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4 07:51:28

조슈아 패리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주니어 세계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회(1976년) ~ 50회(2025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회 1976 므제브 파일:미국 국기.svg 마크 코커렐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회 1977 므제브 파일:캐나다 국기.svg 다니엘 버랜드
3회 1978 므제브 파일:캐나다 국기.svg 데니스 코이 4회 1979 아우크스부르크 파일:소련 국기.svg 비탈리 이고로프
5회 1980 므제브 파일:소련 국기.svg 알렉산더 파디프 6회 1981 런던 파일:미국 국기.svg 폴 와일리
7회 1982 오버스트도르프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윌리엄스 8회 1983 사라예보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토퍼 보먼
9회 1984 삿포로 파일:소련 국기.svg 빅토르 페트렌코 10회 1985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미국 국기.svg 에릭 러슨
11회 1986 사라예보 파일:소련 국기.svg 블라디미르 페트렌코 12회 1987 키치너 파일:미국 국기.svg 러디 갈린도
13회 1988 브리즈번 파일:미국 국기.svg 토드 엘드레지 14회 1989 사라예보 파일:소련 국기.svg 뱌체슬라프 자고로드뉵
15회 1990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소련 국기.svg 이고르 파슈케비치 16회 1991 부다페스트 파일:소련 국기.svg 바실리 예레멘코
17회 1992 헐 파일:소련 국기.svg 드미트리 페트렌코 18회 1993 서울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예브게니 플리우타
19회 1994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바이스 20회 1995 부다페스트 파일:러시아 국기.svg 일리야 쿨릭
21회 1996 브리즈번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야구딘 22회 1997 서울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23회 1998 세인트 존 파일:미국 국기.svg 데릭 델모어 24회 1999 자그레브 파일:러시아 국기.svg 일리야 클림킨
25회 2000 오버스트도르프 파일:독일 국기.svg 슈테판 린데만 26회 2001 소피아 파일:미국 국기.svg 조니 위어
27회 2002 하마르 파일:일본 국기.svg 다카하시 다이스케 28회 2003 오스트라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더 슈빈
29회 2004 헤이그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드레이 그랴제프 30회 2005 키치너 파일:일본 국기.svg 오다 노부나리
31회 2006 류블랴나 파일:일본 국기.svg 코즈카 타카히코 32회 2007 오버스트도르프 파일:미국 국기.svg 스티븐 케리어
33회 2008 소피아 파일:미국 국기.svg 아담 리폰 34회 2009 소피아 파일:미국 국기.svg 아담 리폰
35회 2010 헤이그 파일:일본 국기.svg 하뉴 유즈루 36회 2011 강릉 파일:캐나다 국기.svg 안드레이 로고자인
37회 2012 민스크 파일:중국 국기.svg 옌한 38회 2013 밀라노 파일:미국 국기.svg 조슈아 패리스
39회 2014 소피아 파일:캐나다 국기.svg 남 응우옌 40회 2015 탈린 파일:일본 국기.svg 우노 쇼마
41회 2016 데브레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다니엘 사모힌 42회 2017 타이베이 파일:미국 국기.svg 빈센트 저우
43회 2018 소피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예로호프 44회 2019 자그레브 파일:미국 국기.svg 토모키 히와타시
45회 2020 탈린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드레이 모잘료프 46회 2021 하얼빈 취소 COVID-19
47회 2022 탈린 파일:미국 국기.svg 일리야 말리닌 48회 2023 캘거리 파일:일본 국기.svg 미우라 카오
49회 2024 타이베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민규 50회 2025 데브레첸 파일:국기.svg ? }}}}}}}}}
51회(2026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51회 2026 탈린 파일:국기.svg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52회 ? 파일:국기.svg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colbgcolor=#99a1ae><colcolor=#ffffff>
파일:조슈아 패리스.jpg
이름 조슈아 패리스(Joshua Farris)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출생 1995년 1월 6일 ([age(1995-01-06)]세)
워싱턴 주 렌튼
신체 179cm
종목 피겨 스케이팅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소개2. 선수 경력
2.1. 2009-10 시즌2.2. 2010-11 시즌2.3. 2011-12 시즌2.4. 2012-13 시즌2.5. 2013-14 시즌2.6. 2014-15 시즌2.7. 2015-16 시즌2.8. 2016~18 시즌
3. ISU 공인 최고점수4. 커리어

[clearfix]

1. 소개

미국의 前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2. 선수 경력

2.1. 2009-10 시즌

2009 JGP 미국에서 4위를 하며 주니어 그랑프리 데뷔를 했다. 이어진 2009 JGP 튀르키예에서도 5위를 했다. 2010 전미 주니어선수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2.2. 2010-11 시즌

2010 JGP 루마니아에서 은메달, 2010 JGP 영국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2010-11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해 6위를 기록했다.

2011 전미선수권 프리 경기 전날, 패리스는 유제품 알레르기로 인해 레스토랑에 가서 과민성 쇼크를 겪었다. 이로 인해 응급실에 급하게 실려가 오전 3시까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프리 경기에 참가하기로 결정, 3번을 넘어지며 종합 21위를 차지했다. 나중에 그가 두 번째 트리플 악셀 시도를 하다가 넘어졌을 때, 섬유질을 부수고 힘줄을 삐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대회가 끝나고 패리스는 이미 크리스티 크롤과 데이먼 앨런으로 코치를 바꾸었다.

