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6 06:33:59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슐라이어마허에서 넘어옴


서양 철학사
근대 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16px -11px;" <tablewidth=100%> 고대 철학 중세 철학 근대 철학 현대 철학 }}}
<colbgcolor=#545454><colcolor=#ffffff> 16-18세기
에라스뮈스 · 모어 · 마키아벨리 · 몽테뉴 · 브루노
합리주의 · 스피노자 · 말브랑슈 · 라이프니츠
경험주의 베이컨 · 홉스 · 로크 · 버클리 ·
계몽주의 몽테스키외 · 볼테르 · 루소 · 디드로 · 엘베시우스
칸트 / 신칸트주의
19세기
피히테 · 셸링 / 낭만주의: 헤르더 · 슐라이어마허 / 초월주의(미국): 에머슨 · 소로
헤겔 / 청년 헤겔학파: 포이어바흐 · 슈티르너
공리주의 벤담 ·
실증주의 콩트 · 마흐 / 사회학: 뒤르켐 · 베버
사회주의 아나키즘: 프루동 · 바쿠닌 · 크로포트킨
마르크스주의: · 엥겔스
키르케고르 · 쇼펜하우어 · 딜타이 · 베르그송
니체
}}}}}}}}} ||

근세 및 근대 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중세 신학 근세 및 근대 신학 현대 신학
종교 개혁 <colbgcolor=#fafafa,#191919> 루터 · 카를슈타트 · 츠빙글리 · 칼뱅 · 불링거
살라망카 학파 비토리아 · 수아레스 · 몰리나 · 라스 카사스 · 바녜스
청교도주의 그린햄 · 로저스 · 퍼킨스
급진 종교개혁 카를슈타트 · 시몬스 · 후터 · 뮌처 · 재세례파 · 메노나이트
이냐시오 영성 이냐시오
가르멜 신비신학 테레사 · 요한
칼뱅주의 베자 · 오웬 · 하이퍼 칼빈주의
아르미니우스주의 아르미니우스
구개신교 정통주의 후터 · 케커만 · 게르하르트 · 알스테드 · 보에티우스 · 볼레프 · 코케이우스 · 칼로비우스 · 무조이스 · 크벤슈테트 · 쾨니히 · 하이데거 · 뢰셔
영국 이신론 허버트 · 로크 · 틴들 · 울스턴 · 톨런드 · 아넷
계몽주의 신학 데카르트 · 라이프니츠 · 볼프 · 라이마루스 · 칸트 · 레싱 · 헤겔
경건주의 슈페너 · 프랑케 · 랑에 · 진젠도르프 · 퀘이커
과도기 신학 부도이스 · 파프 · 발히
신학적 볼프주의 볼프 · 칸츠 · 슈미트 · 바움가르텐
뉴잉글랜드 신학 에드워즈 · 벨라미 · 테일러 · 아마사 팍
웨슬리주의 웨슬리
신신학 에르네스티 · 예루살렘 · 슈팔딩 · 퇼너 · 젬러 · 뤼트케 · 슈타인바르트 · 에버하르트 · 가블러
초자연주의 신학 슈토르 · 티트만 · 베크
합리주의 신학 티프트룽크 · 벡샤이더
사변신학 다우프 · 마르하이네케 · 비더만
낭만주의 신학 슐라이어마허 · 콜리지
폰드레이 · 묄러 · 폰쿤
신루터파 하름스 · 토마시우스 · 폰하를레스 · 뢰헤 · 클리포트 · 폰호프만
중재신학 베테 · 니치 · 트베스텐 · 뤼케 · 울만 · 움브라이트 · 로테 · 도르너
부흥신학 네안더 · 톨룩 · 뮐러
신 튀빙겐 학파 바우어 · 젤러 · 슈베글러
신스콜라주의 페로네 · 파살리아 · 프란첼린 · 지글리아라 · 가리구라그랑즈
프린스턴 신학 하지
키르케고르주의 키르케고르
리츨 학파 리츨 · 폰 하르낙
신칼뱅주의 카이퍼 · 바빙크 · 흐레이다누스 · 헤프 · 흐로스헤이더 · 드흐라프 · 도예베르트 · 볼렌호벤
성공회 가톨릭주의 키블 · 뉴먼 · 퓨지 · 프루드 · 고어 }}}}}}}}}}}}
슐라이어마허
Schleiermacher
파일:Friedrich_Daniel_Ernst_Schleiermacher.jpg
이름 프리드리히 다니엘 에른스트 슐라이어마허
Friedrich Daniel Ernst Schleiermacher
출생 1768년 11월 21일
프로이센 왕국 슐레지엔 브레슬라우
사망 1834년 2월 12일 (향년 65세)
프로이센 왕국 브란덴부르크 베를린
국적
[[프로이센 왕국|]][[틀:국기|]][[틀:국기|]]
경력 할레 대학 교수
베를린 대학 교수
직업 철학자, 신학자

