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4 20:49:17

손돌

파일:Chinese_dragon_asset_heraldry.svg.png 동아시아 상상의 동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한반도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치녀 · 경강적룡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나티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매구 · 맹용 · 모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 이매망량 · 이무기( 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촌법사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양 · 취생 · 칠우부인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호문조 · 홍난삼녀 · 허주
사령( 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 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 공공 · 단주 · · 삼묘) · 가국 · 강시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1 · 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 명사 · 무손수 · 무지기 · · 백악 · 백택 · 봉희 ·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 비두만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인면수 · 인랑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1 · 2 · 활 · 황요 · 황포괴 · 해태 ·
가고제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우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쥬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빈보오가미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만바 · 오니 · 오니구마 · 오니바바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오가마 · 오오무카데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요스즈메 · 우미보즈 · 우부메 · 유키온나 · 유킨코 · 와이라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쿠다키츠네 · 쿠단 · 쿠비카지리 · 큐소 · 키도우마루 · 키요히메 · 키지무나 · 키츠네비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텐구 · 텐죠나메 · 텐죠사가리 · 하시히메 · 한자키 · 화차 · 효스베 · 후우진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기타
사신( 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 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교인 · 구미호 · 독각귀 · 유성신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옥토끼 · · 용생구자 · 삼족오 · 선녀 ·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북아시아·중앙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color=#fff> 하늘신 하느님 · 환인 · 옥황상제도교 · 천지왕제주도
통치신 환웅 · 대별왕과 소별왕제주도
국조신 단군 · 해모수 · 동명성왕 · 박혁거세 · 수로왕 · 고을나왕제주도
자연신 마고할미 · 미륵불교 · 웅녀 · 해당금이 · 손돌 · 도수문장 · 설문대할망제주도 · 오늘이제주도
산신 산신령 · 선도성모 · 정견모주 · 석탈해 · 운제산성모 · 단종 · 금성대군
수신 유화부인 · 용왕 · 사해용왕도교 · 경강적룡
사방신 청룡도교 · 백호도교 · 현무도교 · 주작도교
무조신 바리데기 · 걸립신
농업신 풍백 · 우사 · 운사 · 고수레 · 자청비제주도
탄생신 삼신할미
운명신 구삼승할망 · 사라도령 · 할락궁이 · 감은장아기제주도
사신 염라대왕불교 · 강림도령 · 이덕춘 · 해원맥 · 연직사자불교 · 시직사자불교
복신 칠성신(북두칠성) · 부근신
재물신 칠성신(뱀)제주도
가택신 성주신 · 조왕신 · 삼신할미 · 터주신 · 문전신 · 철륭신 · 업신 · 정랑각시 · 제석신 · 우물신
수호신 장승 · 선묘 · 두두리 · 괴목신 · 지귀 · 부군신 · 궤네깃또제주도
역병신 역신 · 호구별성
왕신 경순왕 · 공민왕 · 궁예 · 문무왕 · 단종
군웅신 이순신 · 강감찬 · 최영 · 김유신
}}}}}}}}} ||


파일:0a8a535f1f65_image.png

1. 개요2. 전승

1. 개요

손돌(孫石, 孫乭)은 음력 10월 20일경 불어오는 손돌바람(孫石風) 전설[1]에 등장하는 인물이자 바람의 신이다.

원한을 품고 죽은 인물이라는 점에서 원귀로 꼽을 수 있고, 동시에 원한을 품고 죽어 신으로 모셔진 인물로써 전형적인 무속의 인격신이기도 하다.

2. 전승

전설에 의하면 손돌은 고려 때의 뱃사공으로 국왕이 강화도로 피난을 가던 때에[2] 왕의 뱃길을 안내하게 되었는데, 바닷길과 바람에 밝았던 손돌은 안전한 초지와 여울로 배를 몰았지만 풍랑은 더욱 거세질 뿐이었고, 왕은 손돌이 일부러 잘못된 길로 가는 줄 의심하고 손돌을 처형하게 했다. 아무런 항변도 못한 채 죽음을 선고받은 손돌은 죽기 직전에 내가 죽으면 박을 물에 띄워 따라가면 적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 뒤 처형되었다.

