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4-06 01:49:13

알렉세이 야구딘

알렉세이 야구딘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1f202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 하계 올림픽
1908 1908 런던 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1920 1920 안트베르펀 파일:스웨덴 국기.svg 일리스 그라프스트룀
동계 올림픽
1회 1924 샤모니 파일:스웨덴 국기.svg 일리스 그라프스트룀 <colbgcolor=#3c3b6e,#141425> 2회 1928 생모리츠 파일:스웨덴 국기.svg 일리스 그라프스트룀
3회 1932 레이크플래시드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 4회 193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
5회 1948 생모리츠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딕 버튼 6회 1952 오슬로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딕 버튼
7회 1956 코르티나담페초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헤이스 엘런 젠킨스 8회 1960 스쿼밸리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젠킨스
9회 1964 인스브루크 파일:독일 올림픽 단일팀기.svg 만프레트 슈넬도르퍼 10회 1968 그르노블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볼프강 슈바르츠
11회 1972 삿포로 파일:체코 국기.svg 온드레이 네펠라 12회 1976 인스브루크 파일:영국 국기.svg 존 커리
13회 1980 레이크플래시드 파일:영국 국기.svg 로빈 커즌스 14회 1984 사라예보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해밀턴
15회 1988 캘거리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이언 보이타노 16회 1992 알베르빌 파일:오륜기.svg 빅토르 페트렌코
17회 1994 릴레함메르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우르마노프 18회 1998 나가노 파일:러시아 국기.svg 일리야 쿨릭
19회 2002 솔트레이크시티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야구딘 20회 2006 토리노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21회 2010 밴쿠버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 라이사첵 22회 2014 소치 파일:일본 국기.svg 하뉴 유즈루
23회 2018 평창 파일:일본 국기.svg 하뉴 유즈루 24회 2022 베이징 파일:미국 국기.svg 네이선 첸
25회 2026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
파일:국기.svg ? 26회 ? 파일:국기.svg ?
  • 1912년 올림픽에는 종목으로 추가되어있지 않았고, 1916년 올림픽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
    1940년과 1944년 올림픽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됨.
  • 1994년 릴레함메르 올림픽부터 동하계 올림픽 개최 주기가 2년마다 번갈아 열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780c2; font-size: 1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1f202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회(1896년) ~ 50회(1945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회 1896 상트페테르부르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길버트 푹스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회 1897 스톡홀름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구스타프 휘겔
3회 1898 런던 파일:스웨덴 국기.svg 헤닝 그레난더 4회 1899 다보스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구스타프 휘겔
5회 1900 다보스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구스타프 휘겔 6회 1901 스톡홀름 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7회 1902 런던 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8회 1903 상트페테르부르크 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9회 1904 베를린 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10회 1905 스톡홀름 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11회 1906 뮌헨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길버트 푹스 12회 1907 빈 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13회 1908 트로파우 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14회 1909 스톡홀름 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15회 1910 다보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16회 1911 베를린 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17회 1912 맨체스터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프리츠 카글러 18회 1913 빈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프리츠 카글러
19회 1914 헬싱키 파일:스웨덴 국기.svg 괴스타 샌달 20회 1915 취소 WWI
21회 1916 취소 WWI 22회 1917 취소 WWI
23회 1918 취소 WWI 24회 1919 취소 WWI
25회 1920 취소 WWI 26회 1921 취소 WWI
27회 1922 스톡홀름 파일:스웨덴 국기.svg 일리스 그라프스트룀 28회 1923 빈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프리츠 카글러
29회 1924 맨체스터 파일:스웨덴 국기.svg 일리스 그라프스트룀 30회 1925 빈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빌리 뵈클
31회 1926 베를린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빌리 뵈클 32회 1927 다보스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빌리 뵈클
33회 1928 베를린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빌리 뵈클 34회 1929 런던 파일:스웨덴 국기.svg 일리스 그라프스트룀
35회 1930 뉴욕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 36회 1931 베를린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
37회 1932 몬트리올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 38회 1933 취리히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
39회 1934 스톡홀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 40회 1935 부다페스트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
41회 1936 파리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 42회 1937 빈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펠릭스 카스파
43회 1938 베를린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펠릭스 카스파 44회 1939 부다페스트 파일:영국 국기.svg 그래험 샤프
45회 1940 취소 WWII 46회 1941 취소 WWII
47회 1942 취소 WWII 48회 1943 취소 WWII
49회 1944 취소 WWII 50회 1945 취소 WWII }}}}}}}}}
51회(1946년) ~ 100회(1995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51회 1946 취소 WWII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52회 1947 스톡홀름 파일:스위스 국기.svg 한스 게르슈빌러
53회 1948 다보스 파일:미국 국기.svg 딕 버튼 54회 1949 파리 파일:미국 국기.svg 딕 버튼
55회 1950 웸블리 파일:미국 국기.svg 딕 버튼 56회 1951 밀라노 파일:미국 국기.svg 딕 버튼
57회 1952 파리 파일:미국 국기.svg 딕 버튼 58회 1953 다보스 파일:미국 국기.svg 헤이스 엘런 젠킨스
59회 1954 오슬로 파일:미국 국기.svg 헤이스 엘런 젠킨스 60회 1955 빈 파일:미국 국기.svg 헤이스 엘런 젠킨스
61회 195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파일:미국 국기.svg 헤이스 엘런 젠킨스 62회 1957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젠킨스
63회 1958 파리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젠킨스 64회 1959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젠킨스
65회 1960 밴쿠버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렝 질레티 66회 1961 프라하 취소사베나 548 비행기 추락사건
67회 1962 프라하 파일:캐나다 국기.svg 도널드 잭슨 68회 1963 코르티나담페초 파일:캐나다 국기.svg 도널드 맥퍼슨
69회 1964 도르트문트 파일:독일 국기.svg 만프레트 슈넬도르퍼 70회 1965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랭 칼마
71회 1966 다보스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에메리치 단저 72회 1967 빈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에메리치 단저
73회 1968 제네바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에메리치 단저 74회 1969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미국 국기.svg 티모시 우드
75회 1970 류블랴나 파일:미국 국기.svg 티모시 우드 76회 1971 리옹 파일:체코 국기.svg 온드레이 네펠라
77회 1972 캘거리 파일:체코 국기.svg 온드레이 네펠라 78회 1973 브라티슬라바 파일:체코 국기.svg 온드레이 네펠라
79회 1974 뮌헨 파일:동독 국기.svg 얀 호프만 80회 1975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소련 국기.svg 세르게이 볼코프
81회 1976 예테보리 파일:영국 국기.svg 존 커리 82회 1977 도쿄 파일:소련 국기.svg 블라디미르 코발료프
83회 1978 오타와 파일:미국 국기.svg 찰스 티크너 84회 1979 빈 파일:소련 국기.svg 블라디미르 코발료프
85회 1980 도르트문트 파일:동독 국기.svg 얀 호프만 86회 1981 하트퍼드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해밀턴
87회 1982 코펜하겐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해밀턴 88회 1983 헬싱키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해밀턴
89회 1984 오타와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해밀턴 90회 1985 도쿄 파일:소련 국기.svg 알렉산더 파디프
91회 1986 제네바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이언 보이타노 92회 1987 신시내티 파일:캐나다 국기.svg 브라이언 오서
93회 1988 부다페스트 파일:캐나다 국기.svg 브라이언 오서 94회 1989 파리 파일:캐나다 국기.svg 커트 브라우닝
95회 1990 핼리팩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커트 브라우닝 96회 1991 뮌헨 파일:캐나다 국기.svg 커트 브라우닝
97회 1992 오클랜드 파일:독립국가연합 기.svg 빅토르 페트렌코 98회 1993 프라하 파일:캐나다 국기.svg 커트 브라우닝
99회 1994 치바 파일:캐나다 국기.svg 엘비스 스토이코 100회 1995 버밍엄 파일:캐나다 국기.svg 엘비스 스토이코 }}}}}}}}}
101회(1996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white> 101회 1996 에드먼턴 파일:미국 국기.svg 토드 엘드레지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02회 1997 로잔 파일:캐나다 국기.svg 엘비스 스토이코
103회 1998 미니애폴리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야구딘 104회 1999 헬싱키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야구딘
105회 2000 니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야구딘 106회 2001 밴쿠버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107회 2002 나가노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야구딘 108회 2003 워싱턴 D.C.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109회 2004 도르트문트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110회 2005 모스크바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테판 랑비엘
