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4 20:48:07

사풍흑호

파일:Chinese_dragon_asset_heraldry.svg.png 동아시아 상상의 동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한반도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치녀 · 경강적룡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나티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매구 · 맹용 · 모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 이매망량 · 이무기( 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촌법사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양 · 취생 · 칠우부인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호문조 · 홍난삼녀 · 허주
사령( 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 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 공공 · 단주 · · 삼묘) · 가국 · 강시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1 · 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 명사 · 무손수 · 무지기 · · 백악 · 백택 · 봉희 ·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 비두만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인면수 · 인랑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1 · 2 · 활 · 황요 · 황포괴 · 해태 ·
가고제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우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쥬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빈보오가미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만바 · 오니 · 오니구마 · 오니바바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오가마 · 오오무카데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요스즈메 · 우미보즈 · 우부메 · 유키온나 · 유킨코 · 와이라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쿠다키츠네 · 쿠단 · 쿠비카지리 · 큐소 · 키도우마루 · 키요히메 · 키지무나 · 키츠네비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텐구 · 텐죠나메 · 텐죠사가리 · 하시히메 · 한자키 · 화차 · 효스베 · 후우진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기타
사신( 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 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교인 · 구미호 · 독각귀 · 유성신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옥토끼 · · 용생구자 · 삼족오 · 선녀 ·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북아시아·중앙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砂風黑虎[1]

1. 개요2. 전승

1. 개요

『청구야담』에 등장하는 사악한 호랑이이다. 강원도 양양 지방에서 10년 동안 악명을 떨치던 호랑이로 많은 마을 주민들을 잡아먹었다.

2. 전승

인조 때 무관이었던 이수기(李修己)는 풍채와 골격이 준수하고 힘도 좋았다. 한번은 일이 있어 양양 방면으로 가던 중에 날이 저물어 산 속에서 길을 잃고 말았다. 한참을 헤메다 수풀 사이에 나무로 만든 이층집 하나를 발견하였다. 말을 달려 집에 도착한 이수기는 늙은 안주인의 안내를 받고 스무살 가량의 여식과도 인사를 나눴다. 극진한 대접을 받던 도중, 갑자기 8척의 키에 크고 건장한 집주인이 등장하였다. 그의 모습에 놀란 이수기는 자초지종을 설명하였고, 주인은 사냥해 온 사슴 멧돼지를 손질하여 함께 술을 마셨다.

주인과 이수기가 한밤중까지 술을 마시던 중, 갑자기 집주인이 마음을 열고 이야기를 시작했다. 10년전 어느날, 주인집에서 10여리 떨어진 곳에서 사악한 흑호가 나타났다고 한다. 그 호랑이는 마을 사람들은 물론 주인의 조부모, 부모, 형제 삼대를 모두 물어죽였다. 여러 해 동안 흑호를 몰아내고자 했으나 매번 승부를 결정짓지 못하니, 오늘 만난 이수기에게 함께 죽일 것을 부탁하였다. 흑호는 나이가 많은 노물(老物)이라 검이나 을 가지고 가면 반드시 숨고 나타나지 않았다가 맨손일 때만 습격하니 죽이기가 매우 어려웠다고 고백했다. 이수기는 주인의 부탁에 응하였고 기력회복을 위해 10여일간 술과 고기를 마음껏 먹었다.

날씨가 맑고 쾌청한 어느 날, 주인이 이수기에게 날카로운 검을 주며 함께 길을 떠났다. 동쪽으로 10여리 떨어진 계곡들을 지나 마을 근처의 시냇가에 도착했다. 시냇가 머리에 높은 바위가 있었는데 검푸른 빛을 띠고 깎아지른 듯 하여 매우 음산한 기운을 뿜었다. 주인은 이수기에게 풀숲에 숨을 것을 청하더니 맨몸으로 시냇가로 나아갔다. 주인이 긴 휘파람을 한참 동안 불자, 갑자기 바위 위에서 흙먼지가 여러차례 일어나 온 골짜기를 가득 채워 사방이 어두워졌다. 잠시 뒤, 바위 꼭대기에서 횃불같은 광채를 뿜으며 거대한 흑호가 나타났다.

주인이 흑호를 보자 팔을 걷어 부치며 큰 소리를 내니, 흑호는 한번 솟구쳐 주인에게 달려 들었다. 생김새가 여느 호랑이들과는 비교가 안될 정도 흉측하고 사나워서 보통 사람은 똑바로 쳐다볼 수 없을 정도였다. 흑호는 사람처럼 서서 주인과 치열한 몸싸움을 벌였다. 흑호는 날카로운 발톱으로 주인의 등을 할켰으나, 두꺼운 돼지 생가죽 갑옷을 입어서 아무런 피해가 없었다. 엎치락뒤치락으로 진행되던 싸움 중에 이수기는 수풀에서 나와 난입하였다. 이를 본 흑호는 이수기를 보고 한번 포효하니 주변의 암석이 깨질 지경이었다. 이수기는 동요하지 않고 나아가 호랑이를 검으로 찔러 쓰러트리는데 성공하였다.

주인은 검으로 흑호의 배를 갈라 골니(骨泥)를 베어 육젓을 만들고 심장을 꺼내 씹어먹었다. 원수를 갚은 주인은 이수기에게 자신의 재산 일부를 내주었고, 주인의 여식을 첩으로 삼게 하였다.


[1] '모래 바람을 일으키는 검은 호랑이'란 뜻으로 해당 게시글의 원본 작성자가 전승의 묘사를 위해 창작하여 지은 이름이다. 원전에는 '흑호'로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