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6 13:49:09

박중한

파일:민주당(1955년) 상징.png 파일:민주당(1955년) 선거벽보 글씨(흰색).png 제4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후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부산 중 부산 서 갑 부산 서 을 부산 영도 을 부산 동 갑
김응주 김영삼 김동욱 이만우 박순천
부산 동 을 부산 부산진 갑 부산 부산진 을 부산 동래 마산
오위영 이종남 박찬현 김명수 허윤수
진주 충무 진해 삼천포 의령
김용진 최천 엄칠갑 김재학 강봉용
박중한
함안 창녕 밀양 갑 밀양 을 울산 갑
한종건 노형식 박부화 김정환 최영근
울산 을 동래 김해 갑 김해 을 창원 을
김택천 조일재 최원호 조용환 설관수
통영 거제 고성 사천 하동
서정귀 윤병한 이종근 정헌주 문부식
산청 함양 거창
심상선 이진언 신중하
자유당
서울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제주
}}}}}}}}}}}}

파일:국회휘장(6대-7대).svg 전국구 제6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민주공화당
22석
정구영 <colbgcolor=#835b38> 김성진 <colbgcolor=#835b38> 이종극 <colbgcolor=#835b38> 민병기
김동환 신윤창 오치성 박현숙
강상욱 조창대 이종근 오학진
김우경 김병순 서인석 이만섭
조남철 한태연 최정기 차지철
박규상 김호칠
민정당
14석
---- 윤보선 ---- 정해영 유진산 고흥문
김익기 강문봉 김형일 정운근
박삼철 함덕용 방일홍 유홍
---- 류진 이중재 ---- 임차주 이우태
박중한 우갑린
민주당
5석
---- 조재천 ---- 김성용 유창열 장치훈
최희송 계광순 ---- 한근조 이태용
자유민주당
3석
---- 김도연 소선규 손창규 ---- 김재위
이원홍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DC352A><tablebgcolor=#DC352A>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DC352A><tablebgcolor=#DC352A>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이영준 조윤형 서범석 김상현 박순천
한통숙 박한상 김영삼 김은하 강승구
신하균 홍익표 유치송 황인원 박영록
김삼 이충환 박찬 이상철 한건수
이상돈 류청 고형곤 김상흠 유수현
김대중 양회수 이정래 정명섭 진기배
최영근 우갑린 이우태 유진산 고흥문
김익기 김형일 정운근 박삼준 함덕용
방일홍 류홍 박중한 이중재 계광순
이태용 류창열 장치훈 이원홍 손창규 }}}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fff 박중한
朴仲漢[1]
漢으로 개명했다.]}}}
<colbgcolor=#0047a0><colcolor=#fff> 본관 밀양 박씨
출생 1895년 7월 5일
진주부 고성군 춘원면 서부동
(現 경상남도 통영시 문화동)
사망 1970년 9월 17일 (향년 75세)
미국 뉴욕
상훈 건국포장 추서

1. 개요2. 생애3. 선거 이력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정치인. 2007년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서상환 법무부장관, 독립유공자의 처남이기도 하다. #

2. 생애

박중한은 1895년 7월 5일 진주부 고성군 춘원면 서부동[2]에서 아버지 박순일(朴順日)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박순일은 통제영의 군졸로, 박대감이라고도 불렸다.

그는 1916년 일본으로 유학가서 메이지대학 법학과를 다녔다. 그러다 처남 최봉선으로부터 독립의식을 전수받고 그에게 받은 돈을 가지고 상하이로 건너가 독립밀사단 본부에서 교육을 받았다.[3] 이후 국내로 귀환하여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했다.

1926년 말, 경상남도 평의회에서 남해군 출신 도평의원 윤병호가 1면에 보통학교 1개 정책을 추진하자고 제안했다. 그러자 통영군 출신 도평의원 김기정(金淇正, 1884. 9. 7 ~ ?)[4]이 반박했다.
"조선 사람에게는 교육이 필요치 않다. 조선 사람은 보통학교만 나오면 사상이 악화되어 사꾸라 몽둥이를 들고 다니며 불량한 짓을 하고 사회운동의 선봉이 된다. 지난 1919년 소요 이래 당해보지 않았느냐. 조선은 교육으로 망했다. (중략) 도평의회에 조선어 통역을 철폐하자. 황국어를 모르는 사람이 어떻게 도평의원 자격이 있는가?"

