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4 20:47:49

불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한자 '불 개'에 대한 내용은 𤐩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008275><colcolor=#fff> 대한민국의 견종
공인 품종 진돗개 · 삽살개 · 풍산개 · 동경이
비공인 품종 제주개 · 불개 · 밀양개 · 거제개 · 고려개 · 발바리 · 코리안 마스티프
파일:불개.jpg
파일:불개1.jpg
불개

1. 견종
1.1. 개요1.2. 상세
1.2.1. 비판
2. 설화
2.1. 까막나라 불개 설화
3. 여담

[clearfix]

1. 견종

1.1. 개요

대한민국 견종. 경상북도 영주시 인근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 뾰족한 귀와 늑대같이 비교적 긴 허리 등 늑대와 유사한 특징을 지녀, 그 근원을 옛날 인근 소백산맥에 살던 늑대가 화전민이 키우던 반려견과 교배하여 생긴 종이라고 전해지고 있지만, 이는 멸종 위기에 처한 불개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전설이다.

정읍불개라는 것이 있지만 이는 불개와 관련이 없으며, 정읍불개는 2003년 진돗개 백구와 흑구 사이에 붉은 털을 가진 개를 태어난 것을 모색과 혈통을 고정시킨 붉은 진돗개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정읍불개는 불개와 달리 현재 토종 적갈색 정읍불개로 인정받고 있으며, 이는 미국의 Embark사의 유전자 검사를 통해 토착견(진돗개)으로 공식 확인된 바 있다. https://blog.naver.com/mju7776/223318858287

1.2. 상세

초콜릿에 가까운 털색은 불개를 복원하는 과정에 지나친 근친에 의한 유전병 방지용으로 섞어 넣은 다른 개의 유전 형질이 반영된 것이다.

특징으로는 온 몸의 털과 맨살, 발톱이 불그스레한 황색이며 낯선 사람에 대한 경계심이 아주 강하여 몇 년간 키워 온 주인에게도 다가오지 않는 경우가 많다. 불개를 본 기억이 있는 노인들이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면서 성격이 까탈스럽다고 증언하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TV동물농장에 나온 불개 역시 6년 동안 키우고 먹이를 준 사람도 경계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불개는 진돗개와 비슷하게 새끼 때부터 기른 첫 주인만 잘 따르고 새 주인에게는 적응을 잘 못하는 성격이 있다.

TV 동물농장에 출연한 또 다른 불개는 개집을 갑갑하게 여겨 철망으로 된 담장을 아주 간단히 기어올라 탈주해 버리기도 하는 모습도 보였고 일제강점기 일본군에서 모피를 쓰기 위해 죽여서 멸종 상태에 이르렀다고 소개되었다.

보신탕에 희생된 대표적인 견종이다. 다른 개보다 유독 효능이 좋다는 소문이 퍼져 '약개'라는 별명이 붙었으며, 불과 20여 년 만에 멸종 직전까지 몰릴 정도로 잡아먹혔다. 그래서 국내에서 60년대 말에 늑대가 멸종되면서 같이 사라진 것으로 생각되었다. 하지만 동양대학교 고승태 교수 등의 각고의 노력 끝에 불개 견종을 입수할 수 있었다. 그 때 입수한 불개 견종은 (보신탕용) 개장수 우리 안에 있었고, 이렇게 천신만고의 노력 끝에 간신히 혈통을 복원할 수 있게 되었다. 2012년 기준으로 개체수 약 60여 마리밖에 없었으나, 지금은 하바니즈의 경우를 보면 짐작할 수 있듯이 애호가들이 개체수를 늘리기 위해 힘쓰고 있으므로 좀 더 늘었을 듯하다. 그러나 그렇게 늘어남과 함께 이웃에 민폐가 늘어나는 것이 함정.

TV 동물농장에 출연한 불개의 최근 근황을 살펴보면, 확실히 세대를 건너갈수록 순해지는 면이 생기는 듯 하나 사람에 대한 공격성은 여전하다. 색깔은 탁한 초콜렛 빛이 아닌 붉은색 털로써 붉은여우의 색깔과 비슷하다.

