解 풀 해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角,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3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カイ, ゲ
|
||||||
일본어 훈독
|
と-く, と-かす, と-ける,
さと-る, ほぐ-れる, ほつ-れる, ほど-く, ほど-ける, わか-る |
||||||
-
|
|||||||
표준 중국어
|
jiě, jiè, xiè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解는 '풀 해'라는 한자로, '풀다', '풀이하다', ' 이해(理解)하다' 등을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89E3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NBSHQ(弓月尸竹手)로 입력한다.角(뿔 각) + 刀(칼 도) + 牛(소 우)가 합쳐져 만들어진 회의자로 소(牛)의 살, 뼈, 뿔(角) 등을 칼(刀)로 따로 바른다는 뜻으로 '풀다'가 되었다. 갑골문에서는 소의 뿔을 양손으로 해체하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으며, 소전에 와서야 양손을 나타내는 부분이 刀로 대체되었다.
'풀다'라는 단어가 워낙 여러 방면에서 쓰이다 보니 일상생활에서 解가 들어가는 단어도 엄청나게 많다.
3. 용례
3.1. 단어
- 견해( 見解)
- 곡해( 曲解)
- 난해( 難解)
- 독해( 讀解)
- 분해( 分解)
- 양해( 諒解)
- 오해( 誤解)
- 와해( 瓦解)
- 용해( 溶解)
- 융해( 融解)
- 이해( 理解)
- 전해질( 電解 質)
- 해결(解 決)
- 해고(解 雇)
- 해금(解 禁)
- 해답(解 答)
- 해독(解 毒/解 讀)
- 해동(解 凍)
- 해동기(解凍 期)
- 해명(解 明)
- 해방(解 放)
- 해법(解 法)
- 해부(解 剖)
- 해빙(解 氷)
- 해산(解 散)
- 해상도(解 像 度)
- 해석(解 釋/解 析)
- 해설(解 說)
- 해소(解 消)
- 해이(解 弛)
- 해임(解 任)
- 해정술(解 錠 術)
- 해제(解 除)
- 해제(解 除)
- 해지(解 止)
- 해체(解 體)
- 해탈(解 脫)
- 현해( 懸解)
- 화해( 和解)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고이해( 古 爾解)
- 막고해( 莫 古解)
- 모모타 카이토( 百 田 解 斗)
- 박노해( 朴 勞解)
- 선도해( 先 道解)
- 야율해리( 耶 律解 里): 10세기 중반에 활동함
- 온군해( 溫 君解)
- 와카라즈노미야 밀리온( 不解 宮 ミリオン)
- 적막이해( 適 莫 爾解)
- 카데노코지 유카리( 勘解 由 小 路 ユカリ)
- 카데노코지 이치지쿠( 勘解 由 小 路 無 花 果)
- 쿠사나기 리카이( 草 薙 理解)
- 해모수(解 慕 漱)
- 해부루(解 扶 婁)
- 해이(解 離): 1978년생
- 백제 대성팔족의 해(解)씨
- 황해준( 黃解 晙)
3.4. 지명
3.5. 창작물
- 경국대전주해( 經 國 大 典 註解)
- 만해( 卍解)
- 몽어유해( 蒙 語 類解)
- 무경칠서휘해( 武 經 七 書 彙解)
- 시해( 始解)
- 직재서록해제( 直 齋 書 錄解 題)
- 해체신서(解 體 新 書)
- 훈민정음 해례본( 訓 民 正 音 解 例 本)
- 炉心融解( 노심융해)
- 正解
- この恋の解を答えなさい( 이 사랑의 해를 구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