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24 16:17:16

박보희


파일:은관문화훈장 약장.png
은관문화훈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1974
박화성
소설가
1978
김환기
화가
1978
나운규
영화감독
1978
이중섭
화가
1978
현진건
소설가
1980
박수근
화가
1980
조치훈
바둑기사
1984
박두진
시인
1988
김광균
시인
1988
김중업
건축가
1988
이봉상
화가
1989
조남철
바둑기사
1989
조훈현
바둑기사
1992
김영주
화가
1992
김춘수
시인
1992
장리석
화가
1992
전광용
소설가
1992
한갑수
교수
1995
박노수
화가
1995
전왕영
시인
1996
이창호
바둑기사
1998
김남조
시인
1999
박홍근
아동문학가
2001
권영우
화가
2001
박용철
시인
2001
박태현
작곡가
2001
신경림
시인
2001
유종호
문학평론가
2001
이지관
문화연구가
2001
최일남
소설가
2001
홍연택
지휘자
2002
고은태[1]
시인
2002
김종하
화가
2002
나춘호
출판가
2002
민경갑
화가
2002
박보희
한국문화재단 총재
2002
이수홍
한국문화협회 이사장
2002
이오덕
아동문학가
2002
이형기
시인
2002
이호철
소설가
2002
정수봉
교육인
2003
박봉석
사서, 국립도서관학교 교장
2003
신동엽
시인
2003
이종상
화가
2003
천상병
시인
2003
황병기
국악인
2004
김동혁[2]
연극인
2004
김사엽
국문학자
2004
김서봉
화가
2004
김충현
서예가
2004
김희조
지휘자
2004
박연희
소설가
2004
엄대섭
도서관연구회장
2004
임동권
민속학자
2005
고우영
만화가
2005
김성구[3]
불교인
2005
김충실[4]
무용가
2005
전숙희
수필가
2005
이문열
소설가
2006
이규태
언론인
2006
임영방
국립현대미술관장
2006
한명희
국립국악원장
2006
홍기삼
교육인
2007
김주영
소설가
2007
이강덕
종묘제례악 명예보유자
2007
안병희
국어학자
2008
박광진
예술인
2008
오세영
시인
2008
최종태
조각가
2008
한백유[5]
화가
2009
이미자
가수
2010
김희진
무형문화재 매듭장
2010
레프 콘체비치
러시아인 한국학자, 훈민정음 해례본 러시아어 번역 공로
2010
백건우
피아니스트
2010
백성희
연극배우
2010
장민호
연극배우
2010
전혁림
화가
2011
신영균
영화배우
2011
이수만
가수, 연예기획사 사장
2011
하춘화
가수
2011
이근배
시인
2011
해의만
국악인
2012
최영필[6]
가수
2012
김기덕
영화감독
2012
김순옥[7]
드라마 작가
2012
손숙
연극배우
2012
윤일봉
배우
2013
구봉서
희극인
2013
안성기
영화배우
2013
조용필
가수
2013
최인호
소설가
2013
김혜자[8]
가수
2014
김승옥
소설가
2014
박정란
드라마 작가
2014
송해
희극인
2014
최영한[9]
배우
2015
이천백[10]
희극인
2015
이덕화
배우
2015
이성희
음반제작자
2016
김윤식
문학평론가
2016
백영수
화가
2016
홍경일[11]
배우
2016
김명자[12]
배우
2016
김덕용[13]
희극인
2017
김남진[14]
가수
2017
박근형
배우
2017
윤여정
배우
2018
이순재
배우
2018
김민기
가수
2018
조동진
가수
2019
김혜자
배우
2019
양희은
가수
2019
봉준호
영화감독
2020
변인철[15]
배우
2020
고두심
배우
2021
김병기
화가
2021
이장희
가수
2021
이춘연†
영화인
2021
안숙선
국악인
2021
한석홍†
사진 작가
2022
강수연
배우
2022
박찬욱
영화감독
2023
원종철
삼원인쇄 대표
2024
신순기[16]
배우
2024
강부자
배우

[1] 필명 고은 [2] 예명 김동원 [3] 법명 월운 [4] 예명 김백봉 [5] 예명 한묵 [6] 예명 금사향 [7] 필명 김수현 [8] 예명 패티김 [9] 예명 최불암 [10] 예명 남성남 [11] 예명 남궁원 [12] 예명 김지미 [13] 예명 남보원 [14] 예명 남진 [15] 예명 변희봉 [16] 예명 신구
}}}}}}}}} ||

<colbgcolor=#00566A><colcolor=#ffffff> 박보희
朴普熙 | Bo Hi Pak
파일:박보희선생사진.jpg
출생 1930년 8월 18일
충청남도 아산군 염치면
사망 2019년 1월 12일 (향년 88세)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청심국제병원
묘소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파주원전
학력 천안농업학교 (졸업)
육군정보학교 (영어과 / 수료)
포트 베닝 미 육군보병학교 (수료)
조지타운 대학교 (외교학 / 학사)
가족 아버지 박동현, 동생 박노희
아내 윤기숙 [1]
장녀 문훈숙, 장남 박준선, 차남 박진성, 양자 박사무엘 등
군사 경력
임관 육군사관학교 (생도 2기)
복무 대한민국 육군
1950년 ~ 1964년
최종 계급 중령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국방무관 보좌관
상훈 화랑무공훈장 (1951년)
금성 화랑무공훈장 (1953년)
포트 베닝 미 육군보병학교장 표창 (1957년)
주한미군사고문단장 표창 (1959년)
대한민국 국방부장관 표창 (1960년)
대한민국 국무총리 표창 (1963년)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 표창 (1971년)
국민훈장 목련장 (1971년)[2]
은관문화훈장 (2002년)


