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철학사 근대 철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16px -11px;" | <tablewidth=100%> 고대 철학 | 중세 철학 | 근대 철학 | 현대 철학 | }}} | |||
<colbgcolor=#545454><colcolor=#ffffff> 16-18세기 | |||||||||
에라스뮈스 · 모어 · 마키아벨리 · 몽테뉴 · 브루노 | |||||||||
합리주의 | · 스피노자 · 말브랑슈 · 라이프니츠 | ||||||||
경험주의 | 베이컨 · 홉스 · 로크 · 버클리 · 흄 | ||||||||
계몽주의 | 몽테스키외 · 볼테르 · 루소 · 디드로 · 엘베시우스 | ||||||||
칸트 / 신칸트주의 | |||||||||
19세기 | |||||||||
피히테 · 셸링 / 낭만주의: 헤르더 · 슐라이어마허 / 초월주의(미국): 에머슨 · 소로 | |||||||||
헤겔 / 청년 헤겔학파: 포이어바흐 · 슈티르너 | |||||||||
공리주의 | 벤담 · 밀 · 시즈윅 | ||||||||
실증주의 | 콩트 · 마흐 / 사회학: 뒤르켐 · 베버 | ||||||||
사회주의 | 아나키즘: 프루동 · 바쿠닌 · 크로포트킨 | ||||||||
마르크스주의: · 엥겔스 | |||||||||
키르케고르 · 쇼펜하우어 · 딜타이 · 베르그송 | |||||||||
니체 |
<colbgcolor=#000><colcolor=#fff> 버클리 Berkeley |
|
|
|
본명 |
조지 버클리 George Berkeley |
출생 | 1685년 3월 12일 |
아일랜드 왕국 킬케니 | |
사망 | 1753년 1월 14일 (향년 68세)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옥스퍼드 | |
국적 |
[[아일랜드 왕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
서명 |
|
[clearfix]
1. 개요
아일랜드 출신 철학자이자 성공회 주교.2. 생애
1685년에 아일랜드 의 킬케니 근처에서 태어났다. 1696년에 킬케니 대학에 들어갔다가 1700년에 더블린의 트리니티 대학에 들어가서 1704년에 졸업했다. 3년 후인 1707년에 트리니티 대학의 펠로우가 되었으며 1710년에 성공회 사제 서품을 받았다.1709년 『새로운 시각 이론에 관한 시론』(Essay towards a New Theory of Vision)을 출판했다. 1710년에는 『인간 지식의 원리론』 1부 (A Treatise Concerning the Principles of Human Knowledge, Part I) 를 출간하였고[1] 1713년에 『하일라스와 필로누스가 나눈 대화 세 마당』(Three Dialogues between Hylas and Philonous)[2]을 출판하였다. 이 두 권의 책에서 버클리는 지각과 독립적으로 물질이 존재한다는 입장을 공격하며 반물질주의(immaterialism)[3]을 옹호한다.
1721년에 『운동에 관하여』(De Motu)를 출판하였는데 여기에서 그의 과학철학과 뉴턴 역학에 대한 도구주의적인 입장을 제시한다.
1732년에는 자유사상가들에 맞서 기독교를 옹호하는 『알시프론』(Alciphron, or the Minute Philosopher)을 출판했다. 이 책에서 언어에 대한 버클리의 입장을 볼 수 있다.
1734년에는 『분석가』(The Analyst: or, a Discourse Addressed to an Infidel Mathematician)를 출판해서 미적분학의 근거를 공격했다.
1744년에 그의 마지막 저작인 『사이리스』(Siris)를 출판했다. 여기에서 버클리는 타르-물[4]이 거의 만병통치약인 것처럼 그 효능을 옹호한다. 이 특이하고 이상해보이는 책이 그의 생전에 가장 많이 팔렸던 책이다.[5]
3. 사상
시기상 존 로크 (1632-1704)와 데이비드 흄 (1711-1776)의 사이에 있는 철학자로, 흔히 두 사람과 함께 영국경험론의 대표자로 꼽힌다.버클리는 로크가 말하는 추상적 이데아(Abstract Idea)같이 형이상학적 실체로서의 존재를 부정했다. 다만 사과나 산과 같은 물리적 객체의 존재를 부정하지는 않았다.
“나는 우리가 감각이나 반성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어떤 한 가지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내가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지는 것들은 존재한다고 의심하지 않는다. 내가 부정하는 유일한 것은 철학자들이 물질이나 물질적 실체라고 부르는 것이다. 이 일을 하는 데 있어서, 다른 사람들에게 아무런 피해를 주지 않는다. 그들은 그것을 전혀 그리워하지 않을 것이다.” 《인간 지식에 대한 원리론》
로크는 인간이 직접적으로 지각하는 것들을 '관념'이라 부르고, 감각관념들이 정신 외부에 존재하는 물질을 표상하기에, 우리는 관념을 직접적으로 지각함으로써 외부의 물체들을 간접적으로 지각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즉 우리는 일상에서 우리의 감각을 통해 인식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대상들을 지각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입장은 외부 물체에 대한 표상적 실재론이다.