1. 개요2. 생애3. 사상
3.1. 절대 의존 감정으로서의 종교3.2. 해석학
4. 둘러보기5. 여담

[clearfix]

1. 개요

프로이센 왕국 근대 낭만주의 신학자, 철학자. 신학적 측면에서는 자유주의 신학의 길을 연 인물로 평가받으며, 철학적 입장에서는 해석학의 길을 연 인물로 평가받는다.

2. 생애

1768년, 슐레지엔 브레슬라우[1]에서 프로이센 군목의 아들로 태어났다. 보통 루터파가 우세한 독일 상황과는 달리 슐라이어마허의 아버지는 칼뱅파 개혁교회의 목사로 슐라이어마허도 개혁교회의 전통에서 성장해나갔다. 한편으로 슐라이어마허의 아버지는 모라비아 교회의 경건주의에도 큰 영향을 받았고 아들을 모라비아의 경건주의적 학교에 보내 공부하게 했다. 하지만 슐라이어마허는 경건주의로서는 납득할수 없는 것들이 늘어나면서 갈등이 생겼고 아버지에게 할레 대학교에 보내달라고 졸랐다. 결국 아버지는 슐라이어마허의 간청에 못이겨서 할레 대학교로 아들을 보내게 된다.

한때 경건주의가 풍미했던 할레 대학교는 그 시점에 이르러서는 경건주의를 포기하고 합리주의에 물결에 휩싸여 있던 시점으로 슐라이어마허는 이 곳 신학부에서 공부하면서 자신의 사상을 정립하게 된다. 에버하르트의 영향으로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게 되었으며 한편으로 신약성경의 성서비평을 공부하면서 해석학의 기초를 놓게 된다. 슐라이어마허의 첫 학문적 성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대한 연구와 번역으로 시작되었고 스승인 에버하르트의 영향을 받아 칸트 철학에는 부정적이었다.

1796년, 목사 안수를 받고 베를린으로 옮겨가 낭만주의 철학자 슐레겔 등과 교류하면서 자신의 사상을 정립해 나가던 중, 소위 피히테의 무신론 논쟁이 터지자 여기에 대한 응답으로 1799년 『종교론』을 출간해 큰 반향을 일으켰다. 한편으로 베를린 대학교의 설립에 관여하면서 신학부 교수로 재직하기도 했다.[2] 교수로 있으면서 수편의 설교집과 플라톤의 대화편에 주석을 달아 독일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25년에 걸쳐 하는 등의 작업을 하다가 1834년 2월 12일, 65세의 나이에 폐렴으로 숨을 거뒀다.

3. 사상

3.1. 절대 의존 감정으로서의 종교

슐라이어마허는 『종교론』에서 당시 종교에 대한 여러 관점들을 우선 살펴본다. 당대 지식인들은 종교를 인간의 합리적 이해에 따른 형이상학적 논리의 결과로 파악하였다. 칸트는 '자유의지로 발현된 도덕이 전개하여 이성적으로 요청될 수밖에 없는 것'을 종교라고 보았고, 헤겔은 종교를 '지식이나 형이상학적 절대 정신의 궁극적 종합'으로 바라보았다. 슐라이어마허는 종교를 '이성'으로 파악하려고 하는 이런 칸트와 헤겔의 합리적 전략을 모두 비판한다.

