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5 15:01:42

프레더릭 벤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역대 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자
{{{#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rowcolor=#cd9f51> 1901 1902 1903 1904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에밀 폰 베링 로널드 로스 닐스 핀센 이반 파블로프
<rowcolor=#cd9f51> 1905 1906 1907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로베르트 코흐 카밀로 골지 산티아고 카할 샤를 라브랑
<rowcolor=#cd9f51> 1908 1909 1910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일리야 메치니코프 파울 에를리히 에밀 코허 알브레히트 코셀
<rowcolor=#cd9f51> 1911 1912 1913 1914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알바르 굴스트란드 알렉시 카렐 샤를 리셰 로베르트 바라니
<rowcolor=#cd9f51> 1919 1920 1922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쥘 보르데 아우구스트 크로그 아치볼드 힐 오토 마이어호프
<rowcolor=#cd9f51> 1923 1924 1926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프레더릭 벤팅 존 매클라우드 빌럼 에인트호번 요하네스 피비게르
<rowcolor=#cd9f51> 1927 1928 1929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율리우스 야우레크 샤를 니콜 크리스티안 에이크만 프레더릭 홉킨스
<rowcolor=#cd9f51> 1930 1931 1932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카를 란트슈타이너 오토 바르부르크 찰스 셰링턴 에드거 에이드리언
<rowcolor=#cd9f51> 1933 1934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토머스 모건 조지 휘플 조지 마이넛 윌리엄 머피
<rowcolor=#cd9f51> 1935 1936 1937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한스 슈페만 헨리 데일 오토 뢰비 얼베르트 센트죄르지
<rowcolor=#cd9f51> 1938 1939 1943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코르네유 하이만스 게르하르트 도마크 카를 담 에드워드 도이지
<rowcolor=#cd9f51> 1944 1945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조지프 얼랭어 허버트 개서 알렉산더 플레밍 하워드 플로리
<rowcolor=#cd9f51> 1945 1946 194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에른스트 체인 허먼 멀러 칼 퍼디낸드 코리 거티 코리
<rowcolor=#cd9f51> 1947 1948 1949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베르나르도 우사이 파울 뮐러 발터 헤스 에가스 모니스
<rowcolor=#cd9f51> 1950 1951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필립 헨치 에드워드 켄들 타데우시 라이히슈타인 막스 타일러
<rowcolor=#cd9f51> 1952 1953 1954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셀먼 왁스먼 핸스 크렙스 프리츠 리프먼 존 앤더스
<rowcolor=#cd9f51> 1954 1955 1956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토머스 웰러 프레더릭 로빈스 악셀 테오렐 앙드레 쿠르낭
<rowcolor=#cd9f51> 1956 1957 1958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베르너 포르스만 디킨슨 리처즈 다니엘 보베 조지 웰스비들
<rowcolor=#cd9f51> 1958 1959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에드워드 테이텀 조슈아 레더버그 세베로 오초아 아서 콘버그
<rowcolor=#cd9f51> 1960 1961 1962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1960-1968).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프랭크 맥팔레인 버넷 피터 메더워 게오르크 폰 베케시 제임스 왓슨
<rowcolor=#cd9f51> 1962 1963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프랜시스 크릭 모리스 윌킨스 앨런 호지킨 앤드루 헉슬리
<rowcolor=#cd9f51> 1963 1964 1965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존 커루 에클스 콘라트 블로흐 페오도르 리넨 프랑수아 자코브
<rowcolor=#cd9f51> 1965 1966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앙드레 루오프 자크 모노 페이턴 라우스 찰스 브렌턴 허긴스
<rowcolor=#cd9f51> 1967 1968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랑나르 그라니트 핼던 케퍼 하틀라인 조지 월드 로버트 윌리엄 홀리
<rowcolor=#cd9f51> 1968 196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마셜 니런버그 하르 고빈드 코라나 막스 델브뤼크 앨프리드 허시
<rowcolor=#cd9f51> 1969 1970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살바도르 에드워드 루리아 버나드 카츠 울프 폰 오일러 줄리어스 액설로드
<rowcolor=#cd9f51> 1971 1972 1973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얼 서덜랜드 제럴드 모리스 에덜먼 로드니 로버트 포터 카를 폰 프리슈
<rowcolor=#cd9f51> 1973 1974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콘라트 로렌츠 니콜라스 틴베르헌 알베르 클로드 크리스티앙 드뒤브
<rowcolor=#cd9f51> 1974 1975
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조지 에밀 펄레이드 데이비드 볼티모어 레나토 둘베코 하워드 마틴 테민
<rowcolor=#cd9f51> 1976 1977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바루크 새뮤얼 블럼버그 대니얼 칼턴 가이듀섹 로제 기유맹 앤드류 빅터 섈리
<rowcolor=#cd9f51> 1977 1978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로절린 옐로 베르너 아르버 다니엘 네이선스 해밀턴 O. 스미스
<rowcolor=#cd9f51> 1979 1980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앨런 코맥 고드프리 하운스필드 바루 베나세라프 장 도세
<rowcolor=#cd9f51> 1980 198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조지 데이비스 스넬 로저 울컷 스페리 데이비드 헌터 허블 토르스텐 닐스 비셀
<rowcolor=#cd9f51> 1982 1983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수네 베리스트룀 벵트 잉에마르 사무엘손 존 로버트 베인 바바라 매클린톡
<rowcolor=#cd9f51> 1984 1985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세사르 밀스테인 게오르게스 쾰러 닐스 카이 예르네 마이클 스튜어트 브라운
<rowcolor=#cd9f51> 1985 1986 1987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파일:일본 국기.svg
조지프 골드스타인 스탠리 코언 리타 레비몬탈치니 토네가와 스스무
<rowcolor=#cd9f51> 1988 1989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제임스 화이트 블랙 거트루드 B. 앨리언 조지 히칭스 존 마이클 비숍
<rowcolor=#cd9f51> 1989 1990 199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해럴드 엘리엇 바머스 조지프 에드워드 머리 에드워드 도널 토머스 에르빈 네어
<rowcolor=#cd9f51> 1991 1992 1993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베르트 자크만 에드먼드 헨리 피셔 에드윈 크레브스 리처드 로버츠
<rowcolor=#cd9f51> 1993 1994 1995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필립 앨런 샤프 앨프리드 길먼 마틴 로드벨 에드워드 루이스
<rowcolor=#cd9f51> 1995 199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에릭 위샤우스 크리스티아네 뉘슬라인폴하르트 피터 C. 도허티 롤프 칭커나겔
<rowcolor=#cd9f51> 1997 1998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스탠리 프루지너 로버트 퍼치곳 루이스 이그내로 페리드 머래드
<rowcolor=#cd9f51> 1999 2000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귄터 블로벨 폴 그린가드 아비드 칼손 에릭 캔들
}}}
}}}}}}}}}
[ 21세기 ]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3> 2001 || 2002 ||

