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06-13 14:31:37

창덕궁 애련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대보단
건무문 광지문
청의정 태극정 농산정
농포
소요암 옥류천
소요정
취한정
수복방 신선원전 진설청
괘궁정 취규정
재실
능허정
의효전 사가정 청심정 천향각
몽답정 산단
백운사
천성동 태청문
청연각
존덕정
외삼문 폄우사 척뇌당
관람정
반도지
승재정
부군당
반빗간 태일문
통벽문 우신문 농수정
연경당 선향재
국출신직소 수인문 장양문
장락문
창덕궁 애련정
어수당 애련지
불로문
석거문 금마문 영춘문
운경거 의두합
희우정 천석정
서향각 주합루
어수문
사정기비각 부용지 영화당 춘당대 서총대
부용정
요금문 서소 개유와 열고관
창송헌 수정전 가정당
습취헌 집상전
영모당
경복전 경훈각 징광루 함원전
청향각
의풍각 융경헌 대조전 흥복헌
수랏간 관리합
만수전 태화당 재덕당 요휘문 경극문 창경궁
경추문 보경당 선평문 양심합 여춘문 병경문
함양문
선원전 진설청 내재실 만수문 건중문 희정당 영안문
양지당 만안문 관광청 선정전 건인문
책고 인정전 관물헌 어휘문
봉모당 억석루 연경문 만복문 향실 선정문 성정각 보춘정 중희당 칠분서 해당정 수방재 연영합 평원루 취명문
운한문 영의사 예문관 서방색 소주방 선화문 자시문 삼삼와 승화루 한정당 보화문
숭범문 선전관청 영현문 전의사 취운정 협문
훈국초관인직소 이문원 검서청 약방 내삼청 광범문 내반원 낙선재 석복헌
훈국초관인직소 홍문관 문서고 궁방 사옹원 등촉방 대은원 수강재
훈국군파수직소 정청 육선루
악기고
승정원 상서성 연영문 협양문 무예청 장락문 주명문
남소
위장청
인정문 + 대청 공상청 누국
수문장청 금천교 진선문 숙장문 건양문 일영대
금호문 결속색
정색
내병조
(창덕궁관리소)
호위청 상서원 배설방 금위군번소 패장직소 별감방 전루 문기수번소 저승전 낙선당
무비사
의장고
전설사 빈청
(어차고)
진수당 장경각 군옥재 춘방
수문장청 돈화문 수문장청 교자고 상의원 치미각 시민당 계방 등룡문
원역처소 사주문
단봉문 종묘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colbgcolor=#bf1400> 창덕궁 애련정
昌德宮 愛蓮亭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 와룡동 2-71번지)
건축시기 1692년 (창건)
파일:external/blog.joinsmsn.com/4c0baea36f3cb.png
<colbgcolor=#bf1400> 애련정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애련정 3D 영상. 의두합과 같이 다룬다.
1. 개요2. 이름3. 역사4. 애련지5. 구조6. 여담

[clearfix]

1. 개요

창덕궁 후원 정자이다.

2. 이름

'애련(愛蓮)'은 ' 연꽃(蓮)을 사랑한다(愛)'는 뜻이다. 송나라의 성리학자 주돈이가 쓴 글인 《애련설》에서 이름을 따왔다. 애련지에 가득 찬 연잎

숙종은 애련정에 대해 쓴 글인 《애련정기(愛蓮亭記)》에 “연꽃은 더러운 곳에 있으면서도 변하지 않고, 우뚝 서서 치우치지 아니하며 지조가 굳고 맑고 깨끗하여 군자의 덕을 지녔기 때문에, 이러한 연꽃을 사랑하여 정자의 이름을 애련정이라고 지었다.”고 이름의 뜻을 적었다. #

현재 현판은 1903년( 광무 7년)에 창덕궁 후원의 감독직을 맡았던 동농 김가진이 썼다.

3. 역사

1692년(숙종 18년)에 건립되었다. 《궁궐지》와 《애련정기》에 따르면, 연못 가운데에 을 쌓고 정자를 지었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 섬은 없고 정자도 북쪽 연못가에 걸쳐있다. 언제 지금의 모습이 되었는지는 모른다. 다만, 1828년 ~ 1830년 사이에 그린 《 동궐도》에는 지금과 같은 형태로 그려져있는 것을 보아 이미 그 이전에 변한 것으로 추측한다.
파일:동궐도 애련정.png
<colbgcolor=#bf1400> 《동궐도》의 애련정 권역. 오른쪽 위의 정자가 애련정이고 연못이 애련지이다.
애련지 서쪽의 건물이 어수당이며 맨 아래의 건물 2채가 의두합과 운경거이다.
헌종 대에 지은 《궁궐지》에 따르면, 애련정 서쪽에는 어수당(魚水堂)이 있었다고 한다. 《 동궐도》에도 보인다. 그러나 지금은 없다.

4. 애련지

파일:창덕궁_후원군역_애련지.jpg
<colbgcolor=#bf1400> 애련지[1]
昌德宮 愛蓮池

애련정의 연못이다. 애련정과 역사가 같다. 정사각형에 가까운 형태이다.

애련지의 서북쪽은 3단짜리 단으로 되어있다. 이중 가운데 층의 제일 왼쪽 돌에 전서체로 새겨진 '태액(太液)'이라는 글씨가 있다. 이로 보아 애련지의 다른 이름이 '태액지(太液池)'였을 가능성도 있다. 태액은 '큰(太) 연못(液)'이란 뜻이고, 옛 중국 황궁의 연못 이름에서 유래했다.[2] 근처에 있는 부용지의 별칭도 태액지였다.

5. 구조

  • 애련지의 북쪽에 있다. 네 개의 기둥 위에 건물이 서있는데 남쪽의 기둥 2개는 길이가 길며 연못에 잠겨있고 북쪽의 기둥 2개는 길이가 짧으며[3] 축대 위에 걸쳐져 있다. 꼭 마치 연못에 발 담그고 있는 것 같은 모습이다. #
  • 정면 1칸, 측면 1칸이다. 지붕은 사모지붕으로 추녀마루는 기와를 얹어 마감했다. 처마는 겹처마이다. 공포는 이익공으로 익공의 끝을 둥글게 처리한 몰익공 형식이다. # 공포 사이에는 소로를 두었다. 단청은 모루단청이다.[4]
  • 모든 칸에는 창호를 달지 않아 외부와 바로 통하게 되어있다. 기둥 사이에 낙양각을 설치하여 한껏 운치있게 했다. 북쪽 칸을 제외한 나머지 칸의 아랫 부분에는 '亞'자형 난간을 둘렀다.
  • 안쪽의 마루는 난간을 두른 쪽마루보다 한단 낮게 설치되었다. 그래서 쪽마루가 걸터앉아 쉴 수 있는 의자의 기능을 할 수 있다.
  • 현판은 북쪽에 걸려 있다. 그리고 바깥쪽 기둥마다 주련을 써붙여 놓았다. 주련의 내용은 이 곳을 참조.

6. 여담

}}} ||
<colbgcolor=#bf1400> 〈창덕궁 달빛기행〉 영상
〈창덕궁 달빛기행〉 코스 중 한 곳이다.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 당나라 대명궁, 금나라 대녕궁에 같은 이름의 연못이 있었다. 현재 베이징 중난하이도 태액지로 불렸었다. [3] 기둥이라고 하기도 민망한 수준이다. 주춧돌이라고 봐야한다. [4] 부재 끝 부분만 화려하게 칠하는 단청.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