111회 2006 캘거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테판 랑비엘 112회 2007 도쿄 파일:프랑스 국기.svg 브라이언 주베르
113회 2008 예테보리 파일:캐나다 국기.svg 제프리 버틀 114회 2009 로스앤젤레스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 라이사첵
115회 2010 토리노 파일:일본 국기.svg 다카하시 다이스케 116회 2011 모스크바 파일:캐나다 국기.svg 패트릭 챈
117회 2012 니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패트릭 챈 118회 2013 런던 파일:캐나다 국기.svg 패트릭 챈
119회 2014 사이타마 파일:일본 국기.svg 하뉴 유즈루 120회 2015 상하이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121회 2016 보스턴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122회 2017 헬싱키 파일:일본 국기.svg 하뉴 유즈루
123회 2018 밀라노 파일:미국 국기.svg 네이선 첸 124회 2019 사이타마 파일:미국 국기.svg 네이선 첸
125회 2020 몬트리올 취소 COVID-19 126회 2021 스톡홀름 파일:미국 국기.svg 네이선 첸
127회 2022 몽펠리에 파일:일본 국기.svg 우노 쇼마 128회 2023 사이타마 파일:일본 국기.svg 우노 쇼마
129회 2024 몬트리올 파일:미국 국기.svg 일리야 말리닌 130회 2025 보스턴 파일:국기.svg ?
131회 2026 프라하 파일:국기.svg ? 132회 ? 파일:국기.svg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bordercolor=#fff,#1f202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회(1896년) ~ 50회(1940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회 1891 함부르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오스카 울릭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회 1892 빈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에드워드 엥겔만
3회 1893 베를린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에드워드 엥겔만 4회 1894 빈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에드워드 엥겔만
5회 1895 부다페스트 파일:헝가리 국기.svg 티본 본 폴드바리 6회 1896 미개최
7회 1897 미개최 8회 1898 트론헤임 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9회 1899 다보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10회 1900 베를린 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11회 1901 빈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구스타프 휘겔 12회 1902 취소얼음 부족
13회 1903 취소얼음 부족 14회 1904 다보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15회 1905 본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맥스 보하치 16회 1906 다보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17회 1907 베를린 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18회 1908 바르샤바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에르니스트 헤르츠
19회 1909 부다페스트 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20회 1910 베를린 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21회 1911 상트페테르부르크 파일:스웨덴 국기.svg 페트르 토렌 22회 1912 스톡홀름 파일:스웨덴 국기.svg 괴스타 샌달
23회 1913 오슬로 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24회 1914 빈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프리츠 카글러
25회 1915 취소 WWI 26회 1916 취소 WWI
27회 1917 취소 WWI 28회 1918 취소 WWI
29회 1918 취소 WWI 30회 1920 취소 WWI
31회 1921 취소 WWI 32회 1922 다보스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빌리 뵈클
33회 1923 오슬로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빌리 뵈클 34회 1924 다보스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빌리 뵈클
35회 1925 트리베르크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빌리 뵈클 36회 1926 다보스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빌리 뵈클
37회 1927 빈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빌리 뵈클 38회 1928 트로파우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빌리 뵈클
39회 1929 다보스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 40회 1930 베를린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
41회 1931 빈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 42회 1932 파리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
43회 1933 런던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 44회 1934 체펠트인티론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
45회 1935 생모리츠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 46회 1936 베를린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
47회 1937 프라하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펠릭스 카스파 48회 1938 생모리츠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펠릭스 카스파
49회 1939 다보스 파일:영국 국기.svg 그래험 샤프 50회 1940 취소 WWII }}}}}}}}}
51회(1941년) ~ 100회(1990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51회 1941 취소 WWII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52회 1942 취소 WWII
53회 1943 취소 WWII 54회 1944 취소 WWII
55회 1945 취소 WWII 56회 1946 취소 WWII
57회 1947 다보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한스 게르슈빌러 58회 1948 프라하 파일:미국 국기.svg 딕 버튼
59회 1949 밀라노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에디 라다 60회 1950 오슬로 파일:헝가리 국기.svg 에드 키랄리
61회 1951 취리히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헬무트 자입트 62회 1952 빈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헬무트 자입트
63회 1953 도르트문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를로 파시 64회 1954 볼자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를로 파시
65회 1955 부다페스트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렝 질레티 66회 1956 파리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렝 질레티
67회 1957 빈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렝 질레티 68회 1958 브라티슬라바 파일:체코 국기.svg 카롤 디빈
69회 1959 다보스 파일:체코 국기.svg 카롤 디빈 70회 1960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렝 질레티
71회 1961 서 베를린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렝 질레티 72회 1962 제네바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랭 칼마
73회 1963 부다페스트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랭 칼마 74회 1964 그르노블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랭 칼마
75회 1965 모스크바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에메리치 단저 76회 1966 브라티슬라바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에메리치 단저
77회 1967 류블랴나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에메리치 단저 78회 1968 베스테로스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에메리치 단저
79회 1969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파일:체코 국기.svg 온드레이 네펠라 80회 1970 레닌그라드 파일:체코 국기.svg 온드레이 네펠라
81회 1971 취리히 파일:체코 국기.svg 온드레이 네펠라 82회 1972 예테보리 파일:체코 국기.svg 온드레이 네펠라
83회 1973 쾰른 파일:체코 국기.svg 온드레이 네펠라 84회 1974 자그레브 파일:동독 국기.svg 얀 호프만
85회 1975 코펜하겐 파일:소련 국기.svg 블라디미르 코발료프 86회 1976 제네바 파일:영국 국기.svg 존 커리
87회 1977 헬싱키 파일:소련 국기.svg 블라디미르 코발료프 88회 1978 스트라스부르 파일:소련 국기.svg 블라디미르 코발료프
89회 1979 자그레브 파일:소련 국기.svg 블라디미르 코발료프 90회 1980 예테보리 파일:영국 국기.svg 로빈 커즌스
91회 1981 인스브루크 파일:소련 국기.svg 이고르 보브린 92회 1982 리옹 파일:독일 국기.svg 노베르트 슈람
93회 1983 도르트문트 파일:독일 국기.svg 노베르트 슈람 94회 1984 부다페스트 파일:소련 국기.svg 알렉산더 파디프
95회 1985 예테보리 파일:체코 국기.svg 요제프 사보브치크 96회 1986 코펜하겐 파일:체코 국기.svg 요제프 사보브치크
97회 1987 사라예보 파일:소련 국기.svg 알렉산더 파디프 98회 1988 프라하 파일:소련 국기.svg 알렉산더 파디프
99회 1989 버밍엄 파일:소련 국기.svg 빅토르 페트렌코 100회 1990 레닌그라드 파일:소련 국기.svg 빅토르 페트렌코 }}}}}}}}}
101회(1991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01회 1991 소피아 파일:소련 국기.svg 빅토르 페트렌코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02회 1992 로잔 파일:체코 국기.svg 페트르 바르나
103회 1993 헬싱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드미트리 드미트리예프 104회 1994 코펜하겐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빅토르 페트렌코
105회 1995 도르트문트 파일:러시아 국기.svg 일리야 쿨릭 106회 1996 소피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우르마노프
107회 1997 파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우르마노프 108회 1998 밀라노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야구딘
109회 1999 프라하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야구딘 110회 2000 빈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111회 2001 브라티슬라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112회 2002 로잔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야구딘
113회 2003 말뫼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114회 2004 부다페스트 파일:프랑스 국기.svg 브라이언 주베르
115회 2005 토리노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116회 2006 리옹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117회 2007 바르샤바 파일:프랑스 국기.svg 브라이언 주베르 118회 2008 자그레브 파일:체코 국기.svg 토마스 베르너
