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04:56:13

이즈나

파일:Chinese_dragon_asset_heraldry.svg.png 동아시아 상상의 동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한반도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치녀 · 경강적룡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나티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매구 · 맹용 · 모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 이매망량 · 이무기( 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촌법사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양 · 취생 · 칠우부인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호문조 · 홍난삼녀 · 허주
사령( 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 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 공공 · 단주 · · 삼묘) · 가국 · 강시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1 · 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 명사 · 무손수 · 무지기 · · 백악 · 백택 · 봉희 ·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 비두만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인면수 · 인랑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1 · 2 · 활 · 황요 · 황포괴 · 해태 ·
가고제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우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쥬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빈보오가미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만바 · 오니 · 오니구마 · 오니바바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오가마 · 오오무카데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요스즈메 · 우미보즈 · 우부메 · 유키온나 · 유킨코 · 와이라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쿠다키츠네 · 쿠단 · 쿠비카지리 · 큐소 · 키도우마루 · 키요히메 · 키지무나 · 키츠네비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텐구 · 텐죠나메 · 텐죠사가리 · 하시히메 · 한자키 · 화차 · 효스베 · 후우진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기타
사신( 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 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교인 · 구미호 · 독각귀 · 유성신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옥토끼 · · 용생구자 · 삼족오 · 선녀 ·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북아시아·중앙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1. 족제비과 동물의 일종2. 일본 요괴인 대롱여우(管狐, くだぎつね)의 다른 이름3. 인명
3.1. 캐릭터3.2. 창작물3.3. 그 외
3.3.1. 에스프레이드의 등장 보스
4. 지명
4.1. 일본의 산4.2. 일본 나가노현의 정


飯綱 / いいづな / いづな / イズナ

1. 족제비과 동물의 일종

쇠족제비라고도 불리는 족제비과 동물 중 하나를 일본에선 '이즈나'라 부르기도 한다.

2. 일본 요괴인 대롱여우(管狐, くだぎつね)의 다른 이름

대롱여우(쿠다기츠네)를 이즈나(飯綱), 혹은 이즈나곤겐(飯綱権現)이라는 이름으로 부른다고도 한다. 이즈나(飯綱)는 한국식으로 '반강'이라고 읽을 수 있는데 서브컬쳐 닌자들의 기술로 유명한 반강 떨구기의 반강이 바로 이것이며, 뒤에 붙는 곤겐(権現)은 일본에서 신의 칭호의 하나(부처나 보살이 중생을 구하기 위해 일본에 임시 권도로 신으로서 나타난 것이라는 사상에 기인함)라 할 수 있다.

쿠다키츠네는 관 속에 산다고 알려진 여우요괴이다. 그러나 요괴가 아니라 정령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이들은 신통력이 있으나 재앙을 주거나 여우 빙의라는 짓을 하기도 한다. 그래서 서브컬쳐에서도 요괴로 묘사되기도 하고 영물로 묘사되기도 하는 등, 묘사가 일관적이지 않다.

참고로 이즈나곤겐은 텐구의 일종으로 취급되기도 하며 이런 텐구들을 이즈나계텐구(飯綱系天狗)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즈나곤겐/이즈나계텐구는 이나리신 신앙과도 관련이 있다고 한다.

여우와 관련된 전승에서 나온 이름이어서 그런지 여우요괴나 여우 관련 캐릭터에 '이즈나' 라는 이름이 붙는 경우도 있다.

3. 인명

3.1. 캐릭터

3.2. 창작물

3.3. 그 외

3.3.1. 에스프레이드의 등장 보스

거대 장갑 전차 이즈나
케이브의 탄막 슈팅 게임 에스프레이드의 쇼핑몰면(J-B 5th의 1면) 보스로, 차체에 육상자위대라고 적혀 있는 걸로 보아, 자위대에서 쓰던 전차로 보인다.
에스프레이드의 스테이지 및 보스
전반부[1]
랜덤,스테이지 1~3
A 호오 고교(오후)
시작 캐릭터 사가미 유스케
중간 보스 미야비
보스 폭주 사토루
BGM 인게임, 앨범 전용 익스텐드 리믹스
B 쇼핑몰(저녁)
시작 캐릭터 J-B 5th
중간 보스 아토믹 샹들리에
보스 거대장갑전차 이즈나
BGM #
C 임해공원(낮)
시작 캐릭터 미마사카 이로리
중간 보스 기가 도저
보스 거대전투헬기 팰러보이
BGM 인게임, 앨범 전용 익스텐드 리믹스
결전
고정,스테이지 4~5
4 지하철 완간선
중간 보스 아케보노
보스 장갑인형 플레이아데스
BGM 전반부 인게임, 전반부 익스텐드 리믹스
후반부 인게임, 후반부 익스텐드 리믹스
야사 본거지(밤)
중간 보스 야사최고간부진
최종 보스 야사총수 가라부인(feat 아레스)
BGM 전반부 인게임,
후반부 인게임, 후반부 익스텐드 리믹스
공용 보스전 BGM
RAGING DECIDE
보스전 BGM 에스프레이드 사이 드라이브 웨이브즈 버전 목록
오우미 사토루 버전: 인게임 / 앨범 전용 익스텐드 리믹스
이즈나 버전: #
펠러보이 버전: 인게임 / 앨범 전용 익스텐드 리믹스
플레이아데스 버전: 인게임 / 앨범 전용 익스텐드 리믹스
오행각사 버전: #
가라 부인 버전: 인게임 / 앨범 전용 익스텐드 리믹스
에스프레이드 Ψ 한정 히든 보스 앨리스 마스터 오노 앨리스
BGM 1페이즈 RAGE
2페이즈 WING
3페이즈 MADNESS
앨범 전용 익스텐드 리믹스

