이다. 개념 분량과 문제 수준이 정확히 똑같으며 각각 일장일단이 있는 과탐A와 과탐B로 바뀌어야 한단 소리다.
- 또는 과학탐구 Ⅰ과목과 과학탐구 Ⅱ과목에 있는 지나치게 잡다하고 자잘한 내용들과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에 있는 기본적인 개론에 해당하는 내용들을 모두 통합과학으로 내리고 과학탐구 Ⅰ과목과 과학탐구 Ⅱ과목을 합치는게 필요해 보인다. 2017년부터 수능 영어 영역이 절대평가로 전환된데다 2021년부터 EBS 연계를 폐지하고 킬러 갯수를 늘리는 방향으로 출제 기조를 전환시켰고, 수학 영역도 교육과정 개정때마다 교과 개념량이 날로 줄어들고 있고 결국 준킬러 강화로 출제기조를 틀었으며 수능 사회탐구 영역, 수능 과학탐구 영역은 과목마다 차이는 있지만 거의 모든 과목에서 고인물 파티가 진행되고 있어 현재 수능에서 학생들을 변별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 수능 국어 영역이라는 볼멘소리가 잦다. 때문에 수능이 점점 국어 영역에 변별력이 치중되는 기형적인 구조로 변해가고 있다는 비판도 굉장히 많은데 (이렇게 될 경우 국어 영역을 매우 잘하는 사람만 수능에서 유리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과학탐구 Ⅰ과목과 과학탐구 Ⅱ과목을 합쳐 4개 과목 중 3개 과목을 선택하는 효과를 보인다면 과탐에서도 일정부분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지구과학의 경우 Ⅰ과목과 Ⅱ과목이 합쳐지면 상당히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이 되어 학생들이 지구과학만 고집하지 않고 물리학, 화학과 같은 과목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과학탐구 과목 선택의 경우 상위권, 최상위권 학생들을 제외하고는 난이도와는 상관없이 초기 진입장벽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종종 있어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높다고 생각되며 어렵다는 이미지를 갖고 있는 물리학에 인원이 몰리지 못하는 원인을 초래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물리학에 진입장벽을 낮추는 것보다 다른 과목의 진입장벽을 높이는 게 방법이 될 것이다. 즉, 이렇게 과학탐구 Ⅰ과목과 과학탐구 Ⅱ과목을 합쳐 상대적으로 몰려있는 과학 탐구 과목에 진입장벽을 높인다면 과목간 인원 불균형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 아니면 예전처럼 3개 과목 선택이나 4개 과목 선택으로 늘리고 시험 수준을 하향하여 등급이 잘 나온 두 과목을 우선적으로 반영한 후 남은 선택과목이 진로와 동일한 분야라면 3~5등급이라도 후하게 쳐 주거나 가산점을 지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예를 들어) 공학과를 희망하는 이과생이면 물리학Ⅰ, 물리학Ⅱ, 화학Ⅰ, 화학Ⅱ를 다 보는 게 제일 유리하다.
- 공통과목 + 선택과목 구조를 1995학년도 수능~ 1998학년도 수능 시절처럼 재도입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수능 사회탐구 영역의 생활과 윤리/윤리와 사상/한국지리/동아시아사/세계사/경제/정치와 법과 함께 과학탐구 Ⅰ과목을 공통과목으로 두고 수능 사화탐구 영역의 세계지리/사회 문화, 수능 과학탐구 Ⅱ과목( 물리학Ⅱ, 화학Ⅱ,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Ⅱ)을 선택과목으로 둔 뒤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으로 풀게 하는 것. 다만 2022 수능의 국어와 수학에 적용된 선택과목 점수계산법으로 표준점수를 계산해 유불리 논란을 없애야 한다. 사실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긴 한데 중등교육과정에서는 고등교육과정과 다르게 사회에서 기반이 되는 지식을 모두 배우고 가는 게 이상적이기 때문. 실제로 이과생이라고 해도 경제나 정치와 법을 알아야 하는 사회임에도 불구하고 절름발이식으로 과학만 교육하는 것은 중등교육과정과는 거리가 먼 교육기조이기 때문이다. 분량이 너무 과도하다면 6차 교육과정이 적용된 1999학년도 수능~ 2004학년도 수능 시절의 방식대로 공통과목은 기초 내용을 떼어 합친 고1 공통사회와 고1 공통과학으로 출제하고 일반선택과목(수능 과학탐구 영역의 경우 과학탐구 Ⅰ과목과 과학탐구 Ⅱ과목은 통합)을 선택으로 둘 수도 있다.
- [지구과학의 화려한 비상]
- * 2013년부터 새 교육과정이 적용되면서 지구과학Ⅰ의 선택률이 2016년에 들어서 50%까지 치솟기에 이른다. 2016년 7월 학력평가 기준으로 지구과학Ⅰ의 선택자 수가 화학Ⅰ의 선택자 수를 넘어섰고, 2017년 9월 모의평가 기준으로는 결국 생명과학Ⅰ을 끌어내리고 과학탐구 응시자 1위를 차지하고야 말았다![141] 2017년부터 지구과학은 Ⅰ 과목과 Ⅱ 과목 모두 응시자 수 1위를 기록하고 있다. 과거 생명과학과 화학이 매번 1, 2위를 차지했던 것과 매우 대조적이다.