119회 2009 헬싱키 파일:프랑스 국기.svg 브라이언 주베르 120회 2010 탈린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121회 2011 베른 파일:프랑스 국기.svg 플로랑 아모디오 122회 2012 셰필드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123회 2013 자그레브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124회 2014 부다페스트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125회 2015 스톡홀름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126회 2016 브라티슬라바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127회 2017 오스트라바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128회 2018 모스크바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129회 2019 민스크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130회 2020 그라츠 파일:러시아 국기.svg 드미트리 알리예프
131회 2021 자그레브 취소 COVID-19 132회 2022 탈린 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르크 콘드라튝
133회 2023 에스포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담 샤오 힘 파 134회 2024 카우나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담 샤오 힘 파
135회 2025 자그레브 파일:국기.svg ? 136회 2026 셰필드 파일:국기.svg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그랑프리 파이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회 1995-96 파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우르마노프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회 1996-97 해밀턴 파일:캐나다 국기.svg 엘비스 스토이코
3회 1997-98 뮌헨 파일:러시아 국기.svg 일리야 쿨릭 4회 1998-99 상트페테르부르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야구딘
5회 1999-00 리옹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6회 2000-01 도쿄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7회 2001-02 키치너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야구딘 8회 2002-03 상트페테르부르크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9회 2003-04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엠마뉴엘 산두 10회 2004-05 베이징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11회 2005-06 도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테판 랑비엘 12회 2006-07 상트페테르부르크 파일:프랑스 국기.svg 브라이언 주베르
13회 2007-08 토리노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테판 랑비엘 14회 2008-09 고양 파일:미국 국기.svg 제레미 애봇
15회 2009-10 도쿄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 라이사첵 16회 2010-11 베이징 파일:캐나다 국기.svg 패트릭 챈
17회 2011-12 퀘벡 파일:캐나다 국기.svg 패트릭 챈 18회 2012-13 소치 파일:일본 국기.svg 다카하시 다이스케
19회 2013-14 후쿠오카 파일:일본 국기.svg 하뉴 유즈루 20회 2014-15 바르셀로나 파일:일본 국기.svg 하뉴 유즈루
21회 2015-16 바르셀로나 파일:일본 국기.svg 하뉴 유즈루 22회 2016-17 마르세유 파일:일본 국기.svg 하뉴 유즈루
23회 2017-18 나고야 파일:미국 국기.svg 네이선 첸 24회 2018-19 밴쿠버 파일:미국 국기.svg 네이선 첸
25회 2019-20 토리노 파일:미국 국기.svg 네이선 첸 26회 2020-21 베이징 취소 COVID-19
27회 2021-22 오사카 취소 COVID-19 28회 2022-23 토리노 파일:일본 국기.svg 우노 쇼마
29회 2023-24 베이징 파일:미국 국기.svg 일리야 말리닌 30회 2024-25 오를레앙 파일: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주니어 세계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회(1976년) ~ 50회(2025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회 1976 므제브 파일:미국 국기.svg 마크 코커렐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회 1977 므제브 파일:캐나다 국기.svg 다니엘 버랜드
3회 1978 므제브 파일:캐나다 국기.svg 데니스 코이 4회 1979 아우크스부르크 파일:소련 국기.svg 비탈리 이고로프
5회 1980 므제브 파일:소련 국기.svg 알렉산더 파디프 6회 1981 런던 파일:미국 국기.svg 폴 와일리
7회 1982 오버스트도르프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윌리엄스 8회 1983 사라예보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토퍼 보먼
9회 1984 삿포로 파일:소련 국기.svg 빅토르 페트렌코 10회 1985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미국 국기.svg 에릭 러슨
11회 1986 사라예보 파일:소련 국기.svg 블라디미르 페트렌코 12회 1987 키치너 파일:미국 국기.svg 러디 갈린도
13회 1988 브리즈번 파일:미국 국기.svg 토드 엘드레지 14회 1989 사라예보 파일:소련 국기.svg 뱌체슬라프 자고로드뉵
15회 1990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소련 국기.svg 이고르 파슈케비치 16회 1991 부다페스트 파일:소련 국기.svg 바실리 예레멘코
17회 1992 헐 파일:소련 국기.svg 드미트리 페트렌코 18회 1993 서울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예브게니 플리우타
19회 1994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바이스 20회 1995 부다페스트 파일:러시아 국기.svg 일리야 쿨릭
21회 1996 브리즈번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야구딘 22회 1997 서울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23회 1998 세인트 존 파일:미국 국기.svg 데릭 델모어 24회 1999 자그레브 파일:러시아 국기.svg 일리야 클림킨
25회 2000 오버스트도르프 파일:독일 국기.svg 슈테판 린데만 26회 2001 소피아 파일:미국 국기.svg 조니 위어
27회 2002 하마르 파일:일본 국기.svg 다카하시 다이스케 28회 2003 오스트라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더 슈빈
29회 2004 헤이그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드레이 그랴제프 30회 2005 키치너 파일:일본 국기.svg 오다 노부나리
31회 2006 류블랴나 파일:일본 국기.svg 코즈카 타카히코 32회 2007 오버스트도르프 파일:미국 국기.svg 스티븐 케리어
33회 2008 소피아 파일:미국 국기.svg 아담 리폰 34회 2009 소피아 파일:미국 국기.svg 아담 리폰
35회 2010 헤이그 파일:일본 국기.svg 하뉴 유즈루 36회 2011 강릉 파일:캐나다 국기.svg 안드레이 로고자인
37회 2012 민스크 파일:중국 국기.svg 옌한 38회 2013 밀라노 파일:미국 국기.svg 조슈아 패리스
39회 2014 소피아 파일:캐나다 국기.svg 남 응우옌 40회 2015 탈린 파일:일본 국기.svg 우노 쇼마
41회 2016 데브레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다니엘 사모힌 42회 2017 타이베이 파일:미국 국기.svg 빈센트 저우
43회 2018 소피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예로호프 44회 2019 자그레브 파일:미국 국기.svg 토모키 히와타시
45회 2020 탈린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드레이 모잘료프 46회 2021 하얼빈 취소 COVID-19
47회 2022 탈린 파일:미국 국기.svg 일리야 말리닌 48회 2023 캘거리 파일:일본 국기.svg 미우라 카오
49회 2024 타이베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민규 50회 2025 데브레첸 파일:국기.svg ? }}}}}}}}}
51회(2026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51회 2026 탈린 파일:국기.svg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52회 ? 파일:국기.svg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bordercolor=#ffffff,#1f202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남자 싱글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야구딘 2002 파일:캐나다 국기.svg 패트릭 챈 2018T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2006 파일:일본 국기.svg 하뉴 유즈루 2020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 라이사첵 2010 파일:미국 국기.svg 네이선 첸 2022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2014T
여자 싱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연아 2010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리나 자기토바 2019
페어
파일:러시아 국기.svg 옐레나 베레즈나야 / 안톤 시하룰리제 2002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야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 2014
파일:캐나다 국기.svg 제이미 살레 / 데이비드 펠레티에 2002 파일:캐나다 국기.svg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2018T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야나 토티먀니나 / 막심 마리닌 2006 파일:독일 국기.svg 알리오나 사브첸코 2018
파일:중국 국기.svg 선쉐 / 자오훙보 2010 파일:중국 국기.svg 쑤이원징 / 한충 2022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야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 2014T
아이스 댄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옥사나 그리슈크 / 예브게니 플라토프 1996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2014
1998 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2016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리나 아니시나 / 그웬달 페이제라 2002 2018T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아나 나브카 / 로만 코스토마로프 2006 파일:프랑스 국기.svg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 2022
기타
괄호 속의 숫자는 커리어 골든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해이다.
알리오나 사브첸코는 로빈 졸코비와 올림픽을 제외한 세계선수권, 유럽선수권,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모두 우승했고,
브루노 마소와는 유럽선수권을 제외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세계선수권,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우승을 했다.
T 표시는 올림픽 단체전으로 금메달을 획득한 경우에 표시한다.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파일:Yagudin.jpg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금메달 획득 당시
이름 알렉세이 콘스탄티노비치 야구딘
Алексей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Ягудин
Alexei Konstantinovich Yagudin
출생 1980년 3월 18일 ([age(1980-03-18)]세)
소련 러시아 SFSR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적
[[러시아|]][[틀:국기|]][[틀:국기|]]
신체 175cm
종목 피겨 스케이팅
가족 아버지 콘스탄틴 야구딘
어머니 조야 야구디나
배우자 타티야나 토티먀니나[1]
장녀 옐리자베타 야구디나([age(2009-11-20)]세)
차녀 미셸 야구디나([age(2015-10-02)]세)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브콘탁테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알렉세이 미쉰 코치 시절
2.1.1. 1993-94 시즌2.1.2. 1994-95 시즌2.1.3. 1995-96 시즌2.1.4. 1996-97 시즌2.1.5. 1997-98 시즌
2.2. 타티야나 타라소바 코치 시절
2.2.1. 1998-99 시즌2.2.2. 1999-00 시즌2.2.3. 2000-01 시즌2.2.4. 2001-02 시즌2.2.5. 2002-03 시즌2.2.6. 2003-04 시즌
2.3. 라이벌 예브게니 플루셴코
3. 프로그램4. 커리어5. 기타

