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 칼리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008000 20%, #008000 80%, #00800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정통 칼리파 | |||||
초대 | 제2대 | 제3대 | ||||
아부 바크르 | 우마르 | 우스만 | ||||
제4대 | 제5대 | |||||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 | 하산 이븐 알리1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우마이야 왕조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야지드 1세 | 마르완 1세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아브드 알 말리크 | 왈리드 1세 | 술라이만 | 우마르 2세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야지드 2세 | 히샴 | 왈리드 2세 | 야지드 3세 | |||
제13대 | 제14대 | |||||
마르완 2세 | ||||||
아바스 왕조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알 만수르 | 알 마흐디 | 알 하디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알 아민 | 알 마문 | 알 무타심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알 와시크 | 알 무타와킬 | 알 문타시르 | 알 무스타인 |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알 무타즈 | 알 무흐타디 | 알 무타미드 | 알 무타디드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알 무크타피 | 알 카히르 | 알 라디 |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알 무타키 | 알 무스탁피 | 알 무티 | 알 타이 | |||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알 카디르 | 알 카임 | 알 무크타디 | ||||
제29대 |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
알 라시드 | 알 묵타피 | |||||
제33대 |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
알 무스타디 | 알 나시르 | 알 자히르 | ||||
제37대 | 제38대 | 제39대 | 제40대 | |||
알 무스타심 | 알 하킴 1세 | 알 무스탁피 1세 | ||||
제41대 | 제42대 | 제43대 | 제44대 | |||
알 하킴 2세 | ||||||
제45대 | 제44대2 | 제46대 | 제45대2 | |||
알 무스타심 | 알 무타와킬 1세 | 알 와시크 2세 | 알 무스타심 | |||
제44대3 | 제47대 | 제48대 | 제49대 | |||
알 무스타인 | ||||||
제50대 | 제51대 | 제52대 | 제53대 | |||
알 카임 | 알 무타와킬 2세 | 알 무스탐식 | ||||
제54대 | 제53대2 | 제54대2 | ||||
알 무타와킬 3세 | 알 무스탐식 | 알 무타와킬 3세 | ||||
오스만 왕조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셀림 1세 | 셀림 2세 | 무라트 3세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오스만 2세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무라트 4세 |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마흐무트 1세 | 오스만 3세 | 무스타파 3세 | 압뒬하미트 1세 |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셀림 3세 | 무스타파 4세 | 마흐무트 2세 | 압뒬메지트 1세 | |||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압뒬아지즈 | 무라트 5세 | 압뒬하미트 2세 | 메흐메트 5세 | |||
제29대 | 제30대 | |||||
메흐메트 6세 | 압뒬메지트 2세 |
}}} 1: 아부 바크르, 우마르, 우스만, 알리 등 이 4명만 정통 칼리파로 인정받으나 하산도 잠깐동안 칼리파 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포함한다. }}}}}}
|
압뒬메지트 2세 관련 틀 | |||||||||||||||||||||||||||
|
<colbgcolor=#c70125><colcolor=#ffffff> | |
|
|
출생 | 1868년 5월 29일 |
오스만 제국
코스탄티니예 (現 튀르키예 마르마라주 이스탄불도 이스탄불 광역시 베식타시구) |
|
사망 | 1944년 8월 23일 (향년 76세) |
프랑스 파리 | |
묘소 | 사우디아라비아 메디나 바키 묘지 |
재위기간 | 수니파의 칼리파 |
1922년 11월 19일 ~ 1924년 3월 3일 | |
재임기간 | 오스만오을루의 수장 |
1926년 5월 16일 ~ 1944년 8월 23일 | |
아버지 | 압뒬아지즈 |
어머니 | 하이라느딜 카든에펜디 (출신: 압하스인) |
자녀 | 외메르 파루크 황자 등 |
[clearfix]
1. 개요
오스만 제국의 인물이자, 이슬람의 종파인 수니파의 역사상 마지막 보편 칼리파. 오스만 제국이 무너진 이후 튀르키예 공화국에서 파디샤가 아닌 칼리파로서 추대된 것이라, 오스만의 군주로서 나라를 다스리지는 못했다.2. 생애
오스만 제국의 제26대 파디샤인 압뒬아지즈의 아들이며, 마지막 파디샤였던 메흐메트 6세가 즉위한 1918년에 후계자(Veliaht)로 임명되었다.[2] 바히데틴의 재위기간 동안 협상국의 간섭 아래에 있는 코스탄티니예에 머물면서 튀르키예 독립 전쟁을 이끌던 쿠와이 밀리예(Kuvâ-yi Milliye)와 접촉을 시도했고, 1920년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와 접촉해 지원을 하기도 했다. 훗날 그가 칼리파로 임명된 계기 중 하나가 이때 튀르키예 대국민의회를 지지했다는 것이었다. 그러다 메흐메트 6세의 명으로 체포되어 돌마바흐체 궁전에 연금되기도 했다.1921년 2월, 아타튀르크가 파디샤직을 제안하자 그는 정중히 거절하는 서한을 보내고 대신 아들인 외메르 파룩 에펜디(Ömer Faruk efendi, 1898 ~ 1969)를 옹립하라며 앙카라로 보냈으나 이번에는 대국민의회가 옹립을 거절했다. 한편 튀르키예 대국민의회는 슬슬 오스만 제국을 대체할 신국가의 수립을 논하고 있었는데, 압뒬메지트 2세는 1921년 말에 코스탄티니예를 탈출해 앙카라로 들어가겠다고 대국민의회에 지원을 요청했으나 결국 거절되었다. 메흐메트 6세 바히데틴이 퇴위하고 공화국 수립 이후인 1923년 11월 1일에 군주제 폐지가 의회에서 가결되자 압뒬메지트 2세는 오스만 제국 황제 계승권을 박탈당했다.
