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지상파 | 공영방송 | |
|
|||
민영방송 | |||
|
|||
유료방송 | 채널사업자 | 종합편성채널 | |
|
|||
복수채널사업자 | |||
|
|||
일반채널사업자 | |||
<colbgcolor=#fff,#1f2023>
|
|||
플랫폼 |
위성방송
케이블 MSO
케이블 개별 SO
IPTV
|
||
제도 | |||
<colbgcolor=#fff,#1f2023> 영상물 등급 분류 제도 ·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시청 등급 분류 제도 · 애니메이션 의무 편성 제도 · 국산영화 의무 상영 제도 | |||
기관 | |||
방송통신위원회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 영상물등급위원회 | |||
분류 | |||
방송 · 뉴스 · 드라마 · 예능 · 교양 · 영화 · 애니메이션 · 라디오 · 매체별 방송 · 인터넷 방송 · 케이블 방송 · 텔레비전 방송 · 대한민국의 방송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282b9><tablebgcolor=#2282b9>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 |
주식회사 케이비에스엔 KBS N Co.,Ltd. |
}}} | ||
웃음이 희망입니다 | ||||||
상장여부 | 비상장기업 | |||||
법인형태 | 외부감사법인 | |||||
업종 | 프로그램 공급업 | |||||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 45 (상암동) | |||||
설립 | 2001년 3월 8일 | |||||
방송 품질 |
화질 | 1080i | ||||
음향 | 2채널 돌비 디지털 | |||||
모기업 | ||||||
외부 링크 |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folding 기업 정보 - 케이비에스엔 {{{#!wiki style="margin: -6px -1px;" |
대표자 | 박중민 | ||||
주주 |
e-KBS: 73.26% KBS 미디어: 5.64% KBS 미디어텍: 4.88% KBS 아트비전: 3.81% 기타: 3.26% |
|||||
직원 | 186명 (2018년 기준)} | |||||
채널 |
KBS drama,
KBS joy,
KBS N SPORTS, KBS Story, KBS Kids, KBS LIFE |
|||||
계열사 | 케이비에스엔씨앤씨 | }}}}}}}}} | }}} |
[clearfix]
1. 개요
한국방송공사 계열 케이블방송 PP업체.당시 KBS가 직접 송출중이던 KBS 위성1·2채널을 계승하여 2001년 3월 'SKY KBS'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으며, 2003년 6월에는 'KBS SKY'로 사명을 변경했다. 이 과정에서 위성2채널이 KBS Prime을 거쳐 KBS N LIFE로 변경되었다. 2006년 11월에 다시 KBS N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최근 들어선 KBS N이 독도의 후원을 위해 스카이라이프와 MOU를 맺게 되면서 스카이라이프의 직속 앱인 굿샵을 통해 5,000원 후원을 하고 독도 사랑 관련 캠페인을 전개하기도 한다.
|
|
구 로고 | 신 로고 |
2. 역대 사장
- 지종학 (2001~2002)[1]
-
금동수 (2002~2005)[2] - 오수성 (2005~2009)
- 길기철 (2009~2012)
-
김영국 (2012~2013)[3] - 박희성 (2013~2014)
- 최철호 (2014~2016)
- 이준용 (2016~2018)
- 박정미 (2018~2020)[4]
- 박중민 (2020~2022)[5]
- 국은주[6] (2022~)
3. 운영 채널
- KBS N SPORTS
- KBS drama
- KBS LIFE: 2015년 3월 8일자로 KBS N LIFE에서 변경.
- KBS joy: 2006년 11월 1일 개국
- KBS Kids: 2012년 5월 5일 개국
- KBS Story: 2021년 4월 1일 KBS W에서 변경
4.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2282b9> 계열사 | |
지주회사 | e-KBS | |
방송 | KBS미디어 (KBS America, KBS Japan) | KBS N | KBS미디어텍 | KGCS 문화산업전문회사 | 몬스터유니온 | |
공연 · 서비스 | KBS비즈니스 (방송차량서비스) | KBS아트비전 | KBS시큐리티 |
[1]
KBS 보도본부에서 주로 문화예술쪽을 담당했으며, 연예가 중계 초창기 고정출연을 하기도 했다.
[2]
이후 2008년부터 2010년까지
KBS 미디어 사장으로 지냈으며 2014년부터 2015년까지 KBS 본사의 부사장으로 지냈고 2017년 5월에 언론부역자 2차 명단에 올랐다.
#
[3]
KBS PD 협회에서 영구제명.
출처
[4]
1996년~1997년 당시
가요톱10의 담당 PD를 맡았고, 이후
상상플러스 ,
가족오락관,
김승우의 승승장구의 CP를,
스펀지,
비타민의 담당 PD를 맡았다. 이래서인지 자체제작 예능프로그램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반면 이로 인해 스포츠 쪽에 대한 투자(중계권 구매 등)는 전무한 수준이라 스포츠 팬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5]
前 KBS 예능국장, 1996년
가족오락관의 담당 PD, 1999년~2000년 당시
개그콘서트의 담당 PD를 맡았고 이후 2005년
위기탈출 넘버원의 담당 PD를, 그리고 그 후에는
개그콘서트 등 여러 프로그램의 CP를 맡았다.
[6]
본사 라디오센터장, 전략기획실장을 거쳐 현직에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