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E1A17><tablebgcolor=#1E1A17> |
성남 맥파이스 2025 시즌 로스터 |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F142A |
투수 |
<colbgcolor=#ffffff,#191919> 1
김동우 · 16 임민수 · 17 차순우 · 18 김연우 · 19
정태승 · 21 정현준 · 26 박승수 · 28 이준기 · 31 김건모 · 38 유동관 · 45 이준우 · 50 김민우 · 51 박윤철 · 54 강민수 · 56 황태인 · 57 변상우 · 61 지윤 · 99 김동규 · # 김유신 |
|
포수 | 25 최다인 · 44 최현빈 · 52 김태훈 | ||
내야수 |
5
이시맥 · 7 최혁재 · 13 김윤범 · 14 구본석 · 32 신일호 · 55 노승환 · # 박성민 |
||
외야수 |
0
최현성 · 10 나용훈 · 24
정진기 · 33 엄태호 · 37 임상현 · # 국해성 |
||
'''
신경식
김형석 이희성 김백류 엄강현''' |
}}}}}}}}}}}}}}} |
국해성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국해성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2016 | 2019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2561> |
KBO 퓨처스리그 북부리그 홈런왕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002561> 1991년 | 1992년 | 1993년 | 1994년 | 1995년 |
김홍기 태평양 / 8개 |
길홍규 OB / 5개 |
김원근 외 4명(A) 5개 |
이전진 외 1명(B) 5개 |
이보형 OB / 8개 |
|
<rowcolor=#002561> 1996년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
공의식 현대 / 14개 |
임노병 LG / 16개 |
안재만 LG / 12개 |
추성건 두산 / 12개 |
문희성 두산 / 14개 |
|
<rowcolor=#002561>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
강병식 상무 / 9개 |
정원석 외 1명(C) 9개 |
장익현 상무 / 10개 |
김재구 상무 / 13개 |
최길성 LG / 13개 |
|
<rowcolor=#002561>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
김상현 상무 / 23개 |
최형우 외 2명(D) 22개 |
박병호 외 1명(E) 24개 |
조영훈 경찰 / 24개 |
최주환 상무 / 24개 |
|
<rowcolor=#002561>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문선재 상무 / 21개 |
김회성 경찰 / 18개 |
최승준 LG / 19개 |
김사연 KT / 23개 |
한동민 상무 / 21개 |
|
<rowcolor=#002561>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이성곤 경찰 / 19개 |
윤대영 경찰 / 24개 |
이성규 경찰 / 31개 |
허정협 외 1명(F) 10개 |
이재원 LG / 13개 |
|
<rowcolor=#002561>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이재원 LG / 16개 |
김민혁 외 2명(G) 10개 |
홍성호 두산 / 15개 |
|||
A: 김원근,
황대연(
빙그레), 소상영(
OB), 김성기(
LG) B: 이전진, 곽연수( OB) C: 정원석( 상무), 윤형국( SK) D: 최형우, 곽용섭( 경찰), 박석민( 상무) E: 박병호( 상무), 조영훈( 경찰) F: 허정협( 고양), 국해성( 두산) G: 김민혁, 홍성호( 두산), 주성원( 고양) |
두산 베어스 등번호 90번 | ||||
김현수 (2006) |
→ |
국해성 (2008~2009) |
→ |
이창석 (2010) |
두산 베어스 등번호 33번 | ||||
채상병 (2007~2009.7.15.) |
→ |
