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min-height: 34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태조 | 정종 | 태종 | 세종 |
2
신덕왕후
|
1
정안왕후
|
1
원경왕후
|
1
소헌왕후
|
|
단종 | 세조 | 예종 | 성종 | |
1
[ruby(정순왕후, ruby=定順王后)]
|
1
정희왕후
|
2
안순왕후
|
1
공혜왕후폐
폐비 윤씨2
정현왕후
|
|
연산군 | 중종 | 인종 | 명종 | |
폐
거창군부인
|
1
단경왕후2
장경왕후3
문정왕후
|
1
인성왕후
|
1
인순왕후
|
|
선조 | 광해군 | 인조 | 효종 | |
1
의인왕후2
인목왕후
|
폐
문성군부인
|
1
인열왕후2
장렬왕후
|
1
인선왕후
|
|
현종 | 숙종 | 경종 | 영조 | |
1
[ruby(명성왕후, ruby=明聖王后)]
|
1
인경왕후2
인현왕후폐
폐비 장씨3
인원왕후
|
2
선의왕후
|
1
정성왕후2
[ruby(정순왕후, ruby=貞純王后)]
|
|
정조 | 순조 | 헌종 | 철종 | |
1
효의왕후
|
1
순원왕후
|
1
효현왕후2
효정왕후
|
1
철인왕후
|
|
고종 | 순종 | |||
1
[ruby(명성태황후, ruby=明成太皇后)]
|
2
순정효황후
|
|||
}}}}}}}}} |
안순왕후 관련 틀
|
|||||||||||||||||||||||||||||||||||||||||||||||||||||||||||||||||||||||||||||||||||
|
<colbgcolor=#bf1400><colcolor=#ffd400> 조선 예종의 계비
안순왕후 | 安順王后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존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조선 성종조 왕대비
인혜왕대비 | 仁惠王大妃 |
||
조선 연산군조 대왕대비
인혜대왕대비 | 仁惠大王大妃 |
}}}}}}}}} | ||
|
|||
창릉 안순왕후 능침 | |||
출생 | 1445년 4월 27일( 음력 3월 12일) | ||
조선
한성부
한백륜 사저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
|||
사망 |
1499년
2월 12일(
음력
12월 23일) (향년 53세) |
||
조선
한성부
경복궁
자경전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
|||
능묘 | 창릉(昌陵) | ||
재위기간 | 조선 소훈 | ||
1463년 8월 29일 ~ 1468년 10월 2일 | |||
조선 왕비 | |||
1468년 10월 2일 ~ 1470년 1월 10일 | |||
조선 왕대비 | |||
1470년 1월 10일 ~ 1495년 2월 3일 | |||
조선 대왕대비 | |||
1495년 2월 3일 ~ 1499년 2월 12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bf1400><colcolor=#ffd400> 본관 | 청주 한씨 | |
부모 |
부친 청천부원군
한백륜 (淸川府院君 韓伯倫, 1427 ~ 1474) 모친 서하부부인 풍천 임씨 (西河府夫人 豊川 任氏, ? ~ 1472) |
||
형제자매 | 4남 6녀 중 장녀 | ||
배우자 | 예종 (1470년 사망) | ||
자녀 | |||
봉작 |
소훈(昭訓) → 왕비(王妃) → 인혜왕대비(仁惠王大妃) → 인혜대왕대비(仁惠大王大妃) |
||
전호 | 영소전(永昭殿) | ||
존호 | 인혜명의(仁惠明懿) | ||
휘호 | 소휘제숙(昭徽齊淑) | ||
시호 | 안순왕후(安順王后) |
[clearfix]
1. 개요
조선 제8대 국왕 예종의 계비(繼妃). 세조와 정희왕후의 2번째 작은며느리[1]로 제안대군과 현숙공주의 어머니이다.2. 생애
1463년(세조 9년), 당시 왕세자였던 예종의 후궁인 종5품 소훈으로 간택된다. 하지만 이미 이 때는 세자빈이 죽은 이후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세자빈의 예우를 받았으며 1468년(세조 14년)에 세조 뒤를 이어서 예종이 즉위하자 세조의 지명 아래 왕비로 책봉되었다.문제는 예종이 즉위한 지 1년 3개월 만에 사망한 것이었다. 아들이 있었지만 나이(4~5세)가 어리다는 이유를 들어 권신 한명회와 시어머니인 대왕대비 정희왕후의 결정으로 자을산군이었던 성종이 다음 왕위를 잇는다. 과거 인수대비의 아들인 월산대군의 세자 자리가 자기 남편에게 돌아갔던 것처럼 자기 아들인 제안대군의 세자 자리가 다시 인수대비의 아들에게 돌아가는 데자뷔를 겪게 된다.