[clearfix]

1. 개요

러시아의 前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2. 선수 경력

2.1. 알렉세이 미쉰 코치 시절

점프 지도의 달인 블레이드도 아주 잘 갈아서 야구딘은 은퇴 후 스케이트 날이 부서질 때까지 미쉰이 갈아준 날을 그대로 사용했다고 한다.

초기에 야구딘을 맡았던 미쉰은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남자 싱글 금메달리스트인 알렉세이 우르마노프대체 러시아에는 알렉세이가 몇 명...를 올림픽에 대비 집중 지도하고 있었기 때문에 야구딘은 그에게서 대체로 그룹 지도 형태의 수업을 받았다.[2] 그러나 1997년 우르마노프가 사타구니 부상 내가 고자라니 으로 시즌을 쉬게 될 무렵 각종 국제대회에서 야구딘이 계속 좋은 성적을 거둔 것을 계기로 미신의 집중지도를 받기 시작하지만 2살 아래의 예브게니 플루셴코가 미쉰의 휘하에서 2살 위의 자신과 경쟁할 만큼 무서운 속도로 성장하면서 다시 코치의 관심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3]

본래 미쉰의 코칭 스타일은 독재자적인 것으로 의상부터 프로그램의 모든 것을 일방적으로 결정하고 선수에게 요구하는 타입이었다.[4] 그런 그의 스타일에 있어서 야구딘의 자존심 강하고 자유분방한 성격보다는 플루셴코의 자존심이 강하지만 고분고분한 성격이 더 마음에 들었던 것은 당연지사였다.

2.1.1. 1993-94 시즌

친선경기에서 8위, 1994 러시아선수권에서 5위에 올랐다. 1994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2.1.2. 1994-95 시즌

프라하 스케이트에서 동메달을 따고 1995 러시아선수권에서 5위를 기록했다.

2.1.3. 1995-96 시즌

1996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 우승하고 1996 러시아선수권에서 4위를 했다. 1996 유럽선수권에도 참가해 6위를 기록했다.

2.1.4. 1996-97 시즌

1996 스케이트 아메리카 동메달, 1996 나치온스 컵 동메달, 1996 컵 오브 러시아에서 은메달을 획득하고 1996-97 챔피언 시리즈 파이널에 진출[5]해 5위를 기록했다. 1997 러시아선수권에서는 동메달을 따며 첫 내셔널 포디움에 들었다.
파일:1997 세계선수권 남자싱글 포디움.jpg
1997 세계선수권
1997 유럽선수권에서 5위, 1997 세계선수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2.1.5. 1997-98 시즌

1997 트로피 랄리크와 1997 컵 오브 러시아에서 모두 우승하며 1997-98 시리즈 파이널에 진출해 4위를 기록했다. 1998 러시아선수권에서는 일리야 쿨릭에 이어 은메달을 땄다.
파일:1998 유럽선수권 남자싱글 포디움.jpg
파일:1998 세계선수권 남자싱글 포디움.jpg
1998 유럽선수권 1998 세계선수권
1998 유럽선수권에서 우승하며 올림픽 대표로 선발되었다. 그러나 첫 올림픽이었던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에서는 감기로 인한 컨디션 난조를 보이며 5위에 머물렀다. 1998 세계선수권에서는 가까스로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훗날 야구딘의 자서전에 의하면, 같은 코치 제자인 예브게니 플루셴코가 미쉰 코치의 총애를 받는 받면 자신이 관심 밖으로 밀려나는 것을 견디지 못한 야구딘은 세계선수권에서 우승했음에도 불구하고 돌아오는 미쉰의 쌀쌀맞은 태도[6]에 그를 떠나기로 결심하고 울면서 새로운 코치인 타티야나 타라소바에게로 떠났다.