1.2.1. 비판

한국의 토종견들이 계획적인 개량을 거치지 않은 자연견종이고 현대에 와서 품종이란 기준에 인위적으로 편입시킨 경향이 크나 그중에서도 불개는 역사자료가 부족하고 그 기원이 불분명하기에 진돗개 동경이 등 다른 공식적인 종류와 동급으로 비교하기에는 많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일각에선 불개는 재래견종으로 볼 수 없고 최근에 육종(진행 중인)한 품종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까지 나오는 상황. 그러나 삽살개가 그랬듯 애견가들마저도 익히 알고 있던 생김새와 다르면 일부러 만들어냈다고 의심부터 하는 상황이라 근거 없는 억지 주장일 수도 있다.[1]

현재 재정난으로 교수 주도의 복원 사업은 사실상 중단되었으며 개들은 전국으로 흩어진 상황인데, 혈통고정의 구심점이 없어지다보니 브리더마다 개인플레이가 심화된 상황. 토종견과의 교잡은 물론 늑대와 교잡시켜 늑대혈을 진하게 만들어 사람을 공격하는 괴물을 만드는 등 불개의 진위 여부는 둘째치더라도 품종의 기준을 정하는 일조차 어렵게 되었다.

2. 설화

파일:Chinese_dragon_asset_heraldry.svg.png 동아시아 상상의 동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한반도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치녀 · 경강적룡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나티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매구 · 맹용 · 모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s-2 · 불여우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 이매망량 · 이무기( 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촌법사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양 · 취생 · 칠우부인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호문조 · 홍난삼녀 · 허주
사령( 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 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 공공 · 단주 · · 삼묘) · 가국 · 강시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1 · 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 명사 · 무손수 · 무지기 · · 백악 · 백택 · 봉희 ·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 비두만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인면수 · 인랑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1 · 2 · 활 · 황요 · 황포괴 · 해태 ·
가고제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우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쥬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빈보오가미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만바 · 오니 · 오니구마 · 오니바바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오가마 · 오오무카데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요스즈메 · 우미보즈 · 우부메 · 유키온나 · 유킨코 · 와이라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쿠다키츠네 · 쿠단 · 쿠비카지리 · 큐소 · 키도우마루 · 키요히메 · 키지무나 · 키츠네비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텐구 · 텐죠나메 · 텐죠사가리 · 하시히메 · 한자키 · 화차 · 효스베 · 후우진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기타
사신( 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 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교인 · 구미호 · 독각귀 · 유성신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옥토끼 · · 용생구자 · 삼족오 · 선녀 ·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북아시아·중앙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2.1. 까막나라 불개 설화

불개가 주인공인 까막나라 불개라는 민담이 있다. 까막나라라는 이름 그대로 암흑천지인 나라에서 빛을 얻고자 하여, 불을 물어도 아무렇지 않은 불개들을 시켜서 해와 달을 훔쳐 가져오도록 시키는데, 해는 불보다 더 뜨거워서 뱉고 달은 얼음보다 차가워서 뱉는 짓을 계속 반복하고 있다는 이야기. 이 때문에 일식 월식이 일어난다고 한다. 여기서 불개의 불은 불(火)을 의미하는데 실존하는 불개의 이름의 유래를 '붉은 개'로 보는 추측이 맞다면 실존하는 불개와는 별개인 상상의 동물일 가능성이 높다. ("붉다,붉은,벌건,빨간,뻘건"라는 단어들이 붉은색인 "불"에서 나온 말로 보면 맞기도 하다.)
파일:external/bimage.interpark.com/131833e.jpg
이 설화를 바탕으로 각색한 동화 중에서는 정승각의 동화 '까막나라에서 온 삽사리'가 상당히 인상적이고 인지도도 높다.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불개가 까막나라의 왕에게 명령을 받아 현무에게 길을 물어 해와 달을 찾으러 가는데, 해를 지키는 청룡과 달을 지키는 백호에도 물러서지 않고 해와 달을 가져오려 했으나 실패하는 것까지는 설화와 같지만, 여기서는 불개가 해와 달을 가져오지는 못한 대신 몸에 햇빛과 달빛을 머금었고, 이후 임금님 앞에 밝은 불덩어리를 토해놓아 까막나라를 환하게 밝힌다. 왕은 처음에 불덩이를 보고 '이제 까막나라에도 빛이 생기는구나'라며 기뻐할 뻔했으나, 평소 불개를 미워하던 신하들은 불개가 왕의 총애를 받을까 질투심에 불개가 해와 달을 가져오랬지 그 빛을 가지고 오라 한 것이 아니었으니 불개는 어명을 거역했다며 거짓으로 모함하고, 왕은 이 말에 속아 불개에게 해와 달을 가지고 오지 못한 누명을 씌워서 불개를 내쫒으라고 명한다. 결국 왕이 내리겠다던 상도 받지 못하고 땅으로 떨어지던 불개는[2] 주작(봉황)과 학들에게 실려가 해가 떠오르는 땅(우리나라)에 도착하여 태양을 닮은 황삽사리와 달을 닮은 청삽사리를 낳았다고 한다.[3]

