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4 20:58:52

지귀

파일:Chinese_dragon_asset_heraldry.svg.png 동아시아 상상의 동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한반도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치녀 · 경강적룡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나티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매구 · 맹용 · 모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 이매망량 · 이무기( 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촌법사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양 · 취생 · 칠우부인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호문조 · 홍난삼녀 · 허주
사령( 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 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 공공 · 단주 · · 삼묘) · 가국 · 강시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1 · 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 명사 · 무손수 · 무지기 · · 백악 · 백택 · 봉희 ·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 비두만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인면수 · 인랑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1 · 2 · 활 · 황요 · 황포괴 · 해태 ·
가고제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우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쥬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빈보오가미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만바 · 오니 · 오니구마 · 오니바바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오가마 · 오오무카데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요스즈메 · 우미보즈 · 우부메 · 유키온나 · 유킨코 · 와이라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쿠다키츠네 · 쿠단 · 쿠비카지리 · 큐소 · 키도우마루 · 키요히메 · 키지무나 · 키츠네비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텐구 · 텐죠나메 · 텐죠사가리 · 하시히메 · 한자키 · 화차 · 효스베 · 후우진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기타
사신( 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 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교인 · 구미호 · 독각귀 · 유성신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옥토끼 · · 용생구자 · 삼족오 · 선녀 ·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북아시아·중앙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color=#fff> 하늘신 하느님 · 환인 · 옥황상제도교 · 천지왕제주도
통치신 환웅 · 대별왕과 소별왕제주도
국조신 단군 · 해모수 · 동명성왕 · 박혁거세 · 수로왕 · 고을나왕제주도
자연신 마고할미 · 미륵불교 · 웅녀 · 해당금이 · 손돌 · 도수문장 · 설문대할망제주도 · 오늘이제주도
산신 산신령 · 선도성모 · 정견모주 · 석탈해 · 운제산성모 · 단종 · 금성대군
수신 유화부인 · 용왕 · 사해용왕도교 · 경강적룡
사방신 청룡도교 · 백호도교 · 현무도교 · 주작도교
무조신 바리데기 · 걸립신
농업신 풍백 · 우사 · 운사 · 고수레 · 자청비제주도
탄생신 삼신할미
운명신 구삼승할망 · 사라도령 · 할락궁이 · 감은장아기제주도
사신 염라대왕불교 · 강림도령 · 이덕춘 · 해원맥 · 연직사자불교 · 시직사자불교
복신 칠성신(북두칠성) · 부근신
재물신 칠성신(뱀)제주도
가택신 성주신 · 조왕신 · 삼신할미 · 터주신 · 문전신 · 철륭신 · 업신 · 정랑각시 · 제석신 · 우물신
수호신 장승 · 선묘 · 두두리 · 괴목신 · 지귀 · 부군신 · 궤네깃또제주도
역병신 역신 · 호구별성
왕신 경순왕 · 공민왕 · 궁예 · 문무왕 · 단종
군웅신 이순신 · 강감찬 · 최영 · 김유신
}}}}}}}}} ||



1. 개요2. 관련 설화3. 대중매체

1. 개요

신라의 귀신이며 불의 신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 삼국유사 제4권 의해'에 지귀에 대한 기록이 있다. 혜공이 영묘사의 몇몇 곳에 새끼줄을 둘러치고 3일 후에 풀라고 하였다. 과연 3일 만에 선덕여왕이 영묘사에 방문했을 때 지귀가 탑을 불태웠으나 혜공이 새끼줄로 맨 곳은 타지 않았다. 삼국유사에서는 '지귀'라는 귀신과 영묘사 탑의 화재 사건만 살짝 언급할 뿐이다.

본래는 신이담(神異譚)의 일종으로, 《 수이전(殊異傳)》에 실려 전하고 있었으나 이는 소실되었고 이후 권문해가 저술한 《 대동운부군옥》 권20에 대강의 줄거리의 형태로 실렸으며 이외에도 이야기의 파편 정도가 삼국유사에 실려 지금까지 전한다고 한다. 한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는 '심화요탑설화'로 표기하고 있으며 중국의 불교설화집에 실려있는 '술파가설화(術波伽說話)'와 기본 얼개가 유사함을 근거로 들어 종교적 계도 목적이 강한 불교 설화가 신라로 전래되면서 종교색은 다소 빠지고 신라 고유의 풍토에 맞는 이야기로 변했다고 보기도 한다. #

똑같이 삼국유사에 나오는 양지(良志)와 동일인물일 가능성이 있는데 일단 이름인 志 성분을 포함해 음운적으로 유사한 데다 이 인물이 선덕여왕 시기 영묘사의 현판을 제작하고 그 절의 불상을 조각하였기 때문이다.