2.2. 타티야나 타라소바 코치 시절

타티야나 타라소바는 이미 코칭을 통해 러시아에 8개의 금메달을 안긴 유명 코치였다. 그녀가 야구딘의 코치를 맡을 수 있었던 것은 마침 그녀가 지도하던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의 금메달리스트 일리야 쿨릭이 은퇴를 하면서 여유가 생겼기 때문이었다. 여전히 개구쟁이 성격인 데다 과거 그녀 스스로 '날아다니는 의자(Flying Stool)' 라고 평했을 만큼 점프만 잘했지 예술성은 한참 모자랐던 야구딘을 맡아서 타여사는 미신이 했던 점프 및 기술만을 반복적으로 훈련하는 전통적 러시아식 지도법이 아니라 전반적인 프로그램의 흐름을 훈련하면서 그 안에서 기술을 연습하는 미국식 지도법으로 야구딘에게 피겨 스케이팅에 대한 새로운 안목을 열어줬다. 야구딘이 본격적으로 레전드의 길을 걷기 시작한 것도 타라소바와 함께 1998년 미국으로 떠난 이후부터이다. 야구딘이 피겨계에 가져온 센세이션, 즉 예술성과 프로그램 전체의 완성도를 강조하는 스케이팅 스킬, 그리고 풋워크와 트랜지션 등의 전반적인 스케이팅 스킬이 중요한 평가요소로 자리매김하게 되는 변화는 모두 이 시기 타라소바의 코칭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야구딘의 전성기를 함께 하면서 타라소바와 야구딘은 사제 관계를 넘어 모자지간으로 비유되는 매우 깊은 유대 관계를 맺게 된다.[7]

그러나 타라소바의 코칭이 야구딘에게 이득만 가져온 것은 아니다. 러시아에서 전통적인 러시아식 코칭을 고집하던 미신이 러시아 빙상연맹과 좋은 관계를 유지한 반면 미국에서 미국식 코칭을 하던 타라소바와 연맹은 관계가 좋지 못했다. 그 탓에 야구딘이 미신을 떠나 타라소바와 함께 훈련을 시작한 이후 러시아 빙상연맹은 야구딘에 대한 지원을 끊었다.[8]

2.2.1. 1998-99 시즌

파일:1998 스케이트 아메리카 남자싱글 포디움.jpg
파일:1998-99 그랑프리 파이널 남자싱글 포디움.jpg
1998 스케이트 아메리카 1998-99 그랑프리 파이널
1998 스케이트 아메리카, 1998 슈파카센 컵 온 아이스, 1998 트로피 랄리크에서 모두 우승하며 1998-99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9]해 우승했다.
파일:1999 러시아선수권 남자싱글 포디움.jpg
파일:1999 세계선수권 남자싱글 포디움.jpg
1999 러시아선수권 1999 세계선수권
1999 러시아선수권에서는 예브게니 플루셴코에 밀려 은메달을 획득했다. 하지만 1999 유럽선수권 1999 세계선수권에서는 다시 우승하며 챔피언 타이틀을 탈환했다.

2.2.2. 1999-00 시즌

1999 스케이트 아메리카, 1999 스케이트 캐나다, 1999 트로피 랄리크에서 모두 우승해 파이널 진출[10]할 수 있있지만 무릎 부상으로 인해 기권했다. 2000 러시아선수권과 2000 유럽선수권에서는 예브게니 플루셴코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0 세계선수권에서는 우승하였다.

2.2.3. 2000-01 시즌

파일:2000 스케이트 캐나다 남자싱글 포디움.jpg
파일:2000-01 그랑프리 파이널 남자싱글 포디움.jpg
2000 스케이트 캐나다 2000-01 그랑프리 파이널
2000 스케이트 아메리카 은메달, 2000 스케이트 캐나다 금메달, 2000 트로피 랄리크 금메달을 획득한 후 파이널에 진출했다.[11] 2000-01 그랑프리 파이널을 앞두고 잠시 자리를 비운 타라소바의 '몸을 조심하라' 는 충고를 뒤로 한 채 까불다 테니스를 치다가 공을 밟고 넘어져서 오른쪽 발목에 부상을 입었다. 이 부상으로 인해 파이널, 2001 러시아선수권, 2001 유럽선수권 우승은 전부 플루셴코가 가져갔다.
파일:2001 유럽선수권 남자싱글 포디움.jpg
파일:2001 세계선수권 남자싱글 포디움.jpg
2001 유럽선수권 2001 세계선수권
2001 세계선수권 직전에는 심한 근육손상과 인대염좌로 걷기조차 힘든 상황이 되었다. 코치와 의사 모두가 출전 포기를 권유하는 마당에 ‘타이틀을 거저 내줄 수는 없다’며 출전을 감행, 진통제 3방을 맞고 출전한 첫 날의 쇼트 프로그램조차 제대로 수행할 가능성이 없다고 모두가 의심하는 가운데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쇼트 프로그램인 'The Revolutionary Etude' 에서 쿼드러플 토룹-트리플 토룹 컴비네이션과 트리플 악셀, 트리플 러츠를 모두 성공시키는 것은 물론 넘사벽 수준의 풋워크와 물 흐르듯 끊임 없는 완성도로 전설에 남는 프로그램을 보여준 것이다.

그러나 부상의 탓으로 첫 쿼드러플 컴비네이션의 높이가 낮았던 관계로 플루셴코에 이어서 쇼트 순위 2위를 차지. 1위에 대한 부담을 안고 시작한 프리 프로그램 '글래디에이터' 에서는 진통제 7방을 맞고 감각이 없어진 발을 끌고 나와 겨우겨우 쿼드러플-트리플 토룹 컴비네이션을 랜딩하였으나 이후 한 번의 손 짚음과 한 번의 넘어짐으로 인해 결국 우승을 처음으로 플루셴코에게 내어주게 된다. 연기 도중 이미 패배가 확정되었음을 감지한 이후에도 야구딘은 마지막 스트레이트 라인 스텝 시퀀스를 전율이 흐를 만큼 멋지게 성공시켜 기립박수를 받아내었다.

2.2.4. 2001-02 시즌

사실 야구딘은 2001 세계선수권의 패배 이후로 슬럼프에 빠져서 충동적으로 스케이팅을 그만 둘 생각을 했었으나 타여사의 독려와 정신과 상담에 이르는 초강수 덕택에 부활에 성공한다.
파일:2001 스케이트 캐나다 남자싱글 포디움.jpg
파일:2002 유럽선수권 남자싱글 포디움.jpg
2002 스케이트 캐나다 2002 유럽선수권
새 프로그램인 '윈터' 와 '맨 오브 더 아이언 마스크(이하 아이언 마스크)' 로 2개 그랑프리 시리즈 2001 스케이트 캐나다 2001 트로피 랄리크에서 우승하고 파이널에 진출했다. 2001-02 그랑프리 파이널 2002 유럽선수권에서도 모두 우승했다.