그는 종교가 바로 절대자에 대한 절대 의존적 감정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종교론』에 의하면 종교란, 우주에 대한 직관적 감정이다. 여기서 우주는 '부단한 과 작용 속의 우주'를 일컫는 말로서, 한계도 없고 멈추지도 않는 절대적인 힘의 흐름이다. 따라서 유한한 인간은 절대자가 창조한 무한한 우주의 힘과 작용으로부터 결코 벗어날 수 없음을 깨달으며 이에 압도되고 경외하는 마음이 저절로 생겨나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나오는 '절대 의존적 감정'이 바로 종교의 본질이다. 즉 이전까지는 '이성'으로써 종교를 바라봤다면 슐라이어마허는 종교를 이성이 아니라 '감정'으로써 봐야된다고 역설한 것. 그렇기에 칸트나 헤겔과 같이, 종교에서 자유의지나 인간의 합리적 이성을 논리적으로 전제하려는 작업은 결코 신에 대한 믿음을 증진시켜주지 못하며, 실제 현실의 믿음에 있어서는 감정이 더 중요한 문제라고 슐라이어마허는 주장한다.

3.2. 해석학

슐라이어마허는 통상 해석의 기본 원칙으로서 해석학적 순환을 최초로 정립한 사람으로 간주된다. 하나의 텍스트와 같은 전체를 관통하는 정신은 그 전체를 이루는 개별 부분들에 흔적을 남긴다. 따라서 부분들은 전체를 바탕으로 해서 이해되어야 하며, 전체는 부분을 통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슐라이어마허는 해석학적 해석이 텍스트의 배후에 있는 저자와 저자의 필생의 업적 전체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따라서 우리는 텍스트의 특정 부분을 저자의 저작 전체에 비추어서만이 아니라 저자의 개인적 삶과 지적 삶 그리고 경력에 비추어서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텍스트의 이해는 텍스트 전체를 바탕으로 텍스트의 부분들을 해석하고 부분들을 토대로 전체를 해석하는 작업을 번갈아 하는 것뿐만 아니라 저자의 삶도, 가급적이면 재구성된 전체로서의 저자의 저작까지도 끌어들여야 한다.

그리고 이것은 딜타이의 해석학이 주장하듯, 저자의 사고방식과 역사적 맥락에 대해 해석자의 감정이입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아간다. 저자와 텍스트의 지적 상황 속에서 우리 스스로를 이입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해는 우리에게 그 시대의 근본 문제들에 대한 보다 나은 통찰을 제공한다.

4. 둘러보기

5. 여담

  • 헤겔은 자신의 제자 힌리히스가 쓴 종교철학 책의 서문을 작성하면서, 슐라이어마허의 '절대 의존적 감정'을 비판했다. 헤겔은 이렇게 말했다. "인간에게 종교가 오직 감정의 토대 위에 서 있는 것이라면, 그 감정은 인간의 의존하는 감정 이외에 다른 것이 아닐 것이다. 그러므로 (犬)가 가장 진실한 신자가 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개는 이러한 감정을 가장 강렬하게 수행하고 있고, 원리적으로 이러한 감정으로 살아가기 때문이다. 심지어 개는 뼈다귀로 배고픔을 채웠을 때 구원의 감정도 가진다." [3] 헤겔은 '이성'과 종교의 변증법적 화해를 강조했기 때문에, (이성을 배제한 채) '감정'에만 기반한 슐라이어마허의 종교관을 도저히 용납할 수 없었던 것이었다.
  • 슐라이어마허는 자유주의 신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1]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나치 독일이 패전하면서 현재는 폴란드로 넘어간 상태이다. 폴란드어 이름은 브로츠와프. [2] 여담으로 당시 베를린 대학교의 철학부 교수가 바로 헤겔이었다. [3] 테리 핀카드 『헤겔, 영원한 철학의 거장』 이제이북스, 2006, p.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