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6 22:03:45

키요히메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Fate 시리즈의 키요히메에 대한 내용은 키요히메(Fate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음양사의 키요히메에 대한 내용은 키요히메(음양사)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결전! 헤이안쿄의 키요히메에 대한 내용은 키요히메(결전! 헤이안쿄)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hinese_dragon_asset_heraldry.svg.png 동아시아 상상의 동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한반도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치녀 · 경강적룡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나티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매구 · 맹용 · 모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 이매망량 · 이무기( 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촌법사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양 · 취생 · 칠우부인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호문조 · 홍난삼녀 · 허주
사령( 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 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 공공 · 단주 · · 삼묘) · 가국 · 강시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1 · 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 명사 · 무손수 · 무지기 · · 백악 · 백택 · 봉희 ·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 비두만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인면수 · 인랑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1 · 2 · 활 · 황요 · 황포괴 · 해태 ·
가고제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우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쥬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빈보오가미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만바 · 오니 · 오니구마 · 오니바바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오가마 · 오오무카데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요스즈메 · 우미보즈 · 우부메 · 유키온나 · 유킨코 · 와이라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쿠다키츠네 · 쿠단 · 쿠비카지리 · 큐소 · 키도우마루 · 키요히메 · 키지무나 · 키츠네비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텐구 · 텐죠나메 · 텐죠사가리 · 하시히메 · 한자키 · 화차 · 효스베 · 후우진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기타
사신( 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 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교인 · 구미호 · 독각귀 · 유성신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옥토끼 · · 용생구자 · 삼족오 · 선녀 ·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북아시아·중앙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1. 일본의 괴담에 나오는 요괴2. 마이히메의 등장인물

1. 일본의 괴담에 나오는 요괴

清姫.
月[ruby(落, ruby=お)]ち[ruby(鳥鳴, ruby=とりな)]いて[ruby(霜雪天, ruby=しもゆきてん)]に。[ruby(満汐, ruby=みちじお)]程なく[ruby(日高, ruby=ひだか)]の寺の。[ruby(江村, ruby=こおそん)]の[ruby(漁火, ruby=ぎよくわ)]。[ruby(愁ひ, ruby=うれい)]に[ruby(対, ruby=たい)]して人々[ruby(眠, ruby=ねむ)]れば[ruby(良, ruby=よ)]き[ruby(隙, ruby=ひま)]ぞと。[ruby(立, ruby=た)]ち[ruby(舞ふ様, ruby=もおよお)]にて[ruby(狙ひ寄, ruby=ねらいよ)]りて。[ruby(撞, ruby=つ)]かんとせしが。思[ruby(へ, ruby=え)]ばこの鐘[ruby(恨, ruby=うら)]めしやとて。[ruby(龍頭, ruby=りうづ)]に手を[ruby(掛, ruby=か)]け[ruby(飛, ruby=と)]ぶとぞ[ruby(見, ruby=み)]えし。[ruby(引, ruby=ひ)]きかづきてぞ[ruby(失, ruby=う)]せにける。

달이 지고 새가 지저귀고 하늘에 서리가 눈처럼 내리도다. 파도가 빠진 히다카 강변의 절에서 보이는 강어귀 마을 어선의 애수어린 불빛에 절의 사람들이 모두 잠드매 (여인이) 좋은 때라고 여겨, 서서 춤을 계속하는 척 매달린 범종을 노려 울리려고 하네. 기억해보니 이 종이란 원망스러운 것이로다. 용두(龍頭)에 손을 뻗으며 뛰어들어 종을 끌어내리매 떨어지는 종 속에 들어가 사라져버렸도다.
노가쿠 칸제류(観世流) 도조지(道成寺) 대본에서 키요히메의 원령이 종을 떨어뜨리고 그 속에 들어가는 장면의 노래

[nicovideo(sm11831201)]

[nicovideo(sm11832401)]

일본 인형 애니메이션의 거장 카와모토 키하치로(川本喜八郎) 감독의 부조리 3부작 중 "도조지(道成寺)"[1]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안친(安珍)이라는 승려가 영주의 딸 키요와 사랑에 빠졌으나 후에 그의 욕망을 극복하고 키요를 버리고 떠났다고 한다. 다른 이야기에서는 영주가 단순히 어린 딸을 달래기 위해서 (혹은 놀리기 위해서) 지나가는 잘생긴 승려가 정혼자라고 했고, 나중에 성장한 키요히메가 그 승려를 찾아갔으나 승려는 놀라서 도망쳤다고 한다.[2] 어느 판본이든 동일하게 키요는 버림받은 원한을 품고 안친을 쫓아간다.