}}}}}} ||

영국 기사 서임자 (남성)
British Knights
{{{#!wiki style="margin:0 -10px -5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같이 보기: 기사 서임자 (여성)
GBE 파일:Grand Cross of the Order of the British Empire_.jpg
찰스
스콧 셰링턴

(1922)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1946)
리들리
스콧
(2024)
KBE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7b160a24b08857219efc111189b9773d.jpg
프레더릭 벤팅
(1934)
에드먼드 힐러리
(1953)
게오르그 솔티
(1971)
시드니 푸아티에이
(1974)
찰리 채플린
(1975)
앨프리드 히치콕
(1980)
밥 호프
(1998)
앤드루 와일스
(2000)
로저 무어
(2003)
팀 버너스리
(2004)
조너선 아이브
(2012)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아이작 뉴턴
(1705)
찰스 라이엘
(1848)
찰스 휘트스톤
(1868)
조지프 리스터
(1883)
아서 코난 도일
(1902)
W. S. 길버트
(1907)
프랜시스 골턴
(1909)
핼퍼드 매킨더
(1920)
프레더릭
G. 홉킨스

(1925)
무하마드
자파룰라 칸

(1935)
오언 리처드슨
(1939)
알렉산더 플레밍
(1944)
랠프 리처드슨
(1947)
로런스 올리비에
(1947)
존 길구드
(1953)
칼 포퍼
(1965)
알프 램지
(1967)
쉬리다스 람팔
(1970)
제임스 블랙
(1981)
마이클 아티야
(1983)
클라이브
싱클레어