이 소식을 접한 그는 분노하여 이에 대한 진상조사와 시민대회의 개최를 추진하였다. 그는 김기정의 행위를 ‘매국적 행위’로 규정하고, 김기정을 ‘ 사회적으로 절교’시키고, 공직에서 해임시킬 것 등을 동지들과 결의하고 이와 같은 내용의 결의서를 인쇄·배포하였다. 이에 김기정은 이러한 박중한 등의 행위를 출판법 위반 및 명예훼손이라며 고소했고, 경찰은 박중한 등을 체포했다.

이후 마산지방법원 법정에 끌려온 그는 명예훼손 혐의에 대해 다음과 같이 항변했다.
"우리는 시민들의 토의 결정한 사항을 위임받아 진실을 규명했을 뿐 누구의 명예를 훼손한 사실도 없고 누구를 협박한 사실도 없다. 사실을 사실대로 밝히면 다 명예훼손이 되느냐/ 우리의 진상조사 보고에 허의나 날조가 있으면 대보라."

그러나 그는 1927년 10월 3일 유죄판결을 받았고, 이에 불복하고 공소하여 1928년 5월 1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소위 문서 인쇄 및 분포 사실에 대해서는 무죄 판결을 선고받았으나, 명예훼손 혐의에 대해서는 공소가 기각되고 소위 출판법 위반 및 상해, 훼기 혐의에 대해서는 징역 6개월,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고 곧 출옥하였다.

그 후 선교사의 권유를 받아들여 1931년 미국 뉴욕에 있는 컬럼비아 대학교 종교철학과에 입학하고, 뒤에 오번 대학교에 편입하여 졸업했다. 여름방학 때가 되면 미주교회를 통해 한국 시국문제와 일제의 식민지 정책의 부당함을 알리는 강연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1934년 경상남도 부산항을 통해 입국했으나 일본 제국 경찰로부터 요시찰인으로 낙인찍혀 철저히 감시당했고, 태평양전쟁 발발 후에는 예비구금 조치되었다. 그러다 8.15 광복으로 자유의 몸이 된 그는 1945년 10월 민선 통영군수가 되어 1948년 6월까지 역임했다. 임기가 끝난 뒤에는 회사를 경영했다.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미8군사령부에서 한국 대표 고문을 맡았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남도 통영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국민당 최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경상남도 충무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또 다시 민주당 최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3년 민정당이 창당되자 이에 입당하여 중앙위원을 역임했고, 같은 해 열린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전국구 국회의원 제17번으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그러나 1967년 6월 26일 민정당 소속으로 전국구 국회의원 제13번이었던 류진 의원이 신민당을 탈당하면서 그의 국회의원직을 승계하였다.[5]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여생을 보내다가 1976년 7월 5일 뉴욕에서 중풍에 의한 숙환으로 별세했다.

2007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3. 선거 이력

연도 선거종류 소속정당 득표수(득표율) 당선여부 비고
1954 제3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통영군 갑)

[[무소속(정치)|
무소속
]]
396표 (0.91%) 낙선 (10위)
1958 제4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충무시)

337표 (1.9%) 낙선 (7위)
1963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흰색 로고타입.svg
]]
- 승계 (17번) 초선 [6]

[1] 이후 [2] 경상남도 통영시 문화동 [3] 1918년 자형인 서상환이 통영의 해산물 조합을 통해 상하이 대구를 수출할 계획을 세우고, 그해 11월 박중한을 상하이로 보내어 현지를 시찰하게 하여 한 달 정도 머무른 적이 있는데, 아마도 이때 간 것으로 추측된다. # [4] 조선신사대동보에 수록되었을 정도로 애당초 친일 성향이 짙었던 사람이다. [5] 다만 임기는 단 5일( 1967년 6월 26일 ~ 6월 30일)에 불과했기에 5.16 군사정변 등의 외압으로 인한 경우를 제외하면 최단기로 국회의원직을 승계한 기록이 된다. [6] 민정당 13번 류진 의원의 신민당 탈당으로 인한 승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