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4 09:10:00

중공군 5차 공세

중공군 춘계 공세에서 넘어옴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6.25 전쟁 의 전투 및 작전 목록 파일:북한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536349> 1
9
5
0
북한군의 남침
<colbgcolor=#777,#222><colcolor=#FFF> 6월 폭풍 작전
· 옹진반도 전투
· 개성-문산 전투
· 고랑포 전투
· 봉일천 전투
· 김포반도 전투
· 옥계 전투
· 강릉 전투
· 춘천-홍천 전투
· 대한해협 해전
· 동두천 전투
· 포천 전투
· 의정부 전투
· 내촌-태릉 전투
· 수원 비행장 전투
· 한강 인도교 폭파 · 한강 방어선 전투
7월 주문진항 해전
· 동락리 전투
· 오산 전투
· 갈곶리 전투
· 평택 전투
· 진천 전투
· 천안 전투
· 전의-조치원 전투
· 청주 전투
· 금강 방어선 전투(공주-대평리 전투)
· 장항-군산-이리 전투
· 대전 전투
· 화령장 전투
8월 청송 전투
· 낙동강 방어선 전투
( 안동·의성전투
· 마산 전투
· 다부동 전투
· 창녕·영산전투
· 안강·기계 ~ 영천·신녕 전투
· 포항 전투
· 포항 철수작전
· 통영 상륙 작전
)
유엔군의 반격
9월 장사 상륙 작전
· 인천 상륙 작전
· 9.28 서울 수복
10월 평양 탈환작전
· 초산 전투
중공군 개입
10월 중공군 1차 공세(10/25)
11월 개천-비호산 전투
· 중공군 2차 공세(11/25)
· 청천강 전투
· 장진호 전투
12월 평양 철수
· 흥남 철수작전
· 중공군 3차 공세(12/31)
1
9
5
1
1월 1.4 후퇴
· 평양 대공습
· 울프하운드 작전
· 유엔군 1차 반격(1/25)
· 선더볼트 작전
· 원산 포위전
· 금양장리 전투
· 라운드업 작전
2월 중공군 4차 공세(2/11)
· 횡성 전투
· 지평리 전투
· 유엔군 2차 반격(2/20)
· 전략도서 확보 작전
· 원산 포위전
· 킬러 작전
3월 리퍼 작전(3.14 서울 재수복)
· 커리지어스 작전
· 토마호크 작전
4월 러기드 작전
· 중공군 5차 공세(4/22)
· 매봉·한석산 전투
· 사창리 전투
· 설마리 전투
· 파평산 전투
· 가평 전투
5월 설악산 전투
· 중공군 6차 공세(5/16)
· 현리 전투
· 용문산 전투
· 한계 전투
· 유엔군 3차 반격(5/23)
전선 교착
6·7월 도솔산 전투
· 평양 대공습
8월 피의 능선 전투
· 펀치볼 전투
9·10월 가칠봉 전투
· 단장의 능선 전투
· 백석산 전투
· 코만도 작전
11·12월 크리스마스 고지 전투
1
9
5
2
1월 승호리 철교 폭파작전
3월 장단-사천강 전투
7월 수도고지-지형능선 전투
351고지 전투
9월 백마고지 전투
· 1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저격능선 전투
1
9
5
3
3월 폭찹힐 전투
5월 M-1고지 전투
6월 351고지 전투
· 2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949-973-883고지 전투
7월 중공군 7차 공세(7/13)
· 금성 전투
· 백암산 전투
· 425고지-406고지 전투
첨자 : 공산군의 승리 / 첨자 : 한국군•유엔군의 승리
※ 월표기: 전투 개시일 기준, 실제 교전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colcolor=#000> 중공군 춘계공세
中共軍春季功勢
Chinese Spring Offensive of 1951
파일:중공군포로.jpg
춘계공세를 마무리 지은 파로호 전투에서 사로잡힌 후 국군에게 목숨을 구걸하는 중공군 포로들
<colbgcolor=#c0c0ff> 시기 1951년 4월 22일 ~ 5월 22일 (중공군의 공세)
1951년 5월 20일 ~ 7월 1일 ( 유엔군의 반격)
장소 경기도 강원도 북부 일대
원인 1951년 , 38선으로 후퇴한 공산군의 서울 재점령 및 한반도에서의 유엔군 축출 기도
교전국 [[틀:깃발|]][[틀:깃발|]][[대한민국|]]
[[틀:깃발|]][[틀:깃발|]][[유엔군사령부|
유엔군사령부
]]
[[틀:깃발|]][[틀:깃발|]][[미국|]]

[[틀:깃발|
기 명칭
캐나다
]][[틀:깃발|
깃발 명칭
캐나다
]][[캐나다 자치령|]]






지휘관 [[틀:깃발|]][[틀:깃발|]][[매튜 리지웨이|
매튜 리지웨이
]]
[[틀:깃발|]][[틀:깃발|]][[펑더화이|]]
병력 418,500명
[[틀:깃발|]][[틀:깃발|]][[틀:깃발|]] 245,000명
[[틀:깃발|]][[틀:깃발|]][[틀:깃발|]] 152,000명
[[틀:깃발|]][[틀:깃발|]][[틀:깃발|]] 11,500명
[[틀:깃발|]][[틀:깃발|]][[틀:깃발|]] 1,500명
기타 국가 10,000명 미만
3개 야전군 총 700,000명
(서울 방면 337,000명)
피해 사상자 15,679명 사상자 110,000명~160,609명
결과 한국군 유엔군의 승리
영향 공산군의 개성시 점령
공산군 서울 점령 실패 및 적화통일 포기
전쟁의 교착화 및 휴전 협상 시작

1. 개요

[clearfix]

1. 개요

6.25 전쟁 와중인 1951년 4월 말부터 중국 인민지원군이 실시한 군사 작전이다. 제5차 공세(Fifth Phase Offensive/第五次战役)라고도 부른다. 이 작전에서 중공군은 지난 1950년 11월 말의 제2차 공세 이후 최대 규모의 병력인 3개 야전군, 총 70만 명의 병력을 동원하여 지난 1951년 3월 14일 유엔군에게 다시 빼앗긴 서울의 재점령과 유엔군을 한반도에서 완전히 축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러나 유엔군의 강력한 저항에 작전의 목표 달성에 실패하였고 5월 말부터 시작된 유엔군의 반격으로 큰 피해를 입고 북으로 후퇴하여야 했다.

춘계공세를 끝으로 유엔군과 공산군 모두 서로를 한반도에서 완전히 축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걸 깨닫게 되었다. 이후 소련의 제안으로 휴전을 위한 휴전회담이 시작됨과 동시에 지난 1년여 동안 이어졌던 전면전이 끝나고 차후 전술적 요지를 점하기 위한 전선교착전으로 전쟁의 양상이 바뀌게 된다.

중공군의 춘계공세는 5월 22일에 종료되었으나 편의상 후속 전투인 5월 말부터 6월까지 진행된 유엔군의 반격까지 모두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