그러나 러시아 연맹과의 관계는 계속 최악이어서[12] 이를 이용하여 서유럽의 모 국가에서 야구딘에게 자국의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은 물론 고위 정치인과 체육계 장관을 파견하여 귀화 출전할 것을 제안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야구딘은 일언지하에 거절했다.
파일: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남자 싱글 포디움.jpg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땄다. 야구딘이 모든 프로그램을 클린한 반면 컨디션이 좋지 않았던 플루셴코가 쇼트에서 넘어지면서 차이가 벌어지기 시작한다. NBC에서 방송된 경기 영상을 보면 쇼트 프로그램인 '윈터' 의 시작 전 링크에 들어서서 마음을 가다듬는 야구딘을 미쉰 코치가 뚫어지게 쳐다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딱히 관심이 있어서 그러는 건 아냐! 아무튼 이때의 프로그램인 '윈터' 와 '아이언 마스크' 는 야구딘을 대표하는 연기가 되었으며 전세계 피겨팬들에게서 가히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윈터에서는 눈 내린 자작나무 숲을 형상화한 의상과 스케이트날로 빙면을 갈아 눈을 만들어 뿌리는 연출, 겨울날의 즐거움과 여러가지 모습들을 표현한 안무, 얼음이 튀어오르는 정열의 토스텝을 선보였다. 아이언 마스크에서는 갇힘과 고난, 극복과 자유를 상징하는 마임 연기에 펜싱 스텝, 4-3-2 컴비네이션 등 완벽한 테크닉으로 대중성과 예술성, 기술성 모두를 전인미답의 경지 너머로 끌어올린 것이다. 특히 야구딘이 훈련을 받던 미국 캐나다 등 북미에서의 인기는 자국 선수들을 능가할 정도였다. 반면 미국에서 훈련받았다는 점에서 얻어진 일종의 배신자 기믹으로 인해 러시아에서의 인기는 플루셴코에 미치지 못했다.
파일:2002 세계선수권 남자싱글 포디움.jpg
2002 세계선수권
게다가 이 프로그램들에 대한 어느 섬나라의 반응은 절대적이어서 올림픽이 끝나고 2002 세계선수권에서 야구딘은 프리 프로그램이 끝나고 산더미 같은 꽃의 세례를 받았다. 그리고 어느 코 큰 키 작은 놈들이 애들을 맡기기 시작했다.[13]

2.2.5. 2002-03 시즌

2003년, 만 23세의 한창의 나이로 갑작스럽게 은퇴를 하게 된 배경에는 고관절 부상 문제가 있었다. 선천적으로 고관절이 좋지 못했던 데다가 수 년간 4회전 점프와 트리플 악셀의 충격을 고스란히 받아온 고관절이 완전히 망가져서 더 이상 국제대회 출전은 불가능하다는 판정을 받은 것이다.[14] 2002 스케이트 아메리카 쇼트 프로그램에서 선두를 달렸지만 결국 고관절 문제로 프리 스케이팅을 기권했다. 대회들을 모두 스킵하고 치료에 전념했지만 끝내 회복되지 않았다.

2.2.6. 2003-04 시즌

2003 스케이트 캐나다에 초대되었을 때 아마추어 경기에서의 은퇴를 발표했다. 은퇴식에서의 'Memorial' 과 함께 스케이트 아메리카 쇼트 프로그램에서 최고가 된 연기 '레이싱'이 공식 아마추어 경기에서 그의 마지막 연기가 되었다.

갑작스럽게 은퇴를 선언하게 된 야구딘은 프로 전향 이후 현역 생활에 대한 갈증으로 인해 인공 고관절 교체수술을 감행하며, 티타늄제 고관절을 심고 터미네이터가 되어 돌아왔다. 하지만 아쉽게도 전과 같은 점프는 무리라서 현역 복귀에는 실패하였다. 이후 부동산 사업을 경영하여 성공을 거두는 한편, 각종 아이스쇼에 꾸준히 참가하여 좋은 프로그램을 보여주었다. 부상 때문에 그의 시니어 국제대회 출전 기록은 5시즌에 걸친 짧은 것이 되고 말았다.

2.3. 라이벌 예브게니 플루셴코

야구딘은 같은 러시아 출신의 '황제' 라 불리는 예브게니 플루셴코와 전성기 내내 라이벌 관계로 유명했다. 전성기 동안 플루셴코와 계속 불꽃 튀는 라이벌리를 이루는 가운데에서도 야구딘이 시니어로 활동하기 시작한 바로 다음 시즌인 1997-98 시즌부터 은퇴 직전의 2001-02 시즌까지의 다섯 시즌 가운데 야구딘이 발목 부상으로 인해서 고전했던 2000-01 시즌을 제외하고 세계선수권 우승은 모두 야구딘의 것이었으며 올림픽 금메달 또한 그의 것이었다. 아무튼 야구딘과 플루셴코는 금메달=승리, 은메달=패배가 되는 그들만의 리그를 형성하였고, 이 두 사람이 경쟁하던 다섯 시즌 동안 둘이 참가한 모든 경기의 우승과 준우승을 둘이서 나눠먹었다.[15]

그러나 워낙 서로 스타일이 달랐던 데다가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 그리고 2010년에 다시 복귀해서 은메달을 따는 등 플루셴코가 보여준 긴 커리어와 독보적 위치를 고려한다면 여러 모로 난형난제이다. 이 두 사람이 경쟁하는 동안 쿼드러플 점프를 아무렇지도 않은 듯 팡팡 뛰어댄 탓에 팬들의 기술적 눈높이가 하늘을 뚫을 기세로 수직상승하였고 이들을 본 피겨 팬들은 남자 싱글이라면 쿼드러플 점프는 당연히 뛰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된 탓에 이후의 남자 스케이터들을 도탄에 빠뜨렸다.

미신 아래에서 동문수학하던 시절부터 야구딘과 플루셴코는 서로의 실력을 인정하고 의식하는 라이벌이였지만, 관계는 좋지 않았다. 둘 다 은퇴한 이후로도 사이는 여전히 좋지 않다. 이들의 일부 극렬한 팬들 사이에서는 상대방을 깎아내리기에 여념이 없는 모습을 보였으나 라이벌 관계가 성립된 가운데 상대방을 깎아내려봤자 제 얼굴에 침 뱉기. 따라서 두 선수의 팬들 또한 상대방 선수를 인정한다. 그런 면에서 보아도 진정한 라이벌이다.

