場 마당 장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土, 9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2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ジョウ
|
||||||
일본어 훈독
|
ば
|
||||||
场
|
|||||||
표준 중국어
|
cháng, chǎ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場은 '마당 장'이라는 한자로, '장소', '곳'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마당 |
음 | 장 | |
중국어 | 표준어 | chǎng, cháng |
광동어 | coeng4 | |
객가어 | chhòng | |
민북어 | diǒ̤ng | |
민동어 | diòng | |
민남어 | chhiâng[文] / tiûⁿ[白] | |
오어 | zan (T3) | |
일본어 | 음독 | ジョウ |
훈독 | ば | |
베트남어 | trường |
유니코드는 U+5834에 배당되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GAMH(土日一竹)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土(흙 토)와 음을 나타내는 昜(볕 양)을 합쳐서 만들어진 형성자이다.
한국 불교에서 관용적으로 '량'이라고 읽는 경우도 있다. 그런 사례가 도량( 道場)이다. 이는 중세~근세 한국어에서의 음가인 '댱'이 유음화되면서 와전된 것이다.
3. 용례
베트남어 trường은 학교의 의미로도 쓰인다.3.1. 단어
- 개장( 開場)
- 경기장( 競 技場)
- 경마장( 競 馬場)
- 고사장( 考 査場)
- 공사장( 工 事場)
- 공장( 工場)
- 광장( 廣場)
- 교육장( 敎 育場)
- 구장( 球場)
- 구판장( 購 販場)
- 극장( 劇場)
- 난장( 亂場)
- 농장( 農場)
- 당장( 當場)
- 도량( 道場)
- 도박장( 賭 博場)
- 도축장( 屠 畜場)
- 등장( 登場)
- 매장( 賣場)
- 목장( 牧場)
- 백사장( 白 沙場)
- 분교장( 分 敎場)
- 비행장( 飛 行場)
- 사격장( 射 擊場)
- 상장( 上場)
- 선착장( 船 着場)
- 수영장( 水 泳場)
- 승강장( 乘 降場)
- 시장( 市場)
- 연병장( 練 兵場)
- 예식장( 禮 式場)
- 운동장( 運 動場)
- 입장( 入場/ 立場)
- 자기장( 磁 氣場)
- 작업장( 作 業場)
- 장면(場 面)
- 장소(場 所)
- 장돌뱅이(場-)
- 장외(場 外)
- 전기장( 電 氣場)
- 전시장( 展 示場)
- 전장( 戰場)
- 정거장( 停 車場)
- 주차장( 駐 車場)
- 중력장( 重 力場)
- 직장( 職場)
- 축구장( 蹴 球場)
- 출장( 出場)
- 취사장( 炊 事場)
- 퇴장( 退場)
- 해수욕장( 海 水 浴場)
- 현장( 現場)
- 회장( 會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마토바 세이지( 的場 静 司)
- 모토바 타케시( 本場 猛)
- 바지 케이스케(場 地 圭 介)
- 센죠가하라 히타기( 戦場ヶ 原 ひたぎ)
- 아시키바 타쿠토( 葦 木場 拓 斗)
- 아이바 이부키( 相場 伊 吹)
- 야바사와 모에( 矢場 沢 萌)
- 오오바 하루카( 大場 はるか)
- 이나바 마나카( 稲場 愛 香)
- 츠나기바 이타치( 繋場 いたち)
- 츠부라바 코세이( 円場 硬 成)
- 코마바 리토쿠( 駒場 利 徳)
- 타카다노바바 조지( 高 田 馬場 ジョージ)
3.4. 지명
3.5. 역명
- 종합운동장역
- 마장역
- 공항시장역
- 영등포시장역
- 월드컵경기장역
- 부천종합운동장역
- 부평시장역
- 문학경기장역
- 석바위시장역
- 모래내시장역
- 오이케이바죠마에역( 大 井 競 馬場 前 駅)
- 캇센바역( 合 戦場 駅)
- 가락시장역
- 칠성시장역
- 서문시장역
- 수성시장역
- 팔달시장역
- 다대포해수욕장역( 多 大 浦 海 水 浴場 驛)
- 온천장역
- 종합운동장역 (부산)
- 반여농산물시장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