2. 관련 설화

지귀는 활리역(活里驛) 사람인데 하루는 서라벌에 나왔다가 지나가는 선덕여왕을 보았다. 그런데 여왕이 어찌나 아름다웠던지 그는 단번에 여왕을 사모하게 되었고 끝내 미쳐 버렸다.[1]

어느 날 여왕이 에 불공을 드리러 갔다가 지귀가 자신을 사모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지귀를 불렀다. 여왕이 절 안에서 기도를 올리고 있는 동안 지귀는 바깥 탑 아래에서 기다리다 지쳐 잠이 들었는데 기도를 마치고 나오던 여왕은 지귀의 잠자는 모습을 보고 자신의 금팔찌를 뽑아서 자고 있는 지귀의 가슴에 놓고 갔다.

잠에서 깬 지귀는 여왕의 금팔찌를 발견하고 너무 기쁘고 아쉬운 나머지 더욱 더 사모의 정이 불타올라 몸에도 불이 붙어 불귀신으로 변해버렸고[2][3] 지귀가 불귀신이 되어 온 세상을 떠돌아 다니자 사람들은 두려워하게 되었다. 이에 선덕여왕이 백성들에게 주문을 지어 주어 대문에 붙이게 하니 이후 백성들은 화재를 당하지 않게 되었다. 이때 여왕이 지어준 주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志鬼心中火 - 지귀가 마음에 불이 나
燒身變火神 - 몸을 태워 화신이 되었네.
流移滄海外 - 마땅히 창해 밖에 내쫓아
不見不相親 - 다시는 돌보지 않겠노라.

서두에도 언급되었듯 이것이 구전으로 내려오다가 문자로 정착된 설화다 보니 이야기에서 나타나는 이 지귀라는 인물의 행보와 결말이 다르게 나오는 이본(異本도 몇몇 존재하는 모양. 일례로 최래옥 교수가 수집하여 정리한 민담설화집 《되는 집안은 가지나무에 수박 열린다》의 4권 사랑 편에 실린 지귀 설화에서는 선덕여왕을 흠모한 끝에 화신(火神)이 되어 선덕여왕이 다스리는 신라에서 화재가 나지 않도록 공을 들였다고 한다. 사랑을 이루지 못하고 원통한 불귀신이 되어 신라에 화재를 일으키고 다녔다는 결말의 설화와 대비되는 또 다른 결말이다.[4]

한편 그가 잠들었던 영묘사는 삼국사기 기준으로 문무왕 재위 초반부에 집중적으로 화재 사고가 일어났던 곳인지라 그와 연관성이 주목된다.