이에 대해 버클리는 관념이 외부 물체를 표상할 수 있다는 전제를 공격함으로써 표상적 실재론을 거부한다. 그런데 버클리는 우리가 외부의 독립적 물체라는 추상적 관념을 인식할 수 없다는 주장을 넘어서, 이러한 물질이라는 개념 자체가 무의미하거나 모순적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인간 지식의 원리론』과 『하일라스와 필로누스가 나눈 대화 세 마당』에서 '물질주의'(materialism)[6]를 공격하는 다양한 논증들을 제시한다.
버클리는 물질 실체의 존재를 부정하지만 인간의 정신이 실체라는 것은 부인하지 않는다. 이후에 흄은 정신이 실체라는 것 역시 거부한다. 흄에 의하면 인간의 정신은 관념들의 다발일 뿐이다. 흥미로운 점은 버클리가 『인간 지식의 원리론』을 쓰기 이전에 작성한 철학 노트를 보면 버클리 역시 흄의 입장과 유사한 다발이론을 전개한다. 하지만 그는 결국 정신이 데카르트적인 실체라는 입장으로 복귀한다.
조지 버클리는 규칙 결과주의의 시조격으로 취급된다.
3.1. 인식론
3.1.1. 보편자 부정
버클리는 기존의 추상 관념, 즉 보편자의 존재를 부정한다. 예를 들어 '필통'이라는 단어가 있을 때, 필통의 이데아와 같은 것은 없으며, 그저 필통과 유사하게 생긴 사물들을 그렇게 부르기로 약속한 것이 필통이라는 단어라는 것이다.철학자들이 ' 이성(Reason)'이라는 단어를 두고 이성의 본질( 이데아)이 무엇인지 고민한다고 가정해보자. 인간은 제각기 생각하는 '이성'이 다르기 때문에, 모든 인간에게 해당되는 보편적인 정의를 찾아내기 어려울 것이다. 이성적이란 말이 누군가에겐 차분한 태도를 말할 수도 있고, 누군가에겐 논리적인 모습일수도 있다. 토론에서 격앙된 목소리로 근거를 설명하는 사람에게 '이성적으로 말해주세요' 라고 하면 전자일 것이고, 나긋나긋한 목소리로 감정적 발언이나 욕설을 할 때 '이성적으로 말해주세요'란 후자를 가리킬 것이다. 이렇듯 언어는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
버클리는 여기서 오해가 시작된다고 보았다. 즉, 한 언어를 정확히 한 개념으로 정의해야 한다는 강박이 추상 관념을 만들어냈을 뿐, 이는 허상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보편자 개념이 없다면 어떻게 법칙을 만들어낼 수 있냐는 반론이 제기될 수 있는데, 버클리는 해당 증명에 사용된 특수성을 공유하는 다른 개별자들에게도 증명이 적용되는 방식으로 보편화된다[7]고 설명한다.
예를 들어,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180도' 임을 증명하려 한다면 기존 철학자들은 '삼각형의 본질'이 있다고 전제할 것이다. 하지만 버클리는 둔각 삼각형이자 직각 삼각형이자 이등변 삼각형이자 예각 삼각형은 없다고 말한다. 실제로도 우리는 그러한 삼각형을 떠올릴 수 없다.
이렇듯 '삼각형'에 대응하는 추상관념은 지각되지 못하고, 존재하는 것은 지각되어야 하므로 삼각형의 추상관념은 없다고 할 수 있다. 한 삼각형이 모두를 대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인간'의 본질을 떠올려보면 쉽다. 교과서에 '인간이란 이런 것이다' 라고 백인 남성 그림을 올려두면 굉장한 지탄을 받을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흑인, 황인, 여성, 대머리, 장신, 단신 등의 인간이 '인간의 본질'이라 할 수도 없고, '흑인이자 백인이자 남성이자 여성이자 장신이자 단신이자 비만이자 저체중인' 사람이 존재할수도 없다. 즉, 본질은 없다. 삼각형도 마찬가지다.