1. 개요2. 상세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군인, 종교인, 기업인이자 한국문화재단의 총재였다. 통일교의 창시자인 문선명의 사돈이며, 동시에 문선명의 오른팔이자 최측근이었다.

2019년 1월 숙환으로 사망하였다.

영어 위키백과, 수상 및 훈장 참고 출처

2. 상세

1930년 충청남도 아산군 염치면(현 아산시 염치읍)에서 2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46년 천안농업학교를 졸업했고, 1946년부터 1950년까지 충남 아산시의 도고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1950년 6월 1일 육군사관학교 생도 2기로 입교하였다.[3] 그러나 육사 생도가 된 지 24일 만에 6.25전쟁이 발발하여 생도로서 6.25전쟁에 참전하였다. 당시 그의 나이는 고작 스무 살이었다. 그는 6.25전쟁 당시 제9보병사단 제28보병여단 소속이었으며, 전쟁 중 소대장, 중대장, 연대작전장교로까지 전쟁에 임했다. 이후 1952년 미국 포트 베닝 육군보병학교에 유학을 가 신임장교 지휘참모과정을 수료했고, 1955년, 대한민국 육군본부 정보참모부에서 근무하면서 육군정보학교 어학반(영어과)을 수료했다. 이후 다시 미국 포트 베닝 육군보병학교의 특수연합군반으로 유학을 가 1956년 수료했다. 그는 포트 베닝에서 화학기 교관으로 근무했다. 그 후, 1957년 UN군 사령부 내 미 군사고문단장 전속부관, 1960년 대한민국 국방부차관 보좌관, 1961년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국방무관 보좌관 등을 역임했다. 또한 1961년부터 1965년까지 미국 조지타운 대학교 외교학 전공을 하여 학사 학위를 수료했다. 대한민국 육군 예비역 중령까지 임하다가 1964년에 명예퇴역하였다.

1957년 통일교에 입교하여 문선명과 인연을 맺었다. 주미대사관에서 근무했기에 미국 정치인들과 어느 정도 아는 사이이며, 영어, 일본어 실력이 유창하며, 특히 동시통역을 잘하기에 문선명의 총애를 받았다. 문선명의 동시통역사로도 활동했다. 통일교 2인자 소리까지 들으며 워싱턴 타임즈, 세계일보, 평화자동차, 금강산국제그룹 등 통일교 계열 기업들의 대표이사를 역임하기도 했다. 리틀엔젤스예술단과 유니버설 발레단의 창단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며, 선화예술학교 교장, 선화학원 이사장, 한국문화재단 총재를 역임했다. 2010년에 리틀엔젤스와 함께 한국전쟁 60주년 기념 참전국 16개국 순회공연을 주도하기도 했다.

1994년 김일성이 사망하자 문선명이 "압록강을 헤엄쳐서라도 조문하러 가라"고 명령했는데, 의외로 북에서 순순히 조문단 수용 의사를 밝혀 방북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것이 무단 방북으로 간주되었고, 차기 정부가 출범할 때까지 대한민국으로 들어오지 못하고 해외 도피 생활을 해야 했다. 박정희 정부의 코리아게이트 사건에 연루되어 1978년 미 하원 청문회에 서기도 했다. 이는 애당초 통일교 자체가 코리아게이트에 깊이 연루되었기 때문이다. 프레이저 보고서 참고.

독립협회를 이끈 서재필의 조카이자, 하버드 대학교를 졸업하여 박정희 대통령 때 청와대 비서실에서 근무한 서영수를 포함한 6명이 1984년, 뉴욕의 한 호텔에서 박보희를 납치하여 권총으로 위협한 사건이 있었다. 당시 서영수 일당은 권총으로 박보희를 위협하며 몸값 100만 달러를 요구했으나, FBI에 검거되어 실패하였다. 당시 이런 사건을 벌인 이유는 돈 때문만이 아니라 통일교에 불만이 많아서라고 한다. #

그의 딸인 발레리나 문훈숙[4] 문선명의 죽은 아들 문흥진과 영혼결혼하였다. 박보희는 1984년 11월 아르헨티나의 '라플라타가톨릭대학'의 명예철학박사 학위를 받은 바 있다.
[1] 1933년 4월 25일생, 2017년 10월 14일 별세 [2] 국민훈장 동백장이라는 기사도 있으나, 상훈 검색 결과 목련장인 것으로 확인됨. [3] 1946년 입교한 육사 2기와는 다른 기수이다. [4] 원래 이름은 박훈숙이다. 통일교 교리에 따라 남편의 성을 따름이다.