안친은 달아나다가 히다카 강을 배를 타고 건너면서, 뱃사공에게 절대로 키요를 태워주지 말라고 부탁한다. 그러나 키요는 원한 때문에 뱀의 형상[3]으로 변해서[4] 헤엄쳐서 강을 건넜다. 안친은 도조사(道成寺)라는 절에 가서 자신을 숨겨달라고 부탁했고, 그 절에서는 안친을 종 속에 숨어있게 한다. 그러나 키요히메는 절까지 쫓아와 난동을 부렸고, 이에 맞서다 나가 떨어진 승려들과 도망치는 승려들로 절은 아수라장이 되었다. 기어이 안친을 찾아낸 큰뱀은 종을 몸으로 감아서 종 채로 불태워 죽였고, 동시에 본인도 그 불에 같이 타죽었다고 한다.[5]

후에 도조사에서 안친을 기리는 종을 다는 의식을 하려고 할 때 어떤 여자가 나타나서 의식을 방해한다. 다른 승려들은 이 여자를 꾸짖으면서 키요히메의 이야기를 한다. 그러는 동안 여자의 행색은 점점 이상해지고, 마지막에는 승려들이 방심해 잠든 틈을 타 종 속으로 들어가며 종을 떨어뜨린다[6]. 종이 떨어지는 굉음에 놀란 승려들이 깨어나 종에 가까이 다가갔지만 이미 종은 불타는 듯이 뜨겁게 달아올랐다. 결국 주지승을 불러 경을 외우자 여인은 종 속에서 거대한 뱀 요괴의 모습으로 변해 나타나지만 승려들에게 퇴치당한다.

불교적인 교훈을 강조하는 경우에는 종이 불에 타서 안친도 키요히메도 모두 죽은 뒤에 도조지 주지승의 꿈에 꼬리를 서로 휘감은 두 마리의 뱀이 나타나, 그 중 한 마리가 자신을 불에 타죽은 안친이라고 소개하며 자신은 지옥에서 독사로 전생(轉生)한 마녀(키요히메)에게 붙들려 강제로 부부가 되었고 뱀으로 태어나서 괴로워하고 있으니 자신을 위해 공양해달라고 호소했고 이에 두 사람을 위해 주지승이 법화경을 설법해 주어 성불할 수 있었다는 결말로 이어지기도 한다.

키요히메의 이야기는 다른 유명한 괴담들과 마찬가지로 가부키에서도 "도조지(道成寺)"라는 제목으로 종종 다루어지고 있다. 사실 후일담 부분은 전통적인 괴담이라기보다 노에서 요괴가 나오는 멋진 연출을 할 수 있도록 만든 이야기라는 느낌이 강하다.

이 이야기의 배경이 된 도조지(도조사)는 실제로 와카야마현에 존재하는 사찰로 지금도 현존하고 있다. 도조지의 설화도 에도 시대에 절이 쇠락했을 때 절을 재건할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서 각지를 돌던 행각승들이 신도들을 모으기 위해 들려준 이야기였다. 이 설화가 사람들에게 상당히 인기를 얻어 절에 찾아오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시주를 받아 절을 재건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야기에 나오는 범종도 현재까지 남아있는데, 전해지는 일화로는 키요히메의 사건이 있고 난 후에도 계속 도조사 주위 마을에서 역병과 괴현상이 끊이지 않자 절의 승려들이 결국 종을 인근 산에 내다 버렸다고 한다. 그로부터 약 200년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부하였던 센고쿠 히데히사가 이 종을 발견해 교토로 가져왔고, 묘만지(妙満寺)의 주지승이던 니치인이 종에 걸린 저주를 푸는 데 성공하였다고 한다. 종은 지금도 묘만지에 보관 중인데, 노가쿠에서 쓰이는 거대한 종 소품과 비교하면 상당히 작은 편이다. 출처[7]

옥문도에 도성사의 종 이야기가 나온다. 종은 소품으로서 등장.