3. 대중매체

  • 지귀 설화는 20세기에서도 다루어졌는데 전설의 고향 삼국기가 대표적인 사례다. 70년대 한국의 전설을 이야기해 주는 라디오 '전설 따라 삼천리'에서도 이 이야기를 다루었다.
  • 전설의 고향에서는 지귀에 여러 가지 설정을 더해 몽환적인 연애 이야기로 고쳐썼다. 지귀는 선덕여왕에 대한 애정이 깊어 밤마다 꿈 속에서 선덕여왕과 만났으며 그 때마다 위기에 대한 예언과 해결책을 알려주었다. 선덕여왕은 이 꿈에서 만나는 지귀-아름다운 미남으로 변해 나타난 화랑-의 조력 덕에 많은 위기를 이겨낸다. 그리고 선덕여왕 역시 이 꿈속의 남자를 그리워하게 되고 그를 찾아 절로 가 보지만 그곳에서 본 것은 잠들어 있는 거지뿐이었다. 당연히 그가 꿈속의 남자라는 생각은 하지 못했고 안쓰런 마음에 팔찌를 주고 떠난다. 이후 깨어나 팔찌를 발견한 지귀의 가슴에서 뜨거운 사랑이 불로 변하고 비가 내리며 가뭄이 끝나고 지귀는 신라의 수호신이 된다는 결말로 끝맺는다.
  • 정통사극을 표방한 삼국기는 삼국시대의 기록이 많지 않아 정사(삼국사기)와 야사(삼국유사와 기타 설화들)를 적절하게 섞는 방식을 택했기 때문에 지귀 설화도 극중에 등장한다. 당시 거지였던 지귀가 여왕을 사모해서 여왕이 불공을 드리는 절에 몰래 숨어서 훔쳐보고 있었는데 그만 불단 밑에서 잠이 들어 버렸고 여왕이 그에게 자신의 팔찌를 주고 떠난다. 이후 나라에 가뭄이 들어 선덕여왕이 비를 바라는 기도를 올릴 때 소신공양하면 비가 온다는 이야기를 들은 지귀가 사모하는 여왕을 위해 장작더미 위에 앉아서 몸에 송진을 바르고 장작에 불을 질러 스스로의 몸을 소신공양했다. 이 때 선덕여왕은 부처가 불에 타는 환각을 보고 그 순간 비가 내리면서 내레이션으로 지귀 설화가 소개된다. 역사적 사실을 잘 믹스해서 소개했는데 드라마 자체가 워낙 알려지지 않아서 이러한 내용을 아는 사람들은 거의 없다.
  • 대원씨아이의 브랜드인 이슈노벨즈에서 발간된 라이트 노벨 월하의 동사무소에 이 이야기를 소재로 한 에피소드가 나오는데 여기서는 그냥 도 닦던 중이었으나 고아 출신이라 선덕여왕을 어머니처럼 생각하였지만 다른 중들이 선덕여왕을 비난하는 것에 분노해 덤볐다가 맞아죽어 그 원망이 화로 바뀌어 화재를 일으킨 것이며 주문도 선덕여왕이 아니라 다른 이가 선덕여왕을 사칭해 지었다는 것으로 바뀌었다.
  • 실제 어떤 일이 있었는지야 알 길이 없지만 현대에도 한민족의 정서와 전통 주술 문화가 잘 어우러져 있는 이야기로 꼽히고 있다.
  • 50mang쏘망의 곡 중 하나인 지귀가 해당 설화를 바탕으로 한 곡이다. 이 곡에선 지귀가 스스로 불귀신이 되어 여왕에게 처단당하는 것으로 왕의 위상을 높여 주기 위해 희생된다.
  • 네이버 웹툰 갓핑크에서 이 귀신의 이름을 딴 인물이 등장했다.
  • 작가 정하연의 사극 주인공 캐릭터[5]들은 대개 극중 지귀의 환생들이다. 항상 '나는 천년을 땅속에 묻혔다가 환생한 지귀'임을 강조한다.

[1] 또 다른 버젼에 따르면 미쳐버린 지귀가 날마다 여왕을 부르며 사랑한다는 고백을 외쳐 대니 마을 사람들이 이를 듣고 미친 사람이 여왕의 이름을 욕되게 한다고 두려워해서 그가 말하지 못하도록 때렸다. 그래도 지귀는 여왕을 향한 사랑을 고백하고 외치면서 돌아다녀서 그의 소문이 널리 퍼졌다. [2] 또는 자신이 깜박 잠이 들어 여왕을 만나지 못한 것을 안타깝고 원통하게 여겨 불귀신이 되었다고도 한다. 좀 깨워주지 깨워봤자 어차피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었으니 지귀가 불귀신이 된 건 어쩔 수 없는 결과이다 [3] 불귀신으로 변해 버린 지귀가 본격적으로 세상을 떠돌기 전에 이 절을 불살라 버렸는데 이 절은 영묘사라고 알려져 있다. 실제 역사 속에서도 화재 사건이 있었다고 한다. [4] 출전 - 최래옥, 『되는 집안은 가지나무에 수박 열린다 4』, 「불타 버린 사랑」, 미투, 1993. 6, p. 165 ~ p. 170 [5] 세조, 인수대비(왕과비 한정), 명성황후, 신돈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