6.3.2. 문제 수준의 지나친 상향으로 인한 극심한 타임어택과 목적 상실
2009 개정 교육과정(2014학년도~ 2020학년도 수능까지)부터 수능 탐구영역 선택과목 최대 상한선이 2개 과목으로 축소되면서 문제 수준의 어려움이 절정에 달했다는 의견이 많다. 선택과목 축소로 인해 응시생들의 표본이 상향된 것이 주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가령 2013학년도 수능 때 최저 정답률을 기록한 문제가 현재는 비슷한 유형임에도 정답률이 75%에 육박하는 등 선택자들의 실력도 상향평준화되었다. 2005학년도~ 2013학년도 수능 당시에는 수능 탐구영역 선택 과목 최대 상한선이 3~4개이며, 그 중 2~3개만을 성적에 반영시키는 제도였기 때문에 과목 별 허수(보험용 혹은 장난으로 시험을 치는 학생)가 많았지만 허수에 의한 성적 뻥튀기 현상 문제가 많아 수능 탐구영역 선택과목 최대 상한선을 2개 과목으로 축소시킨 지금은 모두 반영하기 때문에 눈에 불을 키고 달려들 수밖에 없게 되었다.교육 정책을 수립하는 입장에서는 학생들의 공부해야 하는 시험범위를 줄이는, 그래서 학습 부담을 줄이려는 의도로 선택 과목 수를 줄인 것이겠지만 실제 수험판은 그렇게 작동하지 않는다. 한 분야 학습 부담을 줄이면 학생들이 그 시간에 공부를 안하는게 아니라 다른 분야의 공부를 하면서 해당 분야의 숙련도가 높아지는 ' 풍선 효과'가 발생한다. 학생들의 수준이 높아진 상태에서 등수를 나누려면 더 어려운 문제를 낼 수 밖에 없는데, 고교 교과 과정이라는 한계가 있다 보니 더 어렵게 문제를 내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정상적인 출제가 아닌, 억지로 난이도를 높인 문제들이 많이 출제되는 것이 문제인 것이다. 물론, 이건 비단 과학탐구만의 문제는 아니긴 하다. 과학탐구 부담을 줄여준 시간에 다른 과학탐구 과목을 할 수도 있지만 국어,영어, 수학 공부를 할 수도 있기 때문. 하지만 국어, 수학, 영어에서 이런 식으로 문제를 내면 '이걸 고교생이 풀라고 낸 문제냐?', '수포자 양산한다' 등의 비난 여론이 끓게 되고, 평가원도 여론을 신경 쓰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자제되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영어 영역의 경우 몇 년간 변별력을 구실로 킬러 문제를 마구 남발해 댄 결과 여론이 악화되었고, 결국 영어 영역이 절대 평가로 전환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과학의 경우 대중에게 생소한 분야이기도 하고, 수험생 중 비교적 소수만 응시하는 과목이기 때문인지 여론이 주목하는 경우가 비교적 적다. 예를 들어 생명과학 2 과목이 고교생에게 지나치게 어렵고 정상적인 출제 경향을 벗어난다는 지적에 '그럼 생명과학 2를 하지 말고 다른 과목을 하면 되지' 라고 생각하는 식이다.
2005학년도부터 2013학년도 수능 시절에는 개별 과목 범위 자체가 많은데다 탐구를 3~4개씩이나 치러야 했으므로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 및 암기하고 있는지 여부가 당락을 좌우했고, 지금과 같이 수준높은 수리추론 및 자료해석을 요구하는 문제가 드물었다.[144] 그러나 지금은 그 위치가 역전되었다. 과학 지식을 공부한다기보단 문제 풀이를 공부한다는 쪽이 가까워져서 정작 일반 고등학생보다 심화 교양 지식이 충만하다는 학부생이나 과고생, 영재학교 학생들도 이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하지 않으면 과거와 달리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이후 현재 수능 문제에는 손도 못대는 경우가 아주 많다. 자비 없는 계산을 던져 타임어택을 가속화시키도 한다. 화학의 경우 4교시 수학 시험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 일반인들이 초등학교 수학 내용을 알아도 그 문제를 경시대회급으로 꼬아서 내서 주면 못 푸는 경우가 많듯이 표본 수준이 높아지거나 그 과목을 겉만 보고 얕보는 느낌이라면 자료 해석이나 상황 판단 능력 단계를 한없이 높여버리기 때문이다.[145]
애초에 지식적인 것을 묻는 게 아니라 주어진 표, 그래프를 보고 빠른 연산을 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특히 화학Ⅰ의 경우 그 도가 너무 지나쳐서 화학 시험이 아니라 화학개념을 소재로 한 지능검사, 숫자 맞히기 문제가 아니냐는 비판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화학 문제라면 실제 화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값을 주고 이 값이 화학적으로 무슨 의미가 있는지 물어보는 것이 올바른 출제방식일 것이다. 하지만 이런 '의미 있는 값'들은 예전부터 수없이 많이 출제되어 수험생들이 이미 다 파악을 하고 있고, 누구나 맞히게 된다. 그리고 이는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개념을 알고 있으며, 단순히 그 개념을 단순히 외우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활용한 문제를 풀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니까 말이다. 하지만 수능의 특성상 등수는 나누어져야하는데 모두가 고득점을 맞으면 등수를 나눌 수 없으니 출제자들은 낯설고 어려운, 변별력 있는 문제를 출제하려고 노력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정해진 출제범위 내에서 신유형, 고난도 문항 개발도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고 이전의 '좋은 문제들'에 비해 억지스러운 문제들이 출제되기 시작했다. 화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수치가 아닌, 우연히 맞아떨어진 것에 불과한 값을 주고 이를 통해 경우의 수를 좁히는 식의 문제가 다수 출제되고 있다. 예를 들어 's오비탈의 전자쌍의 개수와 p오비탈의 전자쌍의 개수의 비'가 주어지고 이를 이용해 수를 맞히는 문제가 출제된 적이 있는데, 이런 수치는 이것에 따라 어떤 원자의 상태가 달라진다는 어떠한 화학적인 설명도 할 수 없는, 화학적으로 완전히 무의미한 수치에 불과하다. 이미 수능 화학Ⅰ시험지에 이런 '문제만을 위한 문제'들이 가득하여 화학 실력을 측정하는 것과는 백광년 이상 떨어져 버렸다. 항상 강철 용기를 열었다 닫고 콕을 뽑는 등 실제 실험현장에서는 그렇지 않을 뿐만 아니라 조건 또한 현실에 불가능한 이상적 상황에서 이루어진 경우도 많다.[146] 이러한 문제는 수능 이외에는 전 세계를 뒤져봐도 비슷한 식의 문제를 찾아보기 어려운 기형적인 형태이다.