<colbgcolor=#ed1c24><colcolor=#fff> 국해성 (2010~2015) |
→ |
정진호 (2016) |
두산 베어스 등번호 15번 | ||||
오현택 (2013~2015) |
→ |
국해성 (2016~2021) |
→ |
박성재 (2022.5.18.~2022)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2번 | ||||
김재유 (2020~2023.5.8.) |
→ |
국해성 (2023.5.23.~2023) |
→ |
정우준 (2024~) |
}}} ||
|
|||
<colbgcolor=#1e1a17><colcolor=#fff> 성남 맥파이스 No. | |||
국해성 鞠海成|Kook Hae-seong |
|||
출생 | 1989년 12월 8일 ([age(1989-12-08)]세) | ||
전라북도
군산시 (現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학력 | 군산중앙초 - 동인천중 - 인천고 | ||
신체 | 180cm|95kg| B형 | ||
포지션 | 외야수[1] | ||
투타 | 우투양타[2] | ||
프로 입단 | 2008년 신고선수 ( 두산) | ||
소속팀 |
두산 베어스 (2008~2021) 성남 맥파이스 (2022~2023)[3] 롯데 자이언츠 (2023) 성남 맥파이스 (2024~) |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1e1a17><colcolor=#fff> 본관 | 담양 국씨[4] | |
등장곡 | Skrillex - 〈 Bangarang〉 | ||
응원가 | Felix Mendelssohn - 〈 노래의 날개위에〉[가사][6] | }}}}}}}}} |
[clearfix]
1. 개요
성남 맥파이스 소속 외야수.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국해성/선수 경력 | |||
2008~2014년 |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3년 |
아마추어 시절 |
2.1. 수상 경력
|
|
국해성의 KBO 수상 경력 | |
2016 | 한국시리즈 우승 |
2019 | 한국시리즈 우승 |
3. 플레이 스타일
스위치 히터인지라 활용폭이 상당히 넓고 거기에 장타 툴까지 겸비해서 빠른 발에 컨택트 능력이 좋은 좌타자 위주로 재편되고 있는 두산 외야진 사이에서[7] 확실한 차별점을 가졌다. 무늬만 스위치 히터인 2018 시즌 흑역사 용병 지미 파레디스와는 다르게 양 타석에서 고르게 장타를 생산해낼 수 있는데, 이미 중학교 시절부터 양손으로 야구를 해왔던 국해성으로서 크게 어필할 수 있는 부분이다. 다만 2019 시즌엔 우타석에서는 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심하게 말하면 그냥 '서 있을 수 있는 정도'.[8] 그럼에도 스위치 히터를 고집하는 이유는 좌투수를 상대할 때 좌타석에 서면 공이 잘 보이지 않아서라고 한다. 또한 좌타 위주의 두산 타선에서 우타가 가능하다는 것은 꽤나 큰 장점으로 작용하기 때문. 다만 2020년에는 우타석에서의 생산력이 크게 개선된 모습을 보이며 진정한 스위치 히터로서의 모습을 다시 보였다.김재환과 유사한 타격폼을 가지고 있는데, 중심을 조금 더 스트라이크 존 쪽으로 잡고 간결한 레그킥을 한 뒤 타격한다. 다만 김재환과는 달리 게스히팅을 하지 않으면 깎여 맞는 스윙 궤적을 가지고 있어 밸런스가 흔들리면 타격 침체가 오래 가는 유형이다.[9] 거기에 아마추어 시절부터 고질적인 문제로 꼽혀왔던 극악의 변화구 대처 능력이 아쉽긴 하지만 나름대로 프로 입성 이후 많이 개선되고 있다. 타구의 질이 매우 좋고 선천적인 힘이 좋아 맞기만 하면 양질의 타구를 쏘아올릴 수 있는 타자.
애초에 타격 능력 몰빵 유망주였기 때문에 타격 외의 분야에서는 두각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발목 부상, 무릎 인대 손상 전력으로 인해 평범한 주력에 평범한 수준의 주루 플레이를 선보이며, 수비범위가 매우 좁다. 다만 코너 외야는 그럭저럭 커버가 가능하고 타구 판단 능력 등은 부족한 경험으로 인해 조금 떨어지더라도 중학교 때까지 스위치 투수로 뛴 경력이 있어 보살은 꽤나 잡아내는 강견이다. 부상이 잦긴 했지만 어깨만큼은 튼튼한 듯.