그럼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어떻게 증명할까. 아무 삼각형을 그려보자. 그것이 예각이든 둔각이든 상관없다. 둔각삼각형을 그렸다고 가정하고 그걸로 세 내각의 합이 180도임을 보인다. 이때 이 삼각형이 가진 많은 성질, 즉 '한 각이 둔각이다, 길이가 얼마다, 색깔이 어떻다' 등등의 특징들은 사용되지 않았다. 다만 '세 직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이라는 특징만이 사용되었을 뿐이다. 다시 말해 이 증명은 세 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에는 모두 적용된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인간의 추상 관념이 없어도, 연구를 통해 인간이 어떻다는 점을 알아내고 그게 '인간 유전자를 가진 사람'에게는 모두 적용된다고 말하는 식으로 보편화할 수 있다.[8]
주교이기 때문인지, '신은 인간이 알려고 하면 웬만하면 충족시키도록 세상을 만들었다'는 서술도 나온다. 즉 철학을 공부하면 할수록 더 모르는 것만 많아지고 고뇌에 빠지는 것은, 원래 인간이 유한한 존재라서 무한한 진리를 모르도록 태어난 게 아니라 방법론에 문제가 있다는 것. 그리고 이 오해는 바로 여러 비슷한 특징을 묶어 부르기로 한 '단어(언어)'에 하나의 확고하고 변치않는 정의를 내리려는 시도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
다시 말해 한 철학자가 "오 신이시여, 왜 저는 '이성(Reason)'의 본질(이데아)에 대해 알 수 없도록 만드셨습니까!' 라고 한다면, 아마도 그 신은 이렇게 말할 것이다. '아이고 바보같은 놈아, 단어는 네가 만들어놓고 왜 나한테..."
3.1.2. 존재되는 것은 곧 지각되는 것
존재함은 곧 지각됨이라는 것은 감각 외부의 실체가 감각과 독립적으로 존재한다고 말할 수 없다는 관념론적 시각을 잘 보여주는 말이다. 예를 들어 내가 어떤 방에서 책상을 보았을때 그 책상은 나한테 감각되므로 보고 있는 동안 책상은 나에게 지각되어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내가 그 방에서 나와 더 이상 책상을 보고 있지 않는다면 책상이 더 이상 존재한다고 확신하여 말할 수 없는 것이다.이러한 관념론적 생각은 내가 다시 그 방에 간다면 책상을 지각할 수 있다는 경험적 사실로 인해 우리의 직관과 매우 불일치한다. 당시 버클리의 주장도 학자들의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엄밀하게 생각해본다면 내가 책상을 보고 있지 않을 때도 그 책상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대해선 나는 “아무런 증명도 이끌어 낼 수 없다.”[9]
버클리도 우리의 직관과 배치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었고 이러한 괴리를 해결하기 위해 주교로서 탁월한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다음과 같다.
그 방에 책상이 항상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신이 항상 보고 있기 때문이다.[10]
3.2. 무한소 비판
미적분학의 태동기에 극한의 정의가 완전하지 않아 어지간한 수학자/과학자들[11]이 무한소를 남발해대자 롤의 정리로 유명한 미셸 롤과 함께 이들의 행태를 깠다. 특히 버클리 본인은 "사라진 값의 유령(the Ghosts of departed quantities)"이라는 말까지 써가면서 신랄한 디스를 했는데, 미적분의 시초인 아이작 뉴턴의 유율법이 주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이 광풍은 이후 오귀스탱 루이 코시가 엡실론-델타 논법을 만들고 나서야 멈추게 되었다.
4. 어록
철학이란 진리를 탐구하기 때문에, 철학에 시간과 노력을 들이면 지식의 확실성을 가지며 더 평온하게 살아가야 한다. 그런데 왜 평범한 사람들이 더욱 안락하게 살아가는 동안, 철학을 하는 사람들은 더 깊은 회의주의의 수렁으로 들어가는 것처럼 보이는가.[14]
5. 여담
6. 관련 문서
[1]
2부도 계획에 있었으나 결국 출판되지 않았다. 버클리가 새뮤얼 존슨에게 보낸 편지에 의하면 2부를 썼지만 이탈리아 여행중에 원고를 잃어버렸다고 한다. 버클리는 1716년에서 1721년 사이에 유럽대륙을 여행했으니 원고를 잃어버린 것은 이 시기일 것이다.
[2]
여기서 필로누스는 Philo(사랑)+nous(정신, mind)의 합성어로, 정신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며 버클리의 입장을 대변한다.
[3]
반(反)
물질주의이다.
입자물리학에서 말하는
반물질(antimatter)과는 관계 없다.
[4]
소나무를 태우면 나무는 숯이 되고 거기서 오일성분의 타르가 흘러 나온다.