지나친 시간 부족도 문제로 거론된다. 해당 과목의 특성을 최대한 고려하는 정석적인 방법만으로 고난도 문제 출제에 한계를 느낀 평가원은 타임 어택을 통해 학생들을 변별하고 있다. 그래서 상당수의 수능 과학탐구 과목은 정상적인 풀이로는 30분 내에 절대로 20문제를 다 풀어낼 수 없는 기형적 구조가 되었다. 과학 지식이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어떤 세계적 석학을 데려오더라도 시간이 100% 부족할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수능 과학탐구 영역은 제한시간 내에 정확하고 빠르게 풀어내기 위해서는 개념의 철저한 이해 및 암기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개념에 대한 철저한 이해 및 암기는 당연히 해야 할 기본 베이스로 깔아두고 이를 기반으로 한 철저한 유형 분석과 문제 풀이 테크닉 연습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수능 탐구영역 선택과목 최대 상한선이 2개 과목으로 축소된 2014학년도 이전 시절(2005학년도~ 2013학년도 수능까지) 당시에는 수능 과학탐구 영역이 물리Ⅰ, 물리Ⅱ, 화학Ⅱ, 지구과학Ⅱ[147]를 제외한 화학Ⅰ, 생물Ⅰ(지금의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생물Ⅱ(지금의 생명과학Ⅱ)는 암기과목이라는 인식이 강해서 수능 탐구영역 선택과목 최대 상한선이 2개 과목으로 축소된 2014학년도 이후 시절과 달리 개념및 원리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암기와 일정 레벨 이상의 자료 해석 능력을 갖추고 있다면 1등급~ 2등급을 받아내기 쉬운 편이었다. 또한 수능 과학탐구 영역 선택과목 최대 상한선이 3~4개 과목 시절에는 지금보다 상대적으로 킬러 문항이 쉬운 편이었기 때문에 2014학년도 수능을 기점으로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문제 풀이 스킬 및 요령 단련 위주의 공부에 대해 그 당시에는 고인물이거나 허세충이라고 바라보는 인식이 대다수였다. 이때문에 오랫동안 강의를 한 강사들도 2010년 중반을 기점으로 교수법을 상당히 많이 바꾸었다. 이러다보니 학생들은 이미 다 알고 있는 개념에 대한 반복학습에 시간을 투자하기 보다는 문제 풀이 시간을 1초라도 단축하기 위한 끊임없는 문제 풀이 및 유용한 테크닉 습득에만 주구장창 몰입하고 있다.
2014학년도 수능 화학Ⅰ 20번을 예로 들어 보자. 이 문제는 미지의 원소들에 대해 전기음성도의 차가 제시되고 이를 통해 원소의 종류를 추론하는 문제였다. 전기음성도는 그 경향성만 알면 되지 그 절대적 값은 외울 필요가 전혀 없는 것이고, 평가원도 원소별 전기음성도 수치를 다 외워서 풀라는 것이 아니라, 전기음성도 경향성의 원리를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라는 의도로 출제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큰 문제점이 하나 있는데, 만약 전기음성도 수치를 다 외우고 있다면 훨씬 더 빨리 풀 수 있는 문항이었다는 것이다. 상술했다시피 과학탐구 과목은 시간이 항상 부족하고, 여기서 시간을 아낄 수 있다면 이 문제를 맞히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뿐만 아니라 다른 문제를 풀 수 있는 시간을 추가적으로 벌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런 유형의 문제를 빨리 풀고자 원소별 전기음성도 수치를 다 암기하는 경향이 생겨났고, 이로부터 8년이 지난 2022년 현재 화학 I 수험생에게는 이 정도는 거의 기본이 되었다. 다시 한번 강조하자면, 이것은 외울 필요가 전혀 없는 값이다. 이러한 불필요한 테크닉의 기본 개념화로 인해 또 다른 문제가 야기되는데, 수능은 상대평가이고 이제 평가원은 이것이 기본이 된 상태에서 수험생들의 시간을 촉박하게 만들 새로운 문제를 만들어야 된다는 점이다. (앞에서 말했듯이 평가원이 난이도 상승에 한계를 느껴 타임어택으로 변별한다는 것을 상기하자) 평가원은 더욱 더 아무런 화학적 의미 없이 복잡하게 뒤틀어낸 개념을 제시하고, 수험생들은 또 이 기출문제를 보고 또다시 이 유형을 쉽게 풀기 위한 화학적으로 아무 의미 없는 테크닉을 외우고 연마하는 것으로 대응한다. 이런 악순환의 고리를 끊임없이 돌고 돈 결과, 아무리 과학 지식을 터득하고 체화한 교수들도 문제 풀이 훈련 없이는 제한 시간 내에 절대로 다 풀어낼 수 없는 기형적인 시험지가 탄생한 것이다.
화학Ⅰ을 예시로 들었지만 이러한 문제는 화학Ⅰ 뿐만 아니다. 예를 들어 화학Ⅱ는 화학Ⅰ에서 요구하는 저런 식의 자료 해석의 탈을 쓴 상황판단 문제와 지엽 문제가 거의 없는 대신, 20문제 중 15문제 이상이 자료 해석을 바탕으로 한 수리 추론 능력과 상당한 계산량을 요구하는 문제로 도배되어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및 암기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아니라 누가 정확하고 빠르게 주어진 자료를 독해해서 문제 해결에 필요한 핵심을 파악하고 이러한 핵심과 관련된 개념, 공식 등을 떠올리고 이를 바탕으로 정답을 도출하기까지의 과정 설계까지 잘할 수 있는가(...)와 누가 정확하고 빠르게 상당히 많은 연산 과정에서 최대한 실수하지 않는가(...)와 누가 시시콜콜한 함정 선지를 빠르고 정확하게 가려내는가(...)로 변질된 지 오래이다. 애초에 화학2는 개념량이 너무 적은데다 응시자 평균 수준이 가장 높은 편이어서 변별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 방법밖에 없다.[148]생명과학 또한 마찬가지로, 복잡한 조건을 잔뜩 지닌 긴 줄 글의 유전 문제가 뒷 페이지에 도배하듯이 깔려 있어 단순히 문제를 읽는 데만 해도 시간이 부족한 것이 당연한 지경이다.
함정 문제 또한 점점 변별력만을 위해 도를 넘고 있다. 함정 문제 자체는 부정적으로 볼 문제가 전혀 아니다. 학생들이 흔히 가지는 오개념을 문제에서 물어보고 오개념을 가진 학생들을 틀리게 만드는 것은 올바른 출제 방향일 것이고, 기출문제를 참고하여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올바른 개념을 세우게 도와주어 교육적으로도 의미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잘 틀리는 오개념 소재도 점점 바닥을 드러내기 시작했고, 오개념을 묻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학생들을 틀리게 하려는 악의를 가진 함정 문제를 내기 시작했다. 중요하지 않은 지엽적인 내용을 가지고 교묘하게 착각하기 쉽게 함정을 파고, 개념 문제가 아니라 사람의 심리를 역이용해서 말장난스러운 함정을 파기 때문에 이러한 함정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은 눈 뜨고도 당할 수 밖에 없다. 특히 수리추론 문제보다 자료해석 문제와 개념 문제의 비중이 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생명과학Ⅱ에서 이러한 경향이 커서 거의 시험 문제의 절반 이상이 이러한 교묘한 함정으로 도배되기도 한다. 이러한 함정은 학생들이 사회에 나가서 사기를 당하지 않게 하는 데엔 도움이 될지 몰라도 대학에서의 수학 능력을 측정하겠다는 수능의 취지와는 그다지 맞지 않다.