게다가 세조의 맏며느리에 성종의 친어머니인 인수대비에게 평생을 치여서 살게 되는데 사가의 법도대로 인수대비가 안순왕후보다 첫째 서열이라고 대왕대비 정희왕후가 공언하였기 때문이다. 조카손자인 연산군이 즉위하고 나서는 대왕대비가 되었는데 이 때도 인수대왕대비가 계속 생존해 있었고 심지어 인수대왕대비보다 먼저 승하해서 생의 말년까지 별다른 힘을 가진 적이 없다.[2] 사망 1-2년 전부터 땀을 심하게 흘리는 증세를 보이는 등 건강이 좋지 않았으며, 지병이었던 당뇨병과 갑상선 질환으로 인하여 1499년(연산군 4년), 55세의 나이로 경복궁에서 세상을 떠난다. 그나마 나중에 한참 후 인수대비가 승하하고 인수대비에게 원한이 있던 연산군이 인수대비의 장례 절차를 안순왕후 때보다도 간소화하는 식으로 해서 장례는 인수대비보다 후하게 더 받긴 했다.
3. 가계
- 친정( 청주 한씨)
- 배우자 / 자녀
- 남편 : 예종(睿宗)
4. 여담
- 아들 제안대군 때문에 며느리를 2번이나 내쫓았다. 1번째 며느리 김씨는 간질을 앓아 제안대군이 싫어하고 손자를 보기도 어렵겠다는 생각에 내쫓았다. 2번째 며느리 박씨 역시 제안대군과 사이가 좋지 않던 와중에 전 부인과 재결합하고 싶어하던 제안대군이 자작극[6]까지 벌이자 결국 자신에게 불손하다는 핑계로 쫓아내게 된다.[7] 이렇게까지 했는데도 제안대군은 끝내 자식을 보지 못하면서 결국 예종계의 혈통은 여기서 끊기게 된다.
- 슬하에 2남 2녀를 낳았지만 왕자 1명과 혜순공주는 일찍 요절했고 남은 1남 1녀인 제안대군이나 현숙공주는 배우자와 관계가 좋지 않아서 둘 다 끝내 자식을 낳지 못하는 바람에 안순왕후는 평생 손주를 보지 못한다.
-
여걸이었던 시어머니
정희왕후와 손윗 동서
소혜왕후에 비하여 조용하고 유순한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성종 대 왕실 어른들 중에선 가장 존재감이 덜한 편이나, 자식 문제를 제외하면 아무런 논란이 없었고 왕족들과도 별 탈 없이 좋은 관계를 유지하였다는 점에서 조용하게 처신을 잘 하여 비교적 무탈한 궁 생활을 보낸 편이다. 아들
제안대군 또한
한때는 속을 썩이긴 했지만오랜 세월을 과부로 살았던 모후에게는 누구보다 효성이 지극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대중매체에서
사극에서 인수대비에 밀려나 찬밥신세다.[8] 안순왕후를 주인공으로 하는 사극도 없지만, 거의 머릿수 채워넣는 수준.- 한명회 (KBS, 1994년, 배우 : 김은주, 이인혜)
- 장녹수 (KBS, 1995년, 배우 : 최은숙)
- 왕과 비 (KBS, 1998년 ~ 2000년, 배우 : 경인선) - 조카손주인 연산군이 어려서 생모를 잃은데다가 친할머니인 인수대비에게 미움받자, 연산군을 동정한다. 그래서 인수대비에게 그러지 말라는 식으로 충고했다가 오히려 인수대비에게 빈정대는 소리나 듣는 굴욕을 겪고 분노한다.
- 왕과 나 (SBS, 2007년 ~ 2008년, 배우 : 이옥정)
- 인수대비 (JTBC, 2011년 ~ 2012년, 배우 : 이연두, 김원희)
6. 참고 문서
[1]
예종이 차남이기 때문이며 또한 안순왕후는 예종의 2번째 부인이다.
예종이
세자 시절에 들인 첫번째 부인
장순왕후는
세자빈일 때 요절했다.
[2]
대신 연산군 즉위 4년만에 승하했기에 법적 손자인 연산군이 자기 아들의 노비인 장녹수를 후궁으로 들이는 꼴을 보지 않은데다 갑자사화로 피해를 입지도 않았다. 물론 안순왕후는 폐비 윤씨를 가장 크게 지지한 전적이 있지만, 연산군이 제안대군과 친했던 만큼 안순왕후가 장수했어도 갑자사화 때 패륜의 피해자가 되진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3]
연산군 대에 간신이자 권신으로 활약한
임사홍의 장남으로
임숭재의 맏형이다.
[4]
제안대군은 어엿한
국왕의
적자이면서
왕위는커녕
왕세자 자리에도 못가 본 인물로, 아버지
예종이
승하 당시 나이(4~5세)가 어리다고 사촌형인
성종에게
왕위 계승권을 빼앗겼다. 더군다나, 사촌형
성종이
왕위를 아버지 예종의 양자로서 입적하게 되었는데
제안대군(齊安大君)으로 봉군되자 마자,
아버지가 아닌 세종대왕의 7남이자 제안대군 자신에게는 작은할아버지였던
평원대군에게
양자로 봉사손에 입적되었다.
[5]
예종의 전 부인
장순왕후의 동생으로
장순왕후와
성종은 작은어머니-시조카 사이이다. 그래서
예종과는 각별한 사이다.
[6]
몰래 여종을 부인 박씨 이불 속으로 들어가게 시켜 부인이
동성애자라고 모함했다.
[7]
이렇게 내쫓긴 박씨는 얼마 뒤에
병으로 사망했다고 한다.
[8]
예종의 재위 기간도 짧아서 그다지 다룰 만한 내용이 없는 탓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