패턴은
  • 전방의 양바퀴가 존재할 시 그쪽에서 짝수탄을 발생시키며 본체에서 붉은색 조준탄을 날린다.
  • 본체의 포대에서 ▽ 모양의 붉은 탄을 뿌림과 동시에 중앙에서 원통을 뿌린다. 2면까지는 상관없는데 3면에서는 저 원통을 뿌리면 푸른 반격탄을 뿌려대서 상당히 귀찮다.
  • 전방의 양바퀴가 파괴됐을 시 조준탄과 뒤쪽의 바퀴로부터 공격을 가한다.
  • 발악 시 전방으로 푸른색 물결탄(가칭)을 뿌려댄다.
  • 붉은 탄을 원형으로 교차시키면서 푸른색의 기다란 탄을 교차시킨다. 케츠이 블랙 드래프트의 영상을 보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블랙 드래프트의 발악 패턴 두 번째와 비슷하다. 푸른색의 긴 탄은 면이 지날수록 간격이 좁아진다.

PS4, 닌텐도 스위치로 이식된 에스프레이드 ψ에서 배경음 설정을 "Drive Waves 2019" 로 맞추면 보스전 음악인 Raging Deicide가 江口孝宏 Remix 버전으로 나온다.

여담으로, 드라이브 웨이브 2019 앨범이 발매 및 유튜브에 공개되어 알려진 사실이 하나 있는데, 스테이지 5의 A 파트 중간보스인 오행각사와 함께 익스텐드 리믹스가 없다는 것이다.

4. 지명

4.1. 일본의 산

飯縄山 / いいづなやま

나가노현 북부에 있는 산의 이름이다.[2] 나가노현에는 이 '이즈나산'을 포함해 북신오악(北信五岳, ほくしんごがく)이라고 불리는 5개의 산이 있다. 이 다섯 산의 이름은 각각 묘코산(妙高山, みょうこうさん)[3], 마다라오산(斑尾山, まだらおやま), 쿠로히메산(黒姫山, くろひめやま), 토가쿠시산(戸隠山, とがくしやま), 이즈나산(飯縄山, いいづなやま)이다.

4.2. 일본 나가노현의 정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f6663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66637>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미나미사쿠군
南佐久郡
키타사쿠군
北佐久郡
치사가타군
小県郡
코우미마치
小海町
사쿠호마치
佐久穂町
카루이자와마치
軽井沢町
타테시나마치
立科町
미요타마치
御代田町
나가와마치
長和町
스와군
諏訪郡
카미이나군
上伊那郡
키타아즈미군
北安曇郡
시모스와마치
下諏訪町
후지미마치
富士見町
타츠노마치
辰野町
미노와마치
箕輪町
이지마마치
飯島町
이케다마치
池田町
시모이나군
下伊那郡
키소군
木曽郡
타카모리마치
高森町
마츠카와마치
松川町
아난초
阿南町
키소마치
木曽町
나기소마치
南木曽町
아게마츠마치
上松町
하니시나군
埴科郡
카미타카이군
上高井郡
시모타카이군
下高井郡
카미미노치군
上水内郡
사카키마치
坂城町
오부세마치
小布施町
야마노우치마치
山ノ内町
시나노마치
信濃町
이즈나마치
飯綱町
}}} ||


일본 나가노현의 정이다.[4]


[1] 랜덤 스테이지이긴 하지만, 캐릭터 선택 시 B나 C 버튼을 눌러서 캐릭터를 선택하면 캐릭터에 따라서 스테이지의 진행순서를 고정시킬 수 있다. A는 완전 랜덤. 참고로 시간대에 따른 스테이지 순서는 항구-호오 고교-쇼핑몰 순. [2] 일본 위키피디아 문서 [3] 사실 이쪽은 나가노현이 아니라 니가타현 소속(쿠로히메산과 묘코산사이가 나가노현과 니가타현 경계선)이다. 묘코급 중순양함 묘코(중순양함)이 이산의 이름을 따서 붙은이름. [4] 일본 위키다피아 참고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