사실 대학교육을 수학할 수 있는 수준은 개념을 익히고 기본적인 문제를 나름대로 수월하게 풀수 있는 3~4등급 정도로도 충분하다. 그 이상의 수준의 문제들은 지나치게 꼬아내기 때문. '변별'이라는 목적 하에 어느정도 손봐지는 것들이다. 킬러 문제는 이 '변별'이라는 목적에만 극단적으로 맞춰진 문제들에 불과하며, 장벽이 높은 것도 결국엔 온갖 미지수들의 상호작용과 더러운 그래프, 그리고 과한 발상적 사고와 꼼수로 인한 것들이지 단순히 과학적 추론의 수준을 높이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러다보니 평가원이 지향하는 개념과 원리에 입각한 문제풀이로 승패가 갈리는게 아닌, 누가 더 빠르게 머리를 많이 굴리느냐, 그것조차도 안 되면 누가 더 잘 찍느냐로 갈리는 찍기싸움으로 변질되는 경우가 허다하기에 문제가 되는 것이다.[149]
사실상 이러한 문제점이 극도로 심화된 화학Ⅰ, 생명과학Ⅰ, 생명과학Ⅱ의 경우 개념만 잘 숙지하는 것으로는 어림도 없고 공략법과 빌드를 미리 전부 외우고 모든 문제를 빠르게 주파해야 하지만 그 과정에서 실수를 한 번이라도 유발해서는 안 되는, 마치 고인물 게이머들이 타임 어택을 하는 것 마냥 문제를 풀어야 하는 상황이다.
지난해 (2016학년도) 필자 (대한화학회 기고자)가 담임을 맡은 학생이 6월 모의고사를 본 이후, 화학Ⅱ에서 지구과학Ⅱ로 선택과목을 변경하고 싶다고 찾아왔다.
“지금 와서 선택과목을 변경하는 것이 모험이라는 것은 저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대학에서 공부하려면 화학이 중요한 것도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열심히 공부를 해도 화학 문제는 감이 잡히질 않아요. 고득점에 자신이 없습니다. 그런데 지구과학은 문제에 풀이 방향이 보이거든요. 그래서 선택과목을 바꾸고 싶습니다.”
대학에서 신소재 공학을 전공하고자 희망했던 이 학생은 5개월 남짓 공부하고 수능 지구과학Ⅱ에서 만점을 받았다.[150]
“지금 와서 선택과목을 변경하는 것이 모험이라는 것은 저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대학에서 공부하려면 화학이 중요한 것도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열심히 공부를 해도 화학 문제는 감이 잡히질 않아요. 고득점에 자신이 없습니다. 그런데 지구과학은 문제에 풀이 방향이 보이거든요. 그래서 선택과목을 바꾸고 싶습니다.”
대학에서 신소재 공학을 전공하고자 희망했던 이 학생은 5개월 남짓 공부하고 수능 지구과학Ⅱ에서 만점을 받았다.[150]
6.4. 2015 개정 교육과정
- 2020년부터 2026년(예정)까지 적용된다. 한 과목당 20문항 50점이며 30분동안 응시한다.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자연계열 : 물리학Ⅰ, 물리학Ⅱ, 화학Ⅰ, 화학Ⅱ, 생명과학Ⅰ,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Ⅱ 8개 과목 중 최대 2개 과목 선택
-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부터는 기존 사회탐구 영역과 포함하여 17개 과목[151] 중 최대 2개 과목 선택이다.[152][153]
- 2015 개정 교육과정 세대의 학생들부터 '물리' 과목이 '물리학'으로 개칭되었다.
6.4.1. 교과 개념의 변화
<colbgcolor=#0000FF> 과목 | 총평 | 추가 | 삭제 및 약화 | 이동 |
물리학Ⅰ |
지엽적인 개념들 대폭 감소 학습 부담 감소 |
용수철[154] 파동의 진행과 중첩 파동의 반사와 굴절 운동량 보존[L] 열역학 법칙[M] |
돌림힘, 유체역학[2009] 빛의 삼원색, CD[158] 기본 입자 기본 상호작용 |
일반 상대성 이론[물리학Ⅱ] 물체의 평형과 돌림힘[물리학Ⅱ] 만유인력[물리학Ⅱ][+α] 행성의 운동[물리학Ⅱ][+α] 케플러 법칙[물리학Ⅱ][+α] 전기장, 전기력선[물리학Ⅱ] 정전기 유도[물리학Ⅱ] 트랜지스터[물리학Ⅱ] 공명, 회절[물리학Ⅱ] |
화학Ⅰ |
지엽적인 개념들 삭제 학습 부담 소폭 증가 |
몰 농도[화학Ⅱ][172] 용해 평형[화학Ⅱ] |
탄화수소 리비히 분석법 루이스 산염기 |
없음 |
생명과학Ⅰ | 크게 바뀐 변화 없음 | 없음 | 없음 |
세포소기관[생명과학Ⅱ] 탄수화물 & 단백질 & 지방[생명과학Ⅱ] |
지구과학Ⅰ |
잡스러운 개념들 삭제 과학적 추론 요소 증가 |
항성 과학 외계 은하 허블 은하론 우주 배경 복사 빅뱅 우주론 고지자기 지질 구조 생성 과정 지사학의 법칙 지질 시대의 환경 |
태양계, 달 한반도의 지형[176] 우주 쓰레기 풍화, 지진, 화산, 사태 환경오염 물수지 평형 망원경 |
행성의 운동[지구과학Ⅱ] 천구, 천구 좌표계[지구과학Ⅱ] |
물리학Ⅱ |
킬러 주제로 다룬 개념들이 70% 삭제 및 약화[179] 학습 부담 감소 |
일반 상대성 이론[물리학Ⅰ] 물체의 평형과 돌림힘[물리학Ⅰ] 만유인력[물리학Ⅰ][+α] 행성의 운동[물리학Ⅰ][+α] 케플러 법칙[물리학Ⅰ][+α] 전기장, 전기력선[물리학Ⅰ] 정전기 유도[물리학Ⅰ] 트랜지스터[물리학Ⅰ] 직류 회로와 전기 에너지[191] 공명, 회절[물리학Ⅰ] |
단진동[2009] 로런츠 힘[2009] 전자기 진동 RLC 회로[2009] 2차원 충돌[2009] 리엑턴스[2009] 임피던스[2009] 양자역학 오목렌즈, 다중 렌즈 오목거울, 볼록거울 자체유도, 편광 도플러 효과[199] 정반사, 난반사 자유단 반사[V] 고정단 반사[V] |