한편 1922년 메흐메트 6세가 영국 군함을 타고 몰타를 거쳐 이탈리아로 도주하고, 튀르키예 대국민의회가 메흐메트 6세를 조국을 배신한 죄(İhanet-i vataniyye)로 기소하자 대국민의회는 칼리파 선출 선거를 열었다. 1922년 11월 19일에 이루어진 칼리파 선거에서 압뒬메지트 2세는 총원 162표 중 148표 지지로 칼리파로 선출되었다. 단, 튀르키예 대국민의회에서 임명한 것이므로 자발적인 계승과는 무관했다. 메흐메트 6세는 여전히 칼리파로서의 권리를 주장했다.
동년 11월 24일, 튀르키예 대국민의회는 15명으로 구성된 사절단을 압뒬메지트 2세에게 보내 칼리파 선출을 통보했고, 예언자 무함마드가 입었던 신성한 외투(Hırka-i Şerif)를 톱카프 궁전에서 압뒬메지트 2세에게 양도하는 의식을 거행함으로써 칼리파 직에 올랐다. 특기할 사항이 있다면 이때 칼리파 즉위식에서 모든 예배와 낭독은 아랍어가 아닌 튀르키예어로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같은해 영국령 인도의 이슬람 성직자들의 위원회에서 압뒬메지트 2세의 칼리파직 취임을 승인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튀르키예 대국민의회는 공화정과 세속주의에 협조적인 (비록 그 의도는 본인의 제위계승일지라도) 압뒬메지트 2세와 공생하며 특히 종교적인 영향력을 지원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서로 윈윈 하는 관계였다. 하지만 1923년 10월 29일, 튀르키예 공화국 정부가 본격적으로 출범한 이후 둘의 관계는 금이 가기 시작했다.
일단 아타튀르크와 대국민의회는 칼리파직을 유지하는데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고 보았다. 압뒬메지트 2세와 칼리파 업무부서는 지속적으로 예산 증가를 요구하고 있었다. 또한 튀르키예 공화국과는 별개로 종교적 업무를 수행한다는 이유로 외국의 인사들을 대국민의회의 승인없이 받아들이는 것도 문제가 되었다. 1924년 2월 5일에서 20일 사이 이즈미르에서 튀르키예 대국민의회의 고위의원들이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만났고 같은 해 3월 1일부터 시작된 예산심의회의가 진행 중인 3월 3일에 우르파 국회의원인 셰이흐 사페트 에펜디(Şeyh Saffet efendi)외 동조자 53명이 칼리파직 폐지를 발의했다.
칼리파직의 폐지와 오스만 가문의 튀르키예 공화국 영토 밖으로의 추방에 대한 법(Hilafetin İlgasına ve Hanedan-ı Osmaninin Türkiye Cumhuriyeti Memaliki Haricine Çıkarılması Hakkındaki Kanun) - 제431호법 -은 회의 참석자 158명 중 157명에게 동의를 얻어 통과되었다. 이로써 오스만 황족들에게 추방령이 내려지고 압뒬메지트 2세 또한 칼리파직에서 퇴위되었다. 이후 그는 프랑스로 망명해 화가로 여생을 보내다가 1944년에 파리에서 사망하였다. 사망일을 보면 알겠지만, 말년 프랑스 파리 시절에도 나치 독일의 파리 점령과 자유 프랑스의 파리 해방까지 볼 정도로 끝까지 파란만장한 인생이었다. 그리고 1881년생인 케말 아타튀르크보다 13살이나 많으면서 아타튀르크보다 6년 후에 세상을 떠났다.
3. 기타
-
Hearts of Iron IV에서 Battle for the Bosphorus DLC가 있고 튀르키예[3]로 플레이한다면 오스만 복고 중점 루트를 통해 집권시킬 수 있다. 여담으로, 이스터에그를 통해 터키 공화국의 지도자로도 만들 수 있다. 오스만 복고 이후 계승법 변경 디시전으로 그의 딸이 뒤를 잇도록 할 수 있다.
Hearts of Iron IV의 유명 모드인 카이저라이히에서는 오스만 제국이 승전국인 만큼 칼리파직을 유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파디샤로 즉위한 상태다. 이후 중점이나 이벤트에 따라 오스만 4세나 아흐메트 4세에게 양위할 수도 있는데 보통 시간을 흘려보내다 보면 사망하며 아흐메트 4세가 즉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