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보잉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민항기 | ||
<colbgcolor=#d4def7,#666> | 협동체 | 광동체 | |
쌍발기 | 717(MD95) · 737( 오리지널 · 클래식 · NG · MAX) · 757 | 767 · 777( -200 · -300 · 777X) · 787 드림라이너 | |
3발기 | 727 | - | |
4발기 | 707 | 747( -100 · -200 · SP · -300 · -400 · -8 · 특수목적용) | |
초창기 모델 | 247 · 307 · 314 · 377 · 367-80 | ||
개발 중단 / 개발 중 | 2707 · 7J7 · 소닉크루저 · NMA | ||
군용기 | |||
훈련기 | T-7 | ||
전투기 | P-26 · F-15E/EX · F/A-18E/F | ||
전자전기 | EA-18G | ||
폭격기 | B-9 · B-17 · B-29 · B-47 · B-52 | ||
수송기 | C-135 · C-137 · VC-137 · VC-25 · C-32 · C-17 · C-40 | ||
조기경보기 / 지휘관제기 | OC-135 · RC-135 · WC-135 · EC-135 · E-3 · E-6 · E-8 · E-767 · E-4 · E-7 | ||
공중급유기 | KC-97 · KC-135 · KC-767 · KC-46 | ||
대잠초계기 | P-8 | ||
무인기 | MQ-25 · MQ-28 | ||
헬리콥터 | CH-46 · CH-47 · A/M/EH-6 · AH-64D/E | ||
개발 중단 / 컨셉 / 실험기 | YC-14 · X-32 · X-48 · YAL-1 · B-1R · F-15SE · 팬텀 레이 | ||
인수 합병 및 공동 개발 | |||
맥도넬 더글라스의 항공기 · F-22 · B-1 · V-22 · 디파이언트 X | |||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 |
보잉 777 형식 목록 | ||
777-200 |
777-300
|
777X |
|
캐세이퍼시픽항공, 777-200, B-HNL 보잉 777-200의 프로토타입[1] |
1. 개요
보잉의 쌍발 광동체 여객기 보잉 777의 파생형들 중 777-200 계열의 형식을 정리한 문서.2. 제원
보잉 777 | 777X | ||||||||
형식 | 777-200 | 777-200ER | 777-200LR | 777F | 777-300 | 777-300ER | 777-8 | 777-9 | |
운항승무원 | 2 | ||||||||
표준좌석수 | 2클래스 | 313 | 313 | 317 | - | 396 | 396 | 395 | 426 |
3클래스 | 305 | 301 | 301 | - | 368 | 365 | 357 | ||
최대좌석수[2] | 440 | 11 | 550 | 470 | 570 | ||||
화물용적 |
162 m³ ( LD3 컨테이너 x32) |
653 m³ (팔레트 x37) |
216 m³ (LD3 컨테이너 x44) |
LD3 컨테이너 x40 | LD3 컨테이너 x48 | ||||
길이 | 63.7 m | 73.9 m | 70.86 m | 76.72 m | |||||
폭 | 60.9 m | 64.8 m | 60.9 m | 64.8 m |
71.75 m (윙팁 접을때 : 64.85 m) |
||||
날개면적 | 427.8 m² | 516.7 m² | |||||||
날개 후퇴각 | 31.6° | TBA | |||||||
날개 가로세로비 | 8.68 | 9.04 | 8.68 | 9.04 | |||||
높이 | 18.5 m | 18.6 m | 18.5 m | 19.7 m | |||||
동체폭(내벽) | 5.87 m | 5.97 m | |||||||
최대연료탑재량 | 117,348 L | 171,177 L | 181,283 L | 171,177 L | 181,283 L | 197,977 L | |||
표준운항중량 (OEW) |
134,800 kg | 138,100 kg | 145,150 kg | 144,400 kg | 160,500 kg | 167,800 kg | TBA | ||
최대이륙중량 (MTOW) |
247,200 kg | 297,550 kg | 347,500 kg | 347,800 kg | 299,370 kg | 351,500 kg | |||
