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삼충신 | ||
성충 | 흥수 | 계백 |
<colbgcolor=#a52a2a><colcolor=#ffffff> 성충 成忠 |
|
|
|
▲성충 영정 | |
이름 | 성충 |
이명 | 정충(淨忠), 선중(善仲)[1] |
성씨 | 미상 [2] |
출생 | 미상 |
사망 | 656년 3월 |
관등 | 좌평(佐平) |
국적 | 백제 |
1. 개요
16년 봄 3월에 왕이 궁녀들을 데리고 음란과 향락에 빠져서 술 마시기를 그치지 않으므로 좌평 성충이 적극 말렸더니, 왕이 노하여 그를 옥에 가두었다. 이로 말미암아 감히 간하려는 자가 없었다. 성충은 옥에서 굶주려 죽었는데, 그가 죽을 때 왕에게 글을 올려 말했다. “충신은 죽어도 임금을 잊지 않는 것이니 한 마디 말만 하고 죽겠습니다. 제가 항상 형세의 변화를 살펴보았는데 전쟁은 틀림없이 일어날 것입니다. 무릇 전쟁에는 반드시 지형을 잘 선택해야 하는데 상류에서 적을 맞아야만 군사를 보전할 수 있습니다. 만일 다른 나라 군사가 오거든 육로로는 침현(沈峴)을 통과하지 못하게 하고, 수군은 기벌포(伎伐浦)의 언덕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십시오. 험준한 곳에 의거하여 방어해야만 방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왕은 이를 명심하지 않았다.
《 삼국사기》권 제28 <백제본기> 제6 의자왕
《 삼국사기》권 제28 <백제본기> 제6 의자왕
백제의 군인, 장군, 관료. 사망 직전까지 백제와 의자왕을 걱정하다 죽은 충신이었다. 정충(淨忠)이라고도 하며 일본 등씨가전에서는 선중(善仲)으로도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자(이름)였을 가능성이 있다. 의자왕 시대 백제의 대들보 역할을 했던 최고의 지략가이며, 조선상고사에 따르면 대야성을 함락시킨 명장 윤충과 형제이다.
2. 생애
기록에는 백제의 당시 최고 관직이었던 좌평이었던 것으로 나온다. 의자왕은 타락하기 전까지는 몹시 유능한 성충을 중용하며 매우 아꼈으나, 656년 3월 부로 의자왕이 이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타락하여 정사는 멀리 한 채 사치와 향락에 빠지자 적극적으로 말렸지만, 이에 의자왕이 분노해 끝내 투옥되면서 조정에서 의자왕에게 충언을 하는 자들은 전부 사라지게 된다.
단식하다가[3] 끝내 옥중에서 숨을 거두게 되는데, 사망 직전 자신의 피로 의자왕에게 마지막 간언을 지어 올린다[4].
충신은 죽어도 임금을 잊지 않는 것이니 한 말씀 아뢰고 죽겠습니다. 신이 항상 형세의 변화를 관찰하였는데 반드시 전쟁은 일어날 것입니다. 무릇 전쟁에서는 반드시 지형을 잘 살펴 선택해야 하는데 상류에서 적을 맞아야만 나라를 보전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만일 다른 나라 병사가 오거든 육로로는 침현(沈峴)을 지나지 못하게 하고, 수군은 기벌포(伎伐浦)의 언덕에 들어오지 못하게 하여, 험준한 곳에 의거하여야만 막을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의자왕은 이조차 듣지 않았고, 또다른 충신 흥수도 옥중에서 비슷한 간언을 했지만 이 또한 의자왕이 무시해[5] 결국 나당연합군이 쳐들어왔을 때 험한 지형에서 방어하는 대신 벌판에서 막으려다 끝내 참패했고, 의자왕은 뒤늦게 성충의 말을 듣지 않아 이 지경에 이르게 된 것이 후회스럽다고 탄식했지만, 이미 버스는 지나간 뒤였다.
