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5 16:45:34

파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신라 제5대 국왕 박파사에 대한 내용은 파사 이사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고대 중국 전설상의 요괴2. 이란의 도시
2.1. 역사
3. 페르시아의 한자식 표현

1. 고대 중국 전설상의 요괴

파일:Chinese_dragon_asset_heraldry.svg.png 동아시아 상상의 동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한반도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치녀 · 경강적룡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나티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매구 · 맹용 · 모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 이매망량 · 이무기( 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촌법사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양 · 취생 · 칠우부인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호문조 · 홍난삼녀 · 허주
사령( 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 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 공공 · 단주 · · 삼묘) · 가국 · 강시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1 · 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 명사 · 무손수 · 무지기 · · 백악 · 백택 · 봉희 ·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 비두만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인면수 · 인랑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1 · 2 · 활 · 황요 · 황포괴 · 해태 ·
가고제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우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쥬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빈보오가미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만바 · 오니 · 오니구마 · 오니바바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오가마 · 오오무카데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요스즈메 · 우미보즈 · 우부메 · 유키온나 · 유킨코 · 와이라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쿠다키츠네 · 쿠단 · 쿠비카지리 · 큐소 · 키도우마루 · 키요히메 · 키지무나 · 키츠네비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텐구 · 텐죠나메 · 텐죠사가리 · 하시히메 · 한자키 · 화차 · 효스베 · 후우진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기타
사신( 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 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교인 · 구미호 · 독각귀 · 유성신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옥토끼 · · 용생구자 · 삼족오 · 선녀 ·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북아시아·중앙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파일:attachment/20300.jpg
파사(巴蛇)
요 임금 시대에 둥팅호에서 살고 있었던 거대한 요괴. 사천성 지역의 전설이라 한다. 근데 둥팅호는 후난성에 있다 수사라고도 한다.

검은 몸에 푸른 머리[1], 혹은 청황적흑으로 알록달록한 색을 띈다고 전해지며, 몸길이는 무려 1,800미터에 달한다고 한다. 지나가는 동물이나 인간은 닥치는대로 삼키는데 코끼리까지 먹어 치운다.[2] 후에 영웅 에게 퇴치당하고 수사의 뼈는 모여 산이 되었는데 이를 파능이라고 한다.

2. 이란의 도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아바데
آباده
이클리드
اقلید
호람비드
خرم بید
바바나트
بوانات
사르체한
سرچهان
바크테간
بختگان
로스탐
رستم
세피단
سپیدان
베이자
بیضا
마르브다슈트
مرودشت
파사르가다에
اسارگاد
아르산잔
ارسنجان
마마사니
ممسنی
쉬라즈
شیراز
자르칸
زرقان
카라메
خرامه
에스타반
استهبان
네이리즈
نی ریز
쿠체나르
کوه چنار
카제룬
کازرون
카바르
کوار
사르베스탄
سروستان
파사
فسا
다라브
داراب
파라쉬반드
فراشبند
피루자바드
فیروزآباد
카프르
خفر
자롬
جهرم
자린다슈트
زرین دشت
라레스탄
لارستان
키르 바 카르진
قیر و کارزین
콘즈
خنج
모흐르
مهر
라메르드
لامرد
게라쉬
گراش
에바즈
اوز
}}}}}}

페르시아어: فسا
영어: Fasa

이란 남부 파르스 주의 도시. 시라즈에서 동남쪽으로 100km, 피루자바드에서 동쪽으로 90km, 다라브에서 서쪽으로 65km, 자롬에서 북쪽으로 35km 떨어진 평지에 위치한다. 인구는 11만명으로, 주내에서 4번째로 큰 도시이다. 무려 아케메네스 제국으로 거슬러 올라갈 정도로 유서 깊은 도시로, 샤나메의 왕자들 중 하나인 파사에서 유래하였다 하거나 혹은 야영지를 의미하는 페르시아어 단어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전통적으로 파르스에서 케르만 지역으로 향하는 교통의 요충지로 중시되었다. 중세에는 중개 무역과 비단 산업으로 번영을 누렸지만 우여곡절을 겪었다.

구도심에는 사파비 ~ 아프샤르 시기에 세워진 모스크나 정원 등의 유적들이 있다. 시가지 서쪽에는 파사 대학교, 서남쪽에는 파사 의대, 북부에는 파사 천문대가 있다. 동남쪽 5km 지점에는 파사 공항이 있지만 현재 폐쇄된 상태이다. 해발 1150m의 고지대에 위치했지만 분지 지형이라 여름에는 40도에 육박하고 겨울에도 영하권을 잘 떨어지지 않는 온난한 기후를 지녔다. 이에 더하여 와디 수준이긴 하지만 동쪽에 강이 흐르기에 특산물 파사이 빵 (نان فسایی)을 만드는 밀 중심으로 하여 대추야자, 견과류, 오렌지 등의 농산물이 풍부하다. 그외에 목화가 재배되고, 가축 사육도 활발하다.

2.1. 역사

파사에서는 기원전 2000년 경부터 마을이 형성되었고, 페르시아 제국에 들어 진흙 벽돌로 도시화되었다. 고고학적 발굴에 의하면 파사에는 페르세폴리스를 모방한 작은 궁전이 있었다 한다. 이슬람 정복기에 파사는 644년, 다라브와 함께 전투 없이 항복하였기에 이슬람 제국 하에서 파사는 비단 생산지로써 부를 쌓아 번영하였다. 1058-59년 파티마 왕조 명의로 바그다드를 일시 장악했던 튀르크 군벌 알 바사시리가 이곳 출신이다.

하지만 1050년 셀주크 제국에 의해 파괴된 후 쇠퇴하였고, 한동안 소도시로 남았다. 그러다 사파비 왕조 시기에 대사원, 바자르, 하맘 등이 세워지며 옛 명성을 일부 회복하였다. 18세기 카림 칸은 바크티야르 루르인 부족인 차하르 랑을 일대에 정착시키며 민족 구성이 다양해졌다. 근대 카자르 왕조 시기에는 기근과 역병, 전란 등이 겹치며 재차 쇠락하여 현재에 이른다.

3. 페르시아의 한자식 표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페르시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사 (波斯), 파사국


[1] 주권국이 있는데 푸른 머리를 한 검은 뱀이 있어 코끼리를 잡아먹는다. 민음사판 산해경 331쪽. [2] 다만 파사가 코끼리를 소화시키는 데는 약 3년이나 걸린다고 한다. 참고로 파사가 뱉은 코끼리 뼈는 가슴과 배 등의 질병에 잘 듣는 약이 된다고. 산해경에 따르면 군자 한정이다(산해경 26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