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7-21 07:35:06

창덕궁 대보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대보단
건무문 광지문
청의정 태극정 농산정
농포
소요암 옥류천
소요정
취한정
수복방 신선원전 진설청
괘궁정 취규정
재실
능허정
의효전 사가정 청심정 천향각
몽답정 산단
백운사
천성동 태청문
청연각
존덕정
외삼문 폄우사 척뇌당
관람정
반도지
승재정
부군당
반빗간 태일문
통벽문 우신문 농수정
연경당 선향재
국출신직소 수인문 장양문
장락문
창덕궁 애련정
어수당 애련지
불로문
석거문 금마문 영춘문
운경거 의두합
희우정 천석정
서향각 주합루
어수문
사정기비각 부용지 영화당 춘당대 서총대
부용정
요금문 서소 개유와 열고관
창송헌 수정전 가정당
습취헌 집상전
영모당
경복전 경훈각 징광루 함원전
청향각
의풍각 융경헌 대조전 흥복헌
수랏간 관리합
만수전 태화당 재덕당 요휘문 경극문 창경궁
경추문 보경당 선평문 양심합 여춘문 병경문
함양문
선원전 진설청 내재실 만수문 건중문 희정당 영안문
양지당 만안문 관광청 선정전 건인문
책고 인정전 관물헌 어휘문
봉모당 억석루 연경문 만복문 향실 선정문 성정각 보춘정 중희당 칠분서 해당정 수방재 연영합 평원루 취명문
운한문 영의사 예문관 서방색 소주방 선화문 자시문 삼삼와 승화루 한정당 보화문
숭범문 선전관청 영현문 전의사 취운정 협문
훈국초관인직소 이문원 검서청 약방 내삼청 광범문 내반원 낙선재 석복헌
훈국초관인직소 홍문관 문서고 궁방 사옹원 등촉방 대은원 수강재
훈국군파수직소 정청 육선루
악기고
승정원 상서성 연영문 협양문 무예청 장락문 주명문
남소
위장청
인정문 + 대청 공상청 누국
수문장청 금천교 진선문 숙장문 건양문 일영대
금호문 결속색
정색
내병조
(창덕궁관리소)
호위청 상서원 배설방 금위군번소 패장직소 별감방 전루 문기수번소 저승전 낙선당
무비사
의장고
전설사 빈청
(어차고)
진수당 장경각 군옥재 춘방
수문장청 돈화문 수문장청 교자고 상의원 치미각 시민당 계방 등룡문
원역처소 사주문
단봉문 종묘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파일:정부상징.svg 창덕궁
<colbgcolor=#bf1400> 창덕궁 대보단
昌德宮 大報壇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 와룡동 2-71번지)
건축시기 1704년 (창건)
1921년 (철훼)
이명 황단(皇壇)
건립 발의자 민진후(閔鎭厚)
공사 감독 김시택(金時澤)
제사 홍무제
만력제
숭정제
파일:동궐도 대보단.png
<colbgcolor=#bf1400> 대보단
1. 개요2. 목적3. 역사4. 구조5. 제사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창덕궁에 있던 제단. 조선에서 명나라 홍무제, 만력제, 숭정제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한 목적으로 세웠다. 유사한 기능을 했던 만동묘가 민간에서 세웠다면 대보단은 국가에서 조성한 시설이었다. '황단(皇壇)'으로도 불렸다.

2. 목적

대외적으로는 임진왜란 정유재란 당시 군사를 보내 원조하였던 명나라 만력제와, 명나라 최후의 황제인 숭정제를 기린다는 목적으로 세운 것이었다. 하지만 실상은 명나라가 망하고 조선이 당한 삼전도의 굴욕의 치욕을 씻기 위해 군신이 절치부심하면서 '명에 대한 충절'을 부르짖던 무렵, 청나라에 불복한다는 뜻을 내포하고 지은 단이다. 쉽게 이야기하자면 '조선 반청 퍼포먼스의 상징이자 관제 구심점'이라고 볼 수 있다.

3. 역사

예조판서 민진후의 발의로 1704년( 숙종 30년) 9월 25일부터 그해 12월 24일까지 약 3달에 걸쳐 지었다. 자리는 옛 별대영(別隊營) 터이다. # 공사 감독은 당시 선공감 감역으로 있던 김시택이 맡았고, 호조를 비롯한 6조의 당상들이 돌아가면서 공사 지원을 했다. 공사 인력으로 민간인을 동원하기도 했으나 주로 차출한 인원들은 5영 소속 군졸들이었다. 제단의 이름은 그 해 11월 24일 예문관에서 정해 올렸다.

대보단 제사는 조선 후기까지 이루어지다가 1884년( 고종 21년) 갑신정변 이후부터 중단되었고 1908년( 융희 2년)에 정식으로 폐지되었다. # 사용처가 사라진 대보단은 이후 계속 방치 상태로 있었다가 일제강점기 때인 1921년에 철거되었고 그 위치에 신선원전이 들어섰다.

4. 구조

  • 일부 제례 준비 공간을 제외하고는, 건물이 없는 제단으로 사직단에 준한 규모이다. 교사를 지내던 남교의 규모를 따라 밖에 담을 세우지 않았고 다만, 제단의 담만 쌓았다.
  • 전체 크기는 정방형으로 한쪽의 길이가 150척(45m)이고, 정방형의 모양의 단의 한쪽의 길이가 25척(7.5m)이며 높이는 5척(1.5m)으로 바닥에서 단까지는 계단 4개를 두었다.

5. 제사

매년 1회 2월 상순에 길일을 정해 지냈다.

2월인 이유는 예기에 매년 2월마다 중국 황제가 정기적으로 동쪽으로 순행하도록 규정했기 때문이다. 즉, 사망한 명나라 황제의 혼령들이 가장 조선과 가까이 있는 시기가 이때라는 논리. 제사 때는 팔일[1]의 악을 사용하고, 악장은 문묘의 악장을 사용하게 했다. 위판에는 '대명 신종(大明 神宗)' 이란 명칭을 사용했다. '대명(大明)'은 명나라를 뜻하며, '신종(神宗)'은 만력제 묘호이다.

제례는 임금이 직접 주관하는 것이 원칙이었지만. 어쩔 수 없이 불참할 경우 중신에게 대신 지내게 했으며, 누런 소를 제물로 썼고 제물과 기구는 문묘의 예를 따르도록 했다.

6. 관련 문서



[1] 8×8명, 즉 64명의 무용수들이 나라의 큰 제사 때 추는 규모가 큰 춤을 말한다.팔일무는 황제의 행사나 제사에만 가능했고 왕은 6×6명의 육일무,대부는 사일무, 사는 이일무이다. 현재는 대한제국 시기의 종묘제례악을 재현한 행사 때에만 팔일무를 볼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