손돌의 말대로 박을 띄워 그대로 따라가니 왕은 무사히 강화도에 도착할 수 있었다.[3] 왕은 손돌의 충성심에 감복하고 자신의 경솔함에 후회하면서 지금의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대명리 덕포진의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곳에 그의 무덤을 만들고 후하게 장사지내어 손돌의 영혼을 위로하였다.[4] 이후 해마다 손돌이 죽은 날인 음력 10월 20일경[5]이 되면 원혼에 의해 매서운 강풍이 불기 시작하니 이 바람을 '손돌바람'이라 불렀다. 이 날이 되면 뱃사공과 어부들은 바다에 나가는 것을 삼가고 평민들은 겨울옷을 준비하는 풍속이 생겼다고 한다. 손돌이 죽은 곳은 이후 '손돌목'이라 불렀다.

손돌바람 전설은 강화도 지방을 중심으로 전국으로 퍼져나가 다양한 변이 형태로 전승되었는데, 경기도 안성 지방에는 손돌이 힘센 장사로 등장하며, 충청북도 영동 지방에서는 악귀로 변형되어 손돌귀신으로 불렸다. 안성 지방에서의 전승은 강화도와는 조금 다른 게, 스승의 명령으로 겨울옷을 사러 나갔다가 날씨가 그날따라 겨울치고는 훈훈하길래 이번 겨울은 안 춥겠네? 겨울옷이 없어도 되겠네? 라며 겨울옷 대신 절구통을 사왔지만 날은 더욱 추워졌고 절구질을 하면서 추위를 버티다 결국 10월 20일날 얼어죽고 말았다는 꽤나 깨는 전설이라... #

소설가 김영하는 손돌 전설에 나오는 손돌에 대해서[6] 누군가는 손돌을 고려 고종 때 사람이라고 하고, 누군가는 조선 인조 때 사람이라고 하는 것을 보면 실존인물이기에는 약간 어려울 수도 있다며 손돌목(孫乭項)이나 손돌바람이라는 말은 이미 오래 전부터 전해오던 것인데 후대 사람들이 말의 유래를 몰라 적당히 갖다 붙인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평하면서도, 손돌 전설이 그토록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일단 이야기 세팅이 좋았고 설득력 있는 배경 설정과 함께 구체적인 지명이 사실감을 더해주었으며 독자들이 감정이입을 할 수 있는 인물을 배치해 그 인물의 운명이 좌우되는 이야기 구성을 가지고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평하고[7] 그리고 손돌의 이야기는 강화도나 김포 즈음에 사는 어부는 소설 즈음 되면 배를 띄우지 말라는 기본 정보와 함께 권력자를 만나면 조심하고 일단 피하라는 중요한 교훈도 전달한다고 평했다. #


[1] 지금의 경기도 김포시와 강화도 사이의 좁은 물목인 손돌목의 지명 유래에 대한 전승이다. 손돌목은 오늘날에도 한국에서 물살이 가장 빠른 곳 가운데 하나로 꼽히며 조선 말기 광성보 전투가 이곳에서 벌어졌다. [2] 강화도에 온 고려왕이라고 하는 데서 대부분은 여몽전쟁 때의 고종으로 추정하고 있다. 북한쪽이나 남한의 구종서 박사의 설에 따르면 희종이 강화도로 유배되었을 때의 일이라는 전승도 있는 듯 하다. 조선 영조 때에 편찬된 여지도서(1760년)에는 공민왕이라고 적고 있다. # # # 여담으로 희종과 고종 모두 강화도에 묻힌 군주이기도 하다. [3] 또 다른 전설에서는 손돌을 죽인 후에 더욱 세찬 바람이 불고 물살이 급해졌기 때문에 하는 수 없이 싣고 가던 의 목을 베어 제사를 모셨더니 파도가 잠잠해졌다고도 한다. [4] 손돌의 묘는 현재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신안리에 있으며, 해마다 손돌의 영혼을 진혼하는 제사를 지내고 있다고 한다. # 병인양요 때에도 양헌수 장군이 강화도로 상륙하기 직전 음력 9월 28일에 손돌묘에 무운을 기원했다고. [5] 절기로는 소설(小雪)에 해당한다. [6] 본업인 소설(小說)에 대해 검색하다가 소설(小雪)이라는 절기도 같이 뜨면서 정말 우연히 손돌 전설에 대해 알게 되었다고... [7] 나라가 평화로우면 왕이 사람을 죽일 리가 없다(그리고 국왕 가운데 물을 가까이 했던 왕이나 배를 탄 왕이 없었다)→ 그런 왕이 쫓겨서 강화도로 가고 있는 상황이니까 당연히 성질이 급해져 있다→손돌은 자신이 잘하든 잘못하든 트집 잡혀 죽을 수 밖에 없다. 여기서 독자의 마음은 자연스레 이 재수 옴붙은 가엾은 뱃사공 손돌에게 쏠릴 수 밖에 없고 필연적으로 손돌의 편이 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