#
이것을 적절한 양의 물에 희석시킨 것이 타르-물이다. [5] "따라서 『하일라스와 필로누스가 나눈 대화 세 마당』이후에 출판된 버클리의 책들이 주목받지 못했다"는 등의 주장은 잘못된 것이다. 이 책 외에도 미적분학의 근거를 공격한 『분석가』와 같은 책 역시 큰 영향을 남겼다. [6] 여기에서 '물질주의'는 인식으로부터 독립적인 물질이 존재한다는 입장을 말한다. 즉 데카르트적인 실체 이원론자도 버클리에 의하면 물질주의자이다. 오늘날에 '물질주의'(materialism)이라고 하면 보통 물질적인 것들만 존재한다는 입장을 의미하는데, 버클리는 이 표현을 다른 의미로 사용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7] 뜻이 어렵다기 보다는 직역한 것이라 문장 구조가 복잡한데, 해당 증명에 사용된 특수성을 공유하는 다른 개별자들에게도 / 증명이 적용되는 방식 / 으로 보편화된다라고 끊어 읽어야 한다. [8] 증명 과정에서 '인간의 특정 유전자'가 사용되었다면 그 유전자를 가지지 않은 개체에겐 적용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손가락이 5개라는 유전적 특징을 사용하여 어떤 연구결과 A를 도출한다면, 이것은 유전적으로 손가락이 6개인 사람에겐 적용되지 않는다. 참고로 손가락이 6개인 쪽이 우성 유전자다.갑작스러운 과학시간 즉 법칙은 '인간은 이런 것이고, 이것에겐 A 라는 성질이 있다. 그러니 인간은 A이다'가 아니라 'a라는 전제를 이용하여 결론 A를 도출한다. a는 인간에게 주로 나타나는 성질 중 하나이니 a를 가진 인간에게 결론 A를 보편화할 수 있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현대 과학적 방법론의 맥락과도 상통한다.
[9]
내가 보고있지 않을 때 책상이 사라졌다가 다시 그 방에 들어갔을 때 책상이 다시 생긴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10]
유사한 학설로 인간 육체와 정신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이유가 신이 그것을 항상 매개하기 때문이라는 기회원인론이 있다.
[11]
피에르 드 페르마,
아이작 뉴턴,
레온하르트 오일러 등.
[12]
『인간 지식의 원리론』 3절에 등장하는 구절로서 영어와 라틴어를 혼용한 것이다. 라틴어로 이 구절을 쓴다면 'esse est percipi'가 되겠다.
[13]
버클리는 그가 『인간 지식의 원리론』을 쓰기 이전에 적은 철학 노트에 "existere is percipi or percipere" (존재하는 것은 지각되는 것, 혹은 지각하는 것이다)라고 적어두었다. 버클리의 철학 체계에서는 지각의 대상인 관념뿐아니라 관념을 지각하는 정신 역시 존재하기에 노트의 구절이 버클리의 존재론을 보다 정확하게 요약해준다고 할 수 있다.
[14]
PHILOSOPHY being nothing else but the study of Wisdom and Truth, it may with reason be expected, that those who have spent most Time and Pains in it should enjoy a greater calm and serenity of Mind, a greater clearness and evidence of Knowledge, and be less disturbed with Doubts and Difficulties than other Men. Yet so it is we see the Illiterate Bulk of Mankind that walk the High-road of plain, common Sense, and are governed by the Dictates of Nature, for the most part easy and undisturbed. (A Treatise concerning the principles of human knowledge by George Berkeley)
[15]
They are neither finite Quantities nor Quantities infinitely small, nor yet nothing. May we not call them the Ghosts of departed Quantities?
[16]
If a tree falls in a forest and no one is around to hear it, does it make a sound? 해당 발언은 버클리가 했다고 말하는 경우가 많지만, 사실은 1883년 6월, The Chautauquan 잡지에 실린 글이다. 버클리가 비슷한 맥락의 말을 하긴 했다. 하지만 저 말을 하지는 않았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을 참조.
이것을 적절한 양의 물에 희석시킨 것이 타르-물이다. [5] "따라서 『하일라스와 필로누스가 나눈 대화 세 마당』이후에 출판된 버클리의 책들이 주목받지 못했다"는 등의 주장은 잘못된 것이다. 이 책 외에도 미적분학의 근거를 공격한 『분석가』와 같은 책 역시 큰 영향을 남겼다. [6] 여기에서 '물질주의'는 인식으로부터 독립적인 물질이 존재한다는 입장을 말한다. 즉 데카르트적인 실체 이원론자도 버클리에 의하면 물질주의자이다. 오늘날에 '물질주의'(materialism)이라고 하면 보통 물질적인 것들만 존재한다는 입장을 의미하는데, 버클리는 이 표현을 다른 의미로 사용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7] 뜻이 어렵다기 보다는 직역한 것이라 문장 구조가 복잡한데, 해당 증명에 사용된 특수성을 공유하는 다른 개별자들에게도 / 증명이 적용되는 방식 / 으로 보편화된다라고 끊어 읽어야 한다. [8] 증명 과정에서 '인간의 특정 유전자'가 사용되었다면 그 유전자를 가지지 않은 개체에겐 적용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손가락이 5개라는 유전적 특징을 사용하여 어떤 연구결과 A를 도출한다면, 이것은 유전적으로 손가락이 6개인 사람에겐 적용되지 않는다. 참고로 손가락이 6개인 쪽이 우성 유전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