(1983)
렉스 해리슨
(1989)
V. S. 나이폴
(1990)
더크 보가드
(1992)
로저 펜로즈
(1994)
팀 라이스
(1994)
캐머런 매킨토시
(1996)
마이클 스타우트
(1998)
폴 너스
(1999)
리처드 브랜슨
(2000)
숀 코너리
(2000)
톰 커트니
(2001)
믹 재거
(2002)
벤 킹슬리
(2002)
리들리 스콧
(2003)
조너선 색스
(2005)
헨리 세실
(2011)
케네스 브래너
(2012)
안드레 가임
(2012)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14)
패트릭 헤드
(2015)
마크 라일랜스
(2017)
제임스
래트클리프

(2018)
톰 무어
(2020)
마이클 호턴
(2021)
마틴 에이미스
(2023)
C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데이비드 린
(1953)
마이클
레드그레이브

(1959)
알렉 기네스
(1959)
스탠리 매튜스
(1965)
맷 버스비
(1968)
알렉 이시고니스
(1969)
에른스트
곰브리치

(1972)
리처드 애튼버러
(1976)
존 밀스
(1976)
월터 윈터보텀
(1978)
데이비드
애튼버러

(1985)
윌리엄 골딩
(1988)
피터 유스티노프
(1990)
이안 맥켈런
(1991)
안소니 홉킨스
(1993)
데릭 제이코비
(1994)
바비 찰튼
(1994)
사이먼 래틀
(1994)
조지 마틴
(1996)
마이클 갬본
(1998)
아서 C. 클라크
(1998)
엘튼 존
(1998)
이안 홈
(1998)
존 엘리엇
가디너

(1998)
톰 피니
(1998)
나이젤 호손
(1999)
알렉스 퍼거슨
(1999)
프랭크 윌리엄스
(1999)
마이클 케인
(2000)
폴 스미스
(2000)
바비 롭슨
(2002)
앨런 파커
(2002)
앨런 베이츠
(2003)
그레고리 윈터
(2004)
트레버 브루킹
(2004)
제임스 다이슨
(2007)
크리스토퍼 리
(2009)
브래들리 위긴스
(2013)
존 허트
(2015)
칼 젠킨스
(2015)
로드 스튜어트
(2016)
레이 데이비스
(2017)
빌리 코놀리
(2017)
배리 깁
(2018)
마이클 페일린
(2019)
데이비드 수셰이
(2020)
샘 멘데스
(2020)
스티브 맥퀸
(2020)
로저 디킨스
(2021)
조너선 프라이스
(2021)
존 부어만
(2022)
브라이언 메이
(2023)
O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어니스트 섀클턴
(1909)
윌리엄 브래그
(1941)
리처드 돌
(1971)
잭 브라밤
(1978)
지미 새빌
(1990)
클리프 리처드
(1995)
트레버 맥도날드
(1999)
스털링 모스
(2000)
재키 스튜어트
(2001)
톰 존스
(2006)
테리 프래쳇
(2009)
패트릭 스튜어트
(2010)
밴 모리슨
(2015)
앤디 머리
(2017)
가즈오 이시구로
(2018)
마이클 모퍼고
(2018)
가레스 사우스게이트
(2025)
M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폴 매카트니
(1997)
제프 허스트
(1998)
나이젤 쇼트
(1999)
니콜라스 윈턴
(2003)
닉 팔도
(2009)
링고 스타
(2018)
케니 달글리시
(2018)
루이스 해밀턴
(2021)
}}}}}}}}}}}} ||

