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nopad> 이승만 정부 | <nopad> 장면 내각 | <nopad> 송요찬 내각 | <nopad> 김현철 내각 | <nopad> 박정희 정부 |
초대 손원일 |
제2대 전규홍 |
제3대 신응균 |
제4대 최덕신 |
제5대 김영주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6대 진필식 |
제7대 이창희 |
제8대 이문용 |
제9대 송광정 |
제10대 정순근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
제11대 신정섭 |
제12대 신동원 |
제13대 김태지 |
제14대 홍순영 |
제15대 이기주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
제16대 황원탁 |
제17대 권영민 |
제18대 이수혁 |
제19대 최정일 |
제20대 문태영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21대 김재신 |
제22대 이경수 |
제23대 정범구 |
제24대 조현옥 |
제25대 김홍균 |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26대 임상범 |
}}}}}}}}} |
황원탁 관련 틀 |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제16대 주독일연방공화국 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 황원탁 黃源卓 | Hwang Won-tak |
|||
출생 | 1938년 | ||
강원도 평창군 | |||
재임기간 | 국민의 정부 제2대 외교안보수석비서관 | ||
1999년 5월 26일 ~ 2000년 8월 27일 | |||
제16대 주독일연방공화국 특명전권대사 | |||
2000년 10월 24일 ~ 2003년 3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학력 |
평창중학교 (졸업) 평창고등학교 (졸업) 육군사관학교 (18기 / 학사)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대학원 (석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외교안보 / 석사) |
|
경력 |
외무부 특임공관장 주파나마 대사 (제8대 / 문민정부) 대통령비서실 외교안보수석비서관 (제2대 / 국민의 정부) 주독대사 (제16대 / 국민의 정부)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
||
군사 경력 | |||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
1962년 ~ 1995년 | |||
임관 | 육군사관학교 18기 | ||
최종 계급 | 소장 | ||
최종 보직 |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참모장[1] 겸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수석대표 |
||
주요 보직 |
육군참모총장 수석부관 한미 야전군사령부 작전참모 한미연합군사령부 참모장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 수석대표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군인.2. 생애
대한민국 강원도 평창군에서 태어났으며, 평창중학교, 평창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58년 육군사관학교에 입교하였다. 5.16 군사정변 당시 4학년 생도대표였다고 하며, 18기 대표화랑을 맡았다. 엘리트로 인정받았던 그가 12.12 군사반란 이후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의 수석부관을 지냈다는 이유로 하나회의 대대적인 견제를 받았다. 그는 12. 12 군사반란 당시 전차 1대만 주면 직접 가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을 구출해오겠다고 했으나 시행하지는 못하게 되었다.이후 쿠데타가 성공하고 전두환이 권력을 장악한 5공화국에서 고의적인 진급 누락을 당하다가 노태우 정부가 출범하고 비교적 늦게 별을 달아[2] 소장으로 진급한다. 그리고 한국군 최초의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 수석대표로 임명되었으며, 지금까지도 수석대표직은 황원탁 소장 이후로 한국군 장성이 그 맥을 이어나가고 있다. 소장 예편 이후, 1996년 3월부터 1999년 3월까지 파나마대사직을 수행하다가, 1999년 5월부터 임동원 수석의 후임으로 외교안보수석비서관을 맡아 2000년 남북정상회담 수행단에 참여했고 2000년 8월 말에 물러났다. 이후 2000년 10월부터 2003년 3월까지 주독대사를 지냈으며, 이후 경남대학교 석좌교수를 맡았다.
3. 여담
- 18기 대표화랑으로 임명받았을 만큼 육사 엘리트 출신이며, 군사영어에 매우 능통하여 한미연합사 근무 당시 주한미군사령관의 총애를 받았다고 한다.
- 대령 시절부터 소장 시절까지 대부분 외국군과 교류가 많은 한미연합사 및 유엔사에서 근무하였다.
- 선친이 황호현 이다.
- 2004년 제17대 총선 때 새천년민주당 비례대표 출마 예정이었으나 민주당 내의 내분에 힘입어(....) 무산되었다.
- 정치 성향은 민주당계 정당에 가까운 인물이다. 그럴 만한 것이 12.12 군사반란 당시 정승화 육군참모총장 수석부관을 맡은 이력 때문에 하나회와 9-9 라인에게 핍박을 받았던 사람이었으며, 이 들이 민주정의당 - 민주자유당의 주류로 자리했기 때문이다. 또한 국민의 정부에서 기용된 이력도 있는 사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