항속거리 | 9,700 km | 14,310 km | 17,395 km | 9,200 km[3] | 11,120 km | 14,490 km | 16,090 km | 13,940km | |
최대순항속도 | 마하 0.87, 1,066km/h | 마하 0.89, 1,090km/h | TBA | ||||||
이륙거리 | 2,440m | 3,380m | 2,800m | 2,830m | 3,230m | 3,050m | TBA | ||
엔진 x2 |
GE |
GE90-77B (77,000 lb) |
GE90-94B (93,700 lb) |
GE90-110B1 (110,100 lb) GE90-115B (115,300 lb) |
GE90-92B (92,000 lb) GE90-94B (93,700 lb) |
GE90-115B (115,300 lb) |
GE9X-105B1A (105,000 lb) |
||
P&W |
PW4077 (77,000 lb) |
PW4090 (90,000 lb) |
X |
PW4098 (98,000 lb) |
X | ||||
RR |
Trent 877 (77,000 lb) |
Trent 895 (93,400 lb) |
X |
Trent 892 (92,000 lb) |
X | ||||
코드 | ICAO | B772 [4] | B77L | B773 | B77W | B778 | B779 | ||
IATA | 772 | 77L | 77X | 773 | 77W | 778 | 779 |
3. 세부 형식
3.1. 777-200 (B772)
|
유나이티드 항공[LC], N774UA 세계 최초로 상업 운항을 개시한 보잉 777[6]현역이다.] |
|
일본항공, JA773J 마지막으로 생산된 777-200[7] |
777-200은 보잉 777의 첫 형식으로, 처음으로 런칭된 보잉 777이다. 777-200은 1994년 6월 12일에 첫 비행을 하였으며, 유나이티드 항공에 첫 777-200이 인도되면서 상업 운항을 시작하였다. 777-200은 305명의 승객을 수송한 상태로 약 9,700km를 비행할 수 있으며, 유나이티드 항공, 일본항공, 전일본공수 등의 항공사가 777-200을 일반석 위주로 배치하여 단거리 고수요 노선에 투입하여 운용하고 있다. 마지막 777-200은 2007년에 생산되었으며, 2020년 기준으로 보잉은 더 이상 777-200을 판매하지 않는다. 777-200의 엔진 옵션은 제너럴 일렉트릭 GE90, 롤스로이스 Trent 800, 프랫 & 휘트니 PW4000이다.
3.2. 777-200ER (B772)
|
영국항공[LC], G-RAES |
|
아시아나항공,
HL8284 마지막으로 생산된 777-200ER |
표준좌석수 | 항속거리 | 경쟁 상대 | 길이 | 높이 | 날개 폭 | 동체 너비 | 최대이륙중량 |
301 [3클래스] |
13,080 km | A330-300 | 63.73 m | 18.5 m | 60.9 m | 5.87 m | 297,500 kg |
777-200ER은 777-200의 최대이륙중량을 높이고 연료 탑재량을 늘려 항속거리를 증가시킨 형식이다. 777-200ER의 ER은 Extended Range를 의미하며, 처음에는 777-200IGW라는 이름으로 런칭되었다. 777-200ER은 최대이륙중량이 기존 777-200의 545,000파운드에서 658,000파운드로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최대이륙중량에서 이륙 시 항속거리도 13,080km로 증가하였다. 777-200ER은 1997년 2월 6일 영국항공에 인도되면서 상업 운항을 시작하였고, 대한민국에서는 진에어,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이 777-200ER을 운항하고 있다. 777-200ER의 엔진 옵션으로는 제너럴 일렉트릭 GE90, 롤스로이스 Trent 800, 그리고 프랫 & 휘트니 PW4000이 있다.
본격적으로 패황이라고 불리기 시작한 때가 이 기종이 나올 때였다. 덕분에 A340은 777-200ER의 효율성을 따라가지 못해 시장에서 사장되기에 이른다.
777-200ER의 노후화로 항공사들은 777-200ER의 대체를 진행하고 있으며, 보잉은 B787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형식인 787-9, 787-9의 동체 연장형인 787-10을 777-200ER의 대체 기종으로 항공사들에 제안하고 있으며, 실제로 노후화된 772 계열을 789나 78X로 대체하는 몇몇 항공사들이 있다.
마지막으로 생산된 777-200ER은 아시아나항공이 보유하고 있으며, 레지번호는 HL8284이다.