<colbgcolor=#000><colcolor=#fff> KBE MC FRS FRSC
프레더릭 벤팅
Sir Frederick Banting
파일:gettyimages-2636819-e1479126803548.jpg
본명 프레더릭 그랜트 밴팅
Frederick Grant Banting
출생 1891년 11월 14일
캐나다 자치령 온타리오주 앨리스턴
사망 1941년 2월 21일 (향년 49세)
뉴펀들랜드 자치령 머스그레이브 하버[1]
국적
[[캐나다 자치령|]][[틀:국기|]][[틀:국기|]]
직업 의학자, 의사
학력 토론토 대학교 (의학박사)
빅토리아 대학교
수상 노벨생리학·의학상 (1923)
에든버러 대학교의 치료학 부분 카메론상 (1927)
플라벨 메달 (1931)
밀리터리 크로스
배우자 마리아 로버트슨 (1924년 – 1932년, 이혼)
헨리에타 벨 (1937년 결혼)
자녀 윌리엄 벤팅
종교 개신교[2]
서명 파일:Frederick_Banting_Signature.svg
군인 경력
복무 왕립 캐나다 육군 의무부대
1916년 – 1918년
계급 대위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1. 개요2. 생애3. 기타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캐나다의 가장 대표적인 의학자이자 의사이다. 당뇨병 치료에 사용하는 인슐린을 발견한 공로로 존 제임스 리카드 매클라우드와 함께 1923년 노벨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2. 생애

캐나다 온타리오주 앨리스턴(Alliston)에서 태어나 토론토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했다. 1916년에 대학을 졸업하고 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해 캐나다군의 의료 부대에서 복무했다. 전쟁 후 정형외학 공부를 끝내고 캐나다 토론토 아픈 아이들을 위한 병원(Hospital for Sick Children)에서 일했다. 이후 밴팅은 온타리오 주 런던에 웨스턴 대학교에서 개인 실험을 시작했다. 몇 년 뒤 토론토로 이사하여, 1921년 5월 17일 토론토 대학교 의학과의 연구 단원으로 들어갔다.

1920년 벤팅은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이 분비하는 물질이 당뇨병과 관계있을 수 있다는 내용의 논문을 읽었다. 여기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벤팅은 당뇨병에 관한 연구를 하고 싶었지만 연구실을 얻기가 어려웠다. 그러던 중 모교 토론토 대학의 매클라우드 교수가 벤팅에게 연구실과 실험에 필요한 개 10마리를 제공해주고, 자신의 대학원생이었던 찰스 베스트에게 벤팅을 돕도록 하였다.

1921년 벤팅은 조교 찰스 베스트와 함께 당뇨병 연구를 시작했다. 둘은 실험을 통해 몇 달 만에 인슐린을 발견했다. 췌장을 묶어서 당뇨로 죽어가던 개가 인슐린을 주사하자 일어나서 실험실을 뛰어다녔다. 당뇨병은 오랜 기간 세계 최고의 의학자들도 해결하지 못한 난제였다. 이 어려운 일을 젊은 벤팅이 단 몇 달 만에 성공해버린 것이다. 매클라우드 교수가 생화학자 제임스 콜립을 소개해주었고 벤팅은 거의 순수한 인슐린을 분리하였다.

1922년 당뇨로 죽음이 눈 앞에 가까웠던 14살 소년 레너드 톰프슨(Leonard Thompson)이 처음으로 인슐린 주사를 맞고 몇 주 만에 건강을 회복하였다. 1형 당뇨로 인한 케톤산혈증으로 침대에 가만히 누워 죽기를 기다리던 어린이들이 인슐린으로 치료 받으면 눈을 뜨고 말을 했다. 인슐린은 기적의 약이었다.

벤팅은 더 기다릴 것 없이 1923년 노벨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만 32세의 나이로 현재까지 최연소 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자이다.

벤팅은 매클라우드 교수와 노벨상을 공동 수상했는데 이것에 엄청난 불만이 있었다. 매클라우드 교수가 인슐린 발견에 기여한 것은 연구실을 빌려준 것까지이지 공동 수상을 할 정도의 기여는 전혀 아니라고 생각했다. 벤팅이 이전부터 학계가 인슐린 발견에서 경력이 적은 자신보다 매클라우드 교수의 역할을 과장하고 있다고 생각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벤팅은 자신이 발견한 물질을 아일레틴(isletin)이라고 불렀는데, 학계는 아일레틴을 더 순도 높게 정제한 후 매클라우드 교수가 제안한 인슐린이라는 새 이름을 붙였다. 벤팅은 매클라우드가 아닌 자신의 조교 찰스 베스트와 노벨상을 공동 수상하는게 맞다고 생각해서 노벨상 거부를 고민했지만 당시 캐나다 국민들이 캐나다 최초 노벨상 수상에 들떠있었기 때문에 노벨상을 거부하지 못했다. 노벨상 상금의 절반을 찰스 베스트에게 주었다. 당대에 권위있는 의학자였던 매클라우드 교수도 자신과 공동 연구를 통해 벤팅이 인슐린을 발견할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벤팅의 노벨상 거부 분위기에 불만이 있었다. 매클라우드 교수도 인슐린 정제에 참여한 콜립과 상금을 나누었다.