당시 일본의 역사서 등씨가전(藤氏家傳)에 나온 평가를 보자면 ' 신라에는 김유신, 백제에는 성충, 고구려에는 연개소문, 당나라에는 위징과 더불어 당대의 준걸로서 이름을 만리에 진동시켰다'라는 언급이 있다. 즉, 당대에 백제를 대표하는 명신으로 평가받았다는 뜻이다. 기록 부족으로 묻혀서 그렇지 당대 네임드와 어깨를 견주는 위상을 가지고 있던 정치가라고 할 수 있다.
지략이 무척 뛰어나서 단재 신채호의 조선상고사에서도 그의 비범한 행적이 서술되어 있다. 어린 시절[6] 동예에서 선물로 음식을 보내자 사람들이 기뻐하며 열어보려는데, 적장이 갑자기 선물을 보낸 게 뭔가 수상하다고 생각한 뒤 다 불태우라고 지시하자 그렇게 했는데, 안에는 많은 양의 무서운 땡삐( 땅벌)들이 불에 타 죽어 있었고, 그 다음에도 선물이 오자 또 속을 줄 아냐며 불 속에 집어던지려고 하자 이번엔 그냥 열어보게 했는데, 거기엔 폭발물들인 유황과 염초가 들어있었다. 그 다음에도 선물이 오자 이번에는 톱으로 켜게 했는데, 그러자 그 안에서 사람의 비명소리와 함께 핏자국이 나왔다. 그 안에 있던 것의 정체는 칼을 쥔 자객으로, 톱질로 인해 허리가 끊어져 죽어 있었다고 한다. 만일 멋모르고 열었다면 성충은 그놈에 의해 개죽음을 당하고도 남았을 일.[7]
3. 기타
- 신채호의 조선상고사에 따르면 성충은 백제의 왕족인 부여씨(夫餘氏)로 윤충이 그의 동생이라고 한다. 연개소문에게 편지를 보내 설득시켜 김춘추를 난처하게 하는 등 뛰어난 능력을 발휘했지만 이후 임자의 참소를 받아 의자왕에게 박대당해 뜻을 펴지 못했다고 전한다.
- 그가 막아야한다고 충언하였던 기벌포에서 신라가 당나라를 물리쳤다. 그의 작전이 맞았던 셈.
4. 대중매체에서
백제 최후에 활약한 신하이자 마지막 충신다운 모습을 보이고 사망했기에 당대를 그린 작품에는 거의 빠짐없이 등장한다.- 1992년 KBS 드라마 < 삼국기>에서는 배우 김갑수가 연기했다. 당대 귀족답게 칼을 잘 쓸줄 알면서도 백제의 지략가 역할을 잘 표현했고 연개소문과 직접 만나 여제 동맹을 성사시키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김유신이 준비한 미인계와 이간책에 당하며 감옥에서 숨을 거두는 것으로 묘사된다. 극 후반에 성충이 투옥된 것을 확인하고 군사를 몰고 오려는 계백( 유동근 분)을 말리는 충신의 모습을 보였으며 그가 옥사했다는 소식을 들은 의자왕( 길용우 분)이 무척 슬퍼하는 장면이 등장한다.[8]
- 2007년 SBS 드라마 < 연개소문>에서는 배우 맹상훈이 연기했다. 흥수, 윤충과 함께 전성기 시절의 총기를 잃고 역신 임자와 요녀 은고에 빠져 국정을 팽개치고 방탕하게 살아가는 의자왕에게 여러 차례 충언을 올리다 관직을 박탈당하고 투옥된다. 얼마 뒤 흥수도 하옥되고 윤충은 유배된다. 이때 사신으로부터 성충이 자결했다는 소식을 듣고 놀라나 그의 마지막 상소를 보고는 크게 비웃는다.
폐하... 신 성충 마지막으로 폐하께 아뢰옵나이다. 신라의 김춘추는 백제에 원한이 많은 인물이옵니다. 머지 않아 그 자는 당나라의 세력을 업고 우리 백제로 올 것이옵니다. 우리 백제는 육지로는 탄현과 바닷길로는 백강의 기벌포를 지키면 능히 한 사람이 일만의 대군을 상대할 수 있을 것이옵니다. 부디 지금이라도 고구려와 동맹을 재삼 확인하며 굳건히 하시고 탄현과 기벌포를 지키시오소서. 그 길만이 9백년 대백제의 사직을 온전하게 보전하는 길이 될 것이옵니다. 폐하! 신 성충이 마지막으로 드리는 말씀이옵니다. 부디... 부디... 다시 성군의 길을 찾으시오소서!