2.3. 2011-12 시즌

파일:2011 JGP 폴란드 남자 싱글 포디움.jpg 파일:우노 쇼마1.jpg
2011 JGP 폴란드 2011 JGP 에스토니아
2011 JGP 폴란드 2011 JGP 에스토니아에서 모두 우승하며 2011-12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했다.
파일:2011-12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남자싱글 포디움.jpg 파일:2012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남자싱글 포디움.jpg
2011-12 JGP 파이널 2012 주니어 세계선수권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2 전미선수권에서 16위, 2012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4. 2012-13 시즌

파일:2012 JGP 미국 남자싱글 포디움.jpg 파일:2012-13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남자싱글 포디움.jpg
2012 JGP 미국 2012-13 JGP 파이널
2012 JGP 미국 2012 JGP 슬로베니아에서 모두 우승하며 2012-13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파일:2013 전미선수권 남자싱글 포디움.jpg 파일:2013 주니어 세계선수권 남자싱글 포디움.jpg
2013 전미선수권 2013 주니어 세계선수권
2013 전미선수권에서는 4위로 백랍메달을 획득하고 2013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우승했다.

2.5. 2013-14 시즌

U.S. 인터내셔널 클래식에서 동메달을 따고 2013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5위에 올랐다. 2013 로스텔레콤 컵은 기권했다.
파일:2014 전미선수권 남자싱글 포디움.jpg
2014 전미선수권
2014 전미선수권에서 백랍메달을 획득했다. 2014 사대륙선수권에서 6위를 기록했다.

2.6. 2014-15 시즌

오른쪽 발목 부상 때문에 2014 컵 오브 차이나를 기권하고 2014 NHK 트로피에서 11위를 기록했다.
파일:2015 전미선수권 남자싱글 포디움.jpg 파일:2015 사대륙선수권 남자싱글 포디움.jpg
2015 전미선수권 2015 사대륙선수권
2015 전미선수권에서 동메달, 2015 사대륙선수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5 세계선수권에서는 11위를 기록했다.

2.7. 2015-16 시즌

2015 스케이트 캐나다 2015 NHK 트로피에 배정을 받았지만 3주 만에 3번이나 뇌진탕에 걸렸다. 첫 번째는 7월 쿼드러플 토룹 점프를 연습하다 넘어졌을 때 발생했다. 스캔한 결과 아무 것도 발견되지 않아 훈련을 다시 시작했지만, 두 번째 뇌진탕에 걸렸고, 곧이어 차에 머리를 부딪쳐 치면서 세번째 뇌진탕에 걸렸다. 결국 모든 대회들을 기권하고 치료에 전념했다.

2.8. 2016~18 시즌

뇌진탕과 우울증 후유증에 시달리다가 2016년 7월 1일 은퇴를 선언했다. 2016년 11월 초반 훈련을 재개했고, 2017년 2월, 2017-18 시즌에 대회 복귀를 희망한다고 발표했다. 그는 콜로라도 주 콜로라도 스프링스의 브로드무어 월드 아레나에서 크리스티 크롤과 데이먼 앨런의 지도를 받으며 훈련을 했다. 그러나 뇌손상으로 인한 부작용은 가시지 않았고, 다시 훈련을 중단해야 했다. 결국 복귀하지 못하고 은퇴하였다.

3. ISU 공인 최고점수

<colbgcolor=#99a1ae><colcolor=#ffffff> ISU 공인 최고점수
쇼트 84.29( 2015 사대륙선수권)
프리 175.72( 2015 사대륙선수권)
총점 260.01( 2015 사대륙선수권)

4. 커리어

사대륙선수권
은메달 2015 서울 남자 싱글
주니어 세계선수권
금메달 2013 밀라노 남자 싱글
은메달 2012 민스크 남자 싱글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은메달 2012-13 소치 남자 싱글
동메달 2011-12 퀘벡 남자 싱글

국제대회:시니어
대회 04–05 05–06 06–07 07–08 08–09 09–10 10–11 11–12 12–13 13–14 14–15 15–16 17–18
세계선수권 11th
사대륙선수권 6th 2nd
GP NHK 트로피 11th WD WD
GP 컵 오브 차이나 WD
GP 로스텔레콤 컵 WD
GP 스케이트 캐나다 5th WD
U.S. 인터내셔널 클래식 3rd
국제대회:주니어
주니어 세계선수권 2nd 1st
JGP 파이널 6th 3rd 2nd
JGP 슬로베니아 1st
JGP 에스토니아 1st
JGP 폴란드 1st
JGP 영국 1st
JGP 루마니아 2nd
JGP 튀르키예 5th
JGP 미국 4th
챌린지 컵 2nd J
국내대회
전미선수권 1st V 9th I 1st I 1st N 2nd J 21st 16th 4th 4th 3rd WD
중서부 지역예선 1st N 3rd J
남서부 지부예선 1st I 1st N
북부 태평양 지부예선 3rd V 1st V 1st I
GP=그랑프리 시리즈, JGP=주니어 그랑프리, J=주니어, N=노비스,
I=인터메디에이트, V=쥬브나일, WD=기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