3. 프로그램

<colcolor=#fff><rowcolor=#fff> 시즌 쇼트(SP) 프리(FS) 갈라(EX)
<colbgcolor=#000000> 2002-2003 Racing
by Safri Duo
The Man in the Iron Mask
by Nick Glennie-Smith
Born to Be Wild
by Steppenwolf
Memorial
by Michael Nyman
2001-2002 Winter
by Bond
Overcome
(From Ancient Lands)
by Ronan Hardiman
The Man in the Iron Mask
by Nick Glennie-Smith
2000-2001 The Revolutionary Etude
by 프레데리크 쇼팽
글래디에이터
by 한스 짐머
글래디에이터
by 한스 짐머
Stand by Me
by Ben E. King
My Baby You
by Marc Anthony
We Are the Champions
by
1999-2000 Nutrocker
by Emerson, Lake & Palmer
Broken Arrow
by 한스 짐머
Come Fly with Me
by 배리 매닐로
토스카
by 자코모 푸치니
September Morn
by 닐 다이아몬드
1998-1999 Circus
(From The Revisionist's Tale)
by Alfred Schnittke
Lawrence of Arabia
by Maurice Jarre
Here Comes the Big Parade
by Harry Connick Jr.
The Prince of Rose
1997-1998 Ziganotchka Troika, or Snowstorm
by Georgy Sviridov
Play it Again Sachmo
by 루이 암스트롱
Mack the Knife
(From The Threepenny Opera)
by Kurt Weill
1996-1997 루슬란과 류드밀라
by 미하일 글린카
카르멘
by 조르주 비제
One Banana
1995-1996 The Nutcracker
by 표트르 차이콥스키
Gaîté Parisienne
by Jacques Offenbach
-
1994-1995 Toccata and Fugue in D minor
by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Hussar Medley
1993-1994 - 아랑훼즈
by Joaquín Rodrigo

4. 커리어

올림픽
금메달 2002 솔트레이크시티 남자 싱글
세계선수권
금메달 1998 미니애폴리스 남자 싱글
금메달 1999 헬싱키 남자 싱글
금메달 2000 니스 남자 싱글
금메달 2002 나가노 남자 싱글
은메달 2001 밴쿠버 남자 싱글
동메달 1997 로잔 남자 싱글
유럽선수권
금메달 1998 밀라노 남자 싱글
금메달 1999 프라하 남자 싱글
금메달 2002 로잔 남자 싱글
은메달 2001 브라티슬라바 남자 싱글
그랑프리 파이널
금메달 1998-99 상트페레르부르크 남자 싱글
금메달 2001-02 키치너 남자 싱글
은메달 2000-01 도쿄 남자 싱글
주니어 세계선수권
금메달 1996 브리즈번 남자 싱글

국제대회:시니어
대회 93–94 94–95 95–96 96–97 97–98 98–99 99–00 00–01 01–02 02–03
올림픽 5th 1st
세계선수권 3rd 1st 1st 1st 2nd 1st
유럽선수권 6th 5th 1st 1st 2nd 2nd 1st
GP 파이널 5th 4th 1st 2nd 1st
GP 스케이트 캐나다 1st 1st 1st
GP 트로피 랄리크 1st 1st 1st 1st 1st
GP 컵 오브 러시아 2nd 1st
GP 보프로스트 컵 온 아이스 3rd 1st
GP 스케이트 아메리카 3rd 1st 1st 2nd WD
프라하 스케이트 3rd
친선경기 8th 3rd
국제대회:주니어, 노비스
주니어 세계선수권 4th 1st
국내대회
러시아선수권 5th 5th 4th 3rd 2nd 2nd 2nd 2nd
GP=그랑프리 시리즈, WD=기권

5. 기타

  • 대조국공훈훈장 4급 수훈자
  • 별명은 료샤, 멸구딘, 야교주, 야신, 알료샤다. 이중 료샤와 알료샤는 알렉세이의 러시아식 애칭에서 비롯되었다.
  • 어린 시절 너무나 몸이 약했고 때문에 건강을 위해 어머니의 손에 이끌려 4살부터 스케이트를 시작했다. 이후 부모의 이혼으로 홀어머니 밑에서, 외가에서 성장하게 된다.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로봇공학자인 어머니의 가르침 덕분에 학업 성적이 우수했다.[16] 게다가 어린 시절 시력이 나빠서 의사에게 '정상적 시력은 불가능하다' 는 진단을 받았으나 어머니의 헌신적 노력으로 좋은 시력을 갖게 되었다.
    파일:/pds/201003/03/48/c0035748_4b8d7b72b25b4.jpg
  • 어린 시절 학교 복도에서 소란을 피우는 전형적인 개구쟁이로 자존심이 강했다. 또한 승부욕이 대단해서 달리기 시합에서 언제나 1등을 했다는 얘기가 있다. 첫 코치는 알렉산드르 마이오로프로 점프, 스핀과 같은 피겨 스케이팅의 거의 모든 요소를 그에게서 습득하였으나 이후 공산주의 체제가 붕괴함[17]에 따라 정부로부터 급료를 받을 수 없게 된 마이오로프는 스웨덴으로 이주하면서 야구딘에게 자신의 스승인 알렉세이 미쉰을 소개시켜준다. 이때부터 선수로서의 야구딘에 대한 미쉰의 츤데레 및 애증관계가 시작되었다.
  • 어린 시절 좋아하는 스케이터로 브라이언 오서, 엘비스 스토이코, 커트 브라우닝이라고 언급했다. 야구딘은 오서와 브라우닝에게서 예술성과 풋워크를, 스토이코에게서 힘을 강점으로 꼽았다. 훗날 야구딘은 이 모든 것을 갖게 되었다. 야구딘 스스로는 스케이팅 스킬을 더욱 연마해야 한다고 밝혔는데 야구딘이 스케이팅 스킬을 갈고 닦아야 한다고 말할 정도면 어느 정도인지..
  •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한 인터뷰에서 여자 싱글 부문의 우승 후보로 김연아를 지목하였다. 다른 부문에 대한 예상이 모두 빗나가서 야 펠레가 될 뻔했는데 다행히 이건 맞았다. 아무튼 김연아에 대한 우수한 평가로 인해 김연아 팬들에게서 이모저모 호감도 수직상승 중이다. 하지만 팔이 안으로 굽는 건 피할 수 없었는지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이후 소트니코바를 옹호하면서[18] 호감도를 깎아먹기도 했다
  • 역대 남자 피겨선수 중에서도 미남 피겨선수를 꼽을때 잘 등장한다.
  • 2006년 현대카드 슈퍼매치 때 김연아가 팬이 선물로 보낸 멸치 상자를 출연자 대기실에 놔두고 인터뷰를 하러 나갔는데 이런 사정을 몰랐던 야구딘은 멸치가 요기잉눼? 이 상자를 열어 다른 선수들과 나눠먹었다. 후에 이 사건이 알려지면서 '야구딘 멸치 사건' 이라 불렸다.
  • 프로그램 수행 도중 점프 랜딩 실수로 발생한 스텝아웃을 교묘하게 하프룹인 척 속이면서 시퀀스 연결 점프를 붙여 랜딩에 성공한다거나 안무 도중 꽈당 넘어져놓고서는 마치 안무의 부분인 척 능청스레 넘어간다거나 하는 걸 보면 잔머리가 비상함에 분명하다.
  • 러시아에서는 '나프롤롬', 일본에서는 'Overcome' 이라는 제목으로 자서전을 출간한 바가 있다.
    파일:external/cfs11.blog.daum.net/48c1f5260c2b2&filename=%EC%98%A4%EB%B2%84%EC%BB%B4%EB%9F%AC%EC%8B%9C%EC%95%84%ED%8C%90.jpg
  • 2008년 6월 2일, 야구딘의 포르쉐가 도난당했다. 그의 세계선수권 메달 중 하나도 차와 함께 도난당해서 현재까지 행방불명이라고 한다.
  • 2018년 7월 19일 2014 소치 동계올림픽 남자 피겨 동메달리스트이자 카자흐스탄의 피겨 선수 데니스 텐이 괴한의 습격을 받고 피살되자 피겨계 관련 인사들 중 누구보다도 분개하고 슬퍼하는 모습을 보였다. 단순히 자신의 SNS에 추모 인사를 올린 이들과 달리 야구딘은 아예 크게 울먹이는 목소리로 데니스 텐에 대한 추모 메세지를 길게 동영상으로 남기는가 하면, 자신이 진행하던 TV 프로그램이나 아이스 쇼 등에도 지속적으로 텐에 대해 추모해달라고 팬들에게 메세지를 남겼다. 야구딘과 텐 둘다 타라소바 휘하의 있던 제자들이다보니 텐 생전에 야구딘과 친밀한 사이였던 듯하다.
  • 예브게니 플루셴코와 다르게 자신의 자녀들에게는 "공부의 경우 잘하면 할 수 있는 직업의 선택군이 많은 반면, 피겨 스케이팅은 세계에서 1위를 하지 않는 이상 감당해야 할 리스크가 많기 때문에 피겨 스케이팅은 시키지 않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반면 예브게니 플루셴코는 자신의 어린 아들 사샤를 자신처럼 똑같이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키우기 위해 자신이 직접 설립한 피겨 학교에서 훈련을 시키는가 하면, 외국에서 열리는 아이스 쇼에 종종 자신의 아들을 데려가서 다른 선수들과 대면시키는 경우가 잦다.
  • 자신의 인스타그램으로 아담 리폰을 보고 지구의 실수라고 저격하는 스토리를 올려 팬들에게 가루가 되도록 까였다.[19]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아이스 댄스 금메달리스트인 기욤 시제롱도 동성애자인 사실을 저격하면서 이를 비판하는 인스타그램 게시물을 올리기도 했다.
  • 2010년대 후반 들어서 피겨 스케이팅 해설가로 활동하고 있는 중인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러시아 채널1 피겨 스케이팅 해설가 자격으로 중국 베이징을 방문했다.[20] 같이 아이스 쇼 진행자로 활동했던 알리나 자기토바도 야구딘처럼 똑같이 러시아 채널1 동계올림픽 해설가 자격으로 베이징으로 출국했다.