연개소문 95화 中
연개소문 95화 中
- 2011년 MBC 드라마 < 계백>에서는 배우 전노민이 연기했다. 가잠성의 신라군에게 포로가 되어 있던 모습으로 처음 등장한다. 사택 가문과 맞서는 의자왕 친위 그룹의 역할을 감당했으며 주변 인물들간의 충돌을 잘 조율하는 진중한 성품으로 등장한다. 은고의 세작 혐의를 조사하던 중 그녀가 반역을 도모했다는 것을 밝혀냈으나 이를 의자왕에게 고하기 전에 살해당하며 퇴장한다. 첫 등장부터 퇴장까지 MBC 사극답게 실제 역사적 고증과는 거리가 멀다.
- 2012년 KBS 드라마 < 대왕의 꿈>에서는 배우 김원배가 연기했다. 김춘추와 연개소문의 회담에서 등장했지만 이 사료에서 보여준 조목조목 단점을 지적해 연개소문이 신라와 결렬시키는 것은 안 나오고 먼저 와서 동맹 이야기를 선수를 했지만 말빨이 뛰어난 김춘추에게 정면 승부에서는 밀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기본적으로 밝혀진 사실과도 많은 괴리가 있는 장면이라고 할 수 있다.
- 대체역사물 <백제의 이름을 잇다>에서는 역시나 무시당하고 사망하는건 똑같으나 주인공이 신라 및 당나라와의 1차 전쟁을 승리로 이끈 뒤 2차 전쟁에서 그의 계책을 채택해 당나라 수군을 성공적으로 격퇴하면서 죽어서나마 그 뜻을 이루게 되었다.[9]
[1]
일본 등씨가전의 기록.
백중숙계는
자(이름)에 많이 쓰였으므로 자가 기록된 것일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그는 형제 중 둘째였다는 것이 된다. 마찬가지로 보면
계백의 경우 그가 맏이였다는 뜻이 된다.
[2]
신채호의
조선상고사에서는 백제 왕족과 같은 부여씨로 기록하고 있지만, 다른 사료와 교차되지 않는 부분이라 불명. 다만 좌평에 올랐으므로 왕족 혹은
대성팔족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3]
스스로 단식한 게 아니라 의자왕이
음식을 일절 못 주게 하였다는 설도 있다.
[4]
혈서가 아니라 종이에 붓으로 글씨를 썼다는 설도 있다.
[5]
다만 완전히 무시했다기보다는 투옥되어 나라에 앙심을 품은 자의 의견이라 믿을 수 없다는 다른 대신들의 상소 때문에 결정을 내리는 게 늦어져서 저렇게 되었다는 추측이 있다. 실제
사료에서 흥수가 간언을 하자 무시하기는커녕 성충과 똑같은 얘기 아니냐면서 빨리 저대로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의자왕이 다급해하는 장면이 나오기도 했다. 어쨌든 중요한 건 자국에서 손꼽히는
브레인이자 충신 2명이 제시한 작전을 결국 못 써먹었다는 거다.
[6]
다만 일설에 의하면 어린 시절이 아니라 중노년 시절이었다는 얘기도 있다.
[7]
곽재우가
임진왜란 당시 이런 비슷한 작전을 썼다는 기록이 있다. 아마 단재 신채호가 참고한
야사의 저자가 곽재우의 전설을 차용하여 성충의 일대기를 지은 것으로 보인다. 신채호는 열정과 달리 가난한 형편으로 인해 정밀한 사료 비평을 할 수 없었다. 그래서 조선 후기나 구한말에 발간된 야사들이 대거 조선상고사 등에 실리게 되었다.
[8]
의자왕 역의
길용우와 성충 역의
김갑수는 현재 같은
후너스엔터테인먼트 소속이다.
[9]
언급을 보면 몇 년 동안의 수위나 장마로 인한 변수까지 싹 다 고려한 철두철미한
방어 계획이었다.
권력 불안이라는 이유로 채택 안한 의자왕과 당시
왕당파들이 한심해 보일 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