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9 17:23:15

이브라힘 이븐 알 왈리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thumbnail.svg.png
보편 칼리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정통 칼리파
초대 제2대 제3대
아부 바크르 우마르 우스만
제4대 제5대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 하산 이븐 알리1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우마이야 왕조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야지드 1세 마르완 1세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아브드 알 말리크 왈리드 1세 술라이만 우마르 2세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야지드 2세 히샴 왈리드 2세 야지드 3세
제13대 제14대
마르완 2세
아바스 왕조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알 만수르 알 마흐디 알 하디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알 아민 알 마문 알 무타심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알 와시크 알 무타와킬 알 문타시르 알 무스타인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알 무타즈 알 무흐타디 알 무타미드 알 무타디드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알 무크타피 알 카히르 알 라디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알 무타키 알 무스탁피 알 무티 알 타이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알 카디르 알 카임 알 무크타디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알 라시드 알 묵타피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알 무스타디 알 나시르 알 자히르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알 무스타심 알 하킴 1세 알 무스탁피 1세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알 하킴 2세
제45대 제44대2 제46대 제45대2
알 무스타심 알 무타와킬 1세 알 와시크 2세 알 무스타심
제44대3 제47대 제48대 제49대
알 무스타인
제50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알 카임 알 무타와킬 2세 알 무스탐식
제54대 제53대2 제54대2
알 무타와킬 3세 알 무스탐식 알 무타와킬 3세
오스만 왕조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셀림 1세 셀림 2세 무라트 3세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오스만 2세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무라트 4세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마흐무트 1세 오스만 3세 무스타파 3세 압뒬하미트 1세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셀림 3세 무스타파 4세 마흐무트 2세 압뒬메지트 1세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압뒬아지즈 무라트 5세 압뒬하미트 2세 메흐메트 5세
제29대 제30대
메흐메트 6세 압뒬메지트 2세
^^ 1: 아부 바크르, 우마르, 우스만, 알리 등 이 4명만 정통 칼리파로 인정받지만 하산도 잠깐 동안이지만 칼리파 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포함한다. }}}}}}}}}
우마이야 왕조 13대 칼리파
ابراهيم ابن الوليد بن عبد الملك | 이브라힘 이븐 알 왈리드 이븐 아브드 알 말리크
제호 한국어 이브라힘 이븐 알 왈리드 이븐 아브드 알 말리크
아랍어 ابراهيم ابن الوليد بن عبد الملك
영어 Ibrahim ibn al-Walīd ibn ʿAbd al-Malik
존호 칼리파
생몰 년도 미상 ~ 745년 1월 25일
재위 기간 744년 10월 4일 ~ 744년 12월 4일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우마이야 왕조 13대 칼리파.

2. 생애

다마스쿠스 출신으로, 출생년도는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으나 형 야지드 3세가 태어난 701년 전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버지는 왈리드 1세이고, 어머니는 이란 출신의 첩 샤이 아프리드(Shah-i-Afrid)였다. 첩의 아들이었기 때문에 일찌감치 왕위 계승권에서 밀려났고, 친형 야지드 3세와 함께 조용히 살았다. 그러다 744년 4월 17일 칼리파 왈리드 2세가 마르완 이븐 무하마드의 정변으로 피살되고 형이 새 칼리파로 옹립되면서, 자연히 왕위 계승권자가 되었다.

744년 10월 4일, 야지드 3세는 뇌종양으로 사망했다. 그는 죽기 전에 동생에게 칼리파 직위를 물려주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가 서면으로 승계에 관한 칙령을 발표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집트와 시리아, 이라크 일부 지역은 새 칼리파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그러나 야지드 3세를 상대로 반란을 일으켰던 이들은 그 역시 새 칼리프로 인정하기를 거부했다. 지난날 야지드 3세를 반란을 일으켰다가 진압당했던 힘스 주민들은 또다시 반란을 일으켰다. 이에 정부군이 힘스를 포위했지만 쉽사리 함락시키지 못했다.

그러는 사이, 하란에 있던 마르완 2세는 야지드 3세의 사망 소식을 전해들었다. 마르완은 지난날 야지드 3세를 상대로 반란을 일으켰다가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아지라 등 3개 지역의 총독을 맡기겠다는 제안을 받아들이고 충성을 맹세한 바 있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이브라힘을 따를 생각이 없었기에 24,000명의 현지군과 7,000명의 아랍군을 집결시키고 그들에게 봉급을 준 뒤 왈리드 2세의 아들들에게 충성을 맹세하게 했다. 이후 일부 병력을 본진에 남겨둔 뒤 시리아로 진격했다. 그는 힘스를 포위하고 있던 군대를 철수시킨 뒤 야지드 3세의 두 아들에게 반란 토벌을 맡겼으나, 알레포 인근에서 패배했다. 이후 힘스인 등 더 많은 이들이 반란에 가담하자, 그는 가용한 모든 병력을 모아 술라이만 이븐 히샴에게 맡겨 마르완을 토벌하게 했다.

양군은 744년 11월 1일 누르 알 자르 강 맞은 편에 있는 발베크에서 맞붙었다. 하루 종일 전투를 벌였으나 어느 쪽도 우세를 잡지 못하했다. 이때 마르완은 3,000명의 기병과 함께 일꾼들을 산으로 보냈다. 노동자들은 숲을 벌목하고 누르 알 자르 강 위에 다리를 건설했다. 이후 기병대가 다리를 건너 여전히 전투를 벌이고 있던 적의 진영을 습격했다. 이로 인해 전의를 상실한 술라이만군은 와해되었고, 힘스인들은 자신들을 학살한 술라이만을 잡기 위해 맹렬히 추격했다. 술라이만 등은 서둘러 전장을 떠나 다마스쿠스로 달아난 뒤 그에게 완패 소식을 알렸다.

그는 도저히 대적할 수 없다는 걸 알게 되자 도망치기로 마음먹고, 마차에 보석을 가득 싣고 다마스쿠스를 떠났다. 그러면서 궁전 지하 감옥에 갇혀있는 왈리드 2세의 아들들을 처형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그렇게 이브라힘이 도망친 후, 마르완은 다마스쿠스에 입성한 뒤 칼리파로 즉위했다. 12월 4일, 지지자들을 끌어모으려 했으나 아무도 호응해주지 않자 모든 걸 포기한 그는 마르완을 찾아가 항복 의사를 밝히며 자신을 사면해달라고 요청했다. 마르완은 찬탈자로서의 오명을 조금이라도 불식시키기 위해 그를 살려주기로 하고 라카 시에서 여생을 보내게 했다.

그러나 그는 곧 라카 시에서 도주했고, 마르완은 이 소식에 분노해 추격대를 보냈다. 745년 1월 25일, 그는 대 자브 운하 기슭에서 추격대에게 따라잡혀 피살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