밴팅은 당뇨병 환자들을 위해 단돈 1달러 50센트에 인슐린을 토론토 대학에 팔았다.

1923년부터 1929년까지 밴팅은 밴팅과 베스트 의학 연구 부서(Banting and Best Department of Medical Research)의 학장으로 지냈고 암, 규폐증, 그리고 납 중독에 관한 연구를 계속했다.

1934년, 밴팅은 조지 5세로부터 대영제국 훈장 2등급(KBE, 작위급 훈장)을 받았다.

1941년 제2차 세계대전에 지원 출정하였다가 비행기 사고로 사망하였다.

3. 기타

프레데릭 밴팅상은 캐나다에서 가장 권위있는 의학상 중 하나다.

2004년 밴팅은 캐나다 방송(CBC)이 캐나다 국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역대 위대한 캐나다 인물"(The Greatest Canadian)에서 5위에 올랐다. 참조 현재는 순위가 갱신되었다.

프레더릭 밴팅의 이름을 따서 설립한 프레더릭 밴팅 (Sir Frederick Banting Secondary School) 이라는 학교가 캐나다 온타리오 주 런던에 위치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벤팅 경의 생일인 매년 11월 14일을 세계 당뇨인의 날로 지정하였다.
찰스 베스트의 이름을 따서 설립한 찰스베스트 (Dr.Charles Best secondary school) 라는 학교가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코퀴틀람에 위치하고 있다.

4. 둘러보기

영국 기사 서임자 (남성)
British Knights
{{{#!wiki style="margin:0 -10px -5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같이 보기: 기사 서임자 (여성)
GBE 파일:Grand Cross of the Order of the British Empire_.jpg
찰스
스콧 셰링턴

(1922)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1946)
리들리
스콧
(2024)
KBE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7b160a24b08857219efc111189b9773d.jpg
프레더릭 벤팅
(1934)
에드먼드 힐러리
(1953)
게오르그 솔티
(1971)
시드니 푸아티에이
(1974)
찰리 채플린
(1975)
앨프리드 히치콕
(1980)
밥 호프
(1998)
앤드루 와일스
(2000)
로저 무어
(2003)
팀 버너스리
(2004)
조너선 아이브
(2012)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아이작 뉴턴
(1705)
찰스 라이엘
(1848)
찰스 휘트스톤
(1868)
조지프 리스터
(1883)
아서 코난 도일
(1902)
W. S. 길버트
(1907)
프랜시스 골턴
(1909)
핼퍼드 매킨더
(1920)
프레더릭
G. 홉킨스

(1925)
무하마드
자파룰라 칸

(1935)
오언 리처드슨
(1939)
알렉산더 플레밍
(1944)
랠프 리처드슨
(1947)
로런스 올리비에
(1947)
존 길구드
(1953)
칼 포퍼
(1965)
알프 램지
(1967)
쉬리다스 람팔
(1970)
제임스 블랙
(1981)
마이클 아티야
(1983)
클라이브
싱클레어

(1983)
렉스 해리슨
(1989)
V. S. 나이폴
(1990)
더크 보가드
(1992)
로저 펜로즈
(1994)
팀 라이스
(1994)
캐머런 매킨토시
(1996)
마이클 스타우트
(1998)
폴 너스
(1999)
리처드 브랜슨
(2000)
숀 코너리
(2000)
톰 커트니
(2001)
믹 재거
(2002)
벤 킹슬리
(2002)
리들리 스콧
(2003)
조너선 색스
(2005)
헨리 세실
(2011)
케네스 브래너
(2012)
안드레 가임
(2012)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14)
패트릭 헤드
(2015)
마크 라일랜스
(2017)
제임스
래트클리프