이 동화 '까막나라에서 온 삽사리' 내용에 대해서는 "불개는 힘이 세고 털이 많은 북실북실한 개" 라고 서술되어있는 민담 채록집을 보고서 2005년 어떤 학자가 자신의 박사 논문에 "불개라는 개는 털이 많다고 하니 삽살개로도 추정된다" 라고 말한 것을 그대로 반영했다는 말이 있다.

1993 대전 엑스포의 인기 전시관 중 하나였던 테크노피아관의 영상물이 미래도시 테크노피아의 화려한 불빛을 탐낸 대마왕이 불개전투기를 보내 습격한다는 내용이었다. 해당 영상

어딘가 북유럽 신화의 스콜 하티 이야기와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3. 여담

  • 한재규의 괴작만화 "날아라 우주 거북선"의 원래 제목이 불개였다. 우주 괴물 불개가 나오는 미스테리가 원래 설정. 나중에 수상이 불개에 세뇌되어 침략 전쟁을 일으킨 고모라 연방( 소련 국기와 비슷한 국기를 가진)과 싸우고 불개와 대결하는 SF물로 바뀌었지만. 그래봤자 불개의 모습을 한 에일리언. [4]
  • 만약 불개가 우리나라를 넘어 아시아, 세계에서 견종으로 인정받는 날이 온다면 이 이름을 어떻게 영어로 표기할지가 문제가 될 것이다. 진돗개를 'jindo dog'으로 표기한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표시하려고 해도 이미 ' bull dog'이 있으니까. 로마자 표기 규정에서는 l이 하나인 bul dog가 된다. Bool dog은? 그렇다고 'fire dog'이나 'red dog'으로 표기하기는 좀 그렇다. 현재 국어 로마자 표기법에서 문화재나 자연물 등은 '한국 발음+상위 개념의 영어 번역'으로 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bulgae dog로 표기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겹말로 쓰는게 맞는지 생각해봐야 하고 잃는 입장에선 불개독이 되는데 개독은 멸칭인 부분도 있다는 걸 염두에 두어야 한다. http://blog.naver.com/hwyoon1001/220467778329 페이지 참고. 다만 현재 불개의 품종 관리 현황을 볼 때 정식 견종으로 인정받기는 요원해 보인다.
  • 두상 자체는 진돗개처럼 팔각형이나 진돗개보다 훨씬 더 샤프한 느낌이 강해 묘하게 여우상이다.
  • 정읍불개는 이 불개와 관련이 없다. 정읍불개는 2003 진돗개 백구와 흑구 사이에서 붉은 털을 가진 새끼가 태어난 것을 시작으로 모색과 혈통을 고정화시킨 붉은 진돗개라고 할 수 있다.


[1] 실제로 올드 잉글리쉬 쉽독 등 외국 견종과 생김새가 유사한 이유로 만들어낸 품종이라는 비판을 받던 삽살개는 유전자 분석 결과 고유 유전자를 가진 별개의 품종이라는 것이 밝혀졌고, 진돗개의 아류 취급받던 제주견도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집단이라는 것이 뱕혀졌다. 불개 역시 유전자 분석으로 다른 견종과 구별된다는 것을 입증한다면 이러한 비판의 목소리는 사라질 것이다. [2] 이때 불개가 가져온 불이 꺼져 버렸고, 왕은 후회하며 불개를 애타게 불렀으나 이미 늦었다. [3] 청삽사리는 파란색 삽사리가 아니라 색이 검푸른색이라고 하여 청삽사리인데, 삽사리 모색이 황삽사리와 청삽사리 두 컬러로 나뉘기 때문. [4] 아주 옛날만화라서 지금은 구할수 없으나 결말을 궁금해하는 사람들을 위해 스포일러를 하자면, 불개를 공격해서 어그로를 끈 뒤 승무원들을 하선시키고 거북선은 자동조종으로 우주로 보낸다. 불개 역시 거북선을 따라 우주로 날아가며 엔딩. 거북선이 고장날때까지(박사의 언급으로 최소 수백년은 거뜬하다고 한다) 불개도 지구에 돌아오지 않을테니, 불개를 퇴치할 방법을 준비하기 위해 시간을 벌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