운동량 보존[L] 열역학 법칙[M] 파동의 진행과 중첩 파동의 반사와 굴절 |
화학Ⅱ | 크게 바뀐 변화 없음[204] | 없음 |
반응의 자발성[R] 헨리의 법칙[R] 표준 산화 전위[R] 표준 환원 전위[R] 엔트로피[P] 자유 에너지[P] |
몰 농도[화학Ⅰ] 용해 평형[화학Ⅰ] |
생명과학Ⅱ | 크게 바뀐 변화 없음 |
세포소기관[생명과학Ⅰ] 탄수화물 & 단백질 & 지방[생명과학Ⅰ] |
PCR | 없음 |
지구과학Ⅱ |
수리추론적 요소 대폭 강화[215] 학습 부담 증가 |
행성의 운동 파트[지구과학Ⅰ] 천구, 천구 좌표계[지구과학Ⅰ] 한반도의 지질, 광상[지구과학Ⅰ] 지진파, 지구 층상구조 편광 현미경[219] 지구 중심설 태양 중심설 C-M도 천체의 거리 B-V도[220] 우주 거대 구조 |
지각 열류량[Q] 지질도의 정량적 분석[Q][223] |
항성 과학 외계 은하 허블 은하론 우주 배경 복사 빅뱅 우주론 고지자기 지질 구조 생성 과정 지사학의 법칙 지질 시대의 환경 |
6.4.2. 응시자 비율 추이
응시자 순위 | 2021학년도 | 2022학년도[224] | 2023학년도[225] | |||
1위 | 62.49% | 생명과학Ⅰ |
30.28% (64.11%) |
지구과학Ⅰ |
33.70% (69.28%) |
지구과학Ⅰ |
2위 | 62.09% | 지구과학Ⅰ |
30.00% (63.51%) |
생명과학Ⅰ |
32.53% (66.87%) |
생명과학Ⅰ |
3위 | 38.20% | 화학Ⅰ |
16.25% (34.40%) |
화학Ⅰ |
16.32% (33.55%) |
화학Ⅰ |
4위 | 28.35% | 물리학Ⅰ |
13.90% (29.43%) |
물리학Ⅰ |
14.38% (29.55%) |
물리학Ⅰ |
5위 | 3.50% | 생명과학Ⅱ |
1.60% (3.39%) |
생명과학Ⅱ |
1.14% (2.34%) |
생명과학Ⅱ |
6위 | 2.16% | 지구과학Ⅱ |
0.88% (1.86%) |
지구과학Ⅱ |
0.66% (1.35%) |
화학Ⅱ |
7위 | 1.59% | 화학Ⅱ |
0.81% (1.71%) |
화학Ⅱ |
0.64% (1.31%) |
지구과학Ⅱ |
8위 | 1.49% | 물리학Ⅱ |
0.75% (1.59%) |
물리학Ⅱ |
0.61% (1.25%) |
물리학Ⅱ |
물리학Ⅰ은 이전 교육과정 시기에서도 4위, 2023 수능 기준에서도 여전한 4위이지만, 그나마 9년 동안 7%p 상승(22%→29%)했다는 점이 눈여겨볼 만하다. 응시자 비율 자체는 점차 늘고 있으며, 드라마틱한 상승세는 없지만 하락하지 않는 것만 해도 어디냐는 관측이다.
반면 이전의 연장선상으로 화학Ⅰ의 급감이 눈여겨볼 만한 점이다. 화학Ⅰ은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초반의 60%대에서 2023학년도 수능 기준 약 34%까지 주저앉았다는 점이 눈여겨볼 만한 점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2023학년도 수능 지원자 비율 자체도 과학탐구 Ⅰ과목 중에서는 화학1만 또 다시 하락하였고, 이 파이가 생명과학1, 지구과학1(일부는 물리학1)등으로 분산됐다는 걸 알 수 있다.
교과 내용이 대폭 변경된 지구과학Ⅰ의 인기도 정점을 찍다가 내려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226] 한동안 응시자 수 1위를 기록하던 지구과학Ⅰ이 2021 수능에서 생명과학Ⅰ에 응시자 수 1위를 탈환당하고 만다. 하지만 고작 1위를 탈환당했다고 해서, 이 과목의 존폐 여부를 걱정할 정도로 이어지는 건 다소 양심 없는 분석이라고 보인다. 무엇보다도 이듬해에선 2022학년도 수능 지원자 통계상 다시 소폭 상승하여 1위 자리를 쟁취했으며, 이는 지구과학Ⅰ이 1위 자리를 처음 수성했던 2018 수능 때와 맞먹는 퍼센티지이다. 다른 과목과 비교했을 때 지구과학Ⅰ의 인기는 여전히 높고 또 상황이 더 여의치 못한 것도 아니다. 애초에 수능 전체 응시자 자 수가 자체가 하락세인 상황에서, 응시자 수보다는 응시자 비율로 견주는 게 바람직할 것이다.
반면, 과학탐구 Ⅱ과목 내에서는 지구과학Ⅱ의 하락 속도가 굉장히 주목할 만하다. 2020 수능에서는 응시자 수가 7500명이 넘었는데, 교육과정이 개편된 2021 수능에서는 4000명이 조금 넘는 응시자 수를 기록하였다. 이렇듯이 한때 4위에서 1위를 찍었다가 2015 교육과정 개정 적용 수능 시기부터 급락하는 모습을 보여 주는데, 하위권 중에서도 최하위권 대라고 볼 수 있는 물리학Ⅱ와 화학Ⅱ와 비슷한 응시자 비율을 보이고 있다. 과거엔 킬러 문제가 다른 과학탐구 Ⅱ과목보다 쉽고 수능 문제의 진입장벽이 낮기 때문에 몰렸지만, 교과 내용이 바뀌면서 좌표계 복귀 + 대학 학부 과정 내용이 대폭 내려오는 등의 영향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거기에 2022 수능 지구과학Ⅱ가 역대급 극악 난이도로 출제되면서 선택자 이탈이 더욱 가속화되었다.[227]
2023학년도에서는 생명과학Ⅰ과 지구과학Ⅰ은 응시자 비율이 늘어났고, 물리학Ⅰ은 크게 줄지 않은 가운데, 나머지 과목은 하락세를 보였고, 특히 과학탐구 Ⅱ과목[228]이 크게 떨어진 가운데 2014학년도 수능부터 2022학년도 수능까지 항상 응시자 수 7위였던 화학Ⅱ가 2023학년도 수능에 처음으로 지구과학Ⅱ를 제치고 6위로 올라왔다.