갤러리 페이크 5권에서도 키요히메의 이야기가 언급된다.

게임에서는 Fate 시리즈에서도 등장하며, 월화의 검사의 등장인물 이치조 아카리의 커맨드잡기 필살기인 핵귀 청희에서도 소환된다. 종에 들러붙은 뱀 같은 모습으로 나와 전승대로 종이 붉게 달궈질때까지 불을 뿜어서 종에 갇힌 적을 구워버리는 형식인데, 일정확률로 아카리도 같이 갇힌다. 여기서는 야차나 반야 같은 형태의 뿔과 얼굴모양새를 하고 있다보니, Fate 시리즈로 키요히메를 알았던 사람은 좀 놀랄 수도 있을 부분.

2. 마이히메의 등장인물

파일:attachment/키요히메/kiyohime.gif
후지노 시즈루가 부리는 야마타노오로치와 오징어를 섞은듯한 모습을 한 차일드이다. 어원은 1인 듯. 쿠가 나츠키를 쫓아다니며 후반에 나츠키를 보호하며 나츠키를 덮치는 시즈루의 모습이 전설에 나오는 키요히메를 의식했는지 키요히메를 연상시키는 면이 있다. 얀데레? 등장 횟수는 별로 많지 않지만 등장할 때마다 압도적인 전투력을 선보임으로써 시즈루와 함께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뱀 같은 몸과 얼굴을 6개 가졌으며 6개의 얼굴에 있는 각각의 목은 자유롭게 움직이며 다방면에서의 동시 공격이 가능하다. 촉수처럼 늘어나는 목을 이용해 얼굴에 있는 날카로운 송곳니로 상대방을 잘게 씹을수 있다. 카구츠치와 맞먹을 정도로 강하고 거대해서 다이아나, 줄리아를 쉽게 물리쳤다. 능력은 가부키의 항목 "도성사"로 알려진 안진 청진전이 모티브이다.

마지막에는 나츠키의 듀란과 동귀어진으로 함께 소멸....했지만 마시로에 의해 듀란과 함께 부활한후에 다른 8마리의 차일드와 함께 히메별을 없애버려서 카구츠치가 흑요를 없애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준다. 코믹스판에서는 직접 나오지 않지만 마시로가 보였던 과거의 기억 속에 등장했다.
[1] 후술되는 후일담까지는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지 않았다. [2] 곤자쿠모노가타리에는 쿠마노(熊野) 참배를 위해 스승과 함께 여행하던 도중에 어느 마을에 묵었는데 그 집에 혼자 살고 있던 과부가 젊은 승려에게 반해서 한밤중에 몰래 그의 방에 숨어들었고, 승려는 자신은 쿠마노 참배를 가야 하는 처지라 참배가 끝나고 나면 반드시 이곳에 다시 들르겠다고 약속하며 여자를 진정시켜 위기를 모면한 뒤 쿠마노 참배를 마치고 그 마을을 들르지도 않고 가버렸다고 한다. [3] 원문에는 용사(龍蛇). 용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다리가 없으며 입에서 불을 토한다. [4] 보다 초기의 이야기에서는 자기 집안에서 요괴로 변했다고 한다. [5] 다른 판본에서는 안친을 태워죽인 후에 히다카 강에 몸을 던져 자살했다는 내용이 있다. [6] 위에 소개된 노래의 부분이다. [7] 노가쿠의 종 소품이 큰 것은, 배우가 그 속에서 혼자서 의상과 가면을 갈아입어야 하기 때문이다. 노가쿠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이는 절대로 쉬운 일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