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06-13 14:32:23

창덕궁 한정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대보단
건무문 광지문
청의정 태극정 농산정
농포
소요암 옥류천
소요정
취한정
수복방 신선원전 진설청
괘궁정 취규정
재실
능허정
의효전 사가정 청심정 천향각
몽답정 산단
백운사
천성동 태청문
청연각
존덕정
외삼문 폄우사 척뇌당
관람정
반도지
승재정
부군당
반빗간 태일문
통벽문 우신문 농수정
연경당 선향재
국출신직소 수인문 장양문
장락문
창덕궁 애련정
어수당 애련지
불로문
석거문 금마문 영춘문
운경거 의두합
희우정 천석정
서향각 주합루
어수문
사정기비각 부용지 영화당 춘당대 서총대
부용정
요금문 서소 개유와 열고관
창송헌 수정전 가정당
습취헌 집상전
영모당
경복전 경훈각 징광루 함원전
청향각
의풍각 융경헌 대조전 흥복헌
수랏간 관리합
만수전 태화당 재덕당 요휘문 경극문 창경궁
경추문 보경당 선평문 양심합 여춘문 병경문
함양문
선원전 진설청 내재실 만수문 건중문 희정당 영안문
양지당 만안문 관광청 선정전 건인문
책고 인정전 관물헌 어휘문
봉모당 억석루 연경문 만복문 향실 선정문 성정각 보춘정 중희당 칠분서 해당정 수방재 연영합 평원루 취명문
운한문 영의사 예문관 서방색 소주방 선화문 자시문 삼삼와 승화루 한정당 보화문
숭범문 선전관청 영현문 전의사 취운정 협문
훈국초관인직소 이문원 검서청 약방 내삼청 광범문 내반원 낙선재 석복헌
훈국초관인직소 홍문관 문서고 궁방 사옹원 등촉방 대은원 수강재
훈국군파수직소 정청 육선루
악기고
승정원 상서성 연영문 협양문 무예청 장락문 주명문
남소
위장청
인정문 + 대청 공상청 누국
수문장청 금천교 진선문 숙장문 건양문 일영대
금호문 결속색
정색
내병조
(창덕궁관리소)
호위청 상서원 배설방 금위군번소 패장직소 별감방 전루 문기수번소 저승전 낙선당
무비사
의장고
전설사 빈청
(어차고)
진수당 장경각 군옥재 춘방
수문장청 돈화문 수문장청 교자고 상의원 치미각 시민당 계방 등룡문
원역처소 사주문
단봉문 종묘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colbgcolor=#bf1400> 창덕궁 한정당
昌德宮 閒靜堂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 와룡동 2-71번지)
건축시기 1910년 이후 (창건)
파일:external/cafe.cha.go.kr/16.jpg
<colbgcolor=#bf1400> 한정당[1]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영상
1. 개요2. 이름3. 역사4. 구조

[clearfix]

1. 개요

창덕궁 낙선재 구역에 있는 건물이다. 석복헌 뒤편에 있다. 한정당의 위치는 취운정과 더불어 낙선재 권역에서 가장 높은 곳이다.

비공개 구역이라 일반 관람객들은 가까이서 볼 수 없다.

2. 이름

'한정(閒靜)' 뜻은 '한가롭고(閒) 고요하다(靜)'이다.

3. 역사

순종 재위기에 그린 《동궐도형》에도 보이지 않는 것을 보아, 일제강점기에 건립한 듯 하다. 현재 대부분 궁궐 자료에서는 1917년 이후에 지은 것으로 소개한다. #

4. 구조

  •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홑처마, 공포없는 민도리집이다.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는 기와로 마감했다. 용두, 잡상, 취두를 올리지 않았으며, 단청도 칠하지 않았다. 합각은 벽돌로 마감했으며 가운데에는 '쌍희 희(囍)'자를 역시 벽돌로 만들어 설치해두었다.
  • 정면 3칸, 측면 2칸이다. (보는 사람 기준) 오른쪽 칸은 누마루이고, 누마루가 북쪽으로 조금 더 나와있는 형태이다. 누마루 겉면에는 문상방을 두고 아래는 창, 위에는 벽을 설치했다. 온돌방 앞의 툇간은 밖으로 통해있으며, 가운데 칸을 통해 실내로 출입할 수 있다. 온돌방 정면 외벽은 문선을 두고 그 안에 창(제일 왼쪽 칸)과 문(가운데 칸)을 둔 모습이다.

파일:한정당 내부 구조.png }}} ||
<colbgcolor=#bf1400> 한정당 내부 구조
내부 구조는 윗 그림 참조.
  • 창호 살은, 온돌방 바깥쪽은 띠살, 온돌방 안쪽 미닫이문 및 나머지는 모두 '아(亞)' 자살이다.

파일:한정당 온돌방 내부 창문.png }}} ||
<colbgcolor=#bf1400> 한정당 온돌방 내부[3]
기둥마다 를 적은 주련을 걸어두었고, 온돌방 내부의 창문에도 를 써두었다. 내용은 이곳을 참조.
  • 남면을 제외한 나머지 칸 바깥에 전부 쪽마루를 두었다. 쪽마루 서북쪽에는 계단이 있어 마루로 오르내릴 수 있게 했다. 쪽마루 가장자리에는 난간을 설치했다. 난간은 '아(亞)'자 형 교란으로, 그 위에 하엽동자 형태의 난간기둥과 돌란대를 얹은 형태이다.

파일:한정당 괴석분 정료대.png }}} ||
<colbgcolor=#bf1400> 한정당 마당에 있는 괴석분과 정료대[4]
마당에 괴석분 4개가 있고, 정면 계단 사이에 정료대 1개가 있다. 정료대는 을 피우기 위해 뜰에 설치한 대이다. 로 만든 받침 기둥 위에 6각형으로 깎은 돌을 얹은 형태이다. 윗돌에는 장식을 해두었다.
  • 동, 서, 북쪽에 담장이 있고 서쪽과 북쪽 담장에 작은 일각이 하나씩 있다. 그러나 남쪽은 트여있어 석복헌 뒤편과 화계를 장애물 없이 볼 수 있다.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창덕궁_낙선재 권역 2》. [2]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 [3]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창덕궁_낙선재 권역 2》. [4] 사진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수석(壽石)〉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