또한 덩치와 파워에 어울리지 않게 잔부상이 많은 유리몸이다. 선수 경력 문서에 소개한 대로 팔꿈치 문제로 시카고 컵스와의 계약이 엎어진 뒤에도 국해성은 프로 선수 생활 내내 부상을 달고 살게 되는데, 입단하자마자 두 번째 팔꿈치 수술, 2010년 발목 부상으로 인한 재활에 이어 3차 팔꿈치 수술 등 야수임에도 불구하고 투수의 메디컬 이력을 방불케 하는 수준의 부상을 당했다. 2018년 무릎 전방 십자인대 파열까지 잔부상도 아니고 정말로 야구 선수로서 입을 수 있는 굵직굵직한 부상은 다 입어본, 상당히 안타까운 선수. 이 외에도 무릎 인대 손상, 손가락 골절 등의 부상 전력이 있다. 2020년 무릎 철심 제거 수술과 팔꿈치 뼛조각 제거 수술을 받았다. 선수의 SNS 계정에 올라온 사진을 보아 뼛조각이 상당히 컸던 모양. #
결국 이러한 아쉬운 모습들로 인해 두산에서 재능을 꽃피우지 못하고 팀을 떠나게 되었다. 유리몸만 아니었으면 웬만한 실력은 나왔을 것이기 때문에 안타까울 따름이다. 그래도 독립 리그를 거쳐 롯데로 입단하면서 프로 복귀에 성공함에 따라, 다치지 않고 제 컨디션을 꾸준히 유지한다면 다시 1군 무대를 밟을 수도 있을 것이다. 실제로 2023년 5월 24일 NC 다이노스전에서 6번 지명타자로 선발출전하며 1군 무대에 복귀했지만 또 햄스트링 부상으로 일주일도 채 안되어 다시 말소되는 등 롯데에서도 잔부상으로 인해 1군에서 모습을 많이 보이지 못하며 10월 중순에 방출되고 말았다.
4. 방송 출연
4.1. 최강야구
최강야구 외야수 포지션으로 입단 트라이아웃을 합격하여 2024 시즌에 합류했다. 이로써 2016년 두산 베어스 우승 멤버 더스틴 니퍼트, 유희관, 국해성이 나란히 최강야구에 출연하게 되었다. 응원단을 포함하면 서현숙 치어리더도 있다.최강야구 최초의 스위치 히터(양타자)[10]다 보니 6월 17일 방영분인 대구고 2차전에서는 대수비 후 타석에 들어섰는데, 앞선 타자에서 나온 우완 투수를 상대로 좌타석에 섰다가 본인 타석에서 좌완 투수가 마운드에 올라오자 장비를 우타자용으로 교체[11]하는 진풍경을 보여 줬다. #
경기 전 선수 대기실 토크 등 야구 외적인 면에서는, 24시즌 신입 멤버들 중 니퍼트와 함께 둘 뿐인 프로 출신이다보니, 다른 선수들이 서로 까고 까일 때 어쩔 줄 몰라하며 웃음을 참는 대학부 영건들과 달리 능글맞게 한 수 끼어드는 등 여유있는 모습을 보인다.[12]
다만 경기에는 자주 출전하지 못 하며 주로 대타 자원으로 출전중이다. 그럼에도 대타 성공률 및 타율은 좋은 편이라 현재 부진한 정의윤이나 김문호보다 기회를 더 줘야한다는 의견들이 존재한다.
5. 여담
- 별명은 카를로스 벨트란에서 따온 국트란. 또한 잦은 잔부상으로 인해 1군에서 잘 보기 힘들고 사이버 홈런 사건으로 인해 '사이버 타자'라는 별명도 있다.
- 상기한 이유 때문에 두산 베어스 갤러리에서는 ‘국’ 또는 ‘국가’로 불렸다.