(2018)
톰 무어
(2020)
마이클 호턴
(2021)
마틴 에이미스
(2023)
C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데이비드 린
(1953)
마이클
레드그레이브

(1959)
알렉 기네스
(1959)
스탠리 매튜스
(1965)
맷 버스비
(1968)
알렉 이시고니스
(1969)
에른스트
곰브리치

(1972)
리처드 애튼버러
(1976)
존 밀스
(1976)
월터 윈터보텀
(1978)
데이비드
애튼버러

(1985)
윌리엄 골딩
(1988)
피터 유스티노프
(1990)
이안 맥켈런
(1991)
안소니 홉킨스
(1993)
데릭 제이코비
(1994)
바비 찰튼
(1994)
사이먼 래틀
(1994)
조지 마틴
(1996)
마이클 갬본
(1998)
아서 C. 클라크
(1998)
엘튼 존
(1998)
이안 홈
(1998)
존 엘리엇
가디너

(1998)
톰 피니
(1998)
나이젤 호손
(1999)
알렉스 퍼거슨
(1999)
프랭크 윌리엄스
(1999)
마이클 케인
(2000)
폴 스미스
(2000)
바비 롭슨
(2002)
앨런 파커
(2002)
앨런 베이츠
(2003)
그레고리 윈터
(2004)
트레버 브루킹
(2004)
제임스 다이슨
(2007)
크리스토퍼 리
(2009)
브래들리 위긴스
(2013)
존 허트
(2015)
칼 젠킨스
(2015)
로드 스튜어트
(2016)
레이 데이비스
(2017)
빌리 코놀리
(2017)
배리 깁
(2018)
마이클 페일린
(2019)
데이비드 수셰이
(2020)
샘 멘데스
(2020)
스티브 맥퀸
(2020)
로저 디킨스
(2021)
조너선 프라이스
(2021)
존 부어만
(2022)
브라이언 메이
(2023)
O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어니스트 섀클턴
(1909)
윌리엄 브래그
(1941)
리처드 돌
(1971)
잭 브라밤
(1978)
지미 새빌
(1990)
클리프 리처드
(1995)
트레버 맥도날드
(1999)
스털링 모스
(2000)
재키 스튜어트
(2001)
톰 존스
(2006)
테리 프래쳇
(2009)
패트릭 스튜어트
(2010)
밴 모리슨
(2015)
앤디 머리
(2017)
가즈오 이시구로
(2018)
마이클 모퍼고
(2018)
가레스 사우스게이트
(2025)
M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폴 매카트니
(1997)
제프 허스트
(1998)
나이젤 쇼트
(1999)
니콜라스 윈턴
(2003)
닉 팔도
(2009)
링고 스타
(2018)
케니 달글리시
(2018)
루이스 해밀턴
(2021)
}}}}}}}}}}}} ||

파일:CBC.png 선정 위대한 캐나다인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05년 캐나다의 공영TV인 CBC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The Greatest Canadian" 에서 발표한 내용이다
TOP 10
1위 2위 3위 4위 5위
토미 더글라스 테리 폭스 피에르 트뤼도 프레더릭 벤팅 데이비드 스즈키
6위 7위 8위 9위 10위
레스터 피어슨 돈 체리 존 맥도널드 경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웨인 그레츠키
11위~50위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루이스 리엘 장 바니에 스톰핀 톰 코너스 닐 영 피터 지조우스키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로미어 달레어르 스티븐 루이스 샤니아 트웨인 바비 오어 마이크 마이어스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무명용사 해롤드 A. 로저스 모리스 리샤르 아서 커리 넬리 맥크룽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노먼 베순 셀린 디옹 아이작 브록 짐 캐리 릭 핸슨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피에르 버튼 마이클 J. 폭스 고든 라이트풋 할 앤더슨 로라 세코드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어니 쿰스 테쿰세 마리오 르미외 브렛 하트 에이브릴 라빈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존 캔디 샌포드 플레밍 윌프리드 로리에 매리 맥스웰 장 크레티앵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레너드 코헨 존 디펜베이커 빌리 비숍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릭 머서
출처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1] 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 머스그레이브 하버 [2] " Frederick G. Banting", nndb.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