이후 2023학년도 수능에서는 지구과학Ⅱ를 제외한 모든 투과목에서 역대급 헬파티가 펼쳐졌고, 이후 2024 수능부터는 서울대의 투과목 필수화 해제가 예고됨에 따라 선택자가 크게 감소할 것이 기정사실화되었다. 또 Ⅰ과목 중에서는 유일하게 물리학Ⅰ에서 낮은 난이도 대비 적당한 표준점수(1컷 46, 만점표점 70점)가 확보된 반면 타Ⅰ과목들에서 전부 헬파티가 열림에 따라[229] 물리학Ⅰ의 선택자가 더 늘 것인지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6.4.3. 과목별 킬러 문제 유형
- 수능 과학탐구 영역 각 과목들의 킬러 문제 유형[230][231]
-
물리학Ⅰ: 킬러 문항[232] - 역학적 에너지 보존, 등가속도 운동, 준킬러 문항 - 운동량 보존, 전기력 추론, 특수 상대성 이론
요구 능력: 물리적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한 수리추론 능력 + 오개념[233]
타임어택 강도: 보통 ~ 약간 높음 (2022 수능 제외), 높음 (2022 수능) -
화학Ⅰ: 킬러 문항 - 중화 반응, 화학 반응의 양적 관계[234], 준킬러 문항 - 몰 농도, 동위 원소 추론[235]등.[236]
요구 능력: 타임어택 + 수리추론 능력[237] + 자료해석 능력[238]
타임어택 강도: 매우 높음 -
생명과학Ⅰ: 킬러 문항 - 사람의 유전(다인자 유전과 복대립 유전, 가계도 분석), 사람의 유전병[239]
준킬러 문항 - 흥분의 전도와 전달[240], 근육 수축의 원리, 세포 분열과 유전 정보의 전달, 사람의 유전(일반 유전, 중간 유전)
요구 능력: 타임어택 + 자료해석 능력 + 지엽 및 말장난[G] + 신유형[242]
타임어택 강도: 매우 높음 -
지구과학Ⅰ: 준킬러 문항 - 고지자기, 엘니뇨와 라니냐, 별의 물리량과 H-R도 비교, 외계 행성계 탐사, 허블 법칙 등[243]
요구 능력: 자료해석 능력[244] + 지엽 및 말장난[G]
타임어택 강도: 약간 낮음 -
물리학Ⅱ: 킬러 문항 - 포물선 운동, 돌림힘[246], 준킬러 문항 - 등속 원운동, 2차원 전기장/자기장 합성[247] 등
요구 능력: 수리추론 능력[248]
타임어택 강도: 보통 -
화학Ⅱ: 킬러 문항 - 화학 평형, 반응 속도 추론, 준킬러 문항 - 물질의 세 가지 상태, 용액
요구 능력: 타임어택 + 자료해석 능력 + 수리추론 능력[249]
타임어택 강도: 매우 높음 -
생명과학Ⅱ: 킬러 문항 - 코돈 추론[250] , 제한 효소 추론, 하디-바인베르크 법칙 추론[251]
요구 능력: 타임어택[252] + 자료해석 능력[253] + 수리추론 능력[254] + 지엽 및 말장난[G][256] + 신유형
타임어택 강도: 가장 높음[257] -
지구과학Ⅱ: 킬러 문항 - 천체역학, 천구좌표계와 지평좌표계[258][259]
요구 능력: 수리추론 능력[260] + 자료해석 능력[261] + 신유형[262]
타임어택 강도: 약간 낮음~보통[263] (2022 수능 이전), 약간 높음 (2022 수능 이후)
7. 사건 사고
- 200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물리Ⅱ에서는 수능 사상 2번째의 복수정답 인정 사례가 있었다.
- 201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지구과학Ⅰ에서도 수능 사상 3번째의 복수정답이 발생하였다.
- 201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생명과학Ⅱ에서도 6번째 복수정답이 발생하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임원진들이 대대적으로 물갈이된 적이 있다.
-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물리Ⅱ 09번 문제에서 조건 누락으로 인한 문제 자체의 출제 오류로 인해 전원 정답처리되었다.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물리학Ⅱ 18번 문제의 그림에 명백한 오류가 있었으나 문제 풀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이유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생명과학Ⅱ 20번 문제에 개체수가 음수가 되는 오류가 있었으나 평가원 측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에 수험생 93명은 행정소송을 제기했으며, 이에 12월 9일 법원의 행정정지처분이 있었다. # 소송 결과 법원이 수험생 손을 들어주었고 강태중 평가원장은 이를 받아들여 사퇴했다.
8. 여담
8.1. 과학고등학교 조기 졸업 축소의 영향
2017학년도 대입부터 과학고등학교에 조기 졸업 제한이라는 스턴이 걸려버렸다. 이로써 과학고등학교 학생들도 수시에서 '최저학력기준'을 맞춰야 하므로, 과학탐구 영역 표본에 어느 정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해당 기자가 시사하고 있다.[264] 그러나 이미 2016학년도 대입에서도 조기졸업자 비중을 절반(50%) 가량 낮춘 바 있다. 2016학년도 대입 당시에 과고생 조기졸업 축소가 그다지 큰 여파를 불러일으키지 않은 것으로 보아, 올해 역시 이 영향이 평년과 같이 미미할 것으로 추정된다.여담으로, 조기 졸업 축소에 영향을 주게 된 배경은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수준 저하 때문도 있다.[265] 수학과목과 과학 4과목이 모두 동시에 나가는 악마의 진도뽑는 속도(일주일에 수학 7시간, 과학 12시간) 때문에 충실한 이해를 못하고 암기 위주의 공부 방식이 보편화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문제 탓에 상위권 대학에서도 조기졸업자 선발 비율을 낮추게 되었다고 한다.