대한민국에선 대한항공이 5대, 아시아나항공이 9대, 진에어가 4대를 보유하고 있다. 대한항공에선 현재 노후화로 인해 B777-200ER의 퇴역이 진행되고 있다.[10]
3.3. 777-200LR (B77L)
|
투르크메니스탄 항공[11], EZ-A780 마지막으로 생산된 보잉 777-200LR[12] |
777-200LR은 777-200ER의 항속거리 연장형으로, LR은 Long Range를 의미한다. 777-200LR은 777-200ER과 외관 상으로도 비교가 가능한데, 777-200LR은 제너럴 일렉트릭 GE90-110B 또는 GE90-115B 엔진만 사용 가능하며, 레이키드 윙팁이 달린 777-300ER의 날개를 사용해 공기 저항을 감소시켰다. 777-200LR은 이름처럼 매우 긴 항속거리가 특징인데, 높아진 효율성과 777-300ER과 동일한 연료 탑재량으로 777-200LR은 승객을 수송한 채로 무려 15,844km를 비행할 수 있다. 승객이 없다면 20,000km도 넘게 비행할 수 있는데, 보잉은 이런 특징으로 어느 도시든 이을 수 있다는 뜻의 Worldliner 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777-200LR은 출시 당시 가장 항속거리가 긴 여객기였고, 현재는 A350-900ULR에 타이틀을 넘겨주었다. 777-200LR은 2005년 2월 15일에 보잉의 에버렛 공장에서 롤아웃하였고, 2005년 3월 8일에 첫 비행을 진행하였다. 777-200LR은 2005년 12월 2일에 FAA와 EASA에서 인증을 받았고, 2006년 2월 26일에 파키스탄 국제항공에게 777-200LR이 인도되면서 상업 운항을 시작하였다.
연료 탑재량에 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2번째 사진은 -200ER/300, -200, -300ER 각각의 연료탱크 용량을 보여 주며, 스펙표를 통해 -200LR은 -300ER과 동일 용량임을 알 수 있다. 첫번째 사진속 화물칸에 추가되는 연료탱크는 선택 사항으로, 21,000L의 연료를 추가로 탑재할 수 있지만 기본 사항은 아니다.[13]
777의 가격대를 비교해 보면, 차라리 돈 좀 더 주고 777-300ER을 구매하는 게 여러 모로 이득이다. 인기가 없는 파생형. 오히려 LR형을 기반으로 몇 군데 다듬은 화물기인 777F가 현재 인도되는 -200 체급의 대표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777F는 747-400ERF, 이 녀석은 744ER이라는 개념으로 보면 된다.
거의 전 대륙을 커버하는 수준의 델타 항공[14], 오일 파워로 꾸준히 성장 중인 카타르 항공과 에미레이트 항공, 그리고 에어 캐나다,[15] 에티하드 항공이나 에어 인디아 에티오피아 항공 정도로 몇몇 항공사에서나 보유하고 있는 정도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에는 777-200LR이 없으며, 대한항공은 이 기종의 화물기형인 777F만 있다.
대한항공은 많은 장거리 국제선 노선을 운항하고 있고, 보잉과 에어버스 기종을 골고루 운용하고 있어서 도입의 여지라도 있을 지 모르겠지만, 아시아나항공은 앞으로 에어버스 위주로 기단을 구성할 예정이라 더 이상 대량으로 777기를 도입할 것 같지 않다. 오히려 이 기회에 핀에어처럼 아예 에어버스로 갈아타려는 건지[16] A350을 30대 주문했다.[17]
300ER형과는 구별법이 조금 헷갈릴 수도 있는데, 동체를 보고 그 다음에 주 날개 끝을 보면 된다.[18] 동체 한쪽에 탈출문 개수가 4개인지를 파악하고(300ER은 5개) 그 다음에 주날개 끝이 뒤쪽으로 구부러져 있는지를 보면 된다.
2014년 하반기부터 5년 동안 생산되지 않았지만, 2019년 파리 에어쇼에서 뜬금없이 투르크메니스탄 항공이 1대를 추가로 주문했다. 그리고 2021년 6월 11일, 그 주문된 기체인 EZ-A780이 투르크메니스탄 항공에 인도되며 보잉 777-200LR의 생산이 완전히 종료되었다.[19]
단가는 3억 1,380만 달러.