- 그라운드에서는 평상시 로봇처럼 감정이 섞인 표정이 거의 없다. 게다가 몸집도 상당히 큰 편인 데다가 등장음악마저 스크릴렉스의 덥스텝 음악 Bangarang이고, 한술 더 떠 전 시즌인 2016년에 쏘아 올렸던 데뷔 첫 사이버 홈런 때문에 팬들에게 강철로 만든 단단한 로봇이나 터미네이터같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다. 그러나 외형과 다르게 은근히 유리몸이다.
- 국해성의 아버지 국중련(鞠重鍊)은 군산상업고등학교 야구부 출신으로 아마추어 때까지 선수 생활을 했다. 1977년 청룡기 때 군산상업고등학교 야구부 소속 선수로 출전했는데 이때 주장이 김성한이었다. 또한 SSG 랜더스의 언더스로 투수 박종훈을 야구계에 끌어들인 장본인이라고 한다.[13]
- 중학교 때까지 스위치 투수로 뛰기도 했으며 보살로 주자를 아웃시킬 정도로 강견의 소유자다.
- 헬멧이 좌우 검투사로 2개 있다.
- 1군에 가끔 얼굴을 비추던 시절에는 1군 투수들이 생소해 애를 많이 먹었는데, 민병헌이 상대 투수에 대한 정보를 줘서 도움이 많이 되었다고 한다.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진출 당시 2년 내에 메이저로 올라가겠다는 목표를 잡았으나, 아쉽게 좌절되었다.
- 배지환이 육성선수 자격을 인정해 달라는 가처분 소송을 제기하면서 국해성의 사례를 들기도 했다.
6. 관련 문서
[1]
좌익수,
우익수 모두 맡을 수 있으며
최강야구에서는
중견수도 본다.
[2]
실제로는
왼손잡이다.
[3]
KBO 퓨처스리그 FA 미계약 시기
[4]
장성-선전공파 34세 호(鎬) 항렬이나 항렬자를 쓰지 않았다. 다만 아버지 국중련(鞠重鍊)은 33세 중(重) 항렬을 사용했다.
[가사]
오! 두산의 국~해성~ 오! 두산의 국~해성~ 오! 두산의 국~해성~ 오~ 오오오~ ×2
[6]
무려 데뷔 11년 만에 나온 응원가로, 응원할 때 풍선을 드는 것이 특징이었다.
[7]
김인태,
조수행,
정수빈,
안권수,
양찬열 등이다.
[8]
좌타석에서 28타수 6안타, 우타석에서 7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
[9]
본인도 자신의 이런 특성을 아는지 타석에서 볼카운트에 따라 노림수를 많이 가져간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10]
서동욱도 등록은 양타지만 최강야구에서는 좌타석에만 선다. 사실 프로 시절에도 서동욱은 넥센 이후로는 등록만 양타고 좌타로만 들어섰다. 최강야구에서는 딱 한 번 우타로 들어섰다가, 현재는 좌타 고정.
[11]
헬멧과 정강이 보호대의 방향은 물론 배트도 교체했다. 보통 스위치 히터들은 타석에 따라 스윙 스타일이 다른 경우도 있기 때문에 배트도 교체한것으로 보인다.
[12]
실제로 국해성은 이대은과 미국 진출을 같이 시도했던 경력자다. 물론 메디컬 체크에서 떨어져서 결국 신고선수로 입단하긴 했지만
[13]
국해성과 박종훈은
전라북도
군산시에서 같이 산 적이 있다. 전북 지역이 군산상일고와 전주고를 제외하면 야구명문이라 할곳이 없는 사실상 야구 불모지다 보니 군산 지역 초, 중학교 유망주들이 고등학교는 타 지역으로 진학하는 사례가 많은데 박종훈은 국중련 씨의 영향 덕에 군산상고로 진학한 것으로 보인다. 자세한 내용은
군산상일고등학교 야구부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