어차피 과학고등학교 재학생들은 조기졸업을 굳이 못했더라도(여기서 이미 과학고 중하위권만 남는다), 대부분 수시 특기자전형이나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는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입학하는 편이다. 또, 문제 풀이 영역과 교양 영역을 실로 다른데, 교과 적성검사인 수능 특성상 이 둘의 차이점은 훨씬 더 커진다. 과고생들의 '교양 영역'은 먼치킨일지 몰라도 문제 풀이 영역에서는 다소 약한 모습을 보인다. 이 때문에 과고생 입장에서 정시와 수능(100%)은 그야말로 재앙이다. 더구나 과고생들이 수학과 과학은 그래도 공부해서 적응 속도가 빠를지 몰라도, 거의 공부하지 않은 국어와 영어에서 취약한 것은 어쩔 수 없다. 굳이 수능으로 경쟁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8.2. 기타
- 재수학원에선 더블Ⅱ 학급을 편성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럴 경우 자기가 선택하지 않은 과학탐구 Ⅰ과목 시간을 강사의 양해를 구하고 자습으로 뺀 뒤 그 시간에 나머지 과학탐구 Ⅱ과목을 하는 경우가 많다.
- 7차 교육과정 시절 인문계열 입시에서 서울대는 국사가 필수였기에 서울대를 노리는 수험생의 경우 국사 내용안에 포함되는 한국 근·현대사도 같이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당시 자연계 입시에서 과학탐구 Ⅱ+Ⅱ조합으로는 서울대학교를 진학할 수 없었다. 이후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과학탐구 Ⅱ+Ⅱ 조합에 가산점을 부여하였으나 여러 논란을 증폭시키고 1년 만에 가산점이 폐지됐다.
- 2014학년도 이전 수능까지 EBS 플러스1 채널에서는 수능 사회탐구 영역의 경우 법과 사회, 경제지리, 세계지리, 세계사를 편성하지 않았고, 수능 과학탐구 영역에서도 과학탐구 Ⅱ과목은 전혀 편성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EBS에서조차 과학탐구 Ⅱ과목 전체를 비주류로 생각했는지 일부 교재는 아예 과년도의 내용을 우려먹는 경우도 비일비재했다. 그리고 10주 완성(현재의 수능완성) 교재는 나오지도 않았다. 이후 2016학년도에 이르러서야 과학탐구 Ⅱ과목도 주말 한정으로 EBS 플러스1 채널에 편성하게되었다.
- 비교적 자유롭게 과목 선택이 가능한 수능 사회탐구 영역과 달리 수능 과학탐구 영역은 기초과목(Ⅰ)에서 심화과목(Ⅱ)으로 이어지는 체계이다보니 수능 과학탐구 영역의 경우 시험에서 과목을 선택할 때의 조합 수가 수능 사회탐구 영역에 비해 제약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윤리와 사상을 공부하기 위해 생활과 윤리를 공부해야 할 필요는 없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반면 과학탐구 Ⅱ과목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과학탐구 Ⅰ과목을 거의 반드시 공부하여야 한다.[266] 다만 이는 절대적이지는 않으며 과학탐구 Ⅰ과목을 이수하지 않아도 공부할 수 있는 경우도 존재한다. (특히 생명과학Ⅱ)[267]
-
출제 문제의 대다수가 아래와 같이 그림, 그래프, 표, 실험, 자료, 제시문[268]을 제시하고 ㄱ, ㄴ, ㄷ 중에 알맞은 설명을 있는 대로 고르는
합답형 문제 형식으로 출제된다.[269] 이는 수능 사회탐구 영역과는 차별화되는 수능 과학탐구 영역의 특징 중 하나로[270] 문과에서 사회탐구 영역을 응시하다가 이과로 넘어온 경우 이러한 문제 유형에 적응하기 어려워하는 경우도 생각보다 꽤 있다.[271]
n. 다음은 (...)이다. [자료 제시]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n′. 다음은 (...)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과 문제 상황 제시]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때 선지는 대체로 2가지 배열로 나뉘는데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또는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272] 물론 모든 문제가 그렇다는 것은 아니다.[273] 그리고 대부분 20번에서 고난도 문항을 출제하지만, 2016학년도 당시 물리Ⅰ의 경우 6월 평가원 모의평가, 9월 평가원 모의평가, 수능 모두 20번이 아닌 다른 곳에서 오답률 1위가 나왔다. 그리고 생명과학Ⅰ도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선 20번이 아닌 17번에서 오답률 1위이다.[274] ㄹ선지 이상부터는 수능 문제에서 나온 적이 거의 없고[275], 사설 고난도 모의고사 문제에서는 ㄹ선지가 출제되기도 한다.
- 예비 수험생들은 교과 개념이 쉬우면 수능에서의 문제도 쉬울 거라고 착각하여 생명과학Ⅰ이나 지구과학Ⅰ을 선택하는 경우가 있지만, 개념이 쉽다고 해서 수능에서 문제가 쉽게 나오는 것은 절대 아니다. 국민 과목으로 칭송받던 생명과학Ⅰ이 2016학년도 대수능에서 모든 수험생의 뒷통수를 세게 후려갈겼던 것처럼, 당신이 쉽다고 만만히 보는 과목은 얼마든지 어렵게 출제될 수 있다. 그리고 2020학년도 수능에서 지구과학Ⅰ조차 1등급 컷이 42점이 되면서 이것은 현실이 되었다.
- 개인의 흥미, 적성 등을 미루어 보고 자신 있는 과목을 선택하는 경우, 내가 못해도 해야 한다는 책임감이 동반되어야 하지만, 여기서는 타이틀 그대로 자기가 흥미 있거나 자신 있는 과목을 선택하는 경우이다. 이때 다른 요인들을 간과하여 낭패보는 일은 없길 바란다.
- 특정 과목에서 수상 경력(올림피아드, 경시대회)이 있거나, 대학에서 특정 과목을 좋은 성적으로 수강하고 온 응시 예정자들은 그 과목을 선택 과목으로 이어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그러한 경력이 있다하더라도 무조건 수능 시험에서 쾌거를 이룰 거라는 일차적인 사고는 이제 구식적이라는 게 중론이다. 앞에서 입이 마르고 닳도록 설명했듯이 탐구 영역 선택과목 최대 상한선이 2개 과목으로 축소된 이후 현재 수능 과학탐구 영역은 얼마나 문제를 최대한 빠르고 정확하게 푸느냐가 당락을 가장 크게 가르기 때문.