3.4. 777F (B77L)
|
에어 프랑스[LC], F-GUOB 전세계 최초로 상업 운항을 게시한 보잉 777F |
|
페덱스 익스프레스, N870FD |
보잉 777 Freighter (777F)는 보잉 777-200LR 여객기를 기반으로 개발된 화물기로, 2008년 7월 14일에 프로토타입 기체[21]가 첫 비행을 했고 이듬해인 2009년 2월 19일 에어 프랑스에 첫 777F[22]가 인도되면서 상업 운항을 시작했다. 777-200LR을 기반으로 제작된 기체이기 때문에 ICAO 코드에서도 777-200LR과 같이 B77L이며, 여러 가지 성능이 같다.
777F는 현재 생산되고 있는 쌍발 광동체 화물기 중 가장 크며, 777-200LR같이 엔진은 GE90-110B 또는 115B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777-200LR과 같은 항속거리와 연료 탑재량을 가지고 있으며, 224,900파운드의 화물을 적재하고 9,200km를 비행할 수 있다. 최대 운용사는 페덱스 익스프레스다.
777F의 다른 기종보다 더욱 뛰어난 장점은 뛰어난 효율성, 긴 항속거리, 높은 화물 탑재량에서 있다. 보잉에 따르면, 777F는 맥도넬 더글라스 MD-11F에 비해 같은 비행에서 6%, 보잉 747-400F에 비해서는 34% 낮은 연료를 소모하며 1톤마다 소모되는 연료에서는 MD-11F에 비해 23% 낮고, 747-400F에 비해 21% 낮다. 또한 MD-11F와 747-400F에 비해 소음이 상당히 적기 때문에 MD-11F와 747-400F가 운항할 수 없는 곳에서도 777F는 운항이 가능하다. 777F의 높은 수송량과 항속거리로 747-400F를 대체하기 위해 777F를 도입하는 중화항공, 에바항공 등의 항공사들이 상당히 많으며, 실제로 777F는 현재 가장 많이 생산되고 있는 광동체 화물기 중 하나다.
777F의 시장 점유율도 조금씩 올라가고있는 중이다. 화물기들의 경우 경년 중고기도 시장에서 상당히 선호되고있으며 여객기로는 자취를 많이 감춘 MD-11, 747-400은 화물기 또는 화물기로 개조된 기체들은 아직 상당수가 활발히 활동 중이다. 또한 이들보다 더 오래 된 DC-10이나 이를 현대화한 MD-10도 화물전용 항공사를 중심으로 최일선에서 운용 중이다. 747-8F도 아직 초저율 생산으로 생산라인을 유지하고 있지만 현 시점에서 777F의 총 판매량부터 747-8F보다 훨씬 많으며(물론 748F가 더 늦게 데뷔하기는 했다) 주문잔고 및 생산속도 자체도 더 높다. 따라서 향후 경년 화물기들의 대체물량이 요구되는 시점에서는 777F (또는 747-8F)의 판매 수요가 더욱 증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실제로 현재 퇴역이 진행되고 있는 맥도넬 더글라스의 MD-11F의 대체기는 777F뿐이며, 페덱스 익스프레스와 루프트한자 카고 등의 MD-11F 운용사들도 777F로 MD-11F들을 대체하고 있다.
기본 베이스가 항속거리 깡패인 777-200LR인지라, 항속거리가 화물기임에도 매우 길다. 대개 747-400ERF가 뉴욕에서 인천으로 직항이 나오지 않아 앵커리지에서 중간 기착하는 것과 달리 그냥 직항이 된다. 다만 이는 페이로드의 양에 따라 천차만별이다.[23] 대한항공은 인천-뉴욕 화물편에 777F를 투입하는데 거리는 약 11,000km이며, 페덱스 익스프레스는 이보다 긴 멤피스-인천 노선에 777F를 투입한다.[24]
그리고 2025년에는 새로운 환경규제가 시행되는데, 777F는 이 규제를 통과하지 못해 2027년 이후부터 강제 단종된다. 즉 그때까지 주문량이 남아 있어도 강제로 생산 중지를 해야 된다.[25]
대한민국에선 대한항공이 12대를 보유하고 있다.
4. 관련 문서
[1]
2018년에 퇴역했고, 현재 투손 항공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2]
일반석 1클래스 기준
[3]
화물적재량 102톤 기준
[4]
간혹 B77E 혹은 77E라는 B777-200ER의 코드가 따로 존재한다고 하는 경우가 보이는데, 이 코드는 존재하지 않는다. 사실상 ER/LR 파생형 기종에 다른 코드가 붙는 경우는 거의 없다. 200LR과 F, 300ER은 주요 구조물인 주익의 폭 자체가 200, 200ER, 300(Non ER)과 다르기 때문에 다른 코드를 받는 것이다.
