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군사 군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車, 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9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グン, クン
|
||||||
일본어 훈독
|
いくさ, つわもの
|
||||||
军
|
|||||||
표준 중국어
|
jū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軍은 '군사 군'이라는 한자로, ' 군사(軍士)', ' 군인(軍人)'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군사 |
음 | 군 | |
중국어 | 표준어 | jūn |
광동어 | gwan1 | |
객가어 | kiûn | |
민북어 | gé̤ng | |
민동어 | gŭng | |
민남어 | kun | |
오어 | jyn (T1) | |
일본어 | 음독 | グン, クン |
훈독 | いくさ, つわもの | |
베트남어 | quân |
회의자로, 한자의 모양만 보면 冖(덮을 멱)과 車(수레 차)의 조합으로 보기 쉬우나 사실은 勻(고를 균)와 車(수레 차)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뉴스나 신문 등 언론에서 군대나 군인에 관련되어 있으면 주로 軍을 붙인다.
3. 용례
3.1. 단어
- 군(軍)
- 강행군( 强 行軍)
- 공군( 空軍/ 共軍)
- 관군대장군( 冠軍 大 將 軍)
- 괴뢰군( 傀 儡軍)
- 국군( 國軍)
- 군가(軍 歌)
- 군견(軍 犬)
- 군경(軍 警)
- 군기(軍 器/軍 旗/軍 機/軍 氣/軍 紀/軍 記)
- 군납(軍 納)
- 군대(軍 大/軍 隊)
- 군란(軍 亂)
- 군법(軍 法)
- 군병(軍 兵)
- 군복(軍 服)
- 군부(軍 部)
- 군비(軍 備)
- 군사(軍 事)
- 군사(軍 使/軍 史/軍 司/軍 士/軍 師)
- 군수품(軍 需 品)
- 군악(軍 樂)
- 군역(軍 役)
- 군의(軍 議/軍 醫)
- 군인(軍 人)
- 군정(軍 政)
- 군함(軍 艦/軍 銜)
- 군화(軍 靴)
- 동맹군( 同 盟軍)
- 미군( 美軍)
- 상비군( 常 備軍)
- 수군( 戍軍/ 水軍)
- 승호군( 陞 戶軍)
- 십자군( 十 字軍)
- 아군( 我軍)
- 연합군( 聯 合軍)
- 예비군( 豫 備軍)
- 육군( 陸軍/ 六軍)
- 인민군( 人 民軍)
- 장군( 將軍)
- 적군( 敵軍)
- 전군( 全軍/ 典軍)
- 참군( 參軍)
- 철군( 撤軍)
- 퇴군( 退軍)
- 해군( 海軍/ 解軍)
- 회군( 回軍)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김군관( 金軍 官)
- 김군승( 金軍 勝)
- 둥쥔( 董军)
- 사나기 군조( 佐 奈 樹 軍 曹)
- 소기이타 군하( 削 板 軍 覇)
- 쇼지 군페이( 庄 司 軍 平)
- 예군( 禰軍)
- 이토시마 군키( 糸 島 軍 規)
- 장쥔( 张军)
- 탕이쥔( 唐 一军)
3.4. 지명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화촌면 군들길(軍들길)
- 경기도 과천시 장군마을길( 將軍마을길)
- 대구광역시 군위군(軍 威 郡)
- 경기도 군포시(軍 浦 市)
- 군포역(軍 浦 驛)
- 부산광역시 서구 장군산로( 將軍 山 路)
- 서울특별시 관악구 장군봉길( 將軍 峰길)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將軍 面)
- 쇼군잔역( 将軍 山 駅)
- 아스날가 정류장(軍 器 廠 街 電 車 站)
- 전라남도 여수시 장군산길( 將軍 山길)
- 정관오역( 將軍 澳 站)
3.5. 기타
- 군교대(軍 敎 隊)
- 군백기(軍 白 期)
- 군부심(軍 負 心)
- 군삼녀(軍 三 女)
- 군수(軍 修): 입시 관련 속어
- 군지(軍 芝)
- 군통령(軍 統 領)
- 금화군( 禁 火軍)
- 마니와 닌군( 真 庭 忍軍)
- 신군부( 新軍 部)
- 신나軍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5. 여담
HSK 5급에 출제되는 한자이다.2021년 중국공안부의 인명 통계에 따르면 외자 이름을 쓰는 국민 중 아홉 번째로 흔한 이름이 军이며 93%가 남자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