- 이런저런 선택 기준을 놓고 고민하더라도, 시기의 영향이 크다. 선택에 있어 고민은 가급적 빨리 접고, 정확히 빨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 선택한 뒤에는 괜히 입시 사이트를 비롯한 주변 사람들의 입소문에 휘둘리지 말고 끝까지 자기가 선택한 과목에 최선을 다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괜히 이 말 저 말에 갈팡질팡하면 고민하다가 시간 다 간다. 실제로 이를 간과하고 선택하는 학생이 꽤 많다. 수험생이라면 자신이 고른 과목에 대한 혹시나 하는 흔들림이 없길 바란다. 예를 들면, '작년에 너무 어렵게(또는 쉽게) 나와서 올해는 더 잘하는 학생들이 몰려와 1등급을 다 차지하고 나는 밀려나가는게 아닐까?' 나 '이번에도 쉽게 나와서 만점받아도 의미가 없고, 한개 틀렸는데 등급 2개 날아가지는 않을까?' 와 같은 두려움. 이렇게 두려워하는 것보다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열심히 하겠다는 다짐을 하고 최선을 다하도록 하자.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틀
구분 | 시간 | 진행 요령 | |
수험생 입실 완료 | 08:10까지 | ||
1교시 | 감독관 입실 | 08:10 |
- 시험실 책상 및 개인 소지품 정리·정돈 - 유의사항 설명, 검은색 컴퓨터용 사인펜 등 배부 - 책상에 부착된 문제 유형(홀·짝수형) 확인 - 수험생 본인 여부 및 시계 확인 - 해당 교시 미선택자 확인 및 대기실로 이동 |
예비령 | 08:25 |
- 신호음은 ― · / ― · / ― · / ― · 임(이하 생략). - 답안지 배부 및 작성 시 유의사항 설명 - 성명, 수험번호 등 기재 및 표기 |
|
준비령 | 08:35 |
- 신호음은 · · / · · / · · / · · 임(이하 생략). - 문제지 배부 - 문제지 문형·페이지 수(24면) 확인, 문형 표기, 필적 확인 문구 기재 |
|
본령 | 08:40 | - 신호음은 ― 으로 3초간 길게 이어짐(이하 생략). | |
국어 영역 시험 | 08:40 ~ 10:00 (80분) | - 결시자 등 감독관 확인사항 처리 및 날인 | |
종료령 | 10:00 |
- 신호음은 ········ 임(이하 생략). |
|
휴식 | 10:00 ~ 10:20 (20분) | ||
2교시 | 예비령 | 10:20 |
- 답안지 배부 및 작성 시 유의사항 설명 - 성명, 수험번호 등 기재 및 표기 |
준비령 | 10:25 |
- 문제지 배부 - 문제지 문형·페이지 수(24면) 확인, 문형 표기, 필적 확인 문구 기재 |
|
본령 | 10:30 | ||
수학 영역 시험 | 10:30 ~ 12:10 (100분) |
- 감독관은 응시원서와 본인 대조 - 결시자 등 감독관 확인사항 처리 및 날인 |
|
종료령 | 12:10 | ||
점심 | 12:10 ~ 13:00 (50분) | ||
3교시 | 예비령 | 13:00 |
- 수험생 본인 여부 및 시계 확인 - 답안지 배부 및 작성 시 유의사항 설명 - 성명, 수험번호 등 기재 및 표기 |
준비령 | 13:05 |
- 문제지 배부 - 문제지 문형·페이지 수(12면) 확인, 문형 표기, 필적 확인 문구 기재 |
|
음질 테스트 및 듣기평가 안내 방송 | 13:07 ~ 13:10 (3분) | - 타종(신호음) 없이 듣기평가 안내방송에 의해 시작 | |
영어 영역 시험 ※ 듣기평가 25분 이내 |
13:10 ~ 14:20 (70분) | - 결시자 등 감독관 확인사항 처리 및 날인 | |
종료령 | 14:20 | ||
휴식 | 14:20 ~ 14:40 (20분) | ||
4교시 | 예비령 | 14:40 |
- 답안지 배부 및 작성 시 유의사항 설명 - 성명, 수험번호 등 기재 및 표기 |
준비령 | 14:45 |
- 문제지 배부 및 필적 확인 문구 기재 - 한국사 영역 문제지 문형·페이지 수(8면) 확인, 문형 표기 |
|
본령 | 14:50 | ||
한국사 영역 시험 | 14:50 ~ 15:20 (30분) |
- 감독관은 응시원서와 본인 대조 - 결시자 등 감독관 확인사항 처리 및 날인 |
|
종료령 | 15:20 |
- 한국사 영역 문제지·답안지 회수 - 탐구 영역 미선택자 대기실로 이동 |
|
예비령 | 15:25 |
- 답안지 배부 및 작성 시 유의사항 설명 - 성명, 수험번호 등 기재 및 표기 지시 |
|
준비령 | 15:30 |
- 문제지 배부 및 제1 선택과목 문제지 확인 - 필적 확인 문구 기재 |
|
본령 | 15:35 | ||
탐구 영역 시험 사회탐구 과학탐구 직업탐구 |
15:35 ~ 16:37 (62분) |
- 감독관은 응시원서와 본인 대조 - 결시자 등 감독관 확인사항 처리 및 날인 - 탐구 영역 선택과목 수별 별도 운영 - 시험 본 과목의 문제지 회수 시간은 2분임. |
|
종료령 | 16:37 | ||
휴식 | 16:37 ~ 16:55 | - 제2외국어/한문 영역 미선택자는 퇴실 지시가 나올 때까지 대기 | |
5교시 | 예비령 | 16:55 |
- 답안지 배부 및 작성 시 유의사항 설명 - 성명, 수험번호 등 기재 및 표기 |
준비령 | 17:00 | - 문제지 배부 및 필적 확인 문구 기재 | |
본령 | 17:05 | ||
제2외국어/한문 영역 시험 | 17:05 ~ 17:45 (40분) |
- 감독관은 응시원서와 본인 대조 - 결시자 등 감독관 확인사항 처리 및 날인 |
|
종료령 | 17:4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