[1] 전직 페어 선수다. # [2] 마이오로프가 미쉰에게 야구딘을 맡긴 것은 스케이터로서의 뛰어난 자질을 보이던 야구딘에 대한 개인 지도가 필요했기 때문인데 막상 돌아온 것은 학원 수업이다. 참고로 트리플 악셀은 이 시기에 습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플루셴코가 미쉰의 코치를 받던 어린 시절 선배 스케이터들로부터 괴롭힘을 당했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야구딘도 그 선배 중 한 명이었다. [4] 그럼에도 불구하고 점프에 있어서 지도 능력만큼은 탁월하다. 점프로서 역대 최강이라고 할 수 있는 야구딘과 플루셴코 모두 그의 휘하에서 고난이도 점프를 습득했다. 참고로 점프의 안정성에 대한 그의 '필요할 때 한 번의 점프를 정확하게 하는' 이라고 하는 미쉰에게 받은 모토는 전성기 내내 야구딘이 몸으로 보여주었다. [5] 당시에는 그랑프리 시리즈를 세번까지 출전할 수 있었고, 이 경우엔 상위 두 대회의 성적으로 파이널 진출 여부를 가렸다. [6] 이때 미쉰은 플루셴코가 우승하기를 원하고 있었다! [7] 야구딘에 따르면 타라소바 코치는 그에게 어미새 같았다. 그리고 자유분방한 성격 자체는 어쩔 수 없었겠지만 그래도 야구딘은 타라소바의 말을 잘 따랐다. 어느 정도냐면 타라소바의 언니가 죽었을 때 장례식에 온 제자는 야구딘이 유일했다고 한다. [8] 미신 밑에 있던 17세까지는 타라소바 휘하에 있던 3살 위의 일리야 쿨릭을 이기지 못했는데 실력면에서 볼 때 이는 전성기의 쿨릭이 시니어에 들어서서 점프가 완성되어버린 반면 어린 야구딘은 점프가 불안정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9] 당시에는 그랑프리 시리즈를 세번까지 출전할 수 있었고, 이 경우엔 상위 두 대회의 성적으로 파이널 진출 여부를 가렸다. [10] 당시에는 그랑프리 시리즈를 세번까지 출전할 수 있었고, 이 경우엔 상위 두 대회의 성적으로 파이널 진출 여부를 가렸다. [11] 당시에는 그랑프리 시리즈를 세번까지 출전할 수 있었고, 이 경우엔 상위 두 대회의 성적으로 파이널 진출 여부를 가렸다. [12] 야구딘이 타국 심판에게 들은 거에 의하면 야구딘이 유럽선수권에서 우승하자 러시아 연맹 사람들이 실망스럽다는 이야기를 했다고 한다. 연맹의 특기는 팀킬? [13] 일본 빙상연맹이 옆집 애를 위시한 주요 선수들의 코치로 당시 야구딘의 제 1코치인 타라소바와 제 2코치인 알렉세이 모로조프를 전격 발탁, 러시아 배우기에 나선 것도 이때의 야구딘 빠순질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14] 치료 약물계의 최종장이라 할 수 있는 코티졸=부신피질호르몬 주사가 전혀 듣지 않는 상태에 이르렀다. 평소에 트리플 악셀과 4-3-2 컴비네이션 같은 슈퍼 테크닉을 구사하는 주제에 쿼드 악셀, 4-3-3 따위의 인간학대적 기술들을 연습하고 있었다. [15] 야구딘의 주장에 따라 미신 파벌에 대한 러시아 연맹의 편파판정이었다는 러시아선수권을 제외하고 플루셴코의 15살 때의 승부를 포함하여 국제대회인 유럽선수권, 세계선수권, 동계올림픽에서의 전적을 비교하면 8승 3패로 야구딘이 우위에 있다. [16] 어머니가 교육에 힘쓴 까닭은 부상으로 인해 스케이터의 생명이 끝날 경우를 대비해서였다고 한다. [17] 이 시기 이후 러시아의 스포츠 국가지원 시스템이 붕괴되면서 피겨 스케이팅은 더 이상 모두가 저렴하게 배울 수 있는 운동이 아니게 되었다. 야구딘-플루셴코 이후 러시아에서 이렇다 할 월드 클래스의 남자 싱글 선수가 등장하지 못하는 까닭은 이와 같은 저변축소에 있다. [18] 같은 러시아 출신이란 점도 작용했겠지만 무엇보다 야구딘과 소트니코바 둘다 타티야나 타라소바 휘하에서 피겨를 배운 사이이다보니 팔이 더 안으로 굽어버린 듯 하다. 반면 라이벌이었던 예브게니 플루셴코는 트위터로 자국인 러시아가 금메달을 받아서 기쁘다라는 지극히 원론적인 축하메세지만 남기기만 하였고, 오히려 은, 동메달리스트인 김연아 카롤리나 코스트너에게도 축하 메세지를 남겨주기까지 했다. [19] 야구딘의 본국인 러시아 자체가 동성애자를 길거리에서 대놓고 린치하는게 사회적으로 용인이 될 정도로 굉장히 동성애에 부정적이고 호모포비아 성향이 심한 나라이다. 그냥 러시아인 러시아인했다고 생각하는 게 편하다. [20]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때는 타티야나 타라소바가 내한하여 해설을 했는데 이번에는 고령인 관계로 불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