[LC]
해당 형식의 런치 커스터머
[6]
참고로 이 항공기는 아직도
[7]
2020 도쿄 올림픽 특별 도장 적용. 현재는 해당 도색을 한 채로 퇴역하였다. 그 후 나이지리아의 맥스 에어로 송출되어 운항중이다.
[LC]
[3클래스]
[10]
현재 1차 도입분(HL7526-HL7721)은 전량 퇴역했으며 2차 도입분 중 4대(HL7733-HL7750)는 진에어로 넘어갔고 나머지 5대(HL7751-HL7766)은 퇴역 예정이다.
[11]
투르크메니스탄 정부 전용기로 차출되어 운항중이다.
[12]
해당 기체를 끝으로 더이상 772 계열 여객형 기체는 생산되지 않는다.
[13]
옵션 선택시 총 연료량 202,300L. 다만 추가되는 연료탱크는 위에서 언급했듯 화물칸을 침범하기에 LR 기반으로 제작되는 777F에서 이 옵션을 선택한 항공사는 없다.
[14]
2020년 10월 말 전량 퇴역
[15]
특히 토론토-암스테르담 노선에 B77L을 자주 쓰는 편이다.
[16]
아시아나항공 214편 추락 사고 때문에 777에 대한 신뢰가 떨어졌기 때문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 물론 해당 사고는 전적으로 조종사의 과실로 항공기의 문제는 전혀 없었기에 신뢰가 떨어졌다고 운운하는 건 억지에 가깝고, 해당 사고 때
아시아나항공 스스로가
보잉에 기체 결함으로 몰아간
언플짓 때문에
보잉과의 관계가 어색해졌다고 보는 게 더 자연스러워 보인다. 그전부터 탈
보잉 움직임이 보이긴 했지만. 참고로 핀에어는 2014년 B757 퇴역 이후로 보잉제 여객기를 도입하고 있지 않다.
[17]
800형 8대, 900형 12대, 1000형 10대. 그중 800형의 개발이 취소됐고, 800형의 주문분은
A330neo로 바꾸는 게 아니냐는 이야기도 있었으나 2018년 3월에 (
에어버스 공식 오피셜 기준으로) 900형으로 통일했다. 덤으로 A35K 1대는 900형으로 주문 변경.
A350은
아시아나항공의 차세대 주력 쌍발기가 될 전망이다. 그러나
대한항공은
RR의 엔진만 사용하는
A330neo 및
A350 대신
787-9를 주문했다.
대한민국 국적사들 중
A330neo를 주문한 곳은 없다. 사실
A330neo는 효율성이 그다지 늘어난 편이 아니라서, 매력이 떨어진다.
[18]
777-300ER의 날개 끝부분도 이 기종처럼 뒤로 꺾여 있어 헷갈리기도 하다.
[19]
보잉 747SP도 1982년을 마지막으로 6년간 생산되지 않다가
바레인 정부 전용기로 주문된 1기 생산을 끝으로 1989년 완전히 단종되었다.
[LC]
[21]
당시 등록번호 N5020K. 후술된 F-GUOB처럼 2009년 11월 30일에 에어 프랑스한테 F-GUOA로 인도되었으나 4개월도 안 된 2010년 3월 23일에 페덱스 익스프레스에게 N880FD로 매각되었다.
[22]
등록번호 F-GUOB.
[23]
실제로 위키백과에선 777F의 항속거리가 102톤 만재 기준 9,200km 가량인 걸로 나온다. 뉴욕 - 인천간 직항시엔 70톤 정도 탑재가 가능하다.
[24]
이런 식으로 탑재량을 줄이면 항속거리가 777F보다 짧은
747-8F도 미 동부에서 인천을 오는 게 가능하다. 실제로 747-8F는 시카고, 뉴욕에서
인천행 화물편을 운항하는데, 이는 각각 11,000km에 달한다. 임시편으로 리마에서 직항으로 인천에 온적도있다!
[25]
2017년에 만들어진 환경규제는 비행기 제작사들에게 10년의 유예기간을 주었고 그 마지막이 2027년인 것, 보잉이 기간을 늘릴수 있다면 모